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방 미세석회화 조직검사에서 X선 유도 하 조직검사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의 유용성

        최미선,송종남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3

        유방암에 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진단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검사는 유방 X선 촬영 과 유방 초음파 검사이다. 특히 유방 미세석회화는 조직학적 진단을 필요로 하며 유방 미세석회화 조직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미세석회화 진단에 기본이 되는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edle localized open biop sy)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를 분석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유방 미세석회화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확대 촬영을 시행한 241예를 대상으로 X선 유도 하 조직검 사(needle localized open biopsy)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의 연령대 별 분 포와 병소의 위치를 분석하고 확대촬영 시행 후 이루어진 검사를 분류해서 X선 유도 하 조직검사와 초음 파 유도 하 조직검사의 빈도를 분석하고 악성과 양성의 결과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X선 유도 하 조직검 사(needle localized open biopsy)가 64예(26.6%)로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 1 2예(4.9%)에 비해 5.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장비의 발달과 입체정위 흡입법(stereotactic vacuum-assisted biopsy)등의 발달로 미세석회화의 조직 학적 진단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지만, 각각 검사의 특성과 한계점을 고려해 볼 때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 edle localized open biopsy)가 유방 미세석회화 병변에서는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제공한다고 사료된다. Social interest in breast cancer has increased. The most basic exams for diagnosis include breast X-ray and breast ultrasound. In particular, breast microcalcification requires histological diagnosis, and breast microcalcification biopsy is commonly perform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assess X-ray guided biopsy (needle localized open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 which are basics in diagnosis of microcalcification. Targeting 241 cases in which magnification mammography was performed for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due to breast microcalcification, age distribution and the location of lesions were analyzed in X-ray guided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By classifying exams performed after magnification mammography, the frequencies of X-ray guided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were analyzed, and malignant and benign results were confirmed. The results showed that 64 cases(26.6%) were X-ray guided biopsy, which was 5.4 times higher than 12 cases(4.9%) of ultrasound guided biopsy. Due to development of ultrasound equipments, stereotactic vacuum-assisted biopsy, etc. the methods of histological diagnosis of microcalcification have become diverse, but whe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each exam, X-ray guided biopsy is thought to be most accurate and useful.

      • KCI등재후보

        Usefulness of X-ray Guided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in Breast Microcalcification Biopsy

        최미선(Mi seon Choi),송종남(Jong nam Song)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3

        유방암에 관한 사회적인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진단의 가장 기본이 되는 검사는 유방 X선 촬영과 유방 초음파 검사이다. 특히 유방 미세석회화는 조직학적 진단을 필요로 하며 유방 미세석회화 조직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이에 미세석회화 진단에 기본이 되는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edle localized open biop sy)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를 분석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유방 미세석회화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확대 촬영을 시행한 241예를 대상으로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edle localized open biopsy)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의 연령대 별 분포와 병소의 위치를 분석하고 확대촬영 시행 후 이루어진 검사를 분류해서 X선 유도 하 조직검사와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의 빈도를 분석하고 악성과 양성의 결과를 확인 하였다. 그 결과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edle localized open biopsy)가 64예(26.6%)로 초음파 유도 하 조직검사(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 12예(4.9%)에 비해 5.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장비의 발달과 입체정위 흡입법(stereotactic vacuum-assisted biopsy)등의 발달로 미세석회화의 조직학적 진단방법이 다양해지고 있지만, 각각 검사의 특성과 한계점을 고려해 볼 때 X선 유도 하 조직검사(needle localized open biopsy)가 유방 미세석회화 병변에서는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을 제공한다고 사료된다. Social interest in breast cancer has increased. The most basic exams for diagnosis include breast X-ray and breast ultrasound. In particular, breast microcalcification requires histological diagnosis, and breast microcalcification biopsy is commonly performe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and assess X-ray guided biopsy (needle localized open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sono guided core needle biopsy), which are basics in diagnosis of microcalcification. Targeting 241 cases in which magnification mammography was performed for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due to breast microcalcification, age distribution and the location of lesions were analyzed in X-ray guided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By classifying exams performed after magnification mammography, the frequencies of X-ray guided biopsy and ultrasound guided biopsy were analyzed, and malignant and benign results were confirmed. The results showed that 64 cases(26.6%) were X-ray guided biopsy, which was 5.4 times higher than 12 cases(4.9%) of ultrasound guided biopsy. Due to development of ultrasound equipments, stereotactic vacuum-assisted biopsy, etc. the methods of histological diagnosis of microcalcification have become diverse, but whe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each exam, X-ray guided biopsy is thought to be most accurate and useful.

      • KCI등재

        자궁경부 Papanicolaou 세포진 검사에 관한 연구

        서영훈 ( Young Hoon Suh ),하미나 ( Mi Na Ha ),박충학 ( Choong Hak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5 No.9

        목적 : Papanicolaou 자궁경부 세포진검사 결과를 TBS에 의거하여 분석하고, 이상 소견을 보인 세포진검사 결과는 세포학적인 진단을 최종적인 병리조직학적 진단과 비교·분석하여 그 상관성을 알아봄으로써, 임상진료는 물론이고 향후 최근의 자궁경부암검사 방법 (New trends of cervical cancer detection)인 ThinPrep Pap Test 및 Computerized Screening Test 시도에 대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1999년 1월 1일부터 2000년 12월 31일까지 만 24개월 간 단국대학교의료원 산부인과 외래 Clinic을 방문한 환자 (OG 군)와 건강진단을 받기 위해 종합건강진단센터와 산업의학과를 방문한 환자 (HC 군) 중에서 Papanicolaou 자궁경부 세포진검사를 시행한 10,80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세포진검사 결과와 병리조직학적 진단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1. 연구 대상 총 10,807명의 자궁경부 세포진검사 결과를 TBS에 의거하여 분류하였을 때, 검체가 판독하기에 만족스러운 경우가 10,787명 (99.81%)이고, 불만족한 경우가 20명 (0.19%)이었다. 세포학적 진단은 WNL인 경우가 5,501명 (51.00%), BCC 4,911명 (45.53%), ASCUS 168명 (1.56%), LSIL 67명 (0.62%), HSIL 89명 (0.83%), SCC 34명 (0.32%), AGUS 16명 (0.15%), ACC 1명 (0.01%)이었다. ASCUS/SIL 비는 1.08이었다. OG 군에서는 WNL, ASCUS, LSIL, HSIL, SCC가, HC 군에서는 BCC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2. 환자의 연령분포를 살펴보면 19세 이하가 9명, 20대 1,011명, 30대 3,244명, 40대 3,110명, 50대 2,218명, 60대 1,035명, 70대 148명, 80세 이상 12명으로 평균 연령은 44.03세이고 표준편차는 11.43이었다. 통계학적으로 HC 군이 OG군과 비교하여 평균 연령이 유의하게 많았고, 세포진검사 결과에서는 BCC와 ASCUS에서 HC 군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평균 연령이 많았다. 3. 자궁경부 세포진검사상 결과가 비정상 (ASCUS 또는 AGUS 이상)으로 나온 경우는 375명이었고 연령분포변로는 20대 39명, 30대 106명, 40대 90명, 50대 88명, 60대 37명, 70대 14명, 80세 이상이 1명이었다. 비정상예 중에서 HSIL 이상의 병변이 나온 경우는 124명 (33.07%)이었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HSIL 이상의 고등급 세포학적 진단 (HSIL or worse)을 보였다. HSIL 이상의 고등급 세포학적 진단은 OG 군(245명 중 95명, 38.78%)이 HC 군 (130명 중 29명, 22.31%)보다 많았다. 4. TBS에 따른 비정상 세포진검사 결과 375명 중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한 예는 176명 (46.93%)이었으며, 세포학적 진단이 ASCUS인 환자 56명 중 21명 (37.5%)이 LSIL 이상의 조직학적 진단을 보였고, 세포학적 진단이 LSIL/HSIL/SCC인 환자 112명 중에서는 91명 (81.25%)이 LSIL 이상의 조직학적 진단을 보였다. 고등급 조직학적 진단 (high-grade histologic diagnoses; HSIL, SCC, ASC, AIS, ACC and other CA)을 보인 경우는 ASCUS 56명 중 14명 (25.00%), LSIL 24명 중 6명 (25.00%), HSIL 63명 중 55명 (87.30%), SCC 25명 중 24명 (96.00%), AGUS 7명 중 5명 (71.43%), ACC 1명 중 1명 (100.00%)이었다. 전체적으로는 조직검사를 시행한 176예 중 105명 (59.66%)에서 고등급 조직학적 진단을 보였다. 편평상피세포이상에서는 세포학적 진단이 고등급으로 갈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고등급 조직학적 진단이 증가하였다. 세포학적 진단이 AGUS인 환자 7명 중에서는 5명 (71.43%)이 HSIL 이상의 조직학적 진단을 보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베데스다 시스템에 의거한 자궁경부 Papanicolaou 세포진검사의 결과는 문헌상의 다른 연구 보고들과 비슷하였고, 연구대상이 선별검사와 고위험 군 (Screening and high-risk population)인 OG 군과 선별검사 군 (Screening population)인 HC 군 사이의 비교에서는 HC 군이 OG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전체적인 평균 연령과 BCC가 많았고 BCC/ASCUC 진단에서도 평균 연령이 많았으며, 편평상피세포이상에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HSIL 이상의 고등급 세포학적 진단을 보이고 세포학적 진단이 고등급으로 갈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고등급의 조직학적 진단이 증가하였다. 또한 이 연구 결과는 향후 자궁경부암 및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의 진단율을 높이는 최근의 검사방법인 ThinPrep Pap Test와 Computerized Screening Test 시도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n important basic data which would be useful not only in clinical practice but also in clinical trial of ThinPrep Pap Test and Computerized Screening Test as the new trends of cervical cancer detection, by analyzing the conventional Papanicolaou cervical cytologic test according to The Bethesda System (TBS) and investigating the correlation between abnormal cytologic diagnoses and histologic diagnoses.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outpatient clinic (OG group: high risk and screening population ) and in Health Check-up Center/Industrial Medicine clinic (HC group: screening population) at Dankook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 1999 to December 31, 2000. Ten thousand and seven hundred eighty seven cases (5,019 cases in OG group and 5,768 cases in HC group) who underwent conventional Papanicolaou cervical cytologic test were analyzed. Abnormal cytologic diagnoses ([Atypical Squamous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SCUS) or worse]) were compared with histologic diagnoses as a reference standard. Results : Followings are the results summarized. 1. Of the 10,807 patients, 20 (0.19%) were diagnosed as unsatisfactory for evaluation. Of 10,787 cases, there were 5,501 (51.00%) cytologic diagnoses of Within Normal Limit (WNL), 4,911 (45.53%) of Benign Cellular Change (BCC), 168 (1.56%) of ASCUS, 67 (0.62%) of 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LSIL), 89 (0.83%) of 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HSIL), 34 (0.32%) of Squamous Cell Carcinoma (SCC), 16 (0.15%) of Atypical Glandular Cell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GUS) and 1 (0.01%) of Adenocarcinoma (ACC), respectively in conventional Papanicolaou smear series. The ASCUS/SIL ratio was 1.08. Statistically, there were more cytologic diagnoses of WNL, ASCUS, LSIL, HSIL, and SCC in OG group but BCC in HC group. 2. The age distribution of patients were as follows: 9 cases under 19 years, 1,011 in the 20`s, 3,244 in the 30`s, 3,110 in the 40`s, 2,218 in the 50`s, 1,035 in the 60`s, 148 in the 70`s, and 12 over 80 years. The mean age was 44.03 years. The mean age of H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G group. The mean ages of BCC and ASCUS in HC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G group. 3. Of 10,787 cases, there were 375 abnoraml cytologic diagnoses (ASCUS/AGUS or worse): 245 in OG group and 130 in HC group. Statistically, there were more high-grade cytologic diagnoses (HSIL, SCC, and ACC) both in older age and in OG group. 4. Of 375 cases with abnormal cytologic diagnoses, 176 patients had histologic diagnoses. Of the 56 ASCUS, 21 (37.5%) showed positive histologic LSIL or worse diagnoses. Of the 112 cytologic LSIL or worse cases, 91 (81.25%) showed positive histologic LSIL or worse diagnoses. Of the 7 AGUS, 5 (71.43%) showed HSIL or worse diagnos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ytologic diagnoses and high-grade histologic diagnoses in squamous abnormalities.

      • 촉지되는 연부조직 종괴의 진단에서 초음파 검사의 유용성

        박태수,김홍식,김성준,류정아,Park, Tae Soo,Kim, Hong Sik,Kim, Sungjun,Ryu, Jeong Ah 대한정형외과초음파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Vol.4 No.2

        목적: 신체 검사 및 초음파 검사를 통한 연부조직 종괴의 진단과 수술 후 조직검사를 통한 결과를 상호 비교, 분석하고 초음파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원에서 연부조직 종괴에 대해 수술 전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였고, 조직학적 생검을 통한 병리학적 검사로 확진을 받은 총 8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를 바탕으로 한 임상적 진단과 초음파 검사를 이용한 진단의 정확도를 조직학적 생검을 통한 확진을 바탕으로 상호 비교하였다. 결과: 초음파를 이용한 수술 전 진단의 정확도는 86.7%로 신체 검사만을 통한 진단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초음파 검사의 경우 표피성 봉입낭종(epidermal inclusion cyst)인 경우 71.4%, 결절종은 85.7%, 지방종은 88.6%의 정확도를 각각 나타내었다. 반면 신체 검사와 병력 청취를 통하여 임상적 진단이 가능했던 경우는 총 54례로, 이 중 33례에서 병리적 진단과 일치하여 61.1%의 민감도를 보였다. 이 경우 종양별 진단 정확도는 결절종이 56.0%, 지방종이 67.9%로 나타났다. 결론: 초음파는 수술 전 연부조직 종괴의 진단에 있어 매우 유용한 진단 수단의 하나로 사료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clinical efficacy of the ultrasonography (US) for the diagnosis of the soft tissue masses comparing to the clinical diagnosis through the physical examination. Materials and Methods: 83 consecutive patients with palpable soft tissue masses were presented retro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pathological diagnosis after the operation, the diagnostic accuracies were evaluated the cases diagnosed by history taking and physical examination, and the cases diagnosed by US before the operation. Results: The diagnostic accuracy of the cases using US was higher(86.7%) than that of the cases using physical examination and history taking. The accuracy of US of the epidermal inclusion cyst was 71.4%, ganglion cyst 85.7%, lipoma 88.6%, respectively. Accurate diagnosis were made 54 cases with 65.1% sensitivity in the cases diagnosed by history taking and physical examination. In this case, its accuracy of the ganglion cyst was 56.0%, and the lipoma was 67.9%. Conclusion: US is a useful diagnostic tool for the diagnosis of the palpable soft tissue masses before the operation.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암 선별검진을 위한 PapSure 검사에서 Spiral Brush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송언호,김어진,명나혜,박충학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4

        2001년 12월 1일부터 2002년 6월 30일까지 만 7개월 간 단국대학교의료원 산부인과 부인종양 Clinic에서 자궁경부암 선별검진을 위한 PapSure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SpiraBrush Cx_® 검사를 실시한 33예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의 Papanicolaou 세포진 검사의 진단과 SPiraBrush Cx_®)에 의한 Papanicolaou 세포진 검사의 진단 및 최종적인 병리조직학적 진단을 비교, 분석하여 SpiraBrush Cx_®에 의한 세포진 검사가 생검에 의한 조직검사를 대체할만한 유용성이 있는지 그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환자의 연령별 분포는 21세에서 70세까지였으며 40-49세 군이 42%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고, 평균 연령은 45.7세였다. 2. 환자의 평균 임신횟수는 3.6회였으며, 평균 출산횟수는 2.0회였다. 3. 기존의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Conventional Papanicolaou cytology)상 진단이 음성으로 나온 경우가 19예(57.6%)였고, ASC를 포함하여 양성으로 나온 경우가 14예(42.4%)였다. 자궁경부 형광경진 검사(Speculoscopy)에서는 음성이 13예(39.4%)였고, Suspicious 진단을 포함하여 양성으로 나온 경우가 20예(60.6%)였다. SpiraBrush Cx®에 의한 세포진 검사(SpiraBrush Cx_® Papanicolaou cytology)에서는 진단이 음성인 경우가 8예(24.2%)였고, ASC를 포함하여 양성으로 나온 경우가 25예(75.8%)였다. 4. 병리조직학적 검사의 진단은 음성 12예(52.2%), 저등급 편평상피내병변(Low-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ion: 이하 LSIL이라 함) 2예(8.7%), 고등급 편평상피내병변(High-grade Squamous Intraepithelial lesoin: 이하 HSIL이라 함) 3예(13.0%), 편평세포암(Squamous Cell Carcinoma: 이하 SCC라 함) 6예(26.1%)였다. 5. 검사 결과의 양성판정 기준을 세포진 검사의 경우는 ASC 이상으로 하고 조직학적 검사의 경우는 LSIL이상으로 정할 경우, 기존의 Papanicolaou 세포진 검사의 민감도는 63.6%이고 특이도는 66.7%였으며, SpiraBrush Cx_®세포진 검사의 민감도는 90.9%이고 특이도는 33.3%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연구 대상의 숫자가 적어서 통계학적인 유의성은 찾을 수 없으나 SpiraBrush Cx_®가 자궁경부암 선별검진에서 생검에 의한 자궁경부의 조직학적 진단을 대체하지는 않는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기존의 Papanicolaou 세포진 검사의 민감도가 63.6%인데 반하여 SpiraBrush Cx_® 세포진 검사의 민감도는 90.9%로 훨씬 더 높았으며 이로 인해 SpiraBrush Cx_® 세포진 검사의 특이도는 33.3%로 훨씬 낮았는데 이는 매우 흥미있는 사실로서 향후 많은 Data로 더욱 연구하여 진위를 구분함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SpiraBrush Cx_® 기구의 강모들이 단단하고 날카로워서 기저막층까지의 조직과 상피층 세포들을 탈락시키면서 많은 출혈을 초래하여 슬라이드 판독에 어려움을 주었고 이는 연구 결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리라고 생각되는 바, 이러한 출혈로 인한 요인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하며 향후 SpiraBrush Cx_® 세포를 채취한 후 최신의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법인 ThinPrep Pap Test를 이용하거나 조직표본을 만들기 위한 Cellblock 기법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판단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icacy of a new stiff bristled spiral shaped brush (SpiraBrush Cx_(??))∼in) PapSure Test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by comparing SpiraBrush Cx_(??) cytologic diagnoses with conventional Papanicolaou cytologic diagnoses and final histologic diagnoses. Methods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Gynecologic Oncology Clinic of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Dankook University Medical Center from December I, 2001 to June 30, 2002. Thirty three cases who underwent PapSure Test (Pap cytology t Speculoscopy) were analyzed. SpiraBrush Cx_(??) Papanicolaou cytologic diagnoses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Papanicolaou cytologic diagnoses and histologic diagnoses as a reference standard. Results : Followings are the results summarized. 1. Age distribution was between 21 and 70. The mean age was 45.7 years. 2. The mean gravidity was 3.6 and the mean parity was 2.0. 3. There were 19 (57.6%) conventional Papanicolaou cytologic diagnoses of Negative, and 14 (42.4%) of Positive including ASC. There were 13 (39.4%) Speculoscopy diagnoses of Negative, and 20 (60.6%) of Positive including Suspicious. There were 8 (24.2%) SpiraBrush Cx_(??) cytologic diagnoses of Negative and 25 (75.8%) of Positive including ASC. 4. There were 12 (52.2%) histologic diagnoses of Negative, 2 (8.7%) of LSIL, 3 (13.0%) of HSIL, and 6 (26.1%) of SCC,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BS, 2001. 5. For detecting LSIL or worse lesions, conventional Papanicolaou cytologic test yielded sensitivity of 63.6% and specificity of 66.7%. On the other hand, SpiraBrush Cx_(??) cytologic test yielded sensitivity of 90.9% and specificity of 33.3%. Conclusion : SpiraBrush Cx_(??) cytologic diagnosis does not seem to have clinical efficacy replacing the histologic diagnosis by punch biopsy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in this study. But further studies using ThinPrep Pap Test or Cellblock techniques with large data will be required and anticipated.

      • KCI등재

        자기조직화지도 신경망을 활용한 의료 진단검사 결과 패턴인식 모델

        박상찬(Sang Chan Park),이장희(Jang Hee Lee) 대한경영학회 2016 大韓經營學會誌 Vol.29 No.1

        의학 및 생물학계에서 질병의 조기 선별이나 진단을 위해 인체에서 발생하는 각종 검체에 대해 다양한 진단검사가 시행되고 있고, 진단검사 결과 데이터는 질환을 표지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기에 정확한 분석과 해석이 수행되어야 한다. 의료기관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유형의 의료 진단검사로부터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최적의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정보 및 지식화 함으로써 이를 기준으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필요가 있고 최근 이러한 노력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의료 진단검사 결과 데이터에 존재하는 검사결과 패턴들을 추출하고 분류하여, 의료진의 신속․정확한 의사결정과 종합적인 통찰력 향상을 지원할 수 있는 의료 진단검사 결과 패턴인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 모델의 1단계에서는 자기조직화지도 신경망을 활용하여 의료 검사 데이터에 존재하는 유의한 진단검사 결과 패턴들을 추출한다. 최적의 진단검사 결과 패턴만을 추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에서는 Davies-Bouldin 지수를 산출하여 최적의 패턴 수를 결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자기조직화지도 신경망을 사용하여 패턴을 추출한다. 제안 모델의 2단계에서는 신규 수진자의 진단검사 결과 데이터가 발생하면 1단계에서 추출했던 최적의 진단검사 결과 패턴들과의 내적 값을 산출하여 유사도 수준을 규명하여 신규 수진자의 진단검사 결과 패턴으로 분류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패턴인식 모델을 국내에서 다양한 의료 진단검사를 수행하는 의료기관에서 수행한 89종의 혈액 진단검사 데이터 집합에 적용함으로써 실무 적용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제안 모델의 적용을 통해, 우선적으로 수진자의 성별과 연령대별로 존재하는 89종 혈액 검사결과 패턴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통해, 성별과 연령대별로 유의하게 존재하는 89종 혈액 검사의 중요한 특징과 경향 및 수진자 개별로 존재하는 특징 및 경향이 무엇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추출한 진단검사 결과 패턴들을 기준으로 신규 수진자의 혈액 검사 데이터를 패턴 매칭함으로써, 신규 수진자의 진단검사 결과 패턴을 분류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제안한 진단검사 결과 패턴인식 모델이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대용량 데이터의 분석 및 가공을 통해 의료기관의 의료 정보 및 지식 관리 실무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Davies-Bouldin 지수와 자기조직화지도 신경망의 논리적인 연계 활용과 자기조직화 신경망 기반의 지식 추출 및 지식 활용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패턴인식 모델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In the academic area of medicine and biology, various diagnostic tests on all sorts of samples occurred from human body have been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arly screening and diagnosis for diseases. Medical institutions nee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to offer a good quality of medical service, which can informationize large amounts of data generated from various types of medical diagnostic test performed. This study proposes a new pattern recognition model (refer to the following figure). [그림본문참조] The model is composed of two phases. In the first phase, the proposed model uses Self-Organizing Map neural network to extract all existing test results patterns within the previous medical test results data. It calculates Davies-Bouldin index to determine the optimal number of extracted patterns before using Self-Organizing Map neural network. The extracted test results patterns are stored in the knowledge repository with the form of Self-Organizing Map weight vector. In the second phase, the proposed model uses all extracted patterns to classify the pattern of the test data of a new examinee by measuring similarity levels between the his/her test data and the extracted patterns. It calls similarity level between them “similarity score”, which is obtained by calculating their inner products. The similarity score (SS) has the value between 0 and 1. The model classifies a new examinee’s test result data by comparing its similarity score with similarity criteria. In case the similarity score is higher than similarity criteria, the model assigns a special pattern to that examinee. We applied the proposed model to the 89 kinds of blood diagnostic tests data in domestic medical institution. The domestic medical institution provided the 89 kinds of blood diagnostic tests such as liver function test, Hepatitis viruses test, renal function test, electrolyte and metabolism test, lipid and cardiovascular system test, blood-sugar test, gout and rheumatic diseases test, hematodyscrasia test, urine test, anemia test, thyroid test, carcino-marker test, etc. This study has implications at aspects of both practice and research. For practice, the proposed model can help medical team to find accurate status information on several test results quickly, which could contribute to make next optimal progress. For research, this study contributes to hybrid application knowledge of Self-Organizing Map neural network and Davies-Bouldin index.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We only considered Self-Organizing Map neural network in our research. In future work, more other clustering method, such as expectation-maximization clustering algorithm,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e will also apply the model to other kinds of medical data to get more validation.

      • 전립선 용적의 변화에 따른 전립선암 발생과 혈액학적 인자들의 변화에 관한 연구

        이형진(Hyeong-jin Lee),김현진(Hyeon-jin Kim),이성구(Sung-gu Lee),정양화(Yang-hwa Jung),이원홍(Won-hong Lee)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5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6 No.1

        목적 : 전립선의 크기에 따른 전립선암과 혈액학적 인자들과의 연관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기간 동안 경직장 초음파 검사와 전립선 조직검사, 혈액 검사를 함께 시행한 환자 882명(평균연령; 65세, 범위; 35-91세)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전립선의 Total Volume과 Central Volume을 측정하고 전립선을 좌우 각각 6개씩 총 12구역으로 나누어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얻은 조직은 병리과에 판독을 의뢰하여 그 결과 값을 참조하였다. 전립선의 크기에 따른 조직검사의 결과와 나이, 전립선특이항원, 빌리루빈, 크레아틴, 알부민, 프로테인, 헤모글로빈 및 혈소판 등의 혈액검사 수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 전립선 용적이 20 ml이하를 기준으로 했을 때 용적이 41.00 ml 이상일 경우 나이가 1.03배, Central Volume에서는 볼륨이 21-30ml인 경우 1.71배, 31-40 ml인 경우 2.39배, 41ml 이상인 경우는 3.29배 였다. 조직검사 결과 값에서는 전립선 용적이 41.00 ml 이상일 경우 20 ml이하 보다 전립선암의 발생이 1.87배 높게 나타났다. 결론 : 나이가 많아질수록 전립선의 용적은 커지고, 전립선의 용적이 커질수록 전립선암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립선 용적이 40ml 이상의 성인 남성에 있어서는 지속적인 경직장 초음파검사와 직장수지검사를 시행하여 의심되는 경우에 조직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전립선암의 조기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association was whether with prostate cancer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prostate. Materials and Methods: During the period January to December 2014 transrectal ultrasound and prostate biopsy,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nd then targeting patients underwent 882 people with a blood test. Measuring the Total Volume and Central Volume of prostate and prostat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zones, each 6 each of 12 tissue obtained by biopsy were asked to refer to the result by reading the pathology. Biopsy results and ag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rostate, prostate-specific antigen, bilirubin, creatinine, albumin, protein, blood levels were analyzed, such as hemoglobin, and platelets. Results: In the case of prostate volume greater than 20 ml in volume when the basis of age is 1.03 times more than 41.00 ml, Central Volume In the case of volume 21-30ml 1.71 times, 31-40 ml of 2.39 times the case, not less than 41ml was 3.29 times. Biopsy results in prostate volume were 41.00 ml if there is more than the occurrence of prostate cancer than 1.87 times higher than 20 ml. Conclusion: The age is increasing volume of the prostate is to be increased, the greater the volume of the prostate was higher the probability of prostate cancer. If you suspect prostate volume by transrectal ultrasonography and conduct ongoing digital rectal examination in the 30ml or more men to biopsy is believed to be helpful in the early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 KCI등재

        다양한 질환에서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Trucut 조직검사의 진단적 활용

        이진호,이정환,송정훈,옥경선,장원철,류수형,김유선,문정섭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10 Clinical Endoscopy Vol.40 No.1

        Background/Aims: Endoscopic ultrasound-guided trucut biopsy (EUS-TCB) is a relatively new method, which facilitates obtaining a core biopsy through the gut wall. We evaluated the diagnostic accuracy of EUS-TCB based on the types of lesion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database of 37 cases in 35 patients (mean age, 57.2±2.3 years; 23 men) with thoracic and abdominal masses who got EUS-TCB between January 2007 and June 2008. Final diagnoses were determined by malignant positive EUS specimens, surgical pathology, or the clinical course. Results: Adequate samples were obtained by EUS-TCB in 78.4% (29/37) of the cases.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ies of the EUS-TCB were 73.0%. The mean size of the masses was 3.7±2.6 cm. The diagnostic accuracies of EUS-TCB according to the lesions were as follows: lymph node, 85.7% (18/21); subepithelial lesion, 60.0% (6/10); and solid tumor, 50% (3/6). With respect to accuracy, lymph nodes were significantly superior to non-lymph node lesions (p=0.046). There was a minor bleeding controlled by hemoclipping (2.7%). Conclusions: EUS-TCB is a useful technique for the diagnosis of lymph nodes, subepithelial tumors, and solid tumors that were not able to be diagnosed by other methods. In addition, EUS-TCB is a safe and minimally invasive method. 목적: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Trucut 조직검사는 경피적 접근이 어려운 종격동 병변과 위장관 간질종양의 진단에 유용한 방법으로 최근 소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Trucut 조직검사를 이용하여 림프절, 상피하 병변, 고형 장기에서 진단적 활용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서울백병원에서 흉부와 복부 종괴가 있어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Trucut 조직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 종괴의 최종 진단은 Trucut 조직검사에서 악성 세포가 진단되거나 수술 후 병리 소견 혹은 임상 경과로 판단하였다. 결과: 총 35명 환자, 37예의 시술 중 남자는 25명(65.7%), 여자는 12명(34.3%), 평균 연령은 57.2±12.3세였다.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Trucut 조직검사를 이용하여 적절한 조직은 37예 중 29예(78.4%)에서 확보할 수 있었다.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Trucut 조직검사를 이용한 진단의 정확도는 73.0%였다. 종괴의 평균 크기는 3.7±2.6 cm였다. 병변에 따른 정확도는 림프절 85.7% (18/21), 상피하 병변 60% (6/10), 고형 종양 50% (3/6)였다. 림프절은 비림프절 병변에 비해 진단의 정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46). 합병증으로는 경도의 출혈이 1예에서 발생하여 내시경을 이용한 클립으로 지혈할 수 있었다. 결론: 내시경초음파 유도하 Trucut 조직검사는 경피적으로 접근하기 힘든 림프절, 상피하 병변, 고형 장기의 진단적 활용에 유용하며 특히 림프절의 경우 정확성이 높은 안전한 검사 방법이다.

      • KCI등재

        대학생용 조직생활 성공역량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이숙정(Sook Jeong Lee),박소연(So Yeun Park),유지현(Ji Hyun Yu)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1

        이 연구는 대학생의 조직생활에 필요한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조직에서 요구하는 심리사회적 역량에 대한 개방형 설문지를 제작하여 교수 50명, 대학생 466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기업체의 인재상 및 개방형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을 개발한 후 전문가에 의한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총 333개의 예비문항을 만들고 문항내용의 수정과정을 거쳐 예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예비검사의 분석을 통해 241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검사 대상자 중 2,266명의 자료를 근거로 하여 신뢰도를 살펴보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시민윤리, 규정준수, 친화력, 영향력, 성취지향, 인내심, 전문가교류, 트렌드이해, 자기관리, 조직이해, 학습태도, 지적개방성, 기획력, 변화지향태도, 변화추진태도, 창의적태도, 위기대응,협상력, 글로벌능력, 글로벌마인드 등 20개 하위척도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내적 합치도는 .66∼.91로 나타나 신뢰로운 검사임이 확인되었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요인이 추출되었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만들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정지수를 참조하여 3개 척도의 오차 요인 간 상관을 허용하여 연구모형을 수정하였으며, 수정된 연구모형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학업태도 검사와 글로벌마인드 역량검사의 척도 중 본 검사에서 개발한 척도와 유사한 척도들이 높은 상관을 보이고 있어 공인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조직생활 성공역량 검사는 대학생들이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자신의 역량 수준을 확인하고 필요한 역량을 강화 하도록 지원할 수 있으며, 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도구로 활용이 가능하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development and validate a test to diagnose necessary psycho-social competences for successful school life and coming occupation of college students. Psycho-social competences is named organizational competence and a group of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ompetence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competency, corporate talent and the content of the open-ended questionnaire.Total 333 preliminary items were made up based on the components of organizational competence. Of them, 92 items were excluded after taking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s among items, and correlations between items and total scores into consideration. Thus the final test consisted of twenty factors and 241 items. As results, the factor analysis results identified twenty factors, namely citizenship, rule observance, friendship, influence, achievement intention, endurance, interchange with professional, trend comprehension, self management, comprehension about organization, learning attitude, intellectual openness, planning, change-oriented attitude, change-promoting attitude, creative attitude, coping with crisis, negotiating power, global ability, global mind. Cronbach`s α figures as internal consistenc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nbach`s α figures was .66∼.91, reliability was good.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scales, 4 factors were confirmed as the most appropriate model. Also to see whether the developed successful competence test of organizational life for college students could be generalized carried out concurrent validity test. Based on the test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was discussed.

      • KCI등재

        유방 초음파 검사 시 S-detect 방법을 활용한 인자 분석

        천혜리 ( Hye Ri Chun ),장현철 ( Hyon Chol Jang ),조평곤 ( Pyong Kon Cho ) 한국방사선학회 2019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유방 초음파 검사 시 S-detect 성능에 관한 내용을 알아보고 이에 따라 조직 검사와 비교하여 불필요한 조직 검사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8년 8월에서 10월까지 유방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유방결절이 발견되어 조직 검사가 계획된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S-detect 방법에서의 악성 감별과 Biopsy에서의 악성감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McNemar 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S-detector 방법의 분석 결과 민감도는 90.9 %, 특이도 84.21 %, 정확도 86.66%, 양성예측도 76.92%, 음성예측도 94.11 %로 나타났다. S-detect 방법과 Biopsy 방법 간에 일치도 분석 결과 kappa 값이 0.724(p<0.05)로 높게 나타났으며, 두 방법 간에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 유방초음파 검사 시 S-detect를 활용한 검사 방법에 있어서 유방 종괴에 악성과 양성 감별 진단에 있어서 진단적으로 가치가 있었으며, 유방조직 검사 실시 전 적절히 활용한다면 불필요한 조직 검사를 줄일 수 있는데 도음을 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the S-detect method in breast ultrasonography and to determine how to reduce unnecessary biopsy by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S-detect method and biopsy. Thirty patients who had undergone breast ultrasonography between August and October 2018 and were scheduled to undergo biopsy because of the presence of breast nodule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cNemar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detection of a malignant breast mass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the S-detect method and biops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of the S-detect method: sensitivity, 90.9%; specificity, 84.21%; validity, 86.66%; positive predictive value, 76.92%;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94.11%. Analysis of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the S-detect method and biopsy revealed a kappa value as high as 0.724 (p < 0.05), exhibiting good agreement between the two methods. The S-detect method in breast ultrasonography is diagnostically valuable in terms of distinguishing between malignant and benign breast masses, and if used properly before breast biopsy, unnecessary biopsy can be redu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