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고대 문명 연구의 회고와 전망

        정원철(Chung Wonchul) 동북아역사재단 2016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3

        중국은 자신들의 고대 문명 기원과 발전과정을 밝히고, 그 세계사적 위상을 정립할 목적으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정부 주도로 대형 학술프로젝트(工程)를 추진해 왔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하상주단대공정(夏商周斷代工程)’과 ‘중화문명탐원공정(中華文明探源工程)’이다. 이 글에서는 중국이 그동안 추진해 온 고대 문명 역사공정인 ‘하상주단대공정’과 ‘중화문명탐원공정’의 전개 과정과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고, 두 역사공정에 대한 한국 학계의 대응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아울러 관련 분야의 향후 전망과 과제를 나름대로 제시하였다. 먼저 해당 분야에 대한 한국 학계의 관심도는 그다지 높지 않았고, 대응 연구도 전반적으로 미흡했다고 판단된다. 관련 역사공정이 현재에 이르기까지 진행되고 있는데도 대표적인 연구 성과는 모두 2000년대 중반의 것이며, 연구의 범위와 방법도 제한적이었다. 즉각적이고 지속적이며 종합적인 대응은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보는 것이 냉정한 판단이다. 향후 중국에서는 두 역사공정에 대한 연구 성과가 양산될 가능성이 높다. 특히 ‘중화문명탐원공정’은 2015년을 마지막으로 제4단계 연구 및 15년 동안의 연구가 일단락되었다. 해당 연구 단계의 결과물과 함께 이전 단계를 포함한 ‘중화문명탐원공정’ 전체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 결과물이 나올 것이 분명하다. 이에 대해 한국 학계에서는 관련 연구 동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그 추이를 잘 살피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계획을 수립해야 할 시점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관련 연구의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데는 동북아역사재단을 비롯한 국내의 대표적인 학술 연구기관이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한국 학계에는 두 역사공정의 시기인 춘추전국시대 이전 시기를 연구하는 전공자가 극히 부족한 상황이다. 열악한 국내의 중국 상고사 연구 상황은 현재까지 크게 달라진 바가 없기 때문에 앞으로 여러 난관에 부딪히지 않을까 염려된다. 장기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는 학술 논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는 해당 분야의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이에 대한 장기적인 목표와 대책이 없다면 제2의 ‘하상주단대공정’, ‘중화문명탐원공정’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지금과 별반 다르지 않을 것임이 자명하다. Since the mid-1990s, the Chinese government has sponsored a series of large-scale history research projects to identify and discover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ancient Chinese civilizations and to establish its significance in world history. The two prominent examples are the Xia-Shang-Zhou Chronology Project (夏商周斷代工程) and the explorations of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Project (中華文明探源工程). This paper summarizes the development of these projects and their principal results. It also surveys how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has responded to the projects and the results, as well as the future outlook and the existing issues. First, the interest of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has been relatively lukewarm compared to other fields of study, and only a few research projects have been conducted concerning this issue overall. Despite the fact that the Chinese government projects are ongoing, most of the research publications date from the mid-2000s, and the scope and the method of research has been limited. The reality is that immediate, sustainable, and comprehensive responses have been non-existent. It is highly likely that much research will emerge from the two national projects in the near future. In particular, the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Project, after fifteen years of research, completed Phase 4, the last phase of the project, in 2015. It is certain that not only the results of the last phase but also the cumulative and comprehensive results of the entire project will come forth. I believe that this is the time when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will begin monitoring their trends continuously and create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research plan in response. In doing so, major academic institutes in Korea including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should play a leading role. Meanwhile, it is rare to find in Korea a historian who specializes in ancient Chinese history prior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春秋戰國時代), which covers the historical period covered by the two Chinese national projects mentioned. Much trouble is anticipated because the poor condition of ancient Chinese history research in Korea does not seem to be improving. In order to consider what will likely become a prolonged academic debate, it is necessary to develop quality research in this area. Without long term goals and objectives, the responses of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to the Chinese government’s Xia-Shang-Zhou Chronology Project and the exploration of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Project will certainly not improve in the future.

      • 중국의 古代 文明 歷史工程에 대한 대응전략 -‘夏商周斷代공정’과 ‘中華文明探源공정’을 중심으로

        李日杰 간도학회 2022 간도학보 Vol.5 No.1

        20년 전 중국이 추진한 동북공정(東北工程)의 배경은 당시 남북한의 통일 후에 제기될 가능성이 있는 간도영토 분쟁으로 인한 만주영토 상실과 이 지역에 살고 있는 중국동포의 정체성에 대한 불안감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은 우리 고대사의 역사적 연원과 족원(族源)을 왜곡할 수밖에 없었으며, 동북공정의 기본원리인 통일적 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하여, 당시 강대국이었던 고구려와 발해를 중원의 소수민족 지방정권으로 왜곡시켰다. 또한 그들은 동북공정에 이어 백두산공정, 장백산문화론, 요하문명론, 만리장성 연장론으로 우리 역사침탈을 지속적으로 확장했다. 이미 ‘하상주단대공정’과 ‘중화문명탐원공정’은 끝난 상태이지만 ‘중화문명전파공정’은 계속 진행 중이다. 중국은 우리 역사·문명 침탈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자 이제는 고대국가 기원의 기년에 대한 침략을 시도하고 있다. 바로 단군조선(고조선)의 부정과 기자조선의 왜곡화를 서두르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는 지난 20년 동안 중국의 우리 역사 침탈의 심각성을 느끼지 못했다. 더구나 우리 정부는 중국의 이와 같은 집요한 역사 침탈의 목적조차 분석하지도 않았다. 2004년 내한했던 우다웨이가 우리 정부 각료들에게 행한 발언에는 중국의 동북공정 목적이 나타난다. 즉 “한국에서 간도가 조선 땅이라고 주장하지 않는다면 우리도 고구려가 중국의 소수민족 국가라고 주장하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동북공정 목적이 양국 간에 미해결된 간도영유권의 확보에 있음을 분명히 밝혔다. 이미 중국은 ‘청사(靑史)공정을 끝냈으며, 왕외(王巍)가 2015년에 제안한 ‘중화문명선전공정’이 ‘중화문명전파공정’으로 다듬어서 이듬해 전국인민대표회의에 재차 제시했다. 그리고 중국이 20년간 동북공정을 추진한 결과 내린 결론은 이 지역에 존재했던 고조선, 고구려, 발해가 중국의 소수민족 지방정권이며 이들이 남긴 유적, 문화 등이 모두 중국에 속하며, 중국의 문화라는 것이다. 중국이 우리 고대사를 왜곡시킨 근거는 사마천의 『사기』의 ‘오제본기’에 기인하다. 따라서 ‘오제본기’에 왜곡된 역사적 인물과 사건부터 바로 잡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사기』‘본기’ 및 다른 역사서에 기록된 인물과 청동기에 새겨진 인물과의 비교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중국이 추진했던 동북공정의 목적은 단순한 역사공정이 아닌 미해결된 만주의 ‘간도지역’을 확보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영토공정이다. 특히 ‘하상주단대공정’과 ‘중화문명탐원공정’으로 이어지는 문화공정은 고조선 문명인 홍산 문명을 ‘요하문명’으로 변질시킨 문화전쟁이다. 이와 같은 중국의 역사공정은 왜곡된 『사기』와 조작된 고고학적 유물에 근거하여, 韓民族 문화를 말살하려는 전략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중국의 우리 역사·문명 침탈 후 완성하려는 대중화주의 건설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도 수립해야 할 것이며, 더불어 ‘단군조선’의 불확실한 기년(紀年)도 분명히 검증하고, 교과서에 표기하여 교육시켜야 한다. 또한 고힐강(顧頡剛)의 ‘고사부정론’에 물든 이학근(李學勤) 등의 ‘의고파’ 중국학자들의 왜곡된 학설 유입을 단절해야 한다. 그리고 왜곡된 서적인『사기』등의 25史와『서경』을 비롯한 왜곡된 경서(經書)에 대한 국가차원의 검토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동북아 최고의 홍산 문명이 우리 민족의 문명임을 분명히 증명하는 동시에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background of the Northeast Project carried out by China since 20 years ago is their fear about the loss of Manchuria due to the Gando territorial dispute which may arise after the reunification of the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ir anxiety about the identity of Chinese compatriots living in this area. Therefore, China had no choice but to distort the historical origin and ancestral origin of ancient Korea, and falsely transformed Goguryeo and Balhae, great powers at the time, into local governments of minority ethnic groups in the edge of the midland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f the Northeast Project, “Theory of a Unified Multi-ethnic State”. After the Northeast Project, they also continued to expand their historical invasion of Korean history through the Baekdu Mountain Project, the Changbai Mountain Culture Theory, the Yoha (Liao-ho) Civilization Theory and the Great Wall Extension Theory. Even though the ‘Xia-Shang-Zhou Chronology Project’had already been completed, the ‘Chinese Civilization Exploration Project’ was in progress, but we did not feel the seriousness of China’s invasion of our history. Moreover, the Korean government did not even analyze the purpose of China's tenacious invasion of Korean history. Wu Dawei's remarks to South Korean government officials during his visit to Korea in 2004 revealed the purpose of China's Northeast Project. He said “If Korea does not claim that Gando is Korean territory, China will not claim that Goguryeo was a minority ethnic country of China.” China has already completed the ‘Cheongsa (Clean History) Project’ and Wang Oe (王巍) trimmed and refined the ‘Propagation of Chinese Civilization Project’, which was proposed in 2015, into ‘Chinese Civilization Propagation Project’ and presented to the National People’s Congress again the following year. And as a result of China's 20 years of promoting the Northeast Project, the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Gojoseon, Goguryeo, and Balhae that existed in this region were local governments of minority ethnic groups in China, and the historic remains and culture they left behind belong to China and become a part of Chinese culture. The ground that China distorted our ancient history was based on the 'Ojebongi (Record of Five Emperors)' in Sima Qian's 『Shigi』.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historical persons and events that were distorted in the ‘Ojebongi’.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ersons recorded in 『Sagi』 ‘Bonki’ including other historical books and those persons engraved on the Bronze Age. The purpose of the Northeast Project conducted by China is not merely a historical project but a territorial project at the national level to secure the unresolved ‘Gando region’ in Manchuria. In particular, the cultural project from the ‘Xia-Shang-Zhou Chronology Project’ to the ‘Chinese Civilization Exploration Project’ is a cultural war that transformed the Hongsan civilization, which was the Gojoseon civilization, into the ‘Yoha civilization’. Such Chinese historical projects reveal their strategy to erase the Korean people's culture with the distorted 『Shigi』 and manipulated archaeological remains. Also a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to cope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sinocentrism (Great-chunghwaism) that China is trying to complete after the invasion of Korean history and civilization. In addition, uncertain years according to the new year numbering system of ‘Dangun Joseon’era should be clearly verified and marked in the textbooks for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block the inflow of distorted theories of Chinese scholars, such as ‘Euigopa’ Lee Hak-geun, who was tainted by the 'Ancient History Negation Theory' of Gohilgang (顧頡剛). In addition, there must be a review at national level on the 25 historic books distorted such as 『Sagi』 and the Confucian classics distorted such as including 『Seogyeong』. We also intend to prove clearly that the Hongsan civilization, the best civilization in Northeast Asia, is absolutely the civilization of the Korean people and, at the same time, seek for counteracting strategy.

      • 중화문명탐원공정의 의의와 한계

        김정열 ( Kim Jung-ryol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50 No.-

        중화문명탐원공정은 중국문명이 언제, 어디서, 어떻게 기원하고 발전하여 초기 왕조국가로 연결되었는가를 탐구할 목적하에 진행된 대형 국책연구과제로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무려 15년에 걸쳐 시행되었다. 우리학계는 일찍부터 그 내용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것은 대체로 중국과 한국의 ‘역사전쟁’이라는 다소 편향되고 좁은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었다. 이 글은 중화문명탐원공정의 추진 과정과 그 전체적인 내용 및 주요 지향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그것이 21세기에 들어 초강대국으로 부상하고 있는 중국이 근대 이래의 역사적 질곡과 태생적인 분열성을 극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추진한 학술 프로젝트이며, 한족을 중심으로 한 다민족국가의 통합과 한족의 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지향점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아울러 이렇게 유목적적으로 시작된 이 사업은 그 태생적인 한계로 말미암아 여러 가지 학술적 문제를 안고 있으며, 그 학문외적인 지향으로 인해 과거를 왜곡할 개연성이 적지 않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Project to trace the origins of Chinese civilization(中華文明探源工程, zhōnghuá wénmíng tànyuán gōngchéng), a long-term trans-disciplinary program that has received the support of national research funding programs, was conducted over 15 years from 2001 to 2015. The project was carried out to explore when, where, and how Chinese civilization originated and developed, leading to the early dynastic countries. Although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was interested in the project's contents from an early phase, it was generally a somewhat biased and narrow view of the “History War” between China and Korea. The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project, its overall content, and its primary orientat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was revealed: This project was an academic project promoted by China, which has emerged as a superpower in the 21st century to overcome historical hardships and inherent division since modern times. It also aimed to justify the integration of a multi-ethnic state centered on the Han Chinese (汉族, Hànzú) and the rule of the Han Chines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ject, which started for this purpose, has various academic problems due to its inherent limitations an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istorting" the past due to its non-academic orientation.

      • KCI등재

        동북공정의 최종판 ‘요하문명론’

        우실하(Woo Sil-Ha) 고조선단군학회 2006 고조선단군학 Vol.15 No.-

        A series of Chinese national projects on history, such as 'Dan-dae Project' (斷代工程: 1996-2000), 'Tam-won Project'(探源工程: 2003- ) has a hidden goal to establish Neo-Imperialism of China. Now a days in Chinese, 'The Doctrine of Liao-he Civilization'(遼河文明論) has been projected as a final phase of 'Dong-buk Project'(東北工程, North-east Historical Project of China). In this paper the author suggests that many kinds of Chinese national projects on history concentrats on 'The Doctrine of Liao-he Civilization(遼河文明論)' as a final phase of 'Dongbuk Project'(東北工程, North-east Historical Project of China). Especially 'Niu-he-liang' Hong-shan Cultural Site in Liao-he valley is endowed with all conditions to be a state some 5500 years ago. The author suggests the background of 'The Doctrine of Liao-he Civilization (遼河文明論)' and the intention of 'The Doctrine of Liao-he Civilization'. Especially,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leader of ‘Liao-he Civilization’(遼河文明) is not ancient Chinese people, but ancient Korean people.

      • KCI등재

        중화문명탐원공정 이후 중국의 대형 역사・고고 프로젝트

        배현준 수선사학회 2023 史林 Vol.- No.85

        China conducted the Project to Trace the Origins of Chinese Civilization(中華文明探源工程) with the goal of archaeologically proving the existence of the Age of the Five Emperors(五帝時代). It was officially declared that 5000 years of Chinese civilization had been archaeologically proven. Recently, the ‘Archaeological China(考古中國)’ Major Project is underway.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from the Paleolithic period to the Ming and Qing dynasties, and it is the largest historical and archaeological project in terms of scale and duration. The project aims to archaeologically prove that there is an unbroken historical continuity within the current territory of China, from the Paleolithic to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o the present day, albeit with diversity, but ultimately within the framework of one China. To facilitate the achievement of these goals, the 14th Five-Year Archaeological Special Plan(十四五考古專項規劃) has been established as an institutional backing. This Special Plan does not just support research, but all aspects of archaeological research, including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construction of scientific analysis equipment, publication of reports, publicity, and talent development. China's implementa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of state-led research projects will eventually be criticized for actively using archaeology to solve historical and political problems, and it will also have to overcome criticisms from overseas scholars of monolithic historical narratives that seem to acknowledge the plurality of cultures or civilizations but ultimately boil down to one. However, it cannot be ignored that diverse research carried out in an environment of abundance and full state support has its own academic achievements.

      • KCI등재

        중국 역사학계의 새로운 해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우성민 진단학회 2012 진단학보 Vol.- No.116

        당대는 정치, 경제, 문화, 모두 종합적으로 발달하여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세계가 성립되었다. 唐이 세계제국으로 불리는 것은 단지 한민족에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지역적 세계제국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당전기에는 당과 우호적으로 왕래한 국가가 70여개 국 이상이었고, 당시 상인, 유학생, 승려 등 많은 외국인이 당대의 수도 장안으로 들어와 거주했으며, 鴻臚寺와 같이 외교사무를 담당하는 기구에서는 외국사절들에게 숙식을 제공하기도 했다. 이를 통해 당대의 주변국에 대한 개방과 포용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중국은 21세기 세계의 최강국으로 도약한다는 야심을 갖고 중국 역사상 최고의 부국강병을 보여줬던 ‘盛唐시대’를 재현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은 제국의 패권을 암시하는 盛唐만을 강조하고, 盛唐에 명실상부하는 세계제국의 ‘융합과 포용’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이 국제사회의 일반적인 지적이다. 본고는 부상하는 중국에 대해 세계가 주목하고 국내외 학계에서까지 중국위협론을 제기하는 것을 보면, 중국이 무리한 방법으로 동아시아 질서를 재편하는 것은 아닌지를 재검토하고자 하였다. 개혁개방 이후 경제 발전은 중국 고고학의 발전에 큰 원동력이 되었고, 중국의 다양한 지역에서발굴된 고고학 성과는 중국 역사학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경제 성장의 과실을 누리기 시작하며 되찾은 중국의 자신감과 이에 따른 신중화민족주의의 대두가 대형 학술 프로젝트를 이끌게 되었다. 이러한 대형 학술 프로젝트의 첫 시작이 된 것이 하상주단대공정이고. 이 공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된 뒤 이어서 동북공정과 중화문명탐원공정이 추진되었다. 하상주 단대공정에서는 서주 공화 원년 이전 시기의 각 왕과 상대 후기 무정 이하 각 왕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연대와 상대 전기에 대한 상세한 연대의 지표를 만들고, 하대의 기본적인 연대의 틀을 제출한다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다. 중화문명 탐원공정에서는 1000년을 더 소급하여 기원전 3500년으로 확대하였고, 연구대상 지역도 동북지방 요하유역까지 확대하였다. 2011년 8월 중국 정부는 요녕성 조양시 牛河梁 유적지를 곧 세계문화유산에 등재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는데 이에 대해 중국학계는 우하량 유적을 중국 5,000년 문명사의 상징으로, 동아시아와 전세계를 대표하는 문화로 소개하고 있다. 문제는 이와 같은 ‘역사공정’이 중국 국내에만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우하량 유적 흥산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요하문명론’의 대표적인 비파동검 등은 고조선의 배경문화로 만주와 한반도를 범위로 한 한민족의 문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이다. 이른바 ‘역사공정’은 시간적 확장뿐만아니라, 중국역사의 공간적 확장을 포함하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장성의 확장이다. 중국역사의 시간적 공간적 확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공정으로 만리장성의 확장이 있다. 2009년에 중국은 이미 만리장성의 동단을 확장하는 주장을 두차례 발표하였다. 만리장성의 동쪽 시작점으로 국내학계에서는 고구려 박작성으로 추정하는 압록강 변의 虎山山城으로 확정하고 있는 것이다. 2012년 장성에는 지린성과 헤이룽장성에 있는 고구려산성과 발해유적이 포함된다. 즉 장성 자체의 성벽, 참호, 보루같은 시설물 등 유산 43,721곳을 모두 합해 장성의 총길이가 2만1196.8㎞로 늘어났음을 발표하였다....

      • KCI등재
      • 중국 삼황오제 시대와 고고학

        최몽룡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1 유라시아문화 Vol.5 No.-

        삼황오제(三皇五帝)는 역사신화인물 “삼황(三皇)”과 “오제(五帝)”의 합칭(合稱)으로 옛날에는 삼황은 원고삼황(遠古三皇)으로 천황씨(天皇氏)⋅지황씨(地皇氏)⋅인황씨(人 皇氏)를 지칭하고, 오제는 원고오방상제(遠古五方上帝)로 다섯 신선인 백제(白帝), 청제 (靑帝), 황제(黃帝), 염제(炎帝), 흑제(黑帝)를 말한다. 후일 추가⋅보완되어 삼황은 상 서대전 에서는 수인(燧人)⋅복희(伏羲)⋅신농(神農), 춘추운두추 에서는 복희⋅여와⋅ 신농, 풍속통의 에서는 복희⋅축융⋅신농, 삼자경 에서는 복희⋅신농⋅황제, 장 자 와 강감역지록 에서는 유소씨(有巢氏)⋅수인씨(燧人氏)⋅지생씨(知生氏)라고 기록 하고 있으며, 오제는 여씨춘추 는 태호⋅염제⋅황제⋅소호⋅전욱, 대대예기 는 황 제⋅전욱⋅제곡⋅요⋅순, 자치통감외기 는 황제⋅소호⋅전욱⋅제곡⋅요를 말한다. 이들은 절강⋅감숙⋅하남⋅산동⋅산서성에서 발굴되는 양저(良渚)⋅대지만(大地灣)⋅ 앙소(仰韶)⋅용산문화(龍山文化)와 관련이 많으며, 그 기간은 기원전 9684년 - 기원전 2015년 사이로 추정한다. 매년 청양절(淸明節)에 섬서성 보계시와 호남성 주주에 위치 한 염제릉과 섬서성 황릉현에 위치하는 황제릉에 국가적으로 제사 지내는데 이는 염⋅ 황제는 화하민족의 조상으로 한족(漢族)은 염황의 자손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이의 시작 은 진시황이 기원전 221년 6국(六國)의 통일 후 돌아와서 천자의 분묘를 일률적으로 “능(陵)”으로, 일반 서민의 무덤은 “묘(墓)”로 정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또 한대(漢代)에 는 천자의 릉 옆에 반드시 “묘(廟)”를 세울 것을 정하였다. 진시황은 한민족(漢民族)의 정체성을 통해 왕조의 합법적인 정통성을 알리고 민심을 집결시키는 통치자의 수단을 십분 발휘했다. 그 이후 한, 당, 송, 원, 명, 청의 역대 통일왕조에서도 진시황을 따라 삼황오제의 능이나 묘에 매년 제사지내고, 능묘를 보살피고 중수하는 등 신경을 써왔다. 오늘날의 ‘중화문명탐원대공정’도 그런 면에서 이해가 된다. Three Sovereigns and Five Emperors(三皇五帝) and Xia(夏) have been the symbol of Chinese Hàn Zú(漢族) ethnic identity and Chinese proper cultural heritage with successive generation of unified dynasties since the Emperor of the Chin(秦始皇), the First Emperor of Qin(秦, Chin) imperial dynasty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whole territory of 6 Warring states(戰國), who historically first enlarged and adorned the Mausoleum of Emperors Huangdi(Yellow Emperor, 黃帝, 軒轅) as sacred precinct and performed religious service at the Mausoleum located in the Hangleung county(皇陵縣) of Shaanxi province(陝西省). After Chin Emperor had payed nationwide tribute to the Mausoleum of Shen Nong(神農, 炎帝) on the Tomb-Sweeping Day(淸明節) every year located at Bǎo jī(寶鷄市) in Shaanxi province, Zhū zhōu(株洲) in Húnán Shěng(湖南省), and Huangdi(Yellow Emperor, 黃帝, 軒轅) in the Hangleung county of Shaanxi province, both Shen Nong and Huangdi Emperors called the abbreviated ‘Yán-Huangdi(炎黃帝)’ has been gradually become the ancestor of Hàn Zú(漢族) of Chinese population of Hua Xia nation(華夏民族, 炎黃子孫). Since Qin Shi Huang had been making nationwide calendric ritual ceremony Tang(唐), Sung(宋), Yuan(元), Ming(明) and Ching (淸) adding shrines(廟) in front of Mausoleum(陵) had performed annual religious service following the Qin’s tribute to the Mausoleum Yán-Huangdi. Chinese government concerned is gradually trying to attract Han Chinese people(漢族)’s attention who occupies 91% of Chinese whole population comprised of 56 ethnic groups through the establishing ‘zhōng huá wén míng tàn yuán gōng chéng(中華文明探原大工程)’ slogan whose nationwide movement is a highly developed spiritual policy based on their mythical ancient history on the purpose of bringing the minds of the Chinese people together as means of reign and legitimacy of royalty. Nowadays Chinese government concerned has been excavating the series of archaeological site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ancient history roughly between 9684 B.C. and 2015 B.C. between the late palaeolithic age and the bronze age of the Lungshan culture(龍山文化 2500 B.C. - 2200 B.C.) period. China has been gradually transforming her legend and mythology into the real historical and ethnic identity as a result of their persistent efforts which was equivalent to the period of Three Sovereigns and Five Emperors.

      • KCI등재

        논문 : 중국 고대신화 연구, 가용 자료와 방법에 관한 성찰

        김현자 ( Hyun Ja Kim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2 종교와 문화 Vol.0 No.22

        The two great Projects of establishing The Xia-Shang-Zhou Chronology and inquiring the Origins of the Chinese Civilization are attempts to trace from the mythologized memories the history of chinese civilization to the beginnings. The Director of The Chronology Project affirms the scientific multidisciplinary research of the work, yet scholars of both Chinese and Western have devated hotly the validity of dating some chronicles. The present work makes some methodological reflections on the study of the ancient chinese mythology by beginning with three controversies relative to the Xia as follows : archeological site of the Xia ; astro-historiographies of five-planets conjunction and solar eclipse occurred at early times of the Xia. On closer examination, the terms themselves of the records suggest later productions relied on astrological beliefs. This says that researchers participated in the Project made less attentions, to say nothing of critical examinations, on the textual informations which they were using. The same is true of the Origins of the Chinese Civilization Project. So this paper goes on exploring characteristics of Three Majesties and Five Emperors in early texts, and completes the working by inspecting carefully some points of view and methods of analysis of the researchers as well as by making critical examinations into the values of available sources in the study of the chinese my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