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언론사의 지역의제와 표제어 유형에 관한 연구

        이희중 전북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3 지방자치연구 Vol.16 No.-

        본 논문 『지역 언론사의 뉴스 표제어 유형에 관한 연구』에서는 지역 언론사가 의제생산과 언론의 역할을 어떻게 형성해 가는지 알고자 한다. 미디어 기술진보는 자본권력과 국가정책이 결합되어 하이 테크롤로지를 주도한다. 나아가 미디어 확장은 시장경제와 지속가능한 경제구조의 디딤돌 역할을 한다. 미디어의 새로운 시장 진입은 자본권력과 중앙집권적 파트너십에 의해 확대 재생산되고 지역의 광고시장에도 중대 한 영향을 미친다. 지역 시민들의 공중의제보다 시장에서 주도한 의제가 지역 언론사에 중대한 수입원이 됨으로 지역 언론은 끊임없이 자본권력과 국가정책을 재현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샘이다. 결국 국가의 방송법과 방송정책의 입안, 나아가 자본권력에 의해 지역방송은 사업의 진출과 실패가 가늠되고 있다. 지역 언론사가 시의적인 의제 생산보다 중앙언론의 의제를 재현해 내는 방식은 생존하기 어려운 구조적 한계가 있 다고 볼 수 있다. 지역의제의 생산적 가치는 자본의 의해 결정된다. 자본권력은 지역언론 광고시장을 잠식함으로 지역 언론의 의제가 시장경제 울타리를 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언론은 지역에서 생산된 의제로 유지될 때 지역의 가치생산이 향상되고 지역기반구조가 진보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왜곡된 지역 언론사의 시장성에 영향 을 주는 자본권력의 한계를 논하고 있다. 지역민에게 돌려주어야 할 언론의 역할이 시장에 의해 의제가 생산됨으로 지역 언론이나 지역민 모두에게 득이 되지 못한 점을 확증함으로 지역 언론 역할을 지적하고 있다.

      • KCI등재

        지역시민의 지역언론 이용동기 및 평가를 통한 지역언론의 방향성 연구: 부산지역 수용자 인식을 중심으로

        정미영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20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4 No.1

        본 연구는 부산지역 수용자를 대상으로 지역언론의 이용 정도와 이용동기, 인식, 기대를 살펴봄으로써 4차 산업혁명시대 미디어 소비방식의 변화에 따른 지역언론의 방향성을 찾아보는 것이다. 이에 부산지역 수용자 295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이용 동기는 ‘즐거움 및 정보습득’이 가장 높았으며, ‘호기심 및 광고’, ‘지역정보 습득’, ‘시간보내기 및 습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언론에 대한 인식은 ‘신뢰도’, ‘만족도’, ‘활용도’ 순으로 나타나 부산지역 수용자들은지역언론에 대한 관심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부산지역 수용자들은 지역언론이 강화해야 할 내용으로 ‘지역관련 뉴스’, ‘지역경제’, ‘생활정보’, ‘문화/예술’, 순으로 꼽았다. 지역언론의 역할은 ‘지역문화발전에 기여’, ‘지역뉴스를 전달하는 뉴스 매체기능’, ‘지역여론 형성 역할’ 을 해야 한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결국 4차 산업혁명시대 미디어 소비방식의 변화에 따라지역언론은 더 지역화된 뉴스를 제공하여 지역민과 밀착을 강화해야 하며, 지역민과 지역대학생을 뉴스 생산에 참여시켜 일반 기자들이 주목하지 않는 틈새 정보에 주력함으로써 다양한 수용자를 위한 맞춤형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Busan's local press according to the change of media consumption metho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y examining the degree of use, motivation,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local press. As a result of analyzing 295 inmates in Busan, first, the motivation to use was the highest,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 acquisition', followed by 'curiosity and advertising', 'acquiring of local information', 'spending time and habits'. Second, the perception of local media was found in the order of 'reliability', 'satisfaction', and 'utility', indicating that the users in Busan were highly interested in local media. Third, the users of Busan local ranked ‘local news’, ‘local economy’, ‘living information’, and ‘culture/art’ in order to reinforce local media. The role of local media was followed by 'contribution to local cultural development', 'news media function to deliver local news', and 'role of local public opinion'. In the e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media consumption method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local media should provide more localized news to strengthen their close contact with local audiences. By focusing, local media will need to develop customized contents for various audiences.

      • KCI등재후보

        지역언론시민운동의 특성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민주언론시민연합과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의 비교

        나세홍(Sae-hong Na),조정관(Jung-Kwan Cho) 한국NGO학회 2016 NGO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광주전남민주언론시민연합과 전북민주언론시민연합을 비교분석하여 지역언론시민운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발전을 위한 함의를 얻고자 하였다. 조사 방법으로는 문헌적 연구방법과 심층면접을 채택하여 차이법을 바탕으로 분석하였 다. 설명요인을 조직요인으로 한정하여 크게 조직 및 의사결정, 인력운영, 재정운영 으로 나누어 비교하였고 설명대상은 지역언론시민운동의 교육과 모니터 활동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원배가 조직을 통해 정기적이고 구체적으로 회원을 증가시키려는 노력을 한 전북민언련에 비해 광주전남민언련은 회원배가 조직이 한시적으로 존재하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회원의 양적 차이를 보였다. 또한 사무국 구성에 있어서 업무분리와 사무국구성, 실무자 복지등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때문에 전북민언련은 조직을 운영함에 있어 효율성을 띤 반면 광주전남민언련은 사무 국장 일인의 업무 과중으로 인해 비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지역언론운동의 활동에 있어서 광주전남민언련은 정기적 교육사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으며, 일상적 모니터를 실시하고 있지 않는데 반해 전북민언련은 교육 및 모니터가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위에서 들어난 조직요인의 차이가 미친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지역 언론인들은 지역언론운동의 활동이 지역언론의 공정성과 형평성에는 긍정적 역할을 하지만 지역성 측면에서는 미미하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일상적 모니 터를 하지 못하는 광주전남민언련에 대한 지역언론인의 반응은 형평성 측면에 있어서 전북과 차이를 보였다. 지역언론인들은 운동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인정하나 활동의 방식과 그 전문성, 지역 언론의 열악한 현실에 대한 민언련의 원칙적 태도에 대해서는 부정적 견해를 드러내기도 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Gwangju/Jeonnam Citizens’ Coalition for Democratic Media(CCDM) with Jeonbuk 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ivil society organizations on mass media in Korea. Specifically, the authors try to obtain som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wo local CCDMs in the three domains: organizational operation, main activities and the local media’s feedback.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Gwangju/Jeonnam CCDM has a fewer membership than the Jeonbuk CCDM because it has not made proper efforts to expand the membership. The secretariat of the latter is much more effective than the former. Both periodical education on local journalists and monitoring of local media are performed only by the latter. In addition, the authors find that local journalists are not much supportive of local CCDM activities even though they accept the necessity of such organizations.

      • KCI등재후보

        『언론학연구』의 메타분석 연구

        이건혁(Gunhyuk Lee) 부산울산경남언론학회 2016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Vol.20 No.1

        본 연구는『언론학연구』에 게재된 논문을 ‘초창기(1997∼2001)’와 ‘부흥기(2007∼2013)’의 두 시기로 나누어 두 기간 동안 발간된 논문에서 논의의 성격, 연구주제, 분석매체, 방법론, 연구 지역, 학회원 여부, 스폰서 여부, 저자의 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 언론학 학회지로서 10년 동안 학술지의 학문적 경향과 연구자들의 구성에서 변화를 추적하고『언론학연구』의 역사를 성찰적으로 평가하고 향후의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주된 연구 문제는 언론학 연구 저널이 지역언론을 연구하는 학술지인지 아니면 지역에서 연구하는 학자들의 학술지인지 그 성격을 분명히 하는 동시에 지역언론 논문을 추가로 메타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체 논문뿐만 아니라 지역 언론 연구 논문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규범적 연구 비중이 높거나 지배적이라는 우려는 과도한 것으로 나타났고 경험적 연구 비중이 높아지는 경향에 대해서는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창기에 비해서 부흥기에는 계량적 분석 연구 혹은 양적 연구 비중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세부적으로 수용자 연구와 내용분석 연구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분석 매체가 다양화되고 있다든지, 90년대 문헌 연구의 압도적 비중이 낮아지면서 양적/질적 연구 비중이 높아지는 긍정적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지역언론 연구로 그 대상을 축소시켜 살펴보면 규범적 연구와 계량적 연구라는 두 종류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양적 연구와 문헌 연구로 나타나고 있었다. 외부 기고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지역 연구의 비중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아 1) 아직도 저널의 색채가 저널명에서 명확하지 않고 2) 지역 연구를 우대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하여『언론학연구』저널은 지역 언론 연구 저널이 아니라 지역에서 연구하는 학자들의 학술지 성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d the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of two periods of ‘early stage(1997-2001)’ and ‘renaissance(2007-2013)’ with the study disposition, topic, methodology, study media and area, etc. and this study explored the study pattern and academic identity of local media research during ten years of the local media journal. The result showed the dramatic increase in number of local media paper as well as total paper. Also the portion of quantitative analysis research including the audience and content analysis research increased in renaissance stage for early stage. And the another positive phenomenon of various media research and the decrease of literature research appeared.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terms of meaning of the macro research trend in the meta-analysis of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지역언론 시장세분화를 위한 속성: 지역성과 공중상황변수를 중심으로

        배지양 ( Jiyang Bae ),황성욱 ( Sungwook Hwang ),최홍림 ( Honglim Choi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5 언론과학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지역성과 지역언론의 위기에 대한 상황적 인식이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광주/전라, 대전/충청 4개 권역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지역언론 시장의 새로운 세분화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국단위(서울/경기/강원지역 제외)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 부산/울산/경남에 거주하는 지역민의 지역만족도는 대구경북보다 높게 나타났다. 공중상황이론을 바탕으로 보았을 때 비공중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다른 권역보다 지역신문위기에 대한 문제인식, 관여도가 높고 제약인식이 낮아 지역언론과 관련된 행동변화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구/경북에 거주하는 지역민들은 다른 지역보다 지역을 덜 자랑스러워하며, 사회적 인프라가 부족하더라도 계속 대구경북에 살고 싶다고 응답한 정도도 다른 지역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지역언론 이슈와 관련하여 대구경북 지역민은 광주전남 지역민보다 낮은 문제인식과 낮은 관여도를 가졌으며, 높은 제약 인식을 갖고 있어 지역언론과 관련한 행동변화의 가능성이 낮은 공중으로 판단된다. 광주/전라 지역민들은 지역에 대한 애향심이 타 지역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았다. 지역언론 이슈와 관련하여 광주전라 지역민은 타 지역보다 높은 문제인식과 낮은 제약 인식을 가졌으며, 부울경 다음으로 높은 관여도를 갖고 있어 타 지역에 비해 지역언론과 관련한 행동변화의 가능성이 높은 공중으로 판단된다. 대전/충청 지역민들은 지역에 대한 애향심이 부울경, 광주전남지역과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대구경북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지역신문위기에 대한 문제인식, 관여도가 광주전남이나 부울경에 비해 낮고 제약인식이 높아 지역언론과 관련된 행동변화에 있어 소극적인 경향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공중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언론산업의 시장세분화에 대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This study proposed new market segmentation attributes for local newspapers, especially focused on local citizen’s localism, and situational aspects in four different local regions. Through the national-level onlin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Busan/Ulsan/Gyeungnam and Gwangju/Jeonnam citizen’s local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Daegu/Gyengbuk citizen. Although they were non-public, their problem recognition and involvement were high and their constraint recognition was low, compared to other regions. So, the possibility that local citizen become local newspaper readers is higher than other regions. However, Daegu/Gyeungbuk and Daejeon/Chungcheng citizen’s loca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regions. And their problem recognition and involvement were low and their problem recognition was high, compared to other regions. So, their possibility that local citizen become local newspaper readers is very low.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communication implications were proposed.

      • KCI등재

        박정희 정권의 언론 정책과 지역 신문

        채백(Baek Chae) 한국언론정보학회 2013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2 No.2

        이 논문은 박정희 정권의 언론 정책에서 지역 신문이 어떻게 다루어졌고, 그것이 지역 신문들에게는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분석하였다. 5.16쿠데타 직후 언론통폐합을 단행한 군사정부는 1962년 6월과 7월에는 새로운 언론정책의 방향과 그 시행 기준을 발표하였다. 이 시행 기준은 지역 신문에 심각한 파급효과를 가져왔다. 시설 기준과 단간제, 지역의 취재 활동 제한, 기자 급료와 사이비 기자 문제 등의 조항들이 지역 신문의 경영난을 가중시키고 언론 활동을 위축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부산의 부산일보, 부산문화방송을 한국문화방송과 함께 강압적으로 빼앗아 5.16장학회의 소유화함으로써 부산의 언론을 왜곡하였다. 박정희 정권이 언론사에 제공했던 차관의 혜택에서도 지역 신문들은 배제되어 윤전기 도입을 위해 타인 자본에 의존함으로써 경영난을 더욱 악화시켰다. 1971년에도 언론계의 자율정화결의라는 형태로 지역 신문의 보급 범위를 해당 도와 인접도로 국한시켜버리며 지사와 지국의 취재 활동을 전면 금지시키고, 주재 기자의 숫자와 배치도 제한하였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언론 분야에서도 중앙집중화가 본격화될 수밖에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 policy of the Third Republic and its influence on local newspapers in Korea. Just after the May 16th coup Military Government enforced the press merger and abolition and in 1962 announced the direction of the media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standards. These standards had a serious impact on local newspapers. It had resulted in weakening the reporting activities and aggravating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the local newspapers. The media policy in 1971, which was in the form of self-purification resolutions of media corporations limited the dissemination and weakened the activities of local newspapers. By these measures the centralizing to Seoul of the media had to be deepened. The industrialization policy promoted by the Third Republic exacerbated this centralizing process.

      • KCI등재

        지역언론의 활성화는 가능한가?: 지역에서의 ‘넛지-솔루션 저널리즘’을 위한 제언

        강준만(Kang, Joon Man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58 No.1

        지난 수십년간 언론학자들은 지역언론 활성화를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여 왔지만, 지역언론은 활성화는커녕 정상화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는 ‘절망상태’에 처해 있다. 이는 ‘서울 공화국’이라는 말로 대변되는 서울 ‘초집중화(hyper-centralization)’ 현상 때문이며, 이 체제하에서는 지역언론학도 ‘의례’ 이상의 의미는 갖지 못한다. 본 연구는 ‘의례로서의 지역언론학’을 넘어서기 위해 지역에서 가장 풍부한 인적 자원을 갖고 있는 지역대학이 주체로 참여하는 지역언론의 이원 체제화 가능성을 모색하면서 그 주요 방법으로 ‘넛지-솔루션 저널리즘(Nudge-Solutions Journalism)’을 제안한다. 첫째, 지역대학은 언론·미디어·커뮤니케이션 관련 학과를 중심으로 지역언론이 솔루션 저널리즘을 새로운 지역언론 모델로 발전시킬 수 있게끔 지원을 한다. 둘째, 지역대학은 학생과 시민 중심으로 지역주민의 일상적 삶과 관련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넛지형 솔루션 저널리즘을 실천한다. 이런 새로운 유형의 ‘산학협동(産學協同)’과 ‘민학협동(民學協同)’ 체제의 구축은 언론 못지 않게 위기 상황에 처해 있는 지역대학의 살 길인 동시에 이른바 ‘지방소멸’을 막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For decades, media scholars have made every effort to vitalize local media, but local media are in ‘a state of despair’, which is far from being normalized to say nothing of being vitalized. This is due to the phenomenon of ‘hyper-centralization’ toward Seoul, which is represented by the word “Seoul Republic.” Under this system, local journalism study is not more than ‘ritual’. In order to go beyond ‘local journalism study as a ritual’, this essay seeks for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dual system of local media participated by local universities which have the richest human resources in the region, and suggest ‘Nudge-Solutions Journalism’ as its main way. First, local universities, with the departments of journalism, media and communication as the center, support the local media to develop the solutions journalism as a new local media model. Second, local universities practice Nudge-Solutions journalism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the daily life of local residents, mainly with the students and citizens. The establishment of this new type of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and ‘citizen-university cooperation’ is a way to survival of local universities which are in crisis situation as much as local media, and can contribute to prevent the death of regional cities.

      • KCI등재후보

        지역 언론보도를 활용한 지방의회 의정활동 평가

        최근열,장영두 대한지방자치학회 2009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0 No.4

        지방자치제가 성공을 거두기 위한 중요한 요건 중의 하나는 지방의회의 성장과 발전을 들 수 있다. 지방의회의 성장과 발전을 이루기 위한 과제들이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현 시점에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의정활동에 대한 평가다. 평가 없이 지방의회가 발전하기 어렵다. 엄정한 평가가 이루어질수록 그 만큼 지방의회는 발전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의정활동을 평가하는 것은 쉽지 않다. 근본적으로는 평가문화가 제대로 정착되지 못한 우리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평가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지는가 하면 평가를 비판으로 생각하는 의식이 많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는 지방의회 의정활동에 대한 지역언론의 보도를 중심으로 지방의회 의정활동을 평가하는 것에 착안하고자하였다. 지역 언론보도를 활용한 지방의회 의정활동평가는 의정활동의 내용이나 질적인 수준을 평가하는데 더 유리함으로 주요 선행연구의 정량적인 분석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상당부분을 보완할 수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더욱이 지역 언론보도의 전반적인 경향에서 지방의회의 의정활동에 대한 만족도 혹은 평가의 경향을 뚜렷하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정활동에 대한 기능별, 위원회별, 시기별 평가 등과 더불어 각각의 평가결과에 대한 구체적인 배경이나 상황 등을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는 큰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평가자의 주관적인 요소가 상당부분 개입될 수 있는 소지가 많아 이를 감소시키고 언론보도를 객관적이고 일관적인 분류하는 방안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성향에 관한 기존연구에 대한 비판적 분석

        이한웅,엄기열 한국지역언론학회 2010 언론과학연구 Vol.10 No.2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ual appropriateness of the use of the term 'regionalism' and the methodological validity of the content analysis in previous researches done by communication scholars who have argued that regionalistic reporting of the local daily press has instigated, or at least has contributed to, regional antagonistic feelings.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se researches have relied solely on the negative aspect of the term regionalism although the concept of regionalism has a positive and dynamic element in that it gives a social and historical identity to the constituents of a particular region and, at the same time, becomes the basic foundation on which the local economy and grass roots democracy can flourished.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rough which these previous researches have drawn their conclusion was problematic because the analytical period of their research mostly coincides with the volatile times of the local or the presidential elections and also because mostly the headlines, not the whole contents, of the local press reports were analyzed. In identifying serious shortcomings of the existing researches on regionalistic reporting tendency of the local press, this study has chosen three examplary researches that claimed that they identified regionalistic reporting tendencies of the local press. This study has also identified that previous researches, including M.A. theses and Ph. D. dissertations, have failed to consider the positive role of the local press in the region both economically and socio-politically. Also on the methodological level, these researches have not had comprehensive categories for data analysis that often require categories for implied meaning of particular words or phrases in news reports as well as in opinionated columns. 본 논문은 기존의 언론학자들이 지역언론 특히 지역일간지들이 지역이기주의와 지역패권주의 등 부정적 의미에서의 지역주의적 보도를 양산하고 있다는 논문을 1990년대 초에 발표한 원로급 언론학자 3명의 논문을 검토하여 이러한 기존 연구의 지역주의에 대한 개념의 편협성 및 방법적 한계성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 지역주의의 기원에 대한 논의 및 고착화 현상에 대한 기존의 연구에 대한 검토와 아울러 지역주의라는 개념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차원의 의미 또한 엄밀히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지역주의에 대한 이러한 담론 및 의미 분석을 토대로 본 논문은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에 관한 기존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지역언론의 현실에 대한 인식부족은 물론 지역주의의 개념의 편협성과 내용분석기법의 한계 및 일률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지역언론이 현재 잘못된 관행의 타파 및 재정적 안정의 확보 등의 다양한 문제를 극복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지만 지역언론은 기존 연구자들의 시각처럼 부정적인 의미의 지역주의를 양산하는 존재만은 아니며 오히려 지역사회의 원동력으로서 지방자치제의 성공적인 정착의 필수매체이자 지역발전의 구심점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본 논문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향후 연구자들이 지역언론의 지역주의적 보도태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지역주의에 대한 중층적 의미의 개념을 이해하고 보다 새로운 연구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제주지역 언론학 연구의 메타분석: 1998~2013년까지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을 중심으로

        정용복 ( Yong Bok Jung ),최낙진 ( Nak Jin Choi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6

        이 연구는 1998년부터 2013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제주지역 언론학 관련 44개 연구논문을 분석하여 그동안의 연구 성과들을 살펴보고, 향후 제주지역 언론학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지역 언론학 관련 기존 연구들을 분석틀로 사용하여 게재논문 현황과 주요 학술지별 게재논문 발간 추이를 보고, 연구주제와 연구목적, 연구방법과 대상을 분석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지역 언론학 게재논문이 가장 많은 학술지는『언론과학연구』로 나타났고, 2003년 제주대학교 언론홍보학과 석사과정 설치와 2009년 같은 학과에 박사과정이 설치된 이후 연구자들의 수가 지속적으로 확대되면서 학술지 게재논문이 늘어났다. 둘째, 연구주제별로 메시지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미디어 조직, 수용자, 산업, 정책, 지방PR 순이었다. 그리고 소주제 별로 보면 미디어가 전달하는 메시지나 상징 등을 주요 연구대상으로 하는 메시지 내용분석이 많았다. 셋째, 대부분의 연구가 제주지역 언론학 연구 영역에서의 특성을 고찰하거나 그 특성을 설명하려는 기술적 연구들이 많았으며, 다양한 연구방법이 시도되기 보다는 내용분석 방법에 오히려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학술지 게재논문의 분석대상은 지역신문이 2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지역TV 연구는 지역신문의 절반 밖에 안 되는 9편에 그쳤다. 종합하면, 분석대상이 지역신문, 지역방송 등 단일 매체 접근에 치우치고, 연구대상으로는 ‘메시지’ 연구, 연구목적과 방법에서는 ‘기술 및 내용분석’ 연구가 많았다는 점이다. 향후 제주지역 언론학 연구가 더욱 공고하게 자리 잡기 위해서는 연구대상의 확대와 더불어 다차원적인 방법론적 접근과 이를 통한 다양한 연구 성과들이 제시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44 local media research in Jeju related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from 1998 to 2013, meanwhile checking on research performance as well as the study tried to clarify the aim of future studies of Local media research in Jeju. To do this, existing local media research was used as a framework while the current state of published articles and the publishing progress of chief academic journals were looked over. The researched subjects, purpose and methods were also analyzed. Here are some primary results found in the study. Firstly, most of the published theses were found in the academic journal, <Study of Journalism Science>. Also, the number of researchers continuously expandedand led to an increase of published papers after Jeju National University founded the Masters degree in Journalism and Public Relations, in 2003 and the Doctorate degree, in 2009. Secondly, the most researched topic was basedon messages, and then in the following order, media organization, consumers, business, and policy. Looking further into the topics, messages or symbolism sent by the media was a highly analyzed research sub-topic. Thirdly, most studies investigated each of Jeju``s research properties in Journalism. Since there were so many technical researches geared towards explaining these properties, instead of attempting a variety of research, there was also a trend focusing more towards information analysis. Lastly, the subject of analysis on domestic scientific journal published thesis is local newspaper which has 21 research articles, and local TV research has only 9 research articles which is only half of local newspapers`` amount of research articles. To sum it up, analysis leaned towards single media approaches, such as local newspapers and local television channels. Fields of study were mainly about messages while methods used in the study were based on technical and analyzed information. Henceforth, in order for local media research in Jeju to establish a stable grasp in this field, it is necessary to expand in research along with having a multidimensional, methodological approach. By having a multidimensional approach, a variety of productive research can be proposed and put into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