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강 주요 하천의 겨울철 조류상 변화 장기 모니터링: 기존 생물다양성과 계통적 생물다양성 평가 및 비교

        윤성호 ( Seongho Yun ),홍미진 ( Mi-jin Hong ),최진환 ( Jin-hwan Choi ),이후승 ( Who-seung Lee ),유정칠 ( Jeong-chil Yoo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3

        개체수와 종수에 기초한 기존 생물다양성 평가와 달리, 계통적 다양성 평가는 계통유전적 다양성 및 생태적 다양성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철새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다년간의 생태모니터링이 용이한 한강의 주요 하천인 중랑천, 청계천 및 안양천의 지난 9년간의 겨울철 조류상 장기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기존의 다양성 평가와 계통적 다양성 평가를 각각 수행한 뒤 각 결과가 내포하는 정보에 대해 고찰했다. 분석결과 중랑천과 안양천은 전반적으로 조류 개체수가 시계열적으로 감소한 반면 청계천은 개체수 변동이 없었다. 종 풍부도는 청계천에서 시간에 따라 소폭 상승한 반면, 중랑천과 안양천은 연도별로 차이가 없었다. 기존 종 다양도는 안양천을 제외한 중랑천과 청계천에서 시간에 따라 증가했는 데, 계통적 종 다양도는 청계천에서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생물다양성 평가 지수의 변동은 각 조사구역 내에서 발생한 공사 등의 인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종 다양도와 계통적 종 다양도는 같은 결과를 반영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 평가에 있어 유전 및 생태적 관점과 같은 다양한 시각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Information on biodiversity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servation planning for ecosystem. As existing biodiversity indices are calculated and predicted only based on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it is difficult to explain aspects of genetic and ecological diversity. Phylogenetic diversity can indirectly evaluate ecological diversity as well as genetic diversity overlooked by existing biodiversity assessments. In this study, typical metrics of biodiversity (e.g., species diversity, species richness, etc.) and phylogenetic diversity were evaluated together using a long-term monitoring data of winter birds in Jungrang, Cheonggye and Anyang stream where are designated as Seoul migratory bird reserves. Then discussed the meaning of each assessment result. In Jungrang and Anyang stream, the number of individuals generally decreased over time, whereas in Cheonggye stream,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addition, species abundance increased over time slightly in Cheonggye stream,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Jungrang and Anyang stream. Species diversity temporally increased in Jungrang and Cheonggye stream, excluding Anyang stream, but phylogenetic divers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only in Cheonggye stream. These changes in the biodiversity assessment indices are thought to be due to anthropogenic disturbances such as construction that occurred within each site, and it was shown that species diversity and phylogenetic diversity do not always lead to the same assessment resul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biodiversity assessment needs to be considered from various contexts such as genetic and ecological perspectives.

      • 논 재배방법에 따른 무척추동물 다양성 비교

        심재경,권재현,이인중,이경열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논 생태계의 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세 개 지역의 다양한 벼 재배방법 및 양식별로 수서 무척추동물의 종 다양성을 조사하였다. 영천, 칠곡, 군위 세 개 지역을 선발하여 벼 재배방법별로 2년간(‵10-‵11)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수서무척추 동물은 무처리(제초제무처리)의 경우 종다양도 지수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다른 논에 비해 모이나물벼룩과 꼬마물방개 개체수가 현저히 높았다. 우렁이농법 논에서는 종풍부도가 가장 높았고 채집된 개체수도 가장 많았으며 참물벼룩, 참거머리, 긴깨알소금쟁이 등의 많은 종이 발견되었다. 특히, 참거머리는 무농약 지표생물로서 알려져 있다. 쌀겨재배지에서는 종다양도 지수와 종풍부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조사 횟수가 다른 재배지에 비해 적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관행재배지의 경우 종다양도 지수에서는 우렁이농법에 비해 0.06으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종풍부도 면에서는 종풍부도 지수가 7정도 차이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이것은 우렁이농법의 60% 정도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 산림작업과 수종이 딱정벌레목 군집 구조에 미치는 영향

        전성재,고상현,남영우,이총규,최원일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05

        산림작업과 산림 수종 구성이 딱정벌레목 곤충상과 계절적 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조사지는 강원도 평창군 가리왕산 고정 조사지로 산림작업별 4 임지 (산벌림, 택벌림, 이단림, 대조구), 산림 수종별 3 수준 (잣나무, 낙엽송 조림지, 소나무 천연갱신지) 1임지를 선정하였다. 각 임지별로 각 3 개의 Lindgren funnel 트랩을 설치하고 2011년 7월부터 10월까지 30일 간격으로 딱정벌레목 성충을 채집하여 산림작업별, 수종별 개체수, 종풍부도, 종다양도(H), 균등도(E), 시기별 우점종 밀도를 비교하였다. 수종별로는 소나무림에서 채집된 종 수와 개체수가 가장 많아 다양도와 균등도가 가장 높은 반면(53 종, 152 개체, H=3.23, E=0.81), 잣나무림에서 채집된 종 수와 개체수가 가장 적어 종다양도와 균등도 역시 가장 낮았다(39 종, 104 개체, H=2.86, E=0.78). 산림작업별로는 택벌림에서 가장 많은 종과 개체수가 채집되어 종다양도와 균등도 또한 가장 높았다(59 종, 171 개체, H=3.26, E=0.80). 반면에 이단림에서 채집된 개체수가 가장 적어 종다양도와 균등도도 가장 낮았다(24 종, 133 개체, H=2.00, E=0.63). 모든 처리구에서 7월에서 10월로 갈수록 개체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산림작업, 수종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단림을 제외한 다른 처리구에서는 우점율이 유사하였지만 이단림의 경우에 한 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50% 이상으로 상대적으로 불안정한 생태계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대조구, 택벌림 이단림에서는 단풍나무좀, 소나무림에서는 목련나무좀, 낙엽송림에서는 오리나무좀 등 천공성 해충이 우점종이었다. 이와 상이하게 잣나무림에서는 포식자인 넉점박이송장벌레, 산벌림에서는 균식류인 어리방아벌레가 우점종이었다.

      • KCI등재

        진도 당재봉 일대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해안사구 식생변화

        최영은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sinvegetation andflora in the coastal sand dunes and rocks following land-use transformation between 2013 and 2019. The study area is located on Dangjae-bong(hill) on Jin-do island, South Korea andthe area has been developed from aforest area to a resort complex overthe last 3 years. It has been confirmed thatchanges in flora, with 5 species added in the year 2019,have occurred whencompared to the year 2013. Of the five species investigated, four were naturalized plants and one was a terrestrial plant. All of the five species were identified as invasive species, which were caused by the transformationin land-use. There was no change in the specific floristic species, but the number of changed naturalized plants increased from 3 to 7 species. The increase of naturalized plants instead of native plants seems to be the result of invasive species introduced into the coastal sand dunes due to the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Among the life forms, 7 types of dormant plants turned out to be distributed in the studied area. In the 2013 survey, the ratio of hemigeophytes (H) was the highest (34.04%), followed by geophytes (G), therophytes (Th) and homomorphic therophytes (Th(w)). However, in the 2019 survey, three out of five species were homomorphic therophytes, the second highest next to hemigeophytes. The costal dune vegetation was classified into 7 communities in the study area. There were changes of the dominance index and species compositions in vegetation between 2013 and 2019. With regard to changes in the abundance of plants, Carex kobomugi, Calystegia soldanella, and Lathyrus japonicus, all of which are the typical components of coastal sand dune vegetation, have decreased while Rosa wichuraiana and Vitex rotundifolia, which are naturalized plants and woody invasive species, have increased.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demonstrate that frequent anthropogenic disturbances from the change of land-use in areasadjacent to the coastal sand dunes caused to alter the abundance of such species.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no changes in abundance of Limonium tetragonum, Suaeda asparagoides, and Zoysia sinica, which are found relatively close to the beach. This is deemed to bebeca use the most invasive species of the coastal sand dune areas are much less tolerant of salinity that intrusion into the areas affected by seawater does not allow their growth. As for the diversity of species, the diversity index ofthe 3 types was higher in 2019 than in 2013, but the gap of the plant species diversity index was very small. The increase in species diversity of dune vegetation is due to the invasion of coastal sand dunes due to land transformation rather than to the stability of vegetation. 본 연구는 사구주변지역의 레저산업단지조성 등과 관련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해안사구식생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전라남도 진도 의신면 당재봉 일대 해안사구에 대한 식물상, 식생, 종다양성의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전라남도 진도 당재봉 일대 토지이용변화(2016~2019년에 걸친 개발로 산림지역이 리조트 단지로 변화하였음)에 따른 해안사구 와 해안암석 등에 서식하는 식생 및 식물상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2013년도와 2019년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식물상의 변화는 2013년도에 비해 2019년 조사에서 5종이 추가 조사되었다. 추가 조사된 5종 중 4종은 귀화식물이며, 1종은 육상식물로서 5종 모두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침입종들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으며, 귀화식물의 변화는 3종에서 7종으로 증가하였다. 자생식물의 증가보다는 귀화식물이 증가한 것은 개발로 인한 침입종들이 해안사구에 유입된 결과로 보인다. 생활형은 7개 유형의 휴면형을 나타내는 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3년 조사에서는 반지중식물(H)이 34.04%로 가장 많았으며, 지중식물(G), 1년생식물(Th), 동형1년생식물(Th(w)) 순으로 많았다. 그러나 2019년 조사에서는 동형 1년생식물이 5종 중 3종으로서 반지중식물(H) 다음으로 분포비율이 높았다. 해안사구식생의 식물군락은 총 7개 군락으로 구분되어졌으며, 2013년도에 비해 2019년 조사에서 우점도와 종조성의 변화가 있었다. 식물의 수도변화는 해안사구 식생의 전형적 구성종인 통보리사초, 갯메꽃, 갯완두 등은 감소하였으나 귀화식물과 목본류 침입종인 돌가시나무와 순비기나무는 증가하여 해안사구 주변의 토지이용 변화에 의한 인위적인 빈번한 간섭이 이들 종의 수도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비교적 해안 바닷가와 근접해서 서식하는 갯질경, 나문재, 갯잔디 등은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이 지역 해안사구 침입종들의 대부분이 염도에 내성이 크지 않기 때문에 바닷물에 영향을 받고 있는 지점으로의 침입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종다양성은 2013년에 비해 2019년에 3종류의 종다양성 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나 종다양성 지수의 차이는 매우 작았다. 식생의 종다양성의 증가 현상은 식생의 안정성에 의한 결과 보다는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해안사구현상의 교란이 종 침입의 결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보면 이들 침입종은 해안사구 식생의 종구성, 생활형, 수도(abundance), 종다양성의 변화 등을 유발하였으며, 해안사구 식생의 천이진행을 매우 빠르게 유도하여 해안사구식생 종구성의 전형성을 크게 변화 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 지표성 딱정벌레의 종수와 종다양도의 분포 예측

        이철민,김유승,권태성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생물다양성의 감소는 금세기 최대 화두 중 하나이다. 이런 생물다양성의 변화를 평가할 때 생물지표종을 많이 이용하며 곤충은 유용한 지표종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 중 지표성 딱정벌레는 생태 및 분류학적 연구가 잘 되어 있고, 산림관리, 벌채, 산불, 도시화 등과 같은 환경변화를 평가할 때 자주 이용된다. 국내에서도 지표성 딱정벌레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지만, 조사기간과 조사방법이 다르고 특정 지역만을 연구했기 때문에 전국단위의 분석 및 평가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지표성 딱정벌레의 종수와 종다양도의 전국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서, 위도 0.5도와 경도 0.5도의 격자 안에 8개의 조사지를 임의로 배치하고 함정트랩법을 이용하여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간 5월 중순부터 9월 중순 사이에 조사를 실시했다. 전국 산림 359개 조사지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종수와 종다양도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종수의 범위는 0~16, 종다양도의 범위는 0~2.432이였다. 딱정벌레 종수와 종다양도의 분포를 추정하기 위해 공간내삽(Interpolation)인 역거리가중법(Inverse Distance Weighted : IDW)를 이용하였다. 359여개 지점에서 취득한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해상도 0.5㎞ × 0.5㎞의 래스터를 구축하여 지역별 종수와 종다양도를 ArcGIS Zonal Statistic 기능을 이용하여 도출하여 비교 및 고찰하였다.

      • KCI등재

        생태계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 평가지표 선정 및 적용 연구 - 지리산 및 북한산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

        강혜인 ( Hae-in Kang ),강규석 ( Kyu-suk Ka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환경영향평가 Vol.27 No.2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생물의 서식처가 되는 주요 지역을 생태계 보호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의 보존 및 확보 전략 수립에 타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보호지역 간 생물다양성을 상대적으로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림생태계에 해당하는 보호지역의 생물다양성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선정하였고, 이를 지리산 국립공원과 북한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 비교에 적용하였다. 평가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다. 언급된 빈도가 높은 지표들과 산림 생물다양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산림구조를 평가지표로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선정된 평가지표는 총 7개로 종다양도, 종풍부도, 균등도, 희귀성, 교란종, 고유생물자원 및 산림구조이다. 지리산 국립공원과 북한산 국립공원에서 종다양도는 3.492와 2.943, 종풍부도는 8.998과 9.793, 균등도는 0.849와 0.680, 희귀성지수는 11.976과 10.783, 교란종지수는 0.214과 0.357으로 나타났다. 두 국립공원 모두에서 고유생물자원은 풍부하게 나타났다. 산림구조는 다양한 임상을 보이고 안정적인 4층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수관울폐도는 지리산 국립공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평가지표에서 지리산 국립공원의 생물다양성이 북한산 국립공원보다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we designate and manage the major areas that are habitats of organisms as ecosystem protected area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biodiversity of protected areas relatively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ies to protect and secure the biodiversity of protected areas. In this study, we selected evaluation indicators by which we can compare objectively the biodiversity of protected areas corresponding to forest ecosystem, and applied them to Mt. Jiri and Mt. Bukhan National Parks. We reviewed literatures to select evaluation criteria. Frequently mentioned criteria and the structure of the forest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of forest biodiversity were selected as the evaluation criteria. As the result, the selected evaluation indicators were 7 - species diversity, species richness, evenness, rarity, disturbance species, indigenous species, and forest structure. In Mt. Jiri and Mt. Bukhan National Parks, species diversity were 3.492 and 2.943, species richness were 8.998 and 9.793, evenness were 0.849 and 0.680, rarity were 11.976 and 10.783, and disturbance species index were 0.214 and 0.357 respectively. Both national parks had abundant indigenous species and showed various forest physiognomies and stable 4-layer structure. It was found that crown density was higher in Mt. Jiri. Most indicators were implied high biodiversity in Mt. Jiri and Mt. Bukhan national parks.

      • GIS를 활용한 국립공원의 종 다양성에 관한 생물기후학적 영향 분석

        김태근(Tae Geun Kim),정종철(Jong-Chul Jeong),김의경(Eui-Kyeong Kim),조영환(Young Hwan Cho) 국립공원연구원 2012 국립공원연구지 Vol.3 No.4

        본 연구는 국립공원의 종 다양성에 대한 생물기후학적 영향을 평가하기위해 종 다양성지수와 생물기후변수자료의 단순상관분석을 통해 수행하였다. 종 다양성지수는 2 km × 2 km 정방형 면적에 포함되는 국립공원에서 1998년부터 2008년까지 조사된 생물종 수와 개체수에 Point to Grid 방법을 적용하여 산출된 Shannon-weaver 지수값을 이용하였다. 기후변수로는 기온과 강수량 자료(1970~2010)에 공간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변환한 19개의 생물기후 변수자료를 이용하였다. 생물 분류군의 구분 없이 산출된 전체 종 다양성 지수는 기온과 음의 상관성을 갖고 강수량에 양의 상관성을 갖지만 전반적으로 생물기후변수와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분류군별 구분하여 계산된 종 다양성 지수는 생물기후변수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이 상관계수의 크기와 방향을 보면 분류군 전체를 대상으로 한 결과보다 분류군별 상관관계가 생물기후변수별 상대적으로 높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는 분류군마다 생물종에 적합한 지역의 기후환경이 다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립공원에서 생물종이 서식하는 지역의 기후환경 특성에 따른 생물다양성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고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기대된다.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bioclimate on the biodiversity of national parks, this study conducted a simpl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pecies biodiversity index and bioclimate variables data. Regarding the species biodiversity index, This study used Shannon-weaver index values that were calculated by applying the Point to Grid method to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 that were surveyed in national parks from 1998 to 2008. 19 bioclimate variables data that were converted by applying a spatial analysis technique to temperature and rainfall data (1970~2010) were use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that was calculated without classifying taxonomic groups appeare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ainfall bu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while there have no correlation with the bioclimate variables overall. Meanwhile, the species diversity index that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axonomic group showed very diverse types of correlation according to the bioclimate variables. As such, in looking into the size and direction of correlation, the correlation with each taxonomic group appeared to be relatively higher and more diverse according to bioclimate variables than results from the entire taxonomic group. This is assumed to be because the climate environment of a region appropriate for the species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taxonomic group. Such research results should help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variability of biodiversity according to the climate-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 region inhabited by species in national parks and may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an ecosystem.

      • KCI등재후보

        영흥도 남단의 서식지유형별 조류 분포 현황

        강종현(Jong-Hyun Kang),조항수(Hang-Soo Cho),김창회(Chang-Hoe Kim),배양섭(Yang-Seop Bae)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옹진군 영흥면 영흥도에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봄, 여름, 가을의 3계절 조사를 정기적으로 수행하였고 조사지역은 도로에 따라 4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각 지역의 서식지유형은 농경지, 산림, 하천, 호소, 해안 중 3~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종은 총 92종이었다. 서식지유형에 대하여 조사지역별, 연도별, 계절별 종수, 개체수, 종 다양도, 종풍부도를 분석한 결과, 농경지는 4개의 조사지역에서 조류의 종 구성이 일정한 양상을 띠고 있지 않았다. 이것은 농경지에 서식하고 있는 종이 주변 다른 서식지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농경지와 산림은 계절별로 서식하는 종 구성이 서로 달랐으나 하천과 해안은 서로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호소는 매년 가을에 월동을 위해 오리류가 주를 이루며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모든 지역에서 2006년부터 2009년까지 4년간 연도별로 종 및 개체수, 종다양도, 종풍부도 모두 거의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서식지 면적과는 유의하지 않은 상관관계로 분석되어, 면적에 따른 먹이원의 분포 변화로 인한 종 및 개체수의 변동 등과 같은 추가 요인에 대한 조사가 면밀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regularly seasonal survey of spring, summer and autumn from 2006 to 2009 in Youngheung Island. The survey area was classified into 4 areas by road, each regional habitats types (agricultural land, forest, stream, lake, coast) were divided into the 3-4. We observed a total 92 species of birds in 4 areas. To investigate each regional habitats types, we analyzed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and richness according to annual and seasonal types. The result showed that agricultural land was distributed in all of 4 areas, and the characteristics in birds distribution of 4 areas were not taken on a certain aspect. It was considered to be affected by another of habitats close to agricultural land. Agricultural land and forest seasonally varied composition of birds, which act as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inhabitation at summer, winter and passage birds than this of resident birds. Seasonal species composition of stream and coastal habitats was analyzed similar patterns. The large number of wintering Anatidae was observed at lake in yearly fall.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and richness in all regions during four years from 2006 to 2009 shows a similar pattern, but the habitats area found that it was not correlated. However preys and other distributions are changed by habitats area. So changes of species and population by variety habitats area must be additionally investigated.

      • KCI등재후보

        한려해상국립공원 조류 다양성 및 군집구조에 대한 경관인자의 상대적 중요성

        이민기(Min-Ki Lee),이상욱(Sang-Wook Lee),이용주(Yong-Ju Lee),이해인(Hae-In Lee) 국립공원연구원 2021 국립공원연구지 Vol.12 No.1

        본 연구는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통영지역 유·무인 도서들에 서식하는 조류의 종다양성, 계통학적·기능적 군집구조에 대한 경관인자의 상대적 중요성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특히, 본 연구는 종다양성에 한정된 생물다양성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계통학적·기능적 다양성과 관련된 군집구조를 경관인자인 섬면적, 서식지 이질성, 육지로부터의 거리, 구조적 연결성과 통합적으로 분석한 국내 최초의 사례이다. 한려해상국립공원 거제·해금강지구와 통영·한산지구 62개 섬에서 총 47과 90속 162종의 조류가 관찰되었다. 조류 종다양성 및 군집구조에 대한 경관인자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 유·무인도서의 종풍부도에 영향을 주는 경관인자는 섬면적이었다. 또한 유인도서의 계통학적 군집구조 지수는 섬면적과 구조적 연결성에 영향을 받았으나, 무인도서의 경우 섬면적에만 영향을 받았다. 기능적 군집구조 지수의 경우 무인도서에서는 섬면적에 영향을 받았으나, 유인도서에서는 어떠한 경관인자와도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인도서는 대체적으로 섬면적이 넓고 구조적 연결성이 높아 조류종의 이동이 활발한 반면, 무인도서는 섬면적이 좁을 뿐만 아니라 다른 섬들과의 연결성이 낮아 고립되기 쉬운 조건으로 인해 계통학적으로 유사한 종들이 분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한려해상국립공원 무인도서에 서식하는 조류군집은 질병, 교란 등 불리한 환경조건이 발생했을 때, 절멸할 가능성이 유인도서에 비해 높으며, 무인도서의 생물다양성 보전·관리에 전략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생물다양성 분석에 있어 전통적인 종다양성 뿐 아니라 계통학적 그리고 기능적 군집구조를 포함한 통합적 생물다양성 분석이 수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landscape variables to the species diversity, phylogenetic and functional community structures of bird species dwelling in inhabited and uninhabited islands in Geoje-Tongyeong districts of Hallyeohaesang National Marine Park. In particular, this study is the first case to overcome limitations of traditional species-centric approach in biodiversity research and comprehensively analyze community structure related to phylogenetic and functional diversity with landscape variables such as island area, habitat heterogeneity, distance from mainland, and structural connectivity in South Korea. A total of 162 bird species were recorded belonging to 47 families and 90 genera on 62 islands in Geoje-Haegeumgang and Tongyeong-Hansan districts of Hallyeohaesang National Marine Park. As a result of analyzing effects of landscape variables on bird species diversity and the community structure, landscape variable that affects species richness was island area for all, inhabited and uninhabited islands. Phylogenetic community structure were also influenced by island area and structural connectivity for inhabited islands, but only by island area for uninhabited islands. Functional community structure was regulated by island area for uninhabited island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landscape variables for inhabited islands. That is, large area and high structural connectivity among inhabited islands lead to vigorous species turnover, however there are phylogenetic clustering due to stronger isolation effect by small area and lower structural connectivity among uninhabited islands than among inhabited islan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irds communities in uninhabited islands are prone to extinction when exposed to unfavorable environmental conditions inclding disease and disturbance, therefore more strategic efforts are required to conserve and manage biodiversity. We also suggest integrated biodiversity analysis, including phylogenetic and functional community structures as well as traditional species diversity for conservation planning in island ecosystems.

      • KCI등재후보

        덕유산국립공원의 해발고도, 사면방향, 계절에 따른 조류군집 특성

        유재평(Jae-Pyoung Yu),진선덕(Seon-Deok Jin),김현숙(Hyoun-Sook Kim),백운기(Woon-Kee Paek),송호경(Ho-Kyung Song)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 동쪽 사면 · 계곡부인 향적봉-백련사 지역과 서쪽 사면 · 계곡부인 중봉-안성 지역에 서식하는 조류군집의 계절적, 고도별 분포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 7월부터 2009년 6월까지 이루어졌다. 흉고직경 30cm 이상 대경목 비율과 엽층별 피도량은 향적봉-백련사 지역이 중봉-안성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조사기간 동안 산림지역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60종이었고, 향적봉-백련사 지역이 55종, 중봉-안성 지역이 40종으로 향적봉-백련사 지역의 종수가 많았다. 계절별로는 봄에 종수, 밀도, 종다양도, 종풍부도가 가장 높았고, 여름, 가을, 겨울 순으로 감소하였다. 해발고도별로는 종수, 밀도, 종다양도, 종풍부도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결과는 해발고도의 증가에 따른 서식지 면적의 감소와 토양수분의 감소 및 낮은 기온 등의 열악한 환경으로 인한 수목 생장의 한계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조류군집의 종구성에 있어서 사면방향에 따른 두 지역의 종구성은 같은 고도에서 서로 유사하였고, 해발고도에 따라서는 종구성에 차이를 보여 해발고도가 조류 군집의 분포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두견이 Cuculus poliocephalus는 휘파람새 Cettia diphone의 분포 범위와 일치하고, 매사촌 C. fugax, 검은등뻐꾸기 C. micropterus, 벙어리뻐꾸기 C. saturatus는 숲새 Urosphena squameiceps, 산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등의 분포고도와 일치하여 두견이목 조류들은 탁란 대상종의 분포 범위와 관계가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딱따구리류와 박새류에 있어서 소형종인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와 쇠박새 Parus palustris, 진박새 P. ater는 전체 고도에 분포하였고, 중형종인 큰오색딱다구리 D. leucotos, 오색딱다구리 D. major, 박새 P. major, 곤줄박이 P. varius 등은 1,200m 이하의 고도에 분포하여 소형 종은 높은 고도까지 분포범위를 넓혀 종간 경쟁을 최소화하는 생존 전략으로 판단된다. 계절에 따른 종별 분포는 고도별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and altitudinal bird communities in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of eastern slope and valley section and Jungbong-Anseong area of western slope and valley section, Deogyusan National Park from July of 2008 to June of 2009. In terms of the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of trees over 30cm and coverage of leaf layer was the highest in Jungbong-Anseong area and the lowest in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Birds which is observed in forest area were total 60 species, and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is 55 species, and Jungbong-Anseong area is 40 species, so there were a lot of number of species at Hyangjeokbong-Baekryunsa area. In spring, the number of species, density,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was highest, and the number decreased in summer, fall and winter in the order of severity. The higher altitude is, the more the number of species, density,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decreased. That suggests that area of habitat and soil water content is lower in higher altitude, and low temperature contributes to limiting the growth of trees. Also, species composition of bird communities of two areas by direction of slope was similar in same height, and altitude was shown difference in species composition. Thus, altitude causes bigger effect in distribution of bird communities than direction of slope. Cuculus poliocephalus used same habitat with Cettia diphone distribution extent, and C. fugax, C. micropterus and C. saturatus with distribution extent of Urosphena squameiceps and Phylloscopus coronatus etc. unitedly, Cuculiformes habitat is judged related with parasite species. Also, small-sized Dendrocopos kizuki, Parus palustris and P. ater distributed in all altitudes, and woodpeckers and tits, such as D. leucotos, D. major, P. major and P. varius ranged in altitude fewer than 1,200m. Therefore, small size species is used survival strategy that minimize interspecific competition widening distribution range to high altitude. Distribution pattern of birds according to the season showed differences by al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