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발량 관련 기후인자와 팬증발량의 변화 분석

        정대일,강재원,Jeong, Dae-Il,Kang, Jae-Won 한국수자원학회 200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2 No.2

        전지구적 기온상승으로 인해 증발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었으나, 다양한 지역에서 관측된 팬증발량은 지난 수십 년간 뚜렷한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60년부터 2007년까지 관측된 국내 18개 기상관측소의 팬증발량과, 증발에 관련된 강수량, 온도, 상대습도, 풍속, 일조시간, 일조율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팬증발량은 뚜렷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었으며, 강수량과 온도는 증가추세를, 상대습도, 풍속, 일조시간, 일조율은 감소추세를 나타내었다. 특히, 일조시간과 일조율의 감소추세는 팬증발량과 지역적으로 상당히 일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산점도를 그려 상관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일조시간과 일조율은 팬증발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으며, 강수량의 경우는 팬증발량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강릉관측소 사례연구에서 Penman공식에 의해 추정된 개방된 수면에서의 증발량은 팬증발량에서 보인 것 같은 뚜렷한 하향추세가 검증되지 않아, 기존에 팬증발량 관측값으로부터 증발량을 추정하는 것은 장기적인 증발량 변화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부적절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팬증발량이 실제증발량과 서로 상호보완적 관계를 갖기 때문에, 팬증발량이 감소하더라도 실제증발량은 증가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Evaporation over the world is expected to increase owing to increase in temperature by global warming. However, pan evaporation around the world has decreased in the past few decades. This study, which has been conducted in 18 meteorological gauging stations in Korean peninsula, investigates the changes in pan evaporation and climate variables such as precipitation,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sunshine hours, and percentage of sunshine, which can affect evaporation processes; the changes in these variables have been recorded between 1960 and 2007. At most gauging stations, pan evaporation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downward trends. Th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sunshine hours, and percentage of sunshine also show downward trends. On the other hand,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show upward trends.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downward trend in sunshine hours and percentage of sunshine correspond to that of the downward trend in pan evaporation. Scatter plots imply that pan evaporation h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unshine hours and percentage of sunshine, while i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recipitation. At the Gangneung gauging station, the open water evaporation estimated using the Penman equation does not show the significant downward trend shown by pan evapor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pan evaporation is not a good indicator of potential or open water evaporations during the investigation of their long-term variability. Finally, this study explain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pan and actual evaporations. Decreases in the pan evaporation can act as an evidence for the ever-increasing actual evaporation.

      • KCI등재

        Pan 증발량 추세분포 분석

        임창수(Rim Chang-Soo)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0 No.3B

        본 연구에서는 pan 증발량 분포와 추세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56개 기후관측지점에서 1973년부터 1990년까지의 pan 증발량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계절적 영향을 고려하여 1월, 4월, 7월 그리고 10월의 월평균 일별과 연평균 일별 pan 증발량 추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평균 일별 pan 증발량은 56개 연구지역 중에서 38개 연구지역에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고, 1월 평균 일별 pan 증발량의 경우 33개 연구지역에서 pan 증발량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4월의 경우 38개 지역에서 증가추세를 보이고, 7월의 경우 47개 지역에서 감소추세를 보여서, 전반적으로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10월의 경우 35개 지역에서 증가추세를 보여서 전반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연별과 1월, 7월은 pan 증발량이 감소추세를 보이고, 4월과 10월은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인근에 위치한 권역별로도 다른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서 지리지형적 요인이 pan 증발량 추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11개 기후관측지점에서 1973년부터 200년까지의pan 증발량 자료와 기후요소자료를 수집하여 추세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온, 상대습도 그리고 풍속추세는 연별이나 월별 pan 증발량 추세와 서로 같거나 또는 상이한 경향을 보이나, 일사량 추세는 연 및 월별 모두에서 pan 증발량 추세와 동일한 경향을 보이고, 강수량 추세는 연 및 월별 모두에서 pan 증발량 추세와 상반된 경향을보였다.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an evaporation and pan evaporation trends have been studied. In this study, pan evaporation data from 1973 to 1990 for 56 climatological stations were analyzed. In addition to annual average daily pan evaporation, monthly average daily pan evaporation in April, July, October and January were analyzed, considering seasonal effect.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in case of annual average daily pan evaporation, 38 stations out of 56 stations show decreasing trend. In case of average daily pan evaporation in January, 33 stations show decreasing trend. in April, 38 stations show increasing trend. In July, 47 stations show decreasing trend. In October, 35 stations show increasing trend. Therefore, on the whole, pan evaporation tended to decrease in January, July, and annual basis. On the other hand, pan evaporation tended to increase in April and October. Furthermore, pan evaporation trend in each individual region shows also different trend even though the region is located nearby, indicating that there are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effects on pan evaporation trend. Pan evaporation data and climatic data from 1973 to 2006 for 11 climatological stations were used for trend analysis. Climatic variables such as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wind speed show same or opposite trend direction compared with pan evaporation in annual or monthly basis. Annual and monthly solar radiation trends show the same direction compared with pan evaporation; however, annual and monthly precipitation trends show the opposite direction compared with pan evaporation.

      • KCI등재

        기온자료를 이용한 소형증발접시 증발량 산정

        임창수 한국수자원학회 201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0 No.1

        증발접시 증발량의 경우 저수지 증발량을 산정하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유용하게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할 수 있는 기상자료 가 제한적인 경우에 기온자료만을 이용하여 증발접시 증발량을 산정하는 식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전국 12개 지역에서 관측된 증발접시 증발 량과 비교를 통해 제안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전국 44개 지역에 대해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증발접시 증발량 산정식을 다른 기온자료에 기초한 식 들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기상자료(기온, 풍속, 습도, 일조시간)를 필요로 하는 식들과 비교하여 적용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본 연 구에서 제안된 증발량 산정식들은 다른 기온자료에 기초한 식들과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양호한 증발접시 증발량 산정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증발량 산정식의 경우 우리나라 56개 연구지역 대부분에서 전반적으로 양호한 증발접시 증발량 산정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 정 제안된 기온자료만을 이용한 증발접시 증발량 산정식들은 우리나라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상자료가 제한적인 경우에 특히 적용성이 있는 것으 로 판단된다. 추후에는 저수지에서 관측된 기온 및 증발접시 증발량 자료를 바탕으로 저수지 증발량 산정을 위한 제안식들의 적용성 검토연구가 필 요하다. Pan evaporation has been used as an indirect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reservoir evapo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pan evaporation estimation equations using only temperature data were suggested in the case that available meteorological data is limited. A formula for estimating the pan evaporation were suggested by comparing estimated pan evaporation with measured pan evaporation in 12 study areas in Korea. The suggested pan evaporation equations were verified in 44 study areas by comparing not only with temperature-based equations but also with equations using other meteorological data (temperature, wind speed, relative humidity, and sunshine durat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suggested equations in this study provide much better pan evaporation estimates, compared with other temperature-based equations. Overall, the suggested equations provide appropriate pan evaporation estimates in most of 56 study areas. Therefore, the suggested equations using only temperature data in this study are considered appropriate for the estimation of pan evaporation in Korea especially in the case that available meteorological data is limited. In the future, using the air temperature and pan evaporation data measured at the reservoi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suggested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reservoir evaporation.

      • KCI등재

        우리나라 연안의 팬증발량 변화 양상 분석

        이길하(Lee, Khil-Ha),오남선(Oh, Nam-Sun),정신택(Jeong, Shin-Taek)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7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9 No.3

        장기간에 걸친 증발량의 변화는 지표-대기간의 수문반응을 변화시키고, 농작물의 경작에도 영향을 미치며, 해안지방에서는 하천유입량 등의 변화로 생태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최근의 기후 상승에 따라 실제 증발량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되나, 외국의 다양한 연구는 남반구와 북반구에 걸쳐 팬증발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현상은 기후 변화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충분히 있으므로 외국의 연구 결과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에서도 팬증발량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 왔는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4개 지점에서의 1970년도부터 2000년도까지의 증발량 관측치를 선정하여 심도있게 분석하였으며, 우리나라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의 팬증발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증발량 1차 추세선 분석 결과 14개의 지점 중 청주, 여수, 진주를 제외한 11개 지점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14개 지점의 총 평균에서는 연간 1.6 mm/yr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었으며, 이는 전체 자료의 기간인 30년 동안 연평균 팬증발량 약 50 mm의 감소한 것이다. 연평균증발 산량의 값은 내륙지역에 비하여 해안지역에서 10% 가량 큰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발산량의 연변화량은 내륙지방의 연간 -0.82 mm/yr에 비하여 해안지방에서 연간 -2.46 mm/yr으로 훨씬 빠르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ann-Kendall trend test 결과는 95% 유의수준 내에서 4개 지점이 감소를 보여주며 10개 지점은 95% 유의수준 내에서 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 지역에 대한 평균값은 감소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외국의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앞으로 우리나라 기후변화에 따른 다양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 long-term change in the evaporation rate have an influence on the hydrologic processes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land surface-air and crop yield.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declines in pan evaporation rate, while actual evaporation rate is expected to increase due to anthropogenic global change in the future. The decreasing trend of pan evaporation rate might be involved with global warming and accordingly the trend of annual pan evaporation rate also needs to be checked here in Korea. In this study, 14 points of pan evaporation observation are intensively studied to investigate the trend of pan evaporation for the time period of 1970-2000. Annual pan evaporation is decreasing at the rate of 1.6mm/yr, which corresponds to approximately 50mm for 30 years. Annual pan evaporation rate is larger by ∼10% at the coastal area and decreasing rate is faster as -2.46 mm/yr per year, while that is -0.82 mm/yr per year at the in-land area. The results of the Mann-Kendall trend test shows 4 points are decreasing and 10 points are unchanged with 95% confidence interval. But national annual average values show the decreasing trend of pan evaporation rate as a whole, which corresponds to general trend all over the world.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 variety of studies on water resources, hydrology, agricultural engineering, meteorology, and coastal engineering in association with future global climate change.

      • 농업용 저수지에서의 수면증발량 관측

        전민수 ( Minsoo Jeon ),이기원 ( Kiwon Lee ),김다예 ( Daye Kim ),맹승진 ( Seungjin Mae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강우가 여름에 집중되어 수자원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댐과 저수지 같은 큰 규모의 수공구조물을 건설하여 수자원을 확보해 왔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연평균 강수량 편차, 지역적 편중 현상, 강우 발생편차가 심해지고 있어 수자원 확보의 목적이 있는 시설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국내에서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 수문조사 지점을 선정하여 기상자료(강수·온도·풍력·복사에너지 등)와 수문자료(수위·유속 등)를 생산·관리하고 이 자료를 이용하여 댐과 저수지의 물수지 분석을 하여 물 부족량을 파악하고 있다. 수자원 손실에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증발량 관측은 정밀하고 연속적인 자료를 요구하기 때문에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자유수면에서의 증발량 관측은 현재까지 정형화된 관측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실무에서는 경험식을 통해 증발량을 추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내 수면 증발량 관측시스템을 적용하여 증발량이 가장 활발한 6월에서 9월까지 관측하였고, 관측한 자료와 경험식을 통해 산정한 추정치를 비교하여 수면증발량의 편차를 검토하였다. 대상 유역인 쌍암저수지와 한계저수지 모두 추정치가 관측치보다 작게 나타났다. 특히 바람이 강하게 형성되는 쌍암저수지의 경우 9월 수면증발량 관측치와 추정치의 차이가 24 mm 정도 발생했으며, 한계저수지의 경우 약 11 mm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경험공식에서는 바람의 영향을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험공식을 이용한 수면증발량 추정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면증발량 관측 방안을 제시하고 관측자료와 경험공식 산정자료를 비교, 검토하여 수면에서의 증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증발접시 증발량자료를 이용한 공기동력학적 증발량 산정 방법의 적용성 평가

        임창수,Rim, Chang-Soo 한국수자원학회 201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0 No.1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56개 연구지역에 대해서 증발량 산정방법 중에 하나인 공기동력학적 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과거 연구자들에 의해서 제안된 공기동력학적 증발량 산정식들을 7가지 형식으로 구분하고 일반화하여 증발량 산정모델을 유도하였다. 또한, 공기동력학적 방법 적용에 필요한 기상요소자료들(풍속, 포화미흡량, 기온, 대기압)을 이용하여 4가지의 다변량 선형회귀모델을 유도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기상자료들의 자기상관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변수들을 차분시켜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자기상관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한 결과 결정계수 값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공기동력학적 모델이나 다변량 선형회귀모델 모두에서 산정된 월 증발량과 관측된 월 증발량 사이에 매우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의 증발량 산정모델에서 8, 9, 10, 11, 12월에 증발량을 과다 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선형회귀모델들에 사용된 기상요소자료들은 모두 증발량 산정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포화 미흡량이 가장 중요한 기상요소이며, 두 번째로는 기온, 세 번째로는 풍속,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기압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pplicabilities of aerodynamic approaches for the estimation of pan evaporation were evaluated on 56 study stations in South Korea.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previous researchers' evaporation estimation equations based on aerodynamic approaches were grouped into seven generalized evaporation models. Furthermore, four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models were developed and teste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MLR models are meteorological variables such as wind speed, vapor pressure deficit, air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These meteorological variables are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aerodynamic approaches. In order to consider the effect of autocorrelation, MLR models were developed after differencing variables. The applicability of MLR models with differenced variables was compared with that of MLR models with undifferenced variables and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The study results have indicated that there is strong correlation between estimated pan evaporation (using aerodynamic models and MLR models) and measured pan evaporation. However, pan evaporation are overestimated during August, September, October, November, and December. Most of meteorological variables that are used for MLR models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estimation of pan evaporation. Vapor pressure deficit was turned out to be the most significant meteorological variable. The second most significant variable was air temperature; wind speed was the third most significant variable, followed by atmospheric pressure.

      • KCI등재

        Applicability evaluation of aerodynamic approaches for evaporation estimation using pan evaporation data

        Rim, Chang-Soo 한국수자원학회 201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0 No.11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56개 연구지역에 대해서 증발량 산정방법 중에 하나인 공기동력학적 방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과거 연구 자들에 의해서 제안된 공기동력학적 증발량 산정식들을 7가지 형식으로 구분하고 일반화하여 증발량 산정모델을 유도하였다. 또한, 공기동력학적 방법 적용에 필요한 기상요소자료들(풍속, 포화미흡량, 기온, 대기압)을 이용하여 4가지의 다변량 선형회귀모델을 유도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기상자료들의 자기상관의 영향을 고려하기 위해 변수들을 차분시켜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자기상관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한 결과 결정 계수 값에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공기동력학적 모델이나 다변량 선형회귀모델 모두에서 산정된 월 증발량과 관측된 월 증발량 사이에 매우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부분의 증발량 산정모델에서 8, 9, 10, 11, 12월에 증발량을 과다 산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선형회귀모델들에 사용된 기상요소자료들은 모두 증발량 산정에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포화 미흡량이 가장 중요한 기상요소이며, 두 번째로는 기온, 세 번째로는 풍속, 그리고 마지막으로 대기압인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pplicabilities of aerodynamic approaches for the estimation of pan evaporation were evaluated on 56 study stations in South Korea. To accomplish this study purpose, previous researchers' evaporation estimation equations based on aerodynamic approaches were grouped into seven generalized evaporation models. Furthermore, four multiple linear regression (MLR) models were developed and tested.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MLR models are meteorological variables such as wind speed, vapor pressure deficit, air temperature, and atmospheric pressure. These meteorological variables are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aerodynamic approaches. In order to consider the effect of autocorrelation, MLR models were developed after differencing variables. The applicability of MLR models with differenced variables was compared with that of MLR models with undifferenced variables and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The study results have indicated that there is strong correlation between estimated pan evaporation (using aerodynamic models and MLR models) and measured pan evaporation. However, pan evaporation are overestimated during August, September, October, November, and December. Most of meteorological variables that are used for MLR models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estimation of pan evaporation. Vapor pressure deficit was turned out to be the most significant meteorological variable. The second most significant variable was air temperature; wind speed was the third most significant variable, followed by atmospheric pressure.

      • KCI등재

        증발량 관련 기후인자와 팬증발량의 변화 분석

        정대일 강재원 한국수자원학회 2009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2 No.2

        전지구적 기온상승으로 인해 증발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견되었으나, 다양한 지역에서 관측된 팬증발량은 지난 수십 년간 뚜렷한 감소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60년부터 2007년까지 관측된 국내 18개 기상관측소의 팬증발량과, 증발에 관련된 강수량, 온도, 상대습도, 풍속, 일조시간, 일조율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팬증발량은 뚜렷한 감소현상을 나타내었으며, 강수량과 온도는 증가추세를, 상대습도, 풍속, 일조시간, 일조율은 감소추세를 Evaporation over the world is expected to increase owing to increase in temperature by global warming. However, pan evaporation around the world has decreased in the past few decades. This study, which has been conducted in 18 meteorological gauging stati

      • 추정 증발량이 저수지 유입량에 미치는 영향

        노재경 ( Jaekyoung Noh ),이재남 ( Jaenam Lee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저수지 유입량은 강우량과 증발량을 입력자료로 모의한다. 증발 자료는 추정값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독립변수의 정도에 따라 오차를 포함하는 정도가 다르다. 특히 독립변수를 월평균 기상자료로 하여 증발량을 일별로 추정한 결과는 다소 오차가 크게 나타난다. 에티오피아의 저수지 계획에 필요한 유입량을 모의하기 위해 현지 기상자료 상황과 똑같은 자료 여건으로 국내 대청댐에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대전 자료로부터 증발량을 식(1, 2)와 식(3, 4)에 의해 각각 일 증발량을 모의한 결과 식(1, 2)의 결과가 우수하지만 현지의 장기간 자료 생산을 위해 식(3, 4)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일증발=f(월평균온도, 월평균최고온도, 월평균최저온도, 일강우, 일습도) (1) EP=5.315+1.116×Tmean-0.386×Tmax-0.546×Tmin-0.030×OP-0.063×RH, R<sup>2</sup>=0.657 (2) 일증발=f(월평균온도, 월평균최고온도, 월평균최저온도, 월평균일조, 월평균풍속, 월평균습도, 일강우) (3) EP=12.474-0.049×OP+0.798×Tmean-0.609×Tmax+0.009×Tmin+0.455×DS-0.133×RH-0.874×WS, R<sup>2</sup>=0.560(4) 둘째, 추정 일 증발량을 대청댐 일 유입량 모의에 각각 적용하여 수문곡선, 잔차, 누가유입량 등을 비교한 결과는 차이를 발견할 수 없을 정도였으며, 결과도 매우 만족할 수준이었다. 1981년부터 2001년까지 연평균하여 강우량은 1159.9 mm, 관측유입량은 644.3mm로 유출률은 55.5%이었는데, 식(2)를 적용한 경우는 622.2mm, 식(4)를 적용한 경우는 629.8mm를 나타내, 일 증발량의 정도는 일 유입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증발량 산정을 위한 증발접시계수 산정모형 개발: 서울지점을 중심으로

        임창수 한국수자원학회 2020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3 No.7

        The six current models for estimating pan coefficient were applied to test the applicability of models in Seoul, South Korea. The models are Cuenca’s model, Snyder’s model, Pereira et al.’s model, Allen et al.’s model, Orang’s model, and Raghuwanshi and Wallender’s model. The estimated pan coefficients were compared with measured one. The measured pan coefficient was obtained by using measured pan evaporation and FAO Penman-Monteith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Estimated evaporation by using estimated pan coefficients was compared with measured one. Furthermore, model for estimating pan coefficient in Seoul was developed. When applying 6 current models for 10 m, 15 m and 20 m fetch distances, pan coefficient estimates from Snyder’s model were most similar to measured pan coefficients for all fetch distances. On the other hand, pan coefficient estimates from Pereira et al.’s model were most different from measured one. Therefore, model for estimating pan coefficient in Seoul was developed by modifying Snyder’s model. When applying developed model, estimated monthly average evaporation was 92.1 mm for 10 m, 15 m and 20 m fetch distances and measured one was 91.9 mm, indicating that evaporation estimate from developed model is closest to measured one, compared with those of current models. 서울지역에 대해서 6개의 증발접시계수 산정모형들로부터 산정된 증발접시계수를 측정된 증발접시 증발량과 FAO Penman-Monteith 기준증발산량으로부터 산정된 증발접시계수와 비교함으로서 증발접시계수 산정모형들의 활용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적용된 6개의 모형은 Cuenca 모형, Snyder 모형, Pereira 등의 모형, Allen 등의 모형, Orang 모형, 그리고 Raghuwanshi와 Wallender 모형이다. 또한 산정된 증발접시계수를 이용하여 산정된 증발량을 관측된 증발량과 비교분석하였으며, 비교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지역에 대해서 증발접시계수 산정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존에 연구자들에 의해서 제안된 6개 증발접시계수 산정모형을 10 m, 15 m 그리고 20 m의 풍역대 거리로 설정하여 적용하는 경우 모든 풍역대 거리에서 Snyder에 의해서 제안된 증발접시계수가 가장 양호한 증발접시계수 산정값을 보였다. 반면에 Pereira 등의 모형으로부터 산정된 증발접시계수 값이 관측값과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Snyder모형을 수정한 증발접시계수 산정모형을 유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형을 적용하는 경우 모든 풍역대 거리(10 m, 15 m, 20 m) 조건에서 산정된 월평균 증발량은 동일하게 92.1 mm이고 관측된 월평균 증발량은 91.9 mm로서 다른 모형들과 비교하여 가장 근사한 결과를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