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관절 강직의 병태 생리

        송현석(Hyun Seok Song),윤형문(Hyung Moon Yoo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관절의 적절한 기능을 위해서는 관절의 안정성과 운동 범위의 유지가 필요하다. 주관절과 연관된 환자의 주소의 대부분이 주관절의 강직이다. 최근 보고들에서 주관적의 강직에 대한 치료에서 우수한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어떠한 술식을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결정하기 어렵다. 대상 및 방법: Morrey 등은 기능적인 운동 범위를 30-130도의 굴곡-신전 범위, 50도 회내전 및 50도 회외전이라고 하였다. 이 범위에서 일상 생활의 약 90%가 이루어 진다. 주관절 강직은 원인이 되는 외상과 주 병변의 위치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다. 관절 내 원인으로는 심각한 관절 내 불일치, 관절 내 유착 또는 관절 내 연골의 소실, 골극 형성에 의한 기계적 제한, 관절 내 유리체, 활액막의 과다 증식이 해당된다. 관절 외 원인으로는 외상 또는 탈구에 의한 심한 관절막의 유착, 측부 인대 또는 근육의 구축이 해당된다. 결과 및 결론: 신전 제한의 주 원인은 전방 관절막의 섬유화에 의한 구축이다. 이러한 병변은 전방 관절막 절제술이 도움이 된다. 굴곡 제한의 주 원인은 내측부 인대의 후방대의 구축이다. Purpose: Stability of joints and maintenance of range of motion are needed for optimum function. The most common complaint about the elbow joint is joint stiffness. Recent articles have reported good outcomes in the treatment of stiff elbow joints. However, deciding which procedure to use is always difficult. Materials and Methods: Morrey et al. reported that the functional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joint is 30-130° of flexion-extension and 50° of supination and pronation. About 90% of daily activities are done using this range of motion. Stiff elbow joints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raumatic events that caused the problem or the location of the main pathology. Intraarticular pathology includes severe articular mismatch, intraarticular adhesions, loss of articular cartilage, mechanical blockade by osteophytes, loose bodies, and hypertrophied synovium. Extraarticular pathology includes severe capsular adhesion due to the trauma or to dislocation, contracture of the collateral ligaments or muscles, bony bridge. Results and Conclusions: The main pathology underlying the loss of extension is the fibrous contracture of the anterior capsule. In this pathology, an anterior capsulectomy would be helpful. The main pathology underlying the loss of flexion is the contracture of the posterior band of medial collateral ligament.

      • KCI등재

        변연 관절 성형술을 이용한 주관절 강직의 치료

        한정수(Chung Soo Han),이용걸(Yong Girl Rhee),정비오(Bi O Jeong),권부경(Boo Kyung Kw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6

        목적: 주관절 강직이 있는 환자에서 변연 관절 성형술을 시행하고 운동 범위 및 기능적 평가를 통해 수술의 결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2월부터 2003년 4월까지 원발성 골관절염, 또는 외상 및 종양 등에 의해 주관절 강직이 발생하여 변연 관절 성형술을 시행한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주관절 강직의 원인으로는 원발성 주관절 골관절염이 11예였으며 외상에 의한 경우가 18예, 주관절에 발생한 활액막 연골종증으로 인한 경우가 1예였다. 남자가 20예, 여자가 10예였으며 수술 시 평균 연령은 36세(범위: 14-61세)였다. 추시 기간은 평균 4년 4개월(범위: 2년-8년 5개월)이었다. 수술 방법은 전 예에서 후방 접근법을 이용한 변연 관절 성형술을 시행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수술 전 및 최종 추시 시의 주관절의 운동 범위와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를 통한 기능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주관절의 운동 범위는 평균 굴곡 122°(범위: 90-130°), 신전 11°(범위: 0-30°), 회내전 68°(범위: 20-90°), 회외전이 74° (20-90°)로 굴곡과 신전의 운동 범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5). 29예에서는 주관절 운동 시 전혀 동통이 없거나 경도의 동통을 호소하였으며 1예에서만 중등도의 동통을 호소하였다. MEPS는 최종 추시 시에는 평균 88.9점 (범위: 67-100점)으로 우수가 17예(56.7%) 양호가 10예(33.3%), 보통이 3예(10%)였으며 불량을 나타낸 예는 없었다. 결론: 주관절 변연 관절 성형술은 숙련된 수술 수기와 수술 후 효과적인 재활운동을 시행한다면 주관절 강직 환자에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수술 방법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linical results and functional assessments after debridement arthroplasty for a stiff elbow. Materials and Methods: 30 elbows from 30 patients, who underwent debridement arthroplasty for a stiff elbow caused by primary osteoarthritis and secondary causes such as post-traumatic osteoarthritis and synovial chondromatosis from December 1995 to April 2003, were analyz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52 months (range: 24 months-8 years 5 months). Among the stiff elbows, primary osteoarthritis was the cause in 11 cases, secondary osteoarthritis due to an old trauma was the cause in 18 cases, and synovial chondromatosis was the cause in 1 case. There were 20 males and 10 females with a mean age of 36 years (range: 14-61 years) at operation. They all had pain during elbow motion. Debridement arthroplasty was performed using the posterior approach.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ROM of the elbow and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MEPS). Results: Postoperatively, the elbow ROM improved to an average 122° (range: 90-130°) in flexion, 11°(range: 0-30°) in extension, 68°(range: 20-90°) in internal rotation and 74°(range: 20-90°) in external rotation. The improvement in flexion and exten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On the final follow-up, only moderate pain was reported in one case and none or mild pain was reported in 29 cases. MEPS improved from an average of 57.3 points (range: 33-75) to 88.9 points (range: 67-100). And there were 17 excellent cases (56.7%),10 good cases (33.3%), 3 fair cases (10%) and no poor case. Conclusion: The stiff elbow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debridement arthroplasty. Therefore, debridement arthroplasty can preserve a good clinical outcomes using skillful surgical procedures and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 KCI등재

        주관절 강직의 관절경적 치료

        문영래(Young Lae Moon),남기영(Ki Young Nam)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목적: 주관절 강직의 관절경적 처치는 효과적이지만 술자의 능력이 요구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종설의 목적은 주관절 강직에 대한 관절경적 처치 방식을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주관절 강직의 경우 운동 제한을 유발하는 연부 조직 및 골성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주두, 구상 돌기의 골극과 유리체의 제거는 합병증의 빈도는 낮고 좋은 결과를 보장한다. 결과 및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주관절 강직의 치료에서는 구축된 조직을 절제하고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지식과 숙련된 기술이 필수적이다. Purpose: Management of the stiff elbow by arthroscopic procedure is an effective but technically demanding. Our purpose was to review the specific arthroscopic maneuver which can be useful for the stiff elbow. Materials and Methods: A stiff elbow that is refractory to conservative treatment can be treated surgically to remove soft tissue or bony blocks to motion. The olecranon or coronoid osteophyte and loose bodies have been removed arthroscopically with good results and rare complications. Results and Conclusion: For the successful arthroscopic management of elbow stiffness, it need to knowledge and skills for debride contracted tissue and preserve vital anatomic structure.

      • KCI등재후보

        주관절 강직의 관절경적 치료

        남기영,문영래 대한견주관절학회 2010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3 No.2

        Purpose: Management of the stiff elbow by arthroscopic procedure is an effective but technically demanding. Our purpose was to review the specific arthroscopic maneuver which can be useful for the stiff elbow. Materials and Methods: A stiff elbow that is refractory to conservative treatment can be treated surgically to remove soft tissue or bony blocks to motion. The olecranon or coronoid osteophyte and loose bodies have been removed arthroscopically with good results and rare complications. Results and Conclusion: For the successful arthroscopic management of elbow stiffness, it need to knowledge and skills for debride contracted tissue and preserve vital anatomic structure. 목적: 주관절 강직의 관절경적 처치는 효과적이지만 술자의 능력이 요구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 종설의 목적은 주관절 강직에 대한 관절경적 처치 방식을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비수술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주관절 강직의 경우 운동 제한을 유발하는 연부 조직 및 골성 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주두, 구상 돌기의 골극과 유리체의 제거는 합병증의 빈도는 낮고 좋은 결과를 보장한다. 결과 및 결론: 관절경을 이용한 주관절 강직의 치료에서는 구축된 조직을 절제하고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지식과 숙련된 기술이 필수적이다.

      • 주관절 퇴행성 강직의 관절경적 처치

        문영래,유재원,김동휘,Moon, Young-Lae,You, Jae-Won,Kim, Dong-Whee 대한관절경학회 2001 대한관절경학회지 Vol.5 No.2

        목적 : 주관절 퇴행성 강직 환자에서 시행한 관절경하에서 주관절 주두부 절제술과 구상돌기 제거술을 시행하고 6례에서는 추가로 후방 관절낭 유리술을 시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 10월부터 2000년 1월 동안 내원한 환자에서 외상의 병력이 없는 주관절 퇴행성 강직 21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43.2세였다. 내원 당시 주소는 동통을 동반한 관절 운동 제한이었으며 평균 관절운동 범위는 굴곡구축 17도 후속 굴곡 87도였다. 결과 : 전례에서 술후 2개월 추시 상 평균 굴곡구축 3도(14도 호전), 후속 굴곡 122도(35도 호전)를 보였으며 술후 1년 추시상 평균 굴곡 구축 5도(12도 호전), 후속 굴곡 113도(25도 호전)의 호전을 얻을 수 있었다. 얻어진 관절 운동 범위 내에서는 동통이 없는 상태를 보였으며,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 비외상성 주관절 퇴행성 강직에 대한 관절경적 처치는 조기 재활이 가능한 효과적인 술식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describe long-term clinical results and serial changes in the postoperative range of motion(ROM) after arthroscopic treatment for a limitation of motion(LOM) of the elbow. Materials and Methods : The subjects who visited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December, 1996 to January 2000 were twenty-one patients ranging from 37 to 54 years of age, and the average age was 43.2 years. The chief complaints were painful limitation of motion of the elbow and average ROM showed that flexion contracture were 17 degrees and further flexion were 87 degrees. Results : The total ROM was $70^{\circ}$ preoperatively. 2 months after postoperatively the mean flexion contracute improved from $17^{\circ}\;to\;3^{\circ}$ with further flexion from $87^{\circ}\;to\;122^{\circ}$ degrees. One year after postoperatively the mean flexion contracture were $5^{\circ}$ and further flexion were $113^{\circ}$. All patients reported a decresement in pain level as well as improvement in motion. There was no complication in this series. Conclusion : Arthroscopic surgery appear to be satisfactory management modality for degenerative elbow contractures.

      • KCI등재

        이소성 골형성으로 인한 주관절 강직에서 12개월 이내에 시행한 수술적 치료의 효과

        김용민(Yong-Min Kim),박지강(Ji-Kang Park),정수리(Suri Cho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6

        이소성 골형성으로 인해 주관절 운동 제한이 발생한 5예에 대해 1년 이내에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수상 시로부터 평균 10개월에 수술적 치료로 이소성 골제거술 및 관절 유리술을 시행하였고 방사선 요법은 700 cGy로 1회 시행하였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평균 4주간 사용하였다. 평균 21개월의 추적관찰 기간 중 이소성 골형성의 재발은 발생하지 않았다. 최종 추시에는 굴곡-신전 운동의 범위가 평균 64도에서 133도로 증가하였다. 이소성 골형성으로 인한 주관절의 운동제한이 발생한 경우 수상 시로부터 수술 시점은 기존에 제시되던 12-18개월보다 적은 1년 이내라도 방사선 치료 및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동반한 수술적 치료로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Five patients presented with a limited range of motion in their elbow associated with heterotopic ossification. All of these patients underwent surgery within one year. Removal of heterotopic ossification and a posterior capsular release was performed within ten months on average after the initial injury. Each patient postoperatively received prophylaxis consisting of a single-shot radiation of 700 cGY and administration of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for four weeks on average. With a median follow up period of 21 months, five patients had no radiographic evidence of recurrence. The arc of flexion-extension increased from an average of 64 degrees preoperatively to 133 degrees at the latest follow up. A 12- to 18-month period is generally recommended as necessary for an operation on an ankylosed elbow associated with heterotopic ossification. However, the operative treatment, together with radiation therapy and NSAIDs administration, showed good results within 12 mon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