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부조화 척도 개발

        김성회,이진아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uple Harmony Scale for Married Women(CHSMW) for Korean. This study was taken four steps. First, 118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oretical literature, open-ended questions and interviews. Second,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4 counseling experts rated those items. Third, the scale consisting of 117 items was administered to sample of 235 married women, and 61 items were eliminated based on item-scal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Forth, the scale consisting of 61 items was administered to sample of 781 married women, and 61 items were eliminated based on item-scale correlation and factor extraction. Finally, items of the scale were reduced to 49 items. Factor analysis showed evidence of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Four factor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factor 1(12 items) implies married couple harmonic emotion, factor 2(11 items) implies married couple harmonic cognition, factor 3(13 items) implies married couple harmonic behavior components and factor 4(13 items) implies married couple harmonic activity. Internal consistency(Chronbach's α) of total score showed .829 and Chronbach's α of 4 factors demonstrated .761~833. The split half reliability of the CHSMW was .731. To examine th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data were collected from samples of 546 married women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SMW was positive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scale (r = .637) and negatively related to married couple conflict scale( r = -.607). Thus, the CHSMW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and validity. Therefore, it i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the harmony for married couple in Korea situation. 본 연구에서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개인이 내면적으로 최선의 상태인 조화를 이루고 배우자와의 관계에서도 최선인 부부조화를 이루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와 기존척도의 고찰, 주부를 대상으로 한 개방형질문지와 면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요인의 수는 4개가 가장 적절하여 4요인 118문항의 1차 예비척도를 구성하고, 상담심리전문가 4명에게 내용타당도를, 국어교사 2명에게 문항표현의 적절성을 검증받아 수정·보완하여 117문항으로 구성된 2차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이를 서울, 대구, 경상북도에 거주하는 주부 23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4요인 61문항의 3차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이를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전라북도에 거주하고 있는 주부 78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요인과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4요인 49문항 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 1은 부부조화 정서요인(12문항), 요인 2는 부부조화 인지요인(11문항), 요인 3은 부부조화 행동요소요인(13문항), 요인 4는 부부조화 실천요인(13문항)으로 명명하였다. 부부조화 척도 전체에 대한 Cronbach의 α계수는 .829이고, 요인 1은 .833, 요인 2는 .814, 요인 3은 .825, 요인 4는 .761로 나타났다. 개발된 척도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주부 546명을 대상으로 부부조화 척도와 부부갈등 척도, 결혼만족도 척도간의 상관을 알아보았다. 부부조화 척도와 부부갈등 척도는 -.607로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부부조화 척도와 결혼만족도 척도는 .637로 .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임으로써 변별 및 수렴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요한복음에 대한 사회심리학적 해석

        서중석(Joong Suk Suh) 한국신약학회 2012 신약논단 Vol.19 No.1

        이 논문은 요한복음의 특징을 사회심리학적 전망에서 규명한다. 이를 위해 인지적부조화의 이론을 적용한다. 부조화가 생기면 심리학적으로 불편하기 때문에 사람은 이를 저감하고 조화를 얻으려고 시도한다. 부조화의 저감을 위한 가장 현저한 시도는 선택한 대안의 상대적 매력을 증대시키고, 선택하지 않은 대안의 상대적 매력을 감소시키는 작업이다. 저감된 부조화의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지 그룹의 확보가 필요하다. 요한복음 저자는 유대교 회당으로부터의 출교 경험을 자신의 신학의 기조로 삼는다. 예수와 모세 중 예수를 선택하고 출교를 당한 후, 요한은 인지적 부조화로 인한 불편함을 저감시키기 위해 예수를 확대하고 모세를 축소한다. 요한은 자신의 예수 선택의 정당성을 모세의 정체에 대한 예수 정체(하나님의 아들 및 하나님)의 현격한 우위로 입증한다. 더 나아가 그는 이러한 저감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이 선택한 안을 지지해 줄 지원 그룹을 믿는 자로 설정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한다. 사물을 이분법적으로 보는 사고(思考)를 포함하여, 요한신학의 여러 특징들은 인지적부조화로 인한 심리적 불편함을 저감시키려는 작업의 일환이다. The present article is design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spel of John in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It employs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created by Leon Festinger. The theory presupposes that the existence of dissonance, being psychologically uncomfortable, will motivate the person to try to reduce the dissonance and achieve consonance. The writer(s) of the Gospel of John regards the historical past event of excommunication from the Jewish synagogue as basis for his theology. John selected Jesus-option of two options of Moses and Jesus, and experienced psychological discomfort. In order to reduce the dissonance he tries to devaluate Moses and the Law, and to elevate Jesus and his identity upward the Son of God and even God. John also makes effort to sustain the reduced effect by securing the supporting groups in terms of believers who already selected Jesus-option or will select it. It is profitable to rearrange the various elements of John"s Gospel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psychology.

      • KCI등재

        神人調化或神人調和 : 以大巡真理會和召會的論述為比較

        판쥔밍(范俊銘),야오윈훼이(姚蘊慧)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5 No.-

        한국 대순진리회는 『전경』을 통해 신과 인간에 대한 교리를 설명한다. 이 교리에는 신성성, 종교성 탐구의 가치가 포함된다. 『전경』에 나타난 전통적 신인관계의 재해석은 기존의 윤리성, 전통성 및 사회성에도 확대되며 세속의 궁극적 관심도 초월한다. 『전경』 중심의 연구는 대순진리회의 종지, 조직의 추진계획 및 향후 발전 방향 이해에 도움이 된다. 대만 소회(召會: Local Church)는 『성경』에 기반하여 신성한 생명과 성품(性情)의 인간으로의 이식과 조화로 신과 인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신성한 생명은 끊임없이 인간의 생명과 조화를 추구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인간을 신성한 인간 즉 속세의 신성자(神聖者)로 되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것이 ‘신인’의 유래이며 인간의 생명은 신인의 생명이 된다. 삶이란 행위, 성격 그리고 일상을 통해 드러나는 신성성과의 조화 과정이다. 그러므로 소회의 ‘신인조화(神人調和)’는 신과 인간관계의 신성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한국 대순진리회와 대만 소회의 차이는 역사, 문화, 언어, 종교 등의 차이에 기반한다. 그럼에도 두 종교는 각자 신인조화(神人調化)와 신인조화(神人調和)라는 신과 인간의 초월적 관계를 제시한다. 이는 더 많은 논의를 통해 더 많은 두 종교의 유사점과 차이점 발견에 공헌할 수 있다. Daesoon Jinrihoe makes use of The Canonical Scripture as the main body to explain their thinking regarding divine beings and humankind as it relates to doctrine, sacredness, religiousness and other such contents. The traditional meaning of divine beings and humankin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Canonical Scripture, transcends ethics, tradition, sociality, and the ultimate concern of secularity. The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nonical Scripture can help readers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Daesoon Jinrihoe’s implementation of its policies and their future direction. The local church takes the Bible as its main body and connects God with man as an implantation of divine life and temperament that harmonizes itself with human life and nature. The divine life is constantly reconciled with one’s human life to make one a holy person, or a humanistic diviner. This is the rationale of the ‘God-Man,’ those whose human lives become lives of God-men. This style of living enables divine nature to mingle with human nature as an explicit behavioral act, mode of character development, and lifestyle. Therefore, the expression “the Blending of God and man” is a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an which focuses on their sacred connection. Engagement in this extends to the scope of the local church. The different divisions between Daesoon Jinrihoe and the local church appear on the basis of things such as history, culture, language, and religion, but both posit a theology of “Harmonious Union betwe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and “the Blending of God and man” according to a transcendent interpretation of God and man. Through dialogue, they can discove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is shared notion with both systems of theological thought.

      • KCI등재

        和諧社會: 思想的歷史溯源與當代解讀

        하일,한흥식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교사교육연구 Vol.47 No.1

        아름다운 조화사회를 건립하는 것은 수천 년 전부터 인류가 추구한 꿈이었다. 동방의 "대동사회" 서방의 "이상국가"를 비롯해서 자유 평등 협조 발전을 지향하는 조화사회는 인류의 영원한 가치 이 상미다. 중국, 서양철학의 "조화" 문제를 살펴보면 동서양 공히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쌍방이 강조하는 것은 대립하는 관계의 균형과 조화를, 모순되는 쌍방의 상호보충, 상호보완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서양철학이 조화의 이해에 있어서 중국과 다른 점은 그들이 흔히 사용하는 논리인 추상적 사변적 개념을 흔히 사용하며 하나의 지고 (至高) 무상 (無上) 한 "원리", "질서" 가 화해 추구의 원리로 제시되고 있다. 서방에 비해서 중국 전통적 조화사장은 윤리적 조화를 의미하며 이상적인 인격과 사회추구 속에 침투 체현되어 있다. 중국철학에서 사용하는 "예(祗)" 는 규범 추구의 조화적 경로를 의미 한다. 유가에서는 예(禮)를 중시하고, 도가에서는 "신(信)" 을, 불가에서는 "성(誠)"을 중시하며 중국 전통철학에서의 "인의예지신 (仁義禮智信)"은 전체 내용을 통섭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인정(人淸)을 중시여기고 법도를 경시여기는 중국 전통사회의 특징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생산력이 발달하지 못한 사회에서는 제아무리 아름답게 조화사회를 설계한다 해도 그 실현은 한낮 꿈에 불과하다. 공상저 사회주의자들이 조화 ``(회의 각종 실천방안을 제시한바 있으나, 뒤이어 과학적 사회주의가 탄생하여 인류의 조화사회추구가 꿈이 아니라 미래적 현실임을 선포하였다. 사회주의 이생을 실현함에 있어서 대다수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은 통치자의 "양지(良知)", "양심발현"을 생각했으며, 어떤 사람은 평화선전 내지 자기시범을, 소수사람들은 계급투쟁이나 폭력혁명을 주장했다. 그러나 어떻게 계급투쟁 올 시작하고 폭력혁명에 참여하는가하는 과학적 책략과 유효한 방법이 부족하였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자본주의 사회의 부조화 상홍을 깊이 고찰하고 역사적 고찰을 통해 자본주의 생산과 착취의 비밀을 파헤치고 무산계급과 자본계급의 대립적 경제근원을 밝혀냄으로써 공상에서 과학으로 가는 사회주의 실현의 길을 밝혀내었다. 사회주의 혁명 건설과 개혁적 장기 실천 중에 중국공산당은 마르크스주의 기본원리가 중국의 구체적 실제와 상합함을 알게 되었고 사회주의 발전 규율을 더욱 깊이 인식했으며, 중국공산당 16차 4중전회의에서 조화사회 건설 이념을 명확히 제출하면서, 조화사회 건설을 경제건설, 정치건설, 문화건설을 이뤄내는 중심개념이 되었다. 17차 대회에서는 더 나아가 사회 조화는 중국 특색 사회주의의 본질적 속성임을 강조하였다. 建立一美好的和諧的社會, 是千百年來人類普遍追求的夢想。從東方的"大同社會"、西方的"理想國"開始, 自由, 平等, 協調發展的和諧社會就成爲了人類永恒的價値理想。 從對中西哲學關系"和諧"問題發展的梳理中, 我們發現東方與西方世界同樣具有"和諧"精神的特質。 雙方都强調對立中的聯系、平衡與和諧, 都强調矛盾雙方的互爲補充、相鋪相成。 但中、西方對和諧的理解完不完全一致, 從西方哲學對和諧的倫述來看, 他們多用通緝的方法在抽象思瓣中通過槪念、範濤、命題, 如"數"、"善"、"正義"等來表達, 對和諧的規則上坼諸"理", 卽一個至高無上的"原則"或"鐵序", 用原則和鐵序來規範追求和諧的路徑。與西方相比, 中國傳統的和諧思想偏重的是倫理和諧, 慘透和體現了中國先哲對理想人格及社會的追求。 中國哲學用"禮"來規範追求和諧的路徑。儒家重禮、道家重誠, 中國傳統哲學中"仁、儀、禮、智、信"統攝了全部內容。正因如此, 中人情而輕法度也就成爲中國傳統社會一大特點。但是在生命力極不發達的社會裏, 無論人們設計的和諧社會藍圖多要精美, 却始終是個無法追尋到的夢。從空想社會義者建議和諧社會的各種實踐方案開始, 直到科學社會義的誕生, 宣告和證實了人類對和諧社會的追求, 不是夢幻, 而是未來的現實。在實現社會主義理想的過程中, 大多數空想社會主義者把希望寄托在統治者"良知"、"良心發現"上, 或者顧和平宣言傳乃至自身的示範帶頭, 少數人看到了階級斗爭或暴力革命的途徑, 但對如何發動階級斗爭, 高暴力革命, 却乏科學的策略和有效的方法。馬克思恩格斯通過對資本注意盛會的不和諧驚醒了深入的, 曆史的考察, 揭示了資本主義生産和剝削的秘密, 指出了無階階級和資産階階級對立的經濟根源, 從而租措到了實現社會主義的正確道路, 使社會主義由空想發展爲科學。在社會主義革命、建設和改革的長期實踐中, 中國共産黨人把馬克恩主義基本原理同中國具體實際相結合, 逐步深化了對社會主義發展規律的認識, 中國肝顫當的十六屆四中權會明確提出了建設和諧社會理念, 倂把和諧社會的建設放到同經濟建設、政治建設、文化建設倂列的突出位置。十七大進一步提出社會和諧是中國特色社會主義本質屬性的科學論斷。這是對科學社會主義的奉富和發展, 是從中國社會主初級階級的實際出發, 爲完成黨的曆史使命而得出的鄭重結論.

      • 『동다송』의 조화관에 관한 연구

        김경희 한국민족사상학회 2016 민족사상 Vol.10 No.3

        This thesis is research about Dongdasong's view of harmony. Many research paper are related about Dongdasong, but it is hard to seek out harmony. Researching at new viewpoint is distinguished from existing academic, also it takes a role about communication for direction such as making front road. Dongdasong's view of harmony set limits to four outlook - nature unity, cultivation, caring, transcendency. These values is analyzed coexistence, combination, communication. Before analyzing about Dongdasong's harmony, I ranged over harmonic concept and meaning. Then, contents are reflected to each view. These research are not explained by any one part. They are appeared as previously stated four views through the tea. Harmony makes us alive together and achieves unity communication. Dongdasong's harmony is not only limited tea, but it also influence human life. Moreover, It can exert as alleviation of moral pressure, and it gives afford and interaction to us living in busy with heartless modern society. 본 논문은 동다송의 조화관에 대한 연구이다. 동다송에 관한 논문은 많이 연구되어 있으나 조화관에 관한 논문은 찾아보기 힘들다. 동다송을 새로운 시각에서 연구하는 것은 기존의 논문과는 차별성을 가지게 되고 연구의 방향성을 소통(疏通)할 수 있는 즉, 물길을 트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동다송의 조화관은 자연일체적 조화관, 수양적 조화관, 양생적 조화관, 초월적 조화관의 네 가지로 한정시켜 연구하였고 조화관의 성격을 상생(相生), 화합(和合), 소통(疏通)으로 분석하였다. 조화관을 분석하기 이전에 조화관의 개념과 의미를 다루어 보았고 동다송의 내용전반에 대한 분석을 각각의 조화관에 대입하여 연구하였다. 동다송의 조화관은 어느 한 부분만으로 설명할 수가 없다. 이것은 차를 매개로 하여 나와 자연과 수양적인 면, 양생적인 면, 초월성이 모두 한데 어우러진 조화로 나타나 있다. 조화는 서로 생(生)하게 해주는 상생의 원리와 더불어 화합할 수 있게 만들고 소통할 수 있게 한다. 동다송에 나타나는 조화관은 비단 차(茶)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인간 생활전반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다. 다서에만 나타나는 조화가 아니라 각박한 현대 사회에 정신적 충격을 흡수하고 변화에만 급급한 사회에 정신적 여유와 소통을 안겨줄 수 있다고 확신한다.

      • 후진타오 조화사회론 속의 중국사회의 부조화 현상에 대한 연구

        신주식 ( Ju Shick Shin )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사회과학논총 Vol.11 No.-

        제1장에서는 서론을 구성되어 있고 제2장에서는 중국인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를 한 중국학자의 설문조사 결과를 인용하였는데 그 구체적인 설문조사 내용은 정치적 상황 과 관련한 환경요소와 도덕적 가치관 및 봉사정신과 희생정신과 관련된 환경요소로 나 뉘어져 있다. 지3장에서는 분야별 조화 지향적 및 부조화 지향적 환경요소와 중국 경제 사회 전환기에 나타내는 부조화 요소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 내용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뉘어 설명하고 있는데 첫째, 각 분야별 조화성과 부조화성 요소의 상대비교 둘째, 중국 경제사회 전환기에 나타나는 부조화 요소의 내용 셋째, 부조화 현상 발생의 배경요소 넷째, 중국 문화 및 중국 법률 인프라 상의 부조화 문제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세 번째의 부조화 현상 발생의 배정요소에 대한 설명 파트에서는 각 운야 간 발전 또 는 진보 상의 불균형 현상이 야기한 부작용, 중국문화 또는 중국 전통 사상과의 부소 화 현상이 야기한 부작용과 도덕, 윤리, 종교 본위 사회의 조화론이 야기한 부작용, 중국의 현존 사회분위기가 야기한 후유증 풍 의 제 가지 부작용 또는 후유증에 대한 언 급이 핵심내용으로 볼 수 있다 제4장에서는 부조화 요소의 제거와 개선을 위한 방안에 대해 설영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결론 부분으로 중국사회에서의 조화사회론의 관점에서 본 부조화 현상의 극복 방향과 전략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The chapter one of this paper includes the introduction of the thesis, and the chapter two of this paper explains about the results of questionaires answered by the Chinese people in connection with evironments of political factors and environments of moral points of views, ethics, spirits of service and spilits of sacrifice. The chapter three of this paper includes the explanation of harmony-oriented and disharmony-oriented environmental factors per each area, which used to appear in the turning points of Chinese society. Its contents include four" kinds of explanations, that is, relative and correlative comparison between the harmonious and disharmonious environmental factors, the contents of environmental disharmonious background factors which occurs in the turning points of Chinese society, the background factors of disharmony-oriented phenomena, the problems of disharmonious phenomena between the Chinese culture and Chinese legal infrastructures and global culture and global legal infrastructures etc. Especially, the essential contents of the above-mentioned third part of the background factors of disharmony-oriented phenomena are the side-effects and after-effect caused by ill-balanced phenomena, the side-effects and after-effect caus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Chinese culture and Chinese traditional ideologies and thoughts, the side-effects and after-effect caused by the currently existing social atmosphere in China. The chapter four of this paper includes the strategies of removal, elimination and improvement of disharmonious factors, and the final chapter five mentions about the conclusion which explains about directions and strategies of overcoming disharmonious phenomena from the view-points of the theory of Harmonious Society in Chinese society.

      • KCI등재

        국제민 · 상사분쟁해결에 관한 동아시아법의 현황과 미래

        석광현(Kwang Hyun Suk)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58-2

        한국, 중국과 일본으로 구성된 동북아시아 역내의 인적 및 물적 교류는 상당한 규모에 이르렀고 이는 장기적으로 꾸준히 증가할 것이다. 한중일 기업 간의 분쟁이 영국이나 싱가포르 등 역외에서 소송 또는 중재에 의해 해결되지만 그러한 분쟁 중 일부는 한국, 중국과 일본에서 소송 또는 중재에 의하여 해결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국제민 상사분쟁해결에 관한 동아시아법의 현황과 미래’라는 주제를 장래의 조화와 통일이라는 관점에서 다룬다. 중점은 동아시아의 협의의 국제사법의 조화와 통일에 있다. 한국의 국제사법은 2001년 7월 전문개정되었고, 일본의 법례는 “법의 적용에 관한 통칙법”으로 개정되어 2007년 1월부터 시행중이며 중국의 경우 2010년 처음으로 “섭외민사관계법률적용법”이 제정되어 2011년 4월 발효되었다. 동아시아 3국의 현행 국제사법규칙을 비교해보면 커다란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다. 이제 3국이 동아시아 역내 국제사법규칙을 통일 내지 조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노력을 시작해야 한다. 단기적으로는 광의의 국제사법규범을 통일 내지 조화시킬 필요가 있고 그 과정에서 헤이그국제사법회의 규범을 활용하는 한편 그를 기초로 보다 긴밀한 협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장기적으로 그에 추가하여 역내 실질사법규범을 통일 내지 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과정에서 국제연합(또는 UNCITRAL)과 UNIDROIT 및 국제상업회의소(ICC)의 규범을 적절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 논의순서는 아래와 같다. 동아시아에서 국제사법규범의 통일 내지 조화의 필요성(Ⅱ.), 동아시아 협의의 국제사법규범의 개관(Ⅲ.), 동아시아 협의의 국제사법규범의 주요 유사점과 상이점(Ⅳ.), 동아시아 협의의 국제사법규범의 통일 내지 조화의 추진방향(Ⅴ.), 동아시아 협의의 국제사법규범 통일 내지 조화의 한계와 극복방안: 국제거래 분쟁을 소송을 통하여 역내에서 해결하려는 노력(Ⅵ.), 동아시아에서 광의의 국제사법의 통일 내지 조화(Ⅶ.), 동아시아 국제상사중재규범의 통일 내지 조화(Ⅷ.)와 맺음말(Ⅸ). 근자에는 한중일간의 정치적 관계가 껄끄럽지만 이런 상황이 오래 가지는 않을 것이다. 국제사법규범을 통일 내지 조화시키는 작업을 통하여 국제사법전문가들이, ‘동아시아 지역의 공동번영과 국제무대에서의 상호협력’이라는 시대적 과제의 달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한국 국제사법 전문가들도 응분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Personal and material exchanges within Northeast Asia, consisting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Region”) have already reached a significant level, and are expected to continue the steady increase over the long term. Although disputes among the Region’s companies are usually resolved by litigation or arbitration abroad in the UK or Singapore, some of those disputes are resolved by litigation or arbitration in the Region. In this article, the author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of the East Asian Laws on international civil and commercial dispute resolution from the view point of future unification and harmonization. The focus is on the unification and harmonization of the Region’s private international law (the “PIL”) in its narrow sense. The new Private International Law Act of Korea replacing its predecessor came into force in July of 2001; the “Act on the General Rules of Application of Laws” of Japan replacing its predecessor became effective in January of 2007; the “Law on Application of Laws to Civil Matters involving Foreign Element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ich has been promulgated for the first time, took effect in April of 2011. The three PIL acts of the Region are similar in many aspects. Now it is time for the PIL experts in the Region to begin more systematic efforts to unify or harmonize the PIL rules of the Region. In the short term, we should make efforts to unify or harmonize the PIL rules in its broad sense. In the process, we should make use of the rules of the Hague Conference on Private International Law. We should also try to strengthen the cooperation in the Region based on the PIL rules of the Hague Conference. In the long term, we also need to unify or harmonize the substantive civil and commercial law in the Region. In that process, we need to make use of the rules of the UNCITRAL, UNIDROIT and the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More specifically, the author deals with the following issues: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or harmonization of the Region’s PIL rules (ChapterⅡ), an overview of the Region’s current PIL rules in its narrow sense (Chapter Ⅲ), the princip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Region’s PIL rules in its narrow sense (Chapter Ⅳ), the method of unifying or harmonizing the Region’s PIL rules in its narrow sense (Chapter Ⅴ), the limits of the unification or harmonization of the Region’s PIL rules in its narrow sense, and the ways to overcome such limits (efforts to resolve disputes by litigation in the Region) (Chapter Ⅵ), the unification or harmonization of the Region’s PIL rules in its broad sense (Chapter Ⅶ), the unification or harmonization of the Region’s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rules (Chapter Ⅷ) and concluding remarks (Chapter Ⅸ). Although the political relationship among Korea, China and Japan is troublesome at the moment, the author believes that such instability will not last long. The author hopes that the PIL experts in the Region could contribute to the achievement of the so-called task of the era, i.e ., “the mutual prosperity in the Region and the Region’s cooperation on the international stage”. The author also hopes that in that process Korean PIL experts could carry out their roles worthily.

      • KCI등재

        일반논문: 교육학 : 부부조화 프로그램이 부부 및 기혼남녀의 부부조화에 미치는 효과

        채경희 ( Kyung Hee Chae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4 인문학연구 Vol.0 No.47

        결혼생활을 유지하는 많은 부부들이 조화로운 부부관계를 소망하게 되는데, 부부조화란 서로 다름을 인정하면서 어울림을 추구하는 상생의 관계를 의미한다. 이것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상황에 적절하게 대처하면서 좋은 관계를 유지하여 부부의 행복감이 최대가 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실천해 가면서 사는것이 쉽지는 않다. 특히 부부 제각기 인생 전반기동안 원가족과의 생활에서 역기능적인 상호작용 경험이 많거나, 부모와의 관계에서 자기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또는 부부 각자가 가지고 있는 가치관, 결혼생활에 대한 기대, 자녀양육 방식의 차이 등 다양한 요소들이 부부 간의 조화로운 관계를 방해하고 결혼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부부문제를 야기하는 다양한 원인과 부부관계의 복잡성은 부부문제의 해결을 어렵게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 지며, 대안적 연구로 부부조화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프로그램 구성, 연구 대상, 척도 사용, 프로그램 효과 측면에서 몇 가지 문제점을 보완하여 부부와 기혼남녀 모두에게 일반화하는 연구를 하기 위해 부부조화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부부조화 프로그램은 부부 및 기혼남녀의 부부조화 전체를 향상시키며, 부부조화 하위요인(부부조화인지, 부부조화정서, 부부조화행동, 부부조화실천)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married couple harmony program on the married couple harmony of couples in marriage and married men and women. In order to verify these hypotheses, twenty couples in marriage and married men and women were selected out of married people in K city as the subjects. The married couple harmony program was carried out only on the experimental group two or three times a week for five weeks, 11 sessions and each session required 90~120 minutes. The effectiveness of the married couple harmony was measured with rating scale of Married Couple Harmony Scale developed by Lee, Jin-A and Kim, Seong-Hoi(2010).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test, post-test and follow up-test.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married couple harmony program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whole married couple harmony and four subordinate areas of married couple harmony of couples in marriage and married men and women.

      • KCI등재

        면적비에 따른 2색배색의 색채조화와 심리메트릭량의 관계

        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1

        본 연구는 면적비에 따른 2색배색의 색채조화의 변화를 검증하고 배색의 심리메트릭량 별 면적비와 조화도의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 1에서는 63명의 피험자가 1 : 1 면적비 구성의 2색배색을 조화도가 증가되도록 면적비를 조절하였고 실험 2에서는 40명의 피험자가 실험 1에서 조절된 면적비로 구성된 배색의 조화도를 평가하였다. 두 실험에서 사용된 배색샘플은 선행연구에 서 평가된 조화도를 기준으로 조화도가 높은 고평가군과 낮은 저평가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험 결과, 대부분의 샘플이 면적비가 조절되었을 때 조화도가 증가되었고 증가의 폭은 저평가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고평가군의 배색은 면적비를 변화시켜도 조화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색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저평가군의 배색은 면적비에 따라 조화도가 변할 수 있는 색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즉, 면적비는 배색의 색채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지만 배색 구성색의 심리메트릭량이 조화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고평가군 배색의 심리메트릭량의 특징은 평균명도가 높고 명도차가 크며 색상차가 작다. 저평가군의 특징은 이와 반대인데 면적의 비율에서 소면적을 극소화시킨 엑센트배색의 경우 조화도가 증가되었다. 이때 소면적에 저명도색을 적용시켜 두 색의 명도차를 강조하고 고명도의 면적을 크게 하여 전체적으로 평균 명도가 높아지도록 하는 것이 조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색상차가 크다는 것을 강조하지 않기 위해 2색 중 한쪽을 소면적으로 적용하면 조화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what change color harmony of two-color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area ratio, and to identify the relation between the area ratio and harmony for the psychological metric quantities respectively. In Experiment 1 for 63 subjects, area ratio of two-color combination composed of 1 : 1 area ratio was modulated to increase the harmony. In Experiment 2, 40 subjects evaluated the harmony of two-color combination composed of the modulated area ratio from Experiment 1. Two-color combination samples used for both experiments were comprised of the high evaluated group and low evaluated group based on the harmony assessed from previous study. As a result, harmony increased when modulating the area ratio in most samples of high and low evaluated groups. However the increase was higher in the low evaluated group. It suggests that samples of the high evaluated group are formed by colors rarely influencing the harmony even when area ratio is changed but that of the low evaluated group are formed by colors influencing the harmony according to the area ratio. In other words, it showed that area ratio has an effect on the color harmony of two-color combination but psychological metric quantity is an important factor deciding the harmony. In the high evaluated group, harmony increase when they have high mean lightness, large lightness difference, and small hue difference. On the contrary, harmony may increase if accent combination is applied for the more minimized small area, in the low evaluated group. Here, as for the small area, harmony may be enhanced through applying low lightness colors, emphasizing lightness difference of both colors and enlarging the area of high lightness so elevating the mean lightness. Besides, in order not to emphasize a large hue difference, it is possible for increasing the harmony in case small area is applied to one of two colors.

      • KCI등재

        대학생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개발

        김성회,박경희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IRHP)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b-factor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needs and literature research on the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extracted sub-factors were interpersonal cognitions, interpersonal emotions, and interpersonal behaviors. In this study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was operationally defined as the total scores of the three factors assess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Scale(Park & Kim, 2008). The concep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is derived from Rogers(1961), Ruscher(1985), Tracy(2003), Corey(2005), HITS(harmony of individual, time, and space) theory(Kim, 2007). According to the HITS theory, a person can be explained in three dimensions, that is, individual, time, and space dimension. People can realize their ability at their maximum when they maintain harmony in these three dimensions. To maximize personal ability, harmony in the personal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in the present space should be integrated with ot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precedent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procedures were as follows: confirmation of necessity for program development, survey of needs, formulation of goal and objective, selection of measuring instrument, construction of content and composition of strategies, selection of comparative program, implementation of preparatory program, adjustment and supplementation of program, implementation of program, evaluation of program, decision and management of progra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the following methods.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made up of 10 sessions, 120 minutes per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30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were randomly alloted into three groups. the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gram group as a treatment group, Assertiveness Training Program group as a comparative group, and no treatment group as a contro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10 University Students. Each student in the treatment group and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a total of 10 sessions weekly.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had no treatment. Th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rk & Kim, 2008)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Jeon, 1994) were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grams, a pretest before the program and a posttest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were administered A follow-up test was administered after 4 weeks to examine the durability of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the statistical analysis 30 data were finally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programs, Multivariate repeated-measure analysis was conducted. The program used for data analysis was SPSS 15.0 for Windows and the significance level for hypothesis testing was set at .05.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compara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levels of overall harmony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f sub-factors such as the interpersonal cognition, the interpersonal behavior, and the interpersonal emotion. The comparative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the treatm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level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nclusion, it was shown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was developed properly.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대인관계 상황에서 개인내의 인지, 정서, 행동 간의 조화 및 관계에서의 조화를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을 대학생에게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대인관계의 중요성, 대인관계의 개념 및 대인관계 조화의 개념을 확립하고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D광역시 소재 K대학교와 Y대학교에 재학중인 338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의 어려움을 파악하고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 및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실제적 필요성도 확인한 후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설정, 측정도구 선정, 프로그램 내용 및 전략 구성, 비교 프로그램 선정, 프로그램 예비 실시,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프로그램 실시, 프로그램 평가, 프로그램 확정 및 관리의 11단계를 거처 대학생용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과 가장 유사하게 인지와 정서 및 행동을 다루면서 대인관계 증진 효과가 있는 주장훈련 프로그램을 비교프로그램으로 선정한 후 D광역시 K대학교 재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 비교집단(주장훈련 프로그램), 통제집단(무처치)의 세 집단으로 나누어 10주 동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이 진행되기 1주일 전인 사전면담 회기에 대인관계조화 척도와 대인관계 척도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최종회기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 추후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모두 대인관계조화와 대인관계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었으나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인관계조화 프로그램의 활용방안 및 연구의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