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심미적 포스트 코어의 종류에 따른 미세누출에 관한 연구

        박지근,박지만,박은진,Park, Ji-Geun,Park, Ji-Man,Park, Eun-Ji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1

        연구목적: 오늘날 심미적 요구의 증가로 치아색 포스트 코어에 대한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현재 화이버 포스트 (ParaPost fiber White, Coltene Whaledent, Cuyahoga Falls, USA), 지르코니아 포스트 (CosmoPost, Ivoclar Vivadent, Schann, Germany) 등에 관한 논문은 다소 나와 있으나 요즘 여러 분야에서 관심을 받고 있는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방식으로 지르코니아를 가공한 절삭형 지르코니아 포스트 코어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CAD/CAM을 이용한 지르코니아를 비롯하여 근관치료된 치아에서 사용된 세 가지 다른 치아색 포스트 코어에 대해 미세누출 (microleakage)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발치된 건전한 상악 절치 27개를 채택하여 백악법랑질경계 (CEJ)에서 절단하여 근관치료를 시행하고, 세군 (각 9개)으로 나누었다. 각군들은 화이버 포스트와 콤포짓트 레진 코어 (1군), 지르코니아 포스트와 열가압형 세라믹 코어 (2군), CAD/CAM 절삭형 지르코니아 포스트 코어 (3군)로 수복하였다. $5-55^{\circ}C$ 1000회 열순환 처리 (thermocycling)를 시행하고, 2% 메틸렌 블루로 $37^{\circ}C$에서 24시간 염색하였다. 치아장축과 평행하게 순설방향으로 절단하여 미세누출을 현미경과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데이터는 one-way ANOVA와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alpha}=0.05$)로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군에서 미세누출을 보였으며, 지르코니아 포스트와 열가압형 세라믹 코어군 (2군)에서 치근계면 입구에서는 다소 많은 미세누출을 보였으나 포스트 끝에 이르러서는 거의 미세누출이 없는 결과를 보였다. 화이버 포스트와 콤포짓트 레진 코어군 (1군)과CAD/CAM 절삭형 지르코니아 포스트 코어군 (3군)에서는 부위별로 균등한 미세누출을 보였다. 결론: 화이버 포스트와 콤포짓트 레진 코어군, 지르코니아 포스트와 열가압형 세라믹 코어군, CAD/CAM 절삭형 지르코니아 포스트 코어군 모두에서 미세누출을 보였고, 이 중에서 지르코니아 포스트와 열가압형 세라믹 코어군이 좀 더 큰 미세누출에 대한 저항성을 보였으며 화이버 포스트와 콤포짓트 레진 코어군, CAD/CAM 절삭형 지르코니아 포스트 코어군은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나, 각 실험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P>.05) Statement of problem: At present, as the esthetic demands are on the increase, there are many ongoing studies for tooth-colored post and cores. Most of them are about fiber post and prefabricated zirconia post, but few about one-piece milled zirconia post and core using CAD/CAM (computer-aided design/computer-aided manufacturing) technique.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icroleakage of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restored with three different tooth-colored post and cores. Material and methods: Extracted 27 human maxillary incisors were cut at the cementoenamel junction, and the teeth were endodontically treated. Teeth were divided into 3 groups (n=9); restored with fiber post and resin core, prefabricated zirconia post and heat-pressed ceramic core, and CAD/CAM milled zirconia post and core. After the preparation of post space, each post was cemented with dual-polymerized resin cement (Variolink II). Teeth were thermocycled for 1000 cycles between $5-55^{\circ}C$ and dyed in 2% methylene blue at $37^{\circ}C$ for 24 hours. Teeth were sectioned (bucco-lingual), kept the record of microleakage and then image-analyzed using a microscope and computer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Scheffe's multiple range test (${\alpha}=0.05$). Results: All groups showed microleakage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P>.05). Prefabricated zirconia post and heat-pressed ceramic core showed more leakage in dye penetration at the post-tooth margin, but there was little microleakage at the end of the post. Fiber post and resin core group and CAD/CAM milled zirconia post and core group indicated similar microleakage score in each stage. Conclusion: Prefabricated zirconia post and heat-pressed ceramic core group demonstrated better resistance to leakage, and fiber post and resin core group and CAD/CAM milled zirconia post and core group showed the similar patterns. The ANOVA test didn't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icroleakage among test groups. (P>.05)

      • KCI등재

        지르코니아 세라믹의 표면처리에 따른 치과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김지혜,서재민,안승근,박주미,송광엽,Kim, Ji-Hye,Seo, Jae-Min,Ahn, Seung-Geun,Park, Ju-Mi,Song, Kwang-Yeob 대한치과보철학회 2013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1 No.2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지르코니아 표면처리에 따른 3종의 레진시멘트와 지르코니아의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총 143개의 디스크 모양의 지르코니아 블록(HASS Co., Gangneung, Korea) 시편을 제작하고 총 13개군(n=11)으로 나누었다. 그중9개군은 표면처리 방식(1. 알루미나 분사, 2. 알루미나 분사와 지르코니아 라이너의 도포, 3.알루미나 분사와 Rocatec (3M ESPE, Seefeld, Germany) 처리) 및 사용한 3종류의 레진시멘트(Bistite II (Tokuyama Dental Co., Japan), Panavia F2.0 (Kuraray Medical, Japan), Super-bond C&B (Sun Medical, Japan))에 따라 나누어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을 시행하였다.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은 위 3종류의 레진시멘트를 3가지 방법으로 표면처리한 지르코니아 시편에 접착하고, 상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열순환처리 후 접착강도 실험은,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에서 우수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인 지르코니아 표면처리군(알루미나 분사와 Rocatec 처리를 하고 3종류의 레진시멘트를 접착한 3개의 군)과 대조군으로 알루미나만으로 표면처리 후 Super-bond C&B를 접착한 1개의 군을 대상으로 $5^{\circ}C$와 $55^{\circ}C$사이에서 5,000회 열순환처리를 시행하고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에서는 알루미나 분사와 Rocatec 처리를 한 지르코니아 표면에 Super-bond C&B를 접착한 군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Super-bond C&B를 사용한 군이 다른 시멘트 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지르코니아 표면에 Rocatec 처리를 한 군이 다른 표면처리를 한 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열순환처리를 한 후에는, Rocatec 처리를 한 지르코니아 표면에 Super-bond C&B를 접착한 군만이 유일하게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으며, 다른 모든 군에서는 전단결합강도가 감소하였다. 결론: 본 실험에서는 Super-bond C&B 시멘트가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Rocatec 시스템은 레진시멘트와 지르코니아의 전단결합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urface treatme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zirconia ceramic to 3 resin cement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43 disk-shaped Zirconia blocks (HASS Co., Gangneung, Korea)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1) only 50 ${\mu}m$ $Al_2O_3$ sandblasting, (2) 50 ${\mu}m$ $Al_2O_3$ sandblast and zircona liner, (3) 50 ${\mu}m$ $Al_2O_3$ sandblasting and Rocatec (3M ESPE, Seefeld, Germany). Bistite II (Tokuyama Dental Co., Japan), Panavia F (Kuraray Medical, Japan), and Superbond C&B (Sun Medical, Japan) were used to cement onto the zirconia. After 24h of storage in distilled water, shear bond strength was evaluated. High value group was re-tested after thermocycling at 5,000 cycles(5-$55^{\circ}C$). Shear bond strength data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two-way ANOVA test and Post Hoc Test (${\alpha}$=.05). Shear bond strength data before and after thermocycling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sample T test (${\alpha}$=.05). Results: Super-bond C&B treated with Rocatec showed the most high shear bond strength. Super-bond C&B group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cement groups (P<.05). Rocatec groups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surface treatment groups (P<.05). Shear bond strength has increased in Panavia F treated with Zirconia liner (P<.05). After thermocycling, shear bond strength was increased in Super-bond C&B treated with Rocatec but decreased in other groups (P<.05). Conclusion: Super-bond C&B cement resulted the highest shear bond strength and Rocatec system enhanced the shear bond strength. After thermocycling, shear bond strength has decreased in most resin cements except Super-bond C&B treated with Rocatec.

      • KCI등재

        친수성기를 가진 실란을 이용한 지르코니아의 표면의 개질 연구

        이수,문성진 한국유화학회 2016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3 No.2

        마이크로지르코니아는 높은 내약품성, 높은 전기저항성 등의 우수한 열적 기계적 성질을 가지 므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어 진다. 또한 지르코니아 표면을 친수화시키면, 물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 여 분산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오염물질은 소수성을 띄기 때문에 오염물질에 대한 저항성을 높일 수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르코니아 표면에 γ-aminopropyltrimethoxysilane (APS)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pH 조건에서의 가수분해와 축합반응을 통한 친수성기의 도입과 물에 대한 분산성을 조사하 고 γ-ureidopropyltrimethoxysilane (UPS)을 사용한 결과와도 비교하였다.친수화로 개질된 마이크로지르코니아에의 지르코니아 표면의 수산기와 가수분해된 실란의 수산기와의 공유결합의 존재는 FT-IR ATR spectroscopy 및 ninhydrin 반응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러나, SEM/EDS의 결과로는 지르코니아 표면에 도입된 Si의 존재는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입도 분석 결과 마이크로지르코니아는 개질 반응 중 일부 입자의 파쇄 및 aggregation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APS 로 개질한 경우 pH가 중성일 때 수분산성이 향상되었으나, 0.5~2% 농도의 UPS로 개질된 경우는 모든 경우 수분산성이 향상되며 분산안정성도 우수하였다. Since microzirconia has excellent thermal and mechanical properties with high chemical and electrical resistance, i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When the surface of zirconia becomes hydrophilic, its dispersibility in water will be improved as well as the resistance to most hydrophobic contaminants will be increased.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troduction of a hydrophilic groups on the microzircornia surface through hydrolysis and condensation reactions with two different silanes containing hydrophilic functional groups, such as γ-aminopropyltrimethoxysilane (APS) and γ -ureidopropyltrimethoxysilane (UPS) at different pH and concentration conditions. A covalent bond formation between the surface hydroxyl groups of zirconia and that of hydrolyzed silanes was confirmed by ninhydrin test and FT-IR spectroscopy. However, the presence of Si on the surfaces of both silane modified microzirconias was unable to detect by SEM/EDS technique. In addition, particle size analysis results provide that the size of microzirconia was changed to smaller or bigger than that of original zirconia due to crushing and aggregation during the modification process.The water dispersibility was improved for only APS modifed zirconia (AS-2 and AS-3) under neutral pH condition, but the water dispersibility and stability for all cases of 0.5~2% UPS modifed zirconia (US series) were much improved.

      • KCI등재

        크롬염화물 첨가에 따른 지르코니아 색상 및 물리적 성질 변화에 관한 연구

        오계정,서윤정,윤귀덕,임현필,박상원,이경구,임태관,이도재,Oh, Gye-Jeong,Seo, Yoon-Jeong,Yun, Kwi-Dug,Lim, Hyun-Pil,Park, Sang-Won,Lee, Kyung-Ku,Lim, Tae-Kwan,Lee, Doh-Jae 대한치과보철학회 2011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9 No.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색소체인 크롬염화물을 지르코니아에 첨가함으로써 지르코니아의 색상 및 물리적 성질, 그리고 미세구조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크롬염화물의 함량이 지르코니아 분말에 각각 0.06, 0.12, 0.25 wt%가 되도록 측량하고 알코올에 녹여 액상상태의 크롬염화물을 준비하였다. 지르코니아 분말과 각각의 액상상태의 크롬염화물을 혼합하고 혼합된 분말을 이용하여 디스크형태의 지르코니아 시편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편은 $1450^{\circ}C$에서 완전소결 후 색상 및 물리적 성질, 그리고 미세구조를 관찰하였다. 색상은 분광측색장치를 이용하여 국제조명위원회 (CIE) ISO 기준인 D65 광원, SCE 방식으로 측정하여 $L^*$, $C^*$, $a^*$, $b^*$ 값으로 분석하였다. 밀도는 아르키메데스 법으로 측정하였고, 주사전자현미경과 X선 회절 분석기를 이용하여 시편의 미세구조 및 결정상을 관찰하였다. 파괴인성은 압흔 형성법(Vickers indentation법)을 이용하여 시편에 압흔 형성 후, 광학현미경으로 압흔의 크기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파괴인성을 구하였다. 결과는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으로 통계처리 하였고, Tukey test로 사후 검정하였다. 결과: 1. 크롬염화물을 첨가하여 지르코니아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크롬염화물 첨가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지르코니아 색상은 백색계통의 갈색에서 짙은 색의 갈색으로 변하였다. 2. 크롬염화물의 첨가는 시편의 밀도를 점점 감소시켰으며, 크롬염화물이 첨가되지 않은 시편과 비교 시, 크롬염화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3. 크롬염화물이 첨가된 시편은 첨가되지 않는 시편에 비해 결정립 크기가 증가하였다. 4. X-선 회절 분석결과, 크롬염화물의 첨가 여부와 첨가 함량에 상관없이 지르코니아 결정상의 차이점은 관찰되지 않았다. 5. 지르코니아에 크롬염화물을 첨가 시 크롬염화물의 첨가 함량에 따라 파괴인성값은 감소하였고, 특히 0.25 wt%의 크롬염화물을 첨가 시 가장 낮은 파괴인성 값을 보였다 (P<.05). 결론: 이상의 결과로 크롬염화물을 액체상태로 첨가하여 지르코니아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제작한 유색 지르코니아의 색상은 자연치아 색상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본 소재는 임상에서 사용되는 완전도재관 코어 (Core) 재료로써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romium chloride addition on coloration, mechanical property and microstructure of 3Y-TZP. Materials and methods: Chromium chloride was weighed as 0.06, 0.12, and 0.25 wt% and each measured amount was dissolved in alcohol. $ZrO_2$ powder was mixed with each of the individual slurry to prepare chromium doped zirconia specimen. The color, phys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were observed after the zirconia specimen were sintered at $1450^{\circ}C$. In order to evaluate the color, spectrophotometer was used to analyze the value of $L^*$, $C^*$, $a^*$ and $b^*$, after placing the specimen on a white plate, and measur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CIE) standard, Illuminant D65 and SCE system. The density was measured in the Archimedes method, while microstructures were evaluated by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XRD. Fracture toughness was calculated Vickers indentation method and indentation size was measured by using the optical microscop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1-way ANOVA test (${\alpha}$ = 0.05). The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 was used for post hocanalysis. Results: 1. Chromium chloride rendered zirconia a brownish color. While chromium chloride content was increased, the color of zirconia was changed from brownish to brownish-red. 2. Chromium chloride content was increased; density of the specimen was decreased. 3. More chromium chloride in the ratio showed increase size of grains. 4. But the addition of chromium chloride did not affect the crystal phase of zirconia, and all specimens showed tetragonal phase. 5. The chromium chloride in zirconia did no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racture toughness, but addition of 0.25 w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chromium chlorides can make colored zirconia while adding in a liquid form. The new colored zirconia showed a slight difference in color to that of the natural tooth, nevertheless this material can be used as an all ceramic core material.

      • KCI등재

        지르코니아 크라운 3D 프린팅의 현재, 한계점 및 가능성

        고재원,양동욱,이은주,김선헌 대한구강해부학회 2023 대한구강해부학회지 Vol.44 No.1

        삼차원(Three-dimensional, 3D) 프린팅 기술은 디지털 모델과 컴퓨터 기반 디자인을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발전된 기술이다. 치과 기공 분야에서는 레진과 금속의 제조에 적합한 기술로 발전되고 있다. 그러나 지르코니아를 포함한 치과 세라믹 분야에는 아직 3D 프린팅의 적용이 되지 않고, 기존 CAD/CAM 방식의 지르코니아 제작이 임상적으로 활발히 쓰이고 있다. 본 연구는 지르코니아 3D 프린팅이 기존 방식의 지르코니아 크라운 제작을 대체할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2009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3D 프린팅 지르코니아의 기계적 성질을 비교한 논문과 3D 프린팅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정확도와 적합도를 평가한 논문을 리뷰하여 지르코니아를 3D 프린팅으로 성형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3D 프린팅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기존 CAD/CAM 지르코니아 크라운에 비해 기계적 성질이 약하고, 정확도와 적합도는 더 낮았다. 제조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후처리 공정 시간은 3D 프린팅이 훨씬 길었다. 3D 프린팅이 CAD/CAM 밀링의 대체 방식으로 활용되기에는 현재까지는 기술적 무리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3D 프린팅 지르코니아의 강도 향상, 정확도 개선을 위한 슬러리의 균질도 확보, 정확도, 적합도 평가 방식 표준화, 정확도와 적합도를 높이기 위한 수축 조절, SLA뿐 아니라 MJ(DIP) 방식에 대한 고려, 후처리 공정 시간 감소 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is an advanced technology that manufactures products using digital models and computer-based designs. In dentistry, 3D printing techniques are applied in resin and metal manufacturing. However, 3D printing of dental ceramics is uncommon. Clinically, the CAD/CAM method is widely used for fabricating zirconia. This study aimed to compare zirconia 3D printing and the existing method for zirconia crown fabrication. This study examined studies that compare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3D-printed zirconia and those that evaluated the accuracy and suitability of the 3D-printed zirconia crow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CAD/CAM method-based zirconia crowns are superior to 3D-printed zirconia crowns. The 3D-printed zirconia crowns showed weaker mechanical properties, lower accuracy, and lower suitability. Furthermore, 3D-printed zirconia crowns require substantial post-processing time, thus lowering efficiency. Current 3D printing technologies have limitations when applied to zirconia dental crown fabrication.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 KCI등재

        지르코니아의 생체적합성과 임플란트로서의 생체활성에 대한 연구: In vivo 실험 문헌 고찰

        서다원,김영균,이양진,Suh, Da-Won,Kim, Young-Kyun,Yi, Yang-Jin 대한치과보철학회 201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7 No.1

        심미적 치료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면서 높은 강도와 심미성을 갖는 지르코니아의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비추어 지르코니아의 생체적 합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이번 논문에서는 지르코니아의 생체적합성에 대한 in vivo 실험에 대한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In vivo 실험에서 연조직, 경조직에 대한 지르코니아의 생체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양한 실험동물 및 환자에서 진행된 연구의 대다수에서 지르코니아의 높은 생체적합성이 보고되었으며, 신생골 합성 및 골부착의 면에서 티타늄과 유사한 성질을 보였다. 한편, 지르코니아는 임플란트로도 활용할 수 있다. 임플란트로 활용하기 위해 HA (hydroxyapatite)를 처리하여 생체활성을 높이는 다양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티타늄 임플란트에 HA를 코팅하는 방식은 낮은 결합강도 및 HA의 변성으로 인한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HA-지르코니아 composite, HA-coated 지르코니아, HA-지르코니아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FGM) 또는 알루미나 개재 HA-지르코니아 등의 새로운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들은 보다 높은 결합강도를 지니고 있으며, 높은 생체적합성을 보여주고 있다. Increasing demands for esthetic dental treatment, zirconia, which has high mechanical and esthetic properties, had been applied more and more in clinics. Therefore, assessment of biocompatibility of zirconia is necessary. In this article, a review of in vivo studies of zirconia compatibility was performed. In vivo studies showed zirconia had great biocompatibility both on soft and hard tissue. Studies with various animals and patients reported high biocompatibility of zirconia. In terms of bone synthesis and bone adhesion, zirconia showed similar biocompatible properties to titanium. On the other hand, zirconia could be used as implant. For using as an implant, various methods of Hydroxyapatite (HA) coating had been suggested. Since HA coating on titanium implant showed some problems such as low bonding strength and degeneration of HA, HA-zirconia composite, HA-coated zirconia, and HA-zirconia functionally graded material (FGM) or intermediate layer of alumina had been proposed. These methods showed higher bonding strength and biocompatibility.

      • 다층의 색상이 첨가된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고정성 수복물의 파절 강도 비교

        박정완(Jung-wan Park),이완선(Wan-Sun Lee),손큰바다(KeunBaDa Son),김형섭(Hyeong-seob Kim),이규복(Kyu-Bok Lee)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본 연구는 다층 지르코니아 보철물, 비 유색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 그리고 유색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보철물의 파절 강도 및 미세구조를 평가하는 것이다. 크라운 제작에는 2 종류의 비 유색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블록(CM, ZK 군), 1 종류의 유색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블록(DM 군), 그리고 2종류의 다층 단일 구조 지르코니아 블록(ND, DX군)이 사용되었다(N=10). 만능시험기를 사용하여 파절 강도를 측정하였고, 미세구조는 이온빔/전자후방산란회절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그리고 파절 강도 그리고 입자의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파절 강도는 CM 군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입자 크기도 CM 군에서 가장 작은 입자를 나타났다(P<.05). 다층 지르코니아는 기존의 비 유색 지르코니아나 유색 지르코니아에 비해 파절강도가 낮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 연구에서 임상적으로 교합력을 견딜 수 있는 충분한 파절강도를 보여 구치부 크라운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확인된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파절강도를 가진 다층 지르코니아의 사용은 환자의 구강에서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줄 수 있다.

      • KCI등재

        Push-Shear Bond Strength of Veneering Ceramics and Zirconia Ceramic

        Jae-Seok Ahn(안재석),Hyeong-Rok No(노형록),Jung-Hwan Lee(이정환)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본 연구에서는 원통형 지르코니아 코어에 다섯 종류의 지르코니아 비니어 세라믹을 축성하여 push-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비니어 세라믹의 이축굽힘강도와 지르코니아 글라스 라이너 처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르코니아 비니어 세라믹은 piston-on-three-ball test로 이축굽힘강도를 측정하였고, 지르코니아 실린더 코어와 비니어 세라믹은 push-shear test로 결합강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값은 이원분산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축굽힘강도는 Cercon ceram kiss (CE)군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전단결합강도는 글라스 처리군과 Triceram(TR)군이 높게 측정 되었으며 Creation ZI(CR)군에서 가장 낮은 값이 측정 되었다. 실험군에서 지르코니아 라이너 처리군이 라이너 처리하지 않는 군보다 전단결합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따라서 지르코니아 라이너 처리는 지르코니아와 비니어 세라믹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ush-shear bond strength between five commercial zirconia veneering ceramics and zirconia core cylinder,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iaxial flexural strength and zirconia liner glass treatments. The biaxial flexural strengths of the veneering ceramics were evaluated by a piston-on-three-ball test. The bond strengths between the Y-TZP cylinder and zirconia veneering ceramics were evaluated using the push-shear bond strength test.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wo-way ANOVA and Scheffes test. The biaxial flexural strength of Cercon ceram kiss (CE)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The glass-treated and Triceram zirconia groups showed the highest value and the Creation ZI(CR) showed the lowest. In all groups, the liner glass treatment group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ush-shear bond strength than those without(P<0.05). The liner glass treatments of zirconia can improve the bond strength between the zirconia ceramic core and veneering ceramics.

      • KCI등재

        지르코니아, 유리침투알루미나 및 PFM 전부관 시스템의 파절 경향에 관한 비교연구

        이상혁,안진수,김명호,임범순 대한치과보철학회 2012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50 No.4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지르코니아, 유리침투알루미나 및 금속도재소부용치관의 파절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지르코니아, 유리침투알루미나 및 금속도재소부용합금으로 각각 15개의 치관을 제작한 후, 제작된 치관을 장축에 30도 경사지게 제작된 지그에 장착하여 만능시험기로 파절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전단결합강도 시험을 위하여 지르코니아, 유리침투알루미나 및 금속도재소부용합금을 5.5 (∅) × 2.5 mm 크기로 제작하고 포세린 분말을 3.5 (∅) × 2.5 mm 크기로 축성한 후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전기로(Ceramco 7, Dentsply, USA)에서 소결하여 총10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결과:전부관 형태로 제작한 시편의 파절강도는 금속-도재 시스템이 569.1 ± 61.8 N, 알루미나-도재 시스템이 551.0±76.5 N 및 지르코니아-도재 시스템이 588.3 ± 49.6 N으로 측정되었으며, 각 실험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전단결합강도는 금속-도재 시스템이 38.9±5.0 MPa, 알루미나-도재 시스템이 39.4±5.1 MPa, 지르코니아-도재 시스템이 25.5 ± 5.6 MPa로 지르코니아-도재 시스템이 다른 두 시스템 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P<.05). 금속-도재 시스템, 알루미 나-도재 시스템 및 지르코니아-도재 시스템의 각 결합계면을SEM/EDS로 분석한 결과 각 시스템에서 상이한 결합 양상이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지르코니아-도재 시스템의 파절강도가 제일 높았으며, 금속-도재 시스템, 알루미나-도재 시스템 순서로 나타났으며, 전단결합강도는 알루미나-도재 시스템이 제일 높았고 금속-도재 시스템, 지르코니아-도재 시스템 순서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fracture behavior of Zironia, glass infiltrated Alumina and PFM full crown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Fifteen crowns for each of 3 experimental groups (Zironia, glass infiltrated Alumina and PFM full crown) were made by the conventional method. The crowns mounted on the testing jig were inclined in 30 degrees to the long axis of the tooth and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 was used to measure the fracture strength. Results: 1. The mean fracture strengths were 588.3 ± 49.6 MPa for zirconia system, 569.1 ± 61.8 MPa for PFM system and 551.0 ± 76.5 MPa for glass-infiltrated alumina system (P>.05). 2. The mean shear bond strengths were 25.5 ± 5.6 MPa for zirconia system, 38.9 ± 5.0 MPa for Ni-Cr alloy system and 39.4 ± 5.1 MPa for glass-infiltrated alumina system. 3. The chemical bonding was observed at interfaces between PFM or glass-infiltrated alumina and veneering porcelain, however, no chemical bonding was observed at interface between zirconia and veneering porcelain. Conclusion: With the study, the fracture strengths of PFM crown system had a higher fracture strength than conventional zirconia system crown and glass-infiltrated alumina crowns. and than the shear bond strengths glass-infiltrated alumina system had a higher shear bond strength than conventional PFM system and zirconia system.

      • KCI등재후보

        유색 및 백색 지르코니아 세라믹 코핑의 코핑 디자인에 따른 파절 하중과 변연 적합성

        신미란,김민정,오상천,Shin, Mee-Ran,Kim, Min-Jeong,Oh, Sang-Chun 대한치과보철학회 2009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4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색 및 백색 지르코니아 세라믹으로 제작된 코핑의 디자인에 따른 지르코니아 세라믹 코핑의 파절 하중과 변연 적합성을 평가한 것으로 그 결과를 임상에 응용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CAD/CAM system (Everset, KAVO Dental GmbH, Biberach, Germany)을 이용하여, 80개의 상악 제1 소구치 세라믹 코핑을 제작하되, 1그룹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0.3 mm로, 2그룹은 협면 0.3 mm 설면 0.6 mm, 3그룹은 전체 0.6 mm 균일하게, 4그룹은 협면 0.6 mm 설면 1.0 mm로 디자인하고, 유색 (I) 및 백색 (II) 지르코니아 코핑을 각 그룹당 10개가 되게 하였다. 소성직후와 조정 후 코핑의 변연 적합성을 Video Microscope System (sv-35, Sometech, Seoul, Korea)를 이용하여 100배율로 관찰하였고, 금속 주 모형에 코핑을 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로 합착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4467, Norwood, MA, USA)을 이용하여 파절 하중을 측정하여, one-way ANOVA test 를 시행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1. CAD/CAM 지르코니아 코핑의 파절 하중은 1그룹, 2와 3그룹, 그리고 4그룹간에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I4, II4의 파절 하중값이 가장 컸다. 2. 코핑의 디자인이 같고 색이 다른 그룹간의 비교에서는 전 그룹 모두 파절 하중값의 유의성은 없었다. 3. 소성 직후 변연 오차 측정값은 I2그룹을 제외한 전 그룹에서 협측 측정점에서 변연오차가 가장 큰 경향을 보였다. 4. 소성 직후 변연 오차 측정값은 I 그룹 지르코니아 그룹에서 그룹별 전체적인 변연적합도를 보았을 때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5). 5. 소성직후 변연 오차 측정값은 백색 지르코니아 그룹에서 그룹별 전체적인 변연 적합도를 보았을때 II1그룹의 변연 오차가 가장 컸다 (P<.05). 6. 소성직후 변연오차 측정값은 디자인이 같은 그룹의 유색, 백색 비교에서, I1와 II1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에서 백색 지르코니아의 변연 적합도가 더 좋았다 (P<.05). 7. 내면 조정 후에는 색상화 및 지르코니아 코어 디자인에 따른 전 그룹간 변연 적합도의 차이는 없었다 (P>.05). 결론: 지르코니아 코핑 디자인과 색상화에 따른 변연 적합성은 소성 직후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내면 조정을 하면 임상 사용에는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고, 파절강도 강화를 위해 코핑의 두께는 가급적 두꺼워야 하나, 가시면 (순면, 협면)의 심미성(반투명성)을 고려할 경우 가시면을 0.3 mm로 얇게 해도 파절 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marginal fitness and fracture load of the zirconia copings according to the design with different thickness and coloration. Material and methods: The evaluation was based on 80 zirconia copings. Zirconia copings were fabricated in design with different thicknesses using CAD/CAM system (Everset, KAVO dental GmbH, Biberach, Germany). The designs of coping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first group consisted of copings with uniform thickness of 0.3 mm. The thickness in the second group was 0.3 mm on the buccal surface and 0.6 mm on the lingual surface. The third group consisted of coping with uniform thickness of 0.6 mm. The thickness in the fourth group was 0.6 mm on the buccal surface and 1mm on the lingual surface. Each group consisted of 10 colored and 10 uncolored copings. Half of the copings (40) processed with a milling system according to the specific design were sent to be given a color (A3) through saturation in special dye by a manufacturing company. Just after sintering, the marginal discrepancies of copings were measured on the buccal, lingual, mesial and distal surfaces of metal die, under a Video Microscope System (sv-35, Sometech, Seoul, Korea) at a magnification of $\times$ 100. It was remeasured after the adjusting of the inner surface. Next, all copings were luted to the metal dies using reinforced cement {GC FujiCEM (GC Corp. Tokyo, Japan)} and mounted on the testing jig in a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4467, Norwood, MA, USA). The resul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using the one-way ANOVA test. Result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 1. The measured value of marginal discrepancy right after sintering was the greatest in the contraction of the buccal area in all groups, except for group I2.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marginal fitness among the groups in the colored zirconia group (P<.05). 3. When the marginal fitness among the groups in the uncolored zirconia group was considered, group II2 had the smallest marginal discrepancy. 4. When the colored and uncolored groups with the same design were compar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I1 and II1 groups. In group 2, 3, and 4, the uncolored zirconia had the greatest marginal fitness (P<.05). 5. After adjustment of inner surfa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rginal fitness in all groups when color and design of the zirconia coping were compared. 6. The fracture load of CAD/CAM zirconia coping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group 1, 2, 3, and 4. I4 and II4 had the strongest fracture load. 7. When groups with different color and same design were compared, all colored groups showed greater fracture load (P>.05), with no significance. Conclusion: There was difference in the marginal fitness according to the design and coloration of zirconia copings right after sintering, but it was decided that the copings may well be used clinically if the inner surface are adjusted. The copings should be thick enough for the reinforcement of fracture strength. But considering the esthetics of the visible surfaces (labial and buccal surface), the thickness of copings may be a little thin, without giving any significant effect on the fracture strength. This type of design may be considered when giving priority to preservation of tooth or esthe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