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적 사유방식이 디자인 사고에 미치는 영향 상관 연구

        리신 ( Li Xin ),이동훈 ( Lee Dong-h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9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6 No.-

        사유방식은 한 민족에 내재된 정신의 결정체로서, 풍부한 역사적 누적을 거치면서 지금까지 전해져 왔고, 사람들이 사고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사유 도구이다. 전통적 양식, 재질과는 다른 사유방식은 디자인에 본질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전통 문화가 디자인 속에서 생명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해주기도 한다. 본문은 중국적 사유방식이 디자인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하고, 먼저 사유방식과 디자인 사고의 개념 및 발전과정을 정리했다. 그리고 중국적 사유방식이 가지고 있는 관계형, 집합형, 그리고 체득형이라는 세 가지 특징을 도출했다. 다음으로, 사유방식이 디자인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제기했다. 주로 디자인 정의 문제, 하위 문제 배열 및 해결 방안 구축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 집중되어 있다. 마지막으로는 일련의 중국 디자인 사례를 통해 중국적 사유방식이 어떻게 중국 디자인에 민족적 디자인 언어를 제공하였는지 분석했다 Thinking mode, as the condensation of the internal spirit of a nation, has been inherited till now through abundant historical precipitation, and is also a thinking tool for people to think and solve problems. Different from traditional styles and materials, the way of thinking not only has a more essential impact on design, but also makes traditional culture more vital in design. Taking the influence of Chinese mode of thinking on design thinking as the main research object, in the first place, this paper sorts out the concepts and development of thinking mode and design thinking, and summarizes three characteristics of Chinese mode of thinking: relational, collective and perceptive. Furthermore, it puts forward the influence of thinking mode on design thinking, mainly focusing on the definition of design problems, sub-problem sequencing and solution construction. Last but not least, through a series of Chinese design cases, this paper concretely analyzes how Chinese thinking mode provides national design language for Chinese design.

      • KCI등재

        중국적 사유방식의 특징을 바탕으로 한 위챗 디자인 사례 연구

        리신 ( Li Xin ),이동훈 ( Lee Dong-hu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8 No.-

        정보화시대에 들어선 후에 정보유동속도가 점점 빨라지면서 여러 국가와 지역 간의 문화가 동질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런 세계화의 배경 속에서 여러 국가와 민족은 자신의 문화적 특수성에 집중하고 민족적 특징을 지닌 문화발달방식을 찾기 시작했다. 최근 들어 중국 디지털 미디어 디자인 영역의 성장속도는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으며, 중국적 사유방식이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토론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본문은 먼저 중국적 사유방식의 세 가지 주요 특징을 관계형, 집합형, 체득형으로 종합한다. 또 동시에 위챗을 주요 연구대상하여 그 설계방식과 성장경로를 관찰하고 중국사용자가 어떤 독특한 수요를 지니고 있는지 살펴본다, 위챗은 전형적인 중국적 사고방식을 디자인에 응용한 사례로, 메시지 조직방식에 대한 디자인을 통해 상품과 사용자, 사용자와 상품 간에 좋은 상호관계를 만들어 냈으며, 성공적으로 중국 SNS 상품시장의 요구에 대응하여 긍정적인 시장반응을 얻었다. Stepping into information age, as information flow speeds up, cultures of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are increasingly converging.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all countries and nations begin to focus on their own cultural specialties, exploring the cultural expressions of national characteristics. In recent years, the growth speed of digital media design field in China has attracted worldwide attention. There are more and more discussions on the influences of “Chinese culture and Chinese-style thinking mode” on design. This article firstly sets WeChat, a SNS product with the largest installation and coverage rate in nowadays China as the major research object, and then observes its design ideas and growth path, and analyze what kind of unique demands Chinese users have for mobile SNS products and WeChat has applied the typical Chinese way of thinking, making benignant interaction between products and user, user and user though the design of the mode of information organization, satisfying successfully the Chinese SNS products market`s meet, won a good market`s respond.

      • 음양이론의 상징적 상상력

        안효성(Ahn, Hyo-S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09 철학과 문화 Vol.18 No.-

        The dual image of night and day, known in eastern philosophical parlance and the yin and the yang, are the two fundamental archetypes of all the symbols used to comprehend hour 'being'. Recently, some scholars have even claimed that the first human comprehension was not based on the notion of one whole, but a concept of two. In this treatise, I will seek to highlight the Chinese yin-yang philosophy (which I believe is a product of a profound 'imaginative' philosophy concerning the archetype of the yin-yang) under the premise that 'imagination' precedes 'thought(reasoning)', in accordance with the framework of symbolic imagination. The yin-yang philosophy represents a very advanced theory of comparative, dualistic archetypes, and has become the basis for not only Chinese but East Asian philosophy. It i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fact that Chinese thought and modes of expression adopted symbolism as its fundamental characteristic, a characteristic brought on by a combination of the use of ideographic Chinese characters along with the world view that regarding all objects as living, synthetic, and organic. As expressed in the well-known symbol called the taiji, the yin-yang theory is based on a system of two concepts juxtaposed but coming together to form a single whole, basically a concept of a single whole with two dimensions, which I will describe it as dualistic monism. If that(duality of one) is indeed true, than how does the two dimensions of the whole interact, remain in opposition, and change? The explanation of the principles said to drive the process were often posited upon material factors such as the five elements (not unlike the four elements), but in this treatise, I shall content that the dynamism of the yin and the yang are not driven by external factors, as the yin-yang is sufficiently self-dynamic to propel the process itself. In other words, the yin-yang already contains as a latent mechanism a dynamic for change. This is something that can be confirmed by traditional texts, and in this treatise, evidence for my argument will be provided by purview of the taiji and the monistic qi mechanism, along with yin-yang symbols from the Book of Changes and the mechanism of the trigrams and the hexagrams they form. 낮과 밤의 대립된 두 개의 이미지, 동양적으로는 ‘음양(陰陽)’으로 압축할 수 있는 두 개의 이미지는 우리가 존재를 이해하는 몇 가지 원형들 중에서도 가장 근원적인 원형일 것이다. 실제로 우리의 최초의 존재 인식은‘하나’가 아니라 ‘둘’이라고 보는 최근의 학자도 있다. 우리는 상상력이 사유 보다 앞서는 것이라는, 훨씬 자유로운 것이라는―그러나 상상력에는 어떤 법칙이 있다―전제 하에서 음양의 원형을 놓고 심원한 상상력의 철학을 구사한 중국의 음양이론을 ‘상징적 상상력’의 구도 위에서 조명할 것이다. 이원대비적 원형 이론은 중국의 음양이론에서 매우 발전적인 형태로 나타나며, 중국철학 나아가 동양철학의 기초가 되기에 이른다. 이것은 중국적 사유와 표현방식이 상징성을 근본적 특성으로 갖는 특수함과도 관련이 있다. 한자라는 문자적 요인, 사물을 생명적·유기적·총합적인 것으로 여기는 사물관 혹은 우주관적 요인이 그러한 특수성을 가져다주었을 것이다. 음양이론은 유명한 태극 도식[☯ 또는 ☯]이 드러내 보이고 있듯이, 음양이 대대(待對) 관계에 있되 그 둘이 모여 하나를 이루는, 또는 통일적 존재인 하나의 다른두 차원이라는 주장을 기본으로 한다. 그래서 그것은 이원적 일원론이라 정리해 볼 수 있다. 그러면 이 두 개의 차원은 어떻게 서로 호응하고 대척하며 변화해 나가는 것인가? 이 두 차원을 움직이는 힘 또는 이 두 차원이 움직여 가는 기본적인 원리에 대한 해명으로 보통은 ‘오행’이나 ‘사원소’와 같은 질료적 요인에 의존 해 왔다. 하지만 우리는 음양의 역동성을 음양 외적 요인에서 찾지 않으려 한다. 음양은 충분히 자기 역동적이다. 음양은 만변하는 역동성을 자기 안에 자기 기제적으로 갖고 있다. 우리는 그것을 전통적인 설명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태극(太極)과 기(氣)일원론적 기제 및『주역』의 음양부호[--/−]와 괘효(卦爻)적 기제를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논증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 『대승기신론』에서 여래장의 수행론적 의미

        고승학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1 불교학 리뷰 Vol.10 No.-

        『대승기신론』의 중국 찬술설과 관련하여 본 논서에 중국적 사유방식, 특히 현실 세계에 대한 긍정이 잘 표현되어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부증불감경』 및 『승만경』 등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기신론』에서의 근본 무명은 중생의 세계와 부처 또는 열반의 세계가 동일함을 인식하지 못하는 것을 가리키는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특히 『기신론』은 번뇌를 제거의 대상이 아닌, 그 실체가 없음을 인식해야 할 대상으로 간주하는데, 이는 일진법계를 주장하는 화엄가들의 견해와 일치한다. 또한 『기신론』의 본각 개념은 수행자의 마음속에서 발심과 수행을 일으키는 성불의 내적인 인(因)으로서의 여래장과 그들의 성불을 돕는 외적인 연(緣)으로서의 불보살의 작용을 가리키며, 진여의 용(用) 훈습 및 지관문(止觀門)에 대한 설명은 여래장이 수행의 전 과정에서 자비의 실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짐을 시사한다. 요컨대 『기신론』은 마음과 깨달음의 구조를 설명하는 한편, 중생의 현실을 수행의 토대로서 긍정하고 깨달음은 궁극적으로 자비의 실천으로 실현되어야 함을 강조하는 논서인 것이다. In relation to the thesis of Chinese authorship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āyāna (Dasheng qixin lun 大乘起信論), we may point out that a sort of Sinicized mode of thinking, especially an affirmation of the present world, is implied in the text. This article aims at clarifying that fundamental ignorance (genben wuming 根本無明) referred to in the text denotes one’s failure to realize the identity of the realm of sentient beings with that of the Buddha or nirvāṇa, through a comparison of the text with the Scripture of Neither Increase Nor Decrease (Buzeng bujian jing 不增不減經) and the Śrīmālādevī Sūtra (Shengman jing 勝鬘經), two scriptures that explicate the tathāgata-garbha (rulai zang 如來藏) thought. In particular, the Awakening of Faith does not regard afflictions as objects of elimination. Instead, the text emphasizes that one should recognize that afflictions are devoid of self-nature. And such a view of afflictions is congruent with the Huayan idea of the one true dharma realm (yi zhen fajie 一眞法界). Original enlightenment (benjue 本覺) introduced in the text indicates the function of tathāgata-garbha as an internal cause for attaining buddhahood and the activities of Buddhas and bodhisattvas as an external condition for enlightenment. While tathāgata-garbha arouses aspiration for enlightenment in the practitioners’ mind, the Buddhas and bodhisattvas lead those practitioners to attain buddhahood. The text’s account of the permeation (Skt. vāsanā) of suchness in terms of its functionality (zhenru yong xunxi 眞如用熏習) and the gate of stopping (Skt. śamatha) and contemplation (Skt. vipaśyanā) (zhiguan men 止觀門) implies that tathāgatagarbha is intricately connected with the practice of compassion throughout the entire stages of cultivation. In sum, the Awakening of Faith explicates the structure of one’s mind and mechanism of enlightenment on the one hand, while it affirms the present state of sentient beings as a foundation of cultivation and stresses their compassionate engagement as an ultimate realization of their enlightenment on the other hand.

      • KCI등재

        中國思維現代化問題-從邏輯的觀點看

        구건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민족문화논총 Vol.49 No.-

        中國思維現代化問題是中西文化相遇下的結果, 但現代化是否就是西方化, 甚至歐洲化?在現代多元思潮的背景下, 以歐洲化做為現代化指標又產生了什麼反省?在接受邏輯為現代化指標前提下, 對於西方邏輯的學習也從傳統邏輯進入了現代符號邏輯, 但西方邏輯的全盤殖入等於是現代化的完成的想法, 使得中國文化自身在現代化中扮演了消極, 甚至負面的角色。 文化相遇的多種範式說明了文化理解的具體規範, 是受到了文化相遇兩端預設關係的影響, 這也間接地決定了現代化一詞具有的意義。 但無論是那一種範式或意義, 西方文化對於中國文化思維的現代化都扮演了一個不可或缺的角色。 即使西方文化從原先現代化的典範轉變成了各不同文化朝向現代化的參考點。 並且隨著這個轉變, 現代化也從僅指朝向歐洲現代文化的趨同意義, 變成了與各個邁向現代化的不同文化相緊密相關的多元現代性意義。 在以典範轉變和多元現代性的分析脈絡下, “中國邏輯思維”研究就是中國思維現代化的具體展現。

      • KCI등재

        Interpretation of Indian Buddhism through the Concept of Cosmic Resonance :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Idea of Cosmic Resonance in China and Korea

        Kim, Hee-Jeong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6

        이 논문은 인도불교의 緣起개념이 중국에서 감응관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고, 한국에서는 감응관이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위진시대에 고대 중국의 감응 개념은 불교의 성격을 변화시켰다. 인도의 연기 개념과 중국의 감응 개념은 세계의 사물과 사건들의 운동과 변화를 표현하는 핵심 사상으로서 공통점이 있다. 당시 중국인은 감응 개념을 통해 윤회와 연기를 이해할 수 있는 길을 찾았다. 한국에서 감응을 통해 불교를 재해석한 사례는 三國遺事에 나온다. 일연은 중국이 아닌 한국적 방식으로, 즉 제국의 질서에 동화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서 있는 땅을 진정한 중심으로 자각했다. 그것은 感應을 神異로 이해한 것에서 드러난다. 그는 세계의 비실체적 성격과 운동을 인정하되 그 방식이 동화의 과정이 아니라 신비스럽고 이질적인 기적(神異)을 확산하는 과정이라는 데서 중국불교의 감응관과 결별한다. 일연은 감응과 신이를 통해 초월적 세계와 현실계를 넘나들고, 역사와 허구, 중심과 주변의 경계를 허물었다. 이렇게 중국과 한국에서 전개된 감응관의 역사를 통해 감응관이 어떻게 불교의 모습을 바꾸어 나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