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布施辰治(포시진치)의 「조선건국헌법초안사고(朝鮮建國憲法草案私稿)」에 관한 연구 (硏究)

        정종섭 ( Jong Sup Chong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서울대학교 法學 Vol.51 No.1

        이 논문은 布施辰治의 「朝鮮建國憲法草案私稿」를 발굴하여 그 내용을 소개하고 분석한 것이다. 한국헌법사의 연구에서 1945년 해방 직후 새로운 독립국가를 건국하는데 필요했던 헌법제정을 놓고 전개되었던 헌법논의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중요하다. 布施辰治는 일본이 조선을 식민통치하던 시기에 조선의 이익과 독립을 위하여 적극 활동한 사람이다. 1945년 8월 제2차 세계대전이 일본의 항복으로 종료되자 그는 「朝鮮建國憲法草案私稿」를 그해 12월에 대외적으로 공개하였다. 그는 「朝鮮建國憲法草案私稿」를 발표하고 일본에 적용할 헌법에 관하여는 「憲法改正私案」을 발표하였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朝鮮建國憲法草案私稿」에서는 대통령·부통령 직선의 혼합제정부형태를 취하고 「憲法改正私案」에서는 국민주권을 전제로 한 천황제를 취한 것 이외에는 국민의 권리와 의무, 의회제도, 사법제도 등에서 일본국과 조선에 적용할 내용이 모두 동일하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朝鮮建國憲法草案私稿」가 순전히 조선만을 위하여 구상한 것은 아니다. 이런 점에서 「朝鮮建國憲法草案私稿」에 대해서는 그 구상의 과정, 구상에 참여한 사람, 布施辰治의 국가에 대한 평소의 생각, 헌법관, 의회제도와 사법제도에 대한 布施辰治의 사상과 구상 등에 대하여 더 깊이 추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朝鮮建國憲法草案私稿」가 조선의 해방 정국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더 나아가1948년 헌법제정과정에 布施辰治의 구상이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등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article is the first research paper on the document 朝鮮建國憲法草案私稿, drafted by Japanese lawyer Huse Tatszi (布施辰治). Mr. Huse was a socialist activist who worked for Chosun`s interest and independ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He published 朝鮮建國憲法草案私稿 in December of 1945 in Japan, four months after the Japan`s surrender in World War II. He completed this document with the help from the Korean leaders who were engag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Japan. After the independence, Korean political leaders tried to make a new constitution for building a new nation; there were many suggestions from several political power groups in making a new constitution. It is not clear whether this document was referenced for the making of 1948 Constitution. Futhermore, who or which political groups accepted this document is debatable. We should pay closer attention to this document and study it in order to have a clear sense of understanding on the first Korean Constitution of 1948.

      • KCI등재후보

        조선 건국과 이성계 설화의 정치적 함의

        문재윤(Mun Jae You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0 No.1

        조선정치사에 대한 연구를 보다 면밀히 진행하기 위해서는 조선의 전통사상과 그 문화의 특수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할 것이다. 전통의 힘이 강력하게 작용했던 왕조시대의 정치를 분석하는 작업은 특히 그러할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을 유념하면서 본 연구는 조선의 건국과 그 건국주인 이성계에 관한 설화를 현대정치학의 상징조작이라는 개념과 유기적으로 관련시켜 분석해봄으로써 건국기에 있어서 조선의 정치사와 조선인의 정치의식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해 보고자 시도하였다. 무엇보다 먼저 조선의 건국과 이성계 설화에 관한 문헌 기록, 특히 『조선왕조실록』의 각종 기록은 무엇보다 먼저 이성계에 의한 새로운 왕조개창의 천명성을 강조하였고, 또 그렇게 함으로써 이성계와 그 추종세력에 의한 정치적 지배를 정당화하는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곧 조선 왕실의 개창은 천명에 의한 것이었음을 강조하였는데, 일반 백성들의 복종과 지지 속에서 새로운 왕실이 성립하고, 존재하기 위해서는 천(天)과의 연계성을 확보하는 것은 필수불가결하였던 것이다. 이에 따라 이성계에 관한 설화에는 새로운 군주의 탄생과 등극을 예고해 주는 신이한 징조와 꿈들이 문헌 속에서 계속해서 나타났던 것이다. 문맥적 상황으로 볼 때, 하늘(天), 용, 꿈, 상서(祥瑞), 신이(神異) 등을 바탕으로 하는 이성계 설화 설화의 현세지향은 건국의 신성화와 왕통의 정통성을 목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군주 꿈’ 설화는 단순히 권력의 정당화 과정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천명의 대행자로서 군주를 신성화시킴으로써 국가통합의 상징으로 만들고자 했다. 다른 한 편 일반민중들 사이에 구비전승된 이성계 설화에는 그에 대한 비판적 내용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명태조 주원장에 비해 용렬한 인간으로 묘사되는 이성계의 모습, 최대의 정적이었던 최영 장군이 일반백성들 사이에 무속신앙화되었던 점, 그리고 민중영웅인 우뚜리의 등장과 제거 등에 관한 설화의 성립 등에서 이성계에 대한 반대자와 비판자들의 정치심리가 뚜렷이 나타나 있었다. 이와 같이 조선의 건국과정에서 이성계 설화가 담고 있는 정치적 의미를 분석하는 작업은 당대의 정치사와 당대인들의 정치의식을 이해하는데 하나의 방법론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ales in political process of Choseon Dynasty and its political significance. The founder of Choseon Dynasty, Yi Seong-gye was supreme power men. And the Korean tale of ancient times in general described lives of kings : their birth, growth, marriage, and death. In other words, it was a biographical description of the mysterious experiences of kings. Especially part in which they get divinity from their birth was common to all. Such a way of description resulted from the idea that the founder of nation should look divine. So Heaven planned to place a person as a founder of nation. Yi Seong-gye was selected by Heaven, too. Korean people believed Yi was the existence of divine nature. And it offered political legitimacy to Yi. In this sense we can guess that Korean tale of political ma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political process.

      • KCI등재

        8·15 직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조직적 한계와 좌·우 분립의 배경

        윤덕영(Yoon, Duk-Young)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100

        이글은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중앙 조직의 조직적 성격, 건준을 확대하기 위한 좌?우협상이 결렬되는 과정과 원인, 건준에서 조선인민공화국으로의 전환과정에서 분명해진 재건파 조선공산당의 헤게모니 전취 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건준 활동이 실패하게 된 내적인 조직적 한계를 해명하고, 그러한 한계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배경으로 재건파 조선공산당과 박헌영의 민족통일전선론의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해방직후 최초의 국가 건설과정에서의 좌?우 분립의 일 배경을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건준 1차 중앙조직은 건준을 밑받침하고 있는 정치세력의 취약성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그것은 일제하 이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세력 중 일부만으로 조직되었다. 2차 중앙조직에 이르러 조직의 체계가 잡히지만, 재건파 조선공산당 세력이 최대의 세력을 이루었고, 본래 취약한 인적구성을 갖고 있던 건국동맹?여운형계는 다수를 점하지 못했다. 민족주의세력으로는 기호파 일부 안재홍계열이 주로 참가하였지만, 이들은 전체 민족주의세력 중 극히 일부분이었다. 건준에 광범한 민족주의세력을 망라하기 위한 좌?우 협상이 여운형?안재홍과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그렇지만 재건파 조선공산당 세력의 방해로 협상은 무산되게 된다. 이미 건준에서는 재건파 공산당과 연결된 세력들이 주도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건준에서 인공 선포에 이르는 과정에서 여운형의 지도력은 그 주변의 사람들에 국한되었지, 공산주의자들에게는 미치지 못했다. 재건파 공산당의 정치노선으로 확정된 8월 테제는 민족부르주아와의 협동이나 민족통일전선 결성을 주장하고는 있었다. 그렇지만 관심의 초점은 프롤레타리아 헤게모니, 즉 노동계급의 영도권 확립을 위해 대중을 전취하는데 있었다. 8월 테제는 송진우를 반동적 민족부르조아지로, 한민당을 지주?자본가 계급의 반동적 정당으로 못박음으로써, 한민당을 중심으로 결집해 있는 광범한 민족주의세력과 일부 사회주의 우파세력을 민족통일전선에서 배제하겠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이러한 재건파 공산당의 노선과 활동은 해방 후 최초 국가건설과정에서 건준이 좌?우의 정치세력을 망라하는 민족통일전선으로 발전하지 못하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그 결과 좌?우 정치세력의 분립은 보다 분명해져 갔다.

      • KCI등재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건국 구도

        김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4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이하 建準)는 8ㆍ15해방 후 한국민이 최초로 표출한 정치행동이었다는 점에서 한국현대사에서 차지하는 의미는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다. 建準이 해방정국의 歷史像을 구성하는 첫 단서이므로, 建準의 실상을 추적하는 작업들은 다각도에서 시도되었고 지금도 진행 중이다. 해방공간의 객관ㆍ주관의 정세와 맞물려 建準이 활동한 20여 일의 功過와 成敗는, 짧게 보면 해방정국에서 좌우연합의 가능성과 실태를 보여주는 단초였다. 길게 보면, 민족이 존망의 위기에 직면하였건만 이념을 초월한 단합을 이루지 못한 실패의 역사를 반성하는 측면에서, 아직도 검토할 심층부가 남아 있다. 해방정국에서 建準의 위상과 의미, 정치 이념ㆍ노선을 해명하는 수준의 연구가 반복되었으나, 아직 建準의 건국 구도를 주제화하여 다룬 연구는 없었다. 지금까지 建準에 대한 연구는 좌우의 통합과 대립이라는 시각에서 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建準은 좌우통합을 기반으로 출발하였다기보다는, 조선건국동맹의 운동 노선과 민족대회 소집의 노선이 결합하였고, 이를 각각 대표하는 여운형ㆍ안재홍을 구심점으로 출발하였다. 建準이 해체되는 중요한 요인에는 재건파 조선공산당의 영향도 작용하였지만, 建準을 출발시킨 여운형ㆍ안재홍 세력이 구심력을 형성하지 못한 데에 主因이 있었다. 이 논문은 建準을 좌우의 통합과 대립이라는 측면보다는, 建準의 두 원류를 이루었던 조선건국동맹의 활동과 민족대회소집 운동, 이 양자를 각각 주도하였던 여운형과 안재홍이 구상하였던 건국 구도의 일치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데에 주안점이 있다. 이들의 일치점이 建準 출발의 動因이었으며, 차이점이 建準 해체의 主因이었음을 강조하려 하였다. 이 연구는 여운형ㆍ안재홍 두 사람이 구상한 건국 구도의 일치점과 차이점을 드러내어 建準의 의의와 한계를 짚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서술의 범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조선인민공화국은 建準과는 성격을 달리 하는 조직체로서 建準의 궤도에서 이탈하였으므로, 조선인민공화국의 건국 구도는 서술 범위에서 제외하였다. 또 다루려는 주제가 ‘건국 구도’라는 이론상의 범주이므로, 建準의 중앙만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으며 지방 建準의 활동은 제외하였다. Scholars have shed light on the Committee for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CPKI) from various perspectives because it was the first political organization formed by Korean after the 815 liberation in 1945. The meaning of the CPKI and its central organization have been sufficiently clarified surrounding the politics during the period of Korean liberation. Scholars have even further advanced to elaborate the political thoughts of the CPKI. Little attention has, however, been paid to how the CPKI designed a nation-state to be buil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ddress the organization of nation-building done by the CPKI. The research done so far bears two problems. The first one is that the CPKI has been considered as the extension of the Alliance for Korean Independence. Before the collapse of Japanese colonialism, there were two movements to prepare for the liberation in Korea. The first movement was well known for the secret operation by the Alliance for Korean Independence. The second tangible activity to call a national representative meeting ended in poor attention. The CPKI was prepared enough to take off on the very day of 8.15, combining these two movements. The second problem is that the CPKI has been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s of confrontation and integration between the right and the left. Such perspectives can be an obstacle to recognize the nation-building organization of the CPKI. The CPKI pivoted on Lyuh woon-hyung and An Jae-hong. That is, the CPKI could work on the agreement of the two men on how to put a new nation-state onto the program. The decomposition of the CPKI was also responsible for the dispute of the two men on the program of nation-building. This paper focuses on things in common and different of the two men on the program to put the nation-state onto. This paper covers the following. The descrip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Korea is excluded since it was a different political form from the CPKI in characteristics. This paper deals only with the central leadership of the CPKI on the theoretical approach to how to design the nation to be built.

      • KCI등재

        건국대소장 金谷園藏版 『第六才子書』에 수록된 評語의 『西廂記』 비평 방식 연구

        윤지양 한국고전번역원 2018 民族文化 Vol.52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Jeyuk Jaejasŏ (The Sixth Genius Book, 『第六才子書』) marked “Edition in the Collection of Geumkokwon (金谷園藏版)” which is in the collection of the Kŏnkuk University Library in Korea, to study Josŏn literary men’s methods of criticizing Sŏsanggi (or Xixiangji, Romance of the West Chamber, 『西廂記』). And for this purpose, I compared closely, with those of writers from the Qing dynasty, Josŏn literary men’s commentaries on Sŏsanggi written in Jeyuk Jaejasŏ 『第六才子書』 which is in the collection of Kŏnkuk University. The following three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the criticism of Sŏsanggi of the writers who wrote the commentaries on Jeyuk Jaejasŏ which is in the collection of Kŏnkuk University. First, the subjunctive mood was frequently used in the commentaries of Josŏn literary men. The frequent use of the subjunctive mood can be seen in relation to the writer’s viewpoint of the fiction. In other words, through using the subjunctive mood, the writer treated the affairs in the work as if they really had happened. Second, the writer often wrote personal sentiments. This is because the writer placed importance on the subtle feelings that occurred in his mind while appreciating the work. Third, the writer quoted verse from various books including scripture. In particular, quoting scripture in criticism can be attributed to the writer’s intention to break the boundary between the realm of ‘the elegant 雅’ and the realm of ‘the secular 俗.’ 본고에서는 건국대소장 金谷園藏版 『第六才子書』에 수록된 조선 문인의 評語를 대상으로 『西廂記』 비평 방식을 고찰한다. 이를 위해 건국대소장본에 수록된 평어를 淸朝 문인들의 『第六才子書西廂記』에 대한 평어와 면밀히 비교한다. 건국대본에 수록된 평어의 『西廂記』 비평 방식에는 다음의 세 가지 특징이 보인다. 첫째, ‘만약 ∼했더라면’이라는 가정을 통한 비평이 빈번하게 쓰였다. 이처럼 가정법을 자주 쓴 것을 건국대본의 평비자가 허구에 대해 갖고 있던 관점과 연관시켜 살펴볼 수 있다. 즉, 건국대본의 평비자는 작품의 사건을 마치 실제로 일어난 사건처럼 다루는 데 익숙했기 때문에 실제 일어난 사건에 대해 하듯이 가정법을 자주 쓴 것이다. 둘째, 건국대본의 평어는 주관적 감상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평비자가 작품을 감상함에 있어 마음에 일어나는 미세한 느낌들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셋째, 건국대본의 평비자는 다양한 전적에서 구절을 인용하거나 전고를 활용했다. 통속 문학에 속하는 희곡 비평에서 경전을 인용한 것은 ‘雅’의 영역과 ‘俗’의 영역 간의 경계를 허물고자 했던 평비자의 의도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무학대사의 조선건국 참여와 불교계 수호 - 제 연구성과의 종합 검토와 재론 및 강조를 중심으로 -

        황인규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7 역사와 교육 Vol.25 No.-

        본고는 그 간의 필자의 무학 관련 연구 성과를 검토하여 종합 정리 재 론하고 새로운 기록을 추가하여 무학의 조선 건국 참여와 불교계 수호라 는 주제로 논지를 전개 강조한 글이다. 무학은 지공의 유지를 받들어 스승 나옹과 더불어 회암사를 불교계의 중흥을 꾀하다가 실패로 끝나고 나옹은 순교하였다. 무학은 그 후 스승 지공과 나옹의 추념 사업을 전개하면서 삼봉 정도전 보다 먼저 이성계에 게 신왕조 창업의 혁명을 종용하였다. 이와같은 조선 건국 사업에는 조 계종의 무학 뿐만 아니라 천태종과 화엄종의 대표적인 고승도 동참하였다. 무학은 조선건국 직후 왕사로 책봉되어 국가비보사상으로 불교계의 혁신과 재편을 위한 한양전도를 주도하였다. 그러면서 한양과 도성을 지 키는 4대 수호 사찰을 지정하는 등 한성을 중심으로 불교계를 재편하여 불교를 수호하고자 하였다. With the title "The reverend Muhak's participation for establishing the Joseon Dynasty and his protection for the world of Korean Buddhism", this paper is to integrate and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reverend Muhak adding some new records. The reverend Muhak played a significant role when it comes to "Moving the main capital to the Hanyang district 漢陽奠都", he emphasized that his action was to re-organize and innovate the world of Korean Buddhism. He recommended the revolution for building the new nation of Joseon Korean(革命 慫慂) to Lee Seongye even faster than Sambong, Jeong Dojeon. The right after the establishing Joseon Korean, he was nominated as the King's teacher and actively participated into the moving the main capital to the Hanyang district for the innovation and re-organization for the world of Korean Buddhism. He designated the major four buddhist monasteries which protected the Hanyang district and the capital fortress and re-managed the temples around the Mt. Gwan'ak which was the mountain outside of the Hanyang district and the original source of Mt. Baek'ak. Based on his works, the reverend Muhak was the first planner for innovation of building the nation of Joseon and helped to set up the foundation of national kingdom including the moving the main capital to Joseon by being designated as the first and the last King's teacher of Joseon Korea since the establishing the Joseon dynasty. And also, he succeeded the ideology of protecting the nation by Doseon and designated the buddhist monasteries around the Hanseong district in order to develop the world of Korean Buddhism.

      • KCI등재

        민족주의 세력의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개조 움직임

        김인식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5

        In August 22, 1945, around the period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Committee for the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CPKI), there were two movements with the nationalists centering on the movement to renovate the CPKI. Those movements occurred inside and outside the CPKI. The meaning of ‘inside’ is the nationalists with An Jae-Hong, a vice-chairman of the CPKI, as the central figure, and ‘outside’ refers to the nationalists of the Choson National Party. Since the socialistsㆍcommunists took control of the hegemony within the CPKI at that time, there was a sense of crisis between them. In this situation led to the agreement that many nationalists should participate in the CPKI. As An Jae-Hong had a principle of the cooperation with socialistsㆍcommunists under the initiative of nationalist, expanding the nationalists in the CPKI was the urgent problem that has to be resolved. At th same time, the Choson National Party had a plan to take the mainstream by participating in the CPKI. However, the movement by both sides to reorganize the CPKI’s central was frustrated. While Lyuh Woon-Hyung, a chairman of the CPKI, prevented the nationalists from reorganizing the CPKI, also the communists inside CPKI strongly hold them back. Around this time, as soon as it became certain that US forces were pearling in South Korea, the Choson National Party circles gave up their participation in the CPKI. Therefore, the movement to reorganize CPKI ended without attainment. This frustration made the leadership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in CPKI expanded or enlarged, resulting in the conversion from the CPKI into the People's Republic of Korea. 1945년 8월 15일 일제가 무조건항복을 선언하는 긴박한 순간에, 여운형ㆍ안재홍은 신속하게 朝鮮建國準備委員會(앞으로 建準으로 줄임)를 출발시켰지만, 내용과 형식 양면에서 그들이 목표하는 全민족통일전선체를 구성하지는 못하였다. 일제가 패퇴하는 비상한 시국에 대응하기 위해, 8월 15일 당일 급박하게 출범한 建準이 전국에 걸쳐서 全민족운동 세력을 망라한 중앙조직을 곧바로 결성하기는 애초 불가능한 일이었다. 그렇더라도 建準이 민족통일전선체로서 외형상의 완결성을 갖추지 못한 채 출발한 데에는, 무엇보다도 송진우 계열의 태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운형ㆍ안재홍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송진우 측에 재차 협동을 제안하였으나 다시 거부당하였다. 민족주의 세력 가운데 가장 큰 영향력을 지녔던 송진우 계열이 建準 자체를 부정함으로써, 전민족통일전선체를 지향하는 建準의 목표는 굴절되기 시작하였고, 이는 建準이 재건파 조선공산당에게 주도권을 내주고 朝鮮人民共和國로 해소되는 主因이었다. 1945년 8월 22일 建準의 제2차 중앙조직이 형성되는 시기를 전후하여, 建準의 안팎에서 민족주의 세력이 중심이 되어 建準을 改造하려는 움직임이 두 차례 일어났다. 여기서 ‘안’은 建準의 부위원장 안재홍을 중심으로 한 민족주의자들을, ‘밖’은 朝鮮民族黨을 구성하여 韓國民主黨에 합류하는 李仁ㆍ金炳魯ㆍ白寬洙 등의 민족주의자들을 가리킨다. 양자는 建準 안에서 사회ㆍ공산주의 세력이 주도권을 장악하고 독주하는 현실에 위기감을 느꼈으므로, 민족주의 세력이 建準에 대거 참여해야 한다는 데에서 의견이 일치하였다. 민족주의 주도권 아래 사회ㆍ공산주의자와 협동한다는 원칙을 견지하는 안재홍에게, 민족주의 세력을 建準 안에 대거 확충함은 당면과제였다. 조선민족당계 인사들도 해방정국의 시국 수습 과정에서 소외ㆍ이탈되었음에 위기의식이 고조된 터였으므로 建準에 참여하여 해방정국의 주류로 부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양자가 결합하여 建準의 중앙조직을 개조하려는 움직임은 좌절되고 말았다. 재건파 조선공산당을 위시하여 장안파 조선공산당은 建準을 개조하려는 시도를 완강하게 저지하였고, 또 미군이 남한에 진주하는 사실이 확실해진 시점에서 조선민족당계가 建準에 참여하기를 포기하였기 때문이다. 建準을 개조하려는 움직임은, 역으로 建準 안에서 재건파 조선공산당 계열의 응집력과 주도력을 확대시킴으로써 建準이 人共으로 해소되는 결과를 낳고 말았다.

      • KCI등재

        李成桂 發願 佛舍利莊嚴具의 硏究

        周炅美(Joo Kyeongmi) 한국미술사학회 2008 美術史學硏究 Vol.257 No.257

        이 논문은 조선의 태조인 이성계가 즉위 전에 발원하여 봉헌한 불사리장엄구 일괄품에 대한 최초의 본격적인 연구이다. 이 사리장엄구 일괄은 1932년 금강산 월출봉의 한 석함 안에서 발굴되었으며, 현재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현재 남아 있는 사리장엄구 일괄품은 모두 9점으로, 동제발 1점, 銀器 3점, 백자 5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중에서 몇몇 용기에는 긴 명문이 기록되어 있는데, 명문 중에는 제작연대, 발원자, 그리고 봉헌 목적 등이 나타나 있어서 주목된다. 명문에 의하면 이 사리장엄구는 이성계와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서 조선의 건국 직전인 1390년에서 1391년 사이에 미륵을 만나기를 기원하면서 발원된 것이다. 즉 이 사리장엄은 이성계의 종교적 신실함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왕조를 건설하기 위한 정치적 준비 단계에 해당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사리장엄구는 2개의 탑형 사리장엄구와 동제발, 그리고 백자합 등으로 구성되었다. 안쪽에 봉안된 사리장엄구는 작은 라마탑형 사리장엄구로서, 은으로 만들어졌고 부분적으로 도금되어 있다. 라마탑형 사리장엄구 안에는 유리로 만든 원통이 있는데, 사리는 이 곳에 봉안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라마탑형 사리장엄구는 팔각탑형 사리장엄구 안에 놓여져 있었는데, 팔각탑형 사리장엄구 역시 은으로 만들고 부분적으로 도금한 것으로, 일부가 부식되어 있다. 팔각탑형 사리장엄구는 다시 동제발 안에 놓여지고, 이것들은 다시 백자합 안에 봉안된 상태로 봉안되어 있었다. 각각의 용기들에는 각각 명문이 새겨져 있는데, 명문의 내용은 일부 공통된 점도 있긴 하지만 차이점도 있다. 이 사리장엄구의 주요 발원자는 이성계와 그 두 번재 부인인 강씨부인이다. 또다른 발원자로 등장하는 인물로는 승려 월암과 황희석, 홍영통 등을 비롯하여 여러 인물들이 등장한다. 승려 월암의 행적은 자세하지 않으나, 태조의 초상화를 가지고 있을 정도로 일찍부터 태조와 절친한 인물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황희석과 홍영통은 조선개국공신녹권을 받았던 인물로서 주목된다. 한편 명문 중에는 사리기의 제작에 관여했던 여러 인물들의 명칭도 보인다. 백자발의 바닥에 이름이 새겨진 심릉은 강원도 방산 도요지에서 활동했던 陶工으로 추정된다. 또한 팔각탑형 사리장엄구에 이름이 등장하는 박자청은 조선 초기의 유명한 건축가이며 공조판서를 지냈던 인물로서 주목된다. 심릉과 박자청도 역시 조선개극공신녹권을 받았던 인물들이다. 아마도 이 두 사람은 사리장엄구의 제작에 직접적으로 관여했던 인물들로서,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이후에 개국공신으로서 포상받았다고 추정된다. 한편 명문 중에는 이성계와 그의 추종자들이 사리장엄의 공덕으로서, 미륵을 만나기를 기원하고 미륵의 새 세상을 건설하기를 기원하는 내용이 나온다. 한편 이러한 명문의 내용과 함께 백자 향합과 백자 향로가 이 사리장엄구와 함께 봉안되어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당시 발원자들이 미륵에 대한 깊은 신앙심을 바탕으로, 새로운 세상, 혹은 새로운 왕조를 건설하기를 바랐던 것임을 뜻한다. 고려 말기에는 고달픈 민중들 사이에서 매향 의례가 크게 유행했다. 매향 의례도 역시 미륵에 의해서 세워질 새로운 세상을 기대하는 것으로서, 역시 미륵신앙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금강산에서 행해진 이 사리장엄은 미륵신앙과 민중의 염원을 따라서 이성계와 그의 추종자들이 세울 새로운 왕조의 준비를 위한 종교적이면서도 동시에 정치적인 상징물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이성계는 독실한 불교 신자였으며, 그의 추종자 중에도 독실한 불교 신자들이 상당수 있었다. 비록 조선시대에는 유교가 훨씬 중요한 사상이었으며, 조선의 건국에 있어서 불교적 행위에 대한 기록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고 알려져 있지만, 조선 초기까지 불교는 역시 중요한 사상 중의 하나로서 역할을 해왔다. 이성계 발원 불사리장엄구는 바로 지금까지 알려져 있지 않았던 조선 건국에 있어서의 불교와 불교도들의 역할을 알려주는 매우 중요한 작품으로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paper is the first comprehensive research on Buddhist reliquaries donated by Yi Seonggye(李成桂), who became King Taejo in Joseon Dynasty. The reliquaries, now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were found inside a stone casket at Wolchul-bong(月出峰) of Mt. Geumgang in 1932. They comprise a bronze bowl, three silver objects, and five white porcelain vessels. Some of them have long inscriptions that record the date, donors, and purpose of the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they were dedicated and installed by Yi Seong-gye and his retinues, who wished to meet Maitreya, around 1390-1391, just before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This suggests that this relic veneration was done not only for Yi Seong-Gye’s religious zeal but also for his political aspiration of establishing a new dynasty. This set of reliquaries consists of two silver caskets and one bronze bowl and one white porcelain bowl with a lid. The inner casket in the shape of a miniature Tibetan-style stupa is made of silver and partly gilded. Inside holds a glass cylinder where the sariras were originally enshrined. The outer casket in an octagonal pagoda is also made of silver and partly gilded, and inside, it contains the Tibetan stupa-shaped casket. The outer casket would be placed in a bronze bowl and then put inside a large white porcelain bowl with a lid. All of the caskets and bowls have dedicatory inscriptions ; although differing in dates and the name of some donors, they share similarities, especially in main donors. The prominent donors are Yi Seong-gye and his second wife Lady Kang(姜氏夫人). The others include a monk, Wol-am(月菴) and two laymen, Hwang Hui-seok(黃希釋) and Hong Yeong-tong(洪永通). Wol-am’s biography is not recorded in history, but he is known as the owner of a portrait of King Taejo and one of his closest associates. Hwang Hui-seok and Hong Yeong-tong were granted with Royal Certificate Conferring the Title of the Founding Officer of the Joseon dynasty(開國原從功臣錄券). In the inscriptions of the caskets, there are also the names of people who were involved with the designing and making of the reliquaries Sim Ryong(沙龍), whose name is inscribed on the bottom of the porcelain vessel, was a potter who made a new style of white porcelain at the Bangsan(防山) kiln in Gangwon-do. Pak Ja cheong(朴子靑), whose name is inscribed on the octagonal pagoda-shaped casket, was a famous architect and later became the minister of the Board of Public Works(工曹). Sim Ryong and Pak Ja-cheong were also granted with the Royal Certificate Conferring the Title of the Founding Officer of the Joseon dynasty. They possibly took part in the production of the reliquaries as designers or as makers since they were rewarded by Yi Seong-Gye after the foundation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inscriptions, Yi Seong-Gye and his retinues express their wish to meet Maitreya and create a new world of Maitreya by merits accumulated through their faithful relic veneration. This indicates that the donators had a devout faith in Maitreya and aspired for the opening of a new world or a new kingdom. A white porcelain incense burner and an incense casket were also deposited together in the reliquaries.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 practice of incense burial(埋香) prevailed among common people. The practice of incense burial was closely related to the anticipation of a new world to be founded by Maitreya. Therefore, the relic dedication at Mt. Geumgang can be thought as a religious and political symbol for the preparation of a new dynasty by Yi Seong-Gye adhering to the belief of Maitreya and the hope of the people. Yi Seong-Gye himself was a faithful Buddhist, and so were many of his retinues. Although Confucianism was predominant in the Joseon dynasty and records of Buddhist activities are scarce during the early years of the new dynasty, Buddhism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deologies in the period. The reliquaries donated by Yi Seong-Gye present the important but yet

      • KCI등재후보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와 조선 건국의 정당화

        최연식(Choi Yeon Sik),이승규(Lee Seung Kyoo)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1

        조선의 건국은 마상의 건국이었다는 점에서 정당성이 취약한 건국이었다. 따라서 조선 건국의 주체들은 역성혁명이 예견된 역사의 숙명이었음을 알릴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점에서 ‘하늘을 나는 용들의 노래’ (Songs of the Dragons Flying to Heaven), 즉 용비어천가의 탄생은 처음부터 정치적인 것이었다. 조선의 건국이 천명에 의해 예견된 것임을 강조하는 용비어천가의 서사구조는 간결하고 명쾌하다. 그러나 용비어천가는 용들의 노래인 동시에 백성의 노래가 되어야 했고, 영웅들의 신화인 동시에 역사의 교훈이 되어야 했다. 이것이 용비어천가에 내재된 긴장의 원천이었다. 용비어천가의 편찬자들은 이 문제를 두 가지 방식으로 해결하고자 했다. 하나는 역사를 신화화하는 방식이었고, 다른 하나는 신화를 역사화하는 방식 이었다. 내용적으로는 본가 부분이 전자에 해당되고 계왕훈 부분이 후자에 해당된다. 용비어천가의 편찬자들은 역사 기록의 공백을 신화로 보충했고, 그 결과 본가에 등장하는 6명의 건국 주역들은 용으로 승천했다. 동시에 용비어천가의 편찬자들에 맡겨진 또 다른 과제는 과거의 신화를 미래의 역사에 합리적으로 전해주는 것이었다. 계왕훈은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된 유자들의 역사의식의 산물이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유자들은 제왕들에게 유교적 원칙을 요구했고, 유자들의 왕권에 대한 교정을 정당화하고자 했다. 이 점에서 용비어천가는 조선 건국에 내재된 정치권력과 지식권력의 충돌을 단적으로 보여 주는 작품이다. The legitimacy of Joeseon was very fragile from the beginning on the point that it was founded on the horse back by the general Yi Seonggye. The leading actors of the foundation of Joeseon, therefore, have to explore some new ways to inform that the revolution was the destiny foreseen by history. On these points, the creation of the Songs of Flying Dragons was a political piece when it was first conceived by the compilers. The structure of the Songs of Flying Dragons that the mandate of heaven prognosticate the foundation of Joseon was simple and lucid. However, the Songs of Flying Dragons should be songs of the people as well as songs of dragons, and instruction of history as well as myths of heroes. This is the origins of conflicts and tensions that were immanent in the Songs of Flying Dragons. The compilers of the Songs of Flying Dragons sought to solve these conflicts and tensions in two ways. One is to mythify the histories and the other one is to historify the myths. They supplemented the blanks of histories by myths and the six leading actors of the Joseon foundation had ascended to the heaven as a result. Simultaneously the other task of compilers of the Songs of Dragons was to rationally transmit the myths of the past to the future generation. The latter part of the Songs of Flying Dragons on the instructions to future kings was the products of historical consciousn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these processes, however, the Confucian scholars wanted to force kings to obey the Confucian discipline, legitimize the rectification of kingship by them. On these regards, the Songs of Flying Dragons is the political piece that shows the conflicts and tensions between political power and scholarly power embedded in the process of Josoen foundation.

      • KCI등재

        ‘만주 건국대학’의 교육과 조선인 학생

        이정희 만주학회 2016 만주연구 Vol.- No.22

        This article examined the education of Kenkoku University in Manchukuo from the viewpoints of Korean students. Kenkoku University was founded as a means of developing human resources and to realize Manchukuo’s basic principles of Five Races Under One Union(五族協和) and Arcadia(王道樂土) of the Kwantung Army(Japanese armed forces in Manchukuo). There were approximately 91 people who matriculated at this university as Koreans. They accounted for 7% of all the students in Kenkoku University. It was primarily for economic reasons that Korean students applied to this university. The university’s tuition and dormitory expenses were free. After graduation, each student was guaranteed a position as a higher governmental official of Manchukuo. Educational curriculum of this university consisted of general studies, language education, and various other training including mental exercise, martial arts, ROTC, and horticulture. Korean students place high regard on language education and various training education, while education of general studies was valued less. 이 논문은 관동군이 만주국의 건국이념인 오족협화와 왕도낙토를 실현할 지도자를 양성할 목적으로 설립한 ‘만주 건국대학’의 교육에 대해 이 대학에 입학한 조선인학생의 관점에서 검토한 것이다. 건국대학에 입학한 조선인학생은 약 91명이었고 전체 학생 수의 약 7%를 차지했다. 조선인학생이 건국대학을 지원한 가장 큰 이유는 학비가 무료이고 塾 생활을 하기 때문에 생활비가 거의 들지 않는다는 점과, 졸업과 동시에 만주국의 고급 관료가 보장되는 특전이 부여되었기 때문이었다. 건국대학의 학과 교육은 크게 정신훈련과 각종 훈련, 어학교육, 일반과목 교육의 세 부분으로 나눠져 있었으며 할애된 강의 시간은 세 부분이 거의 균등하게 배분되어 되어 있었다. 조선인학생은 정신훈련 및 각종 훈련 교육, 그리고 어학교육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일반과목 교육은 배당 시간이 적어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못했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해방 이후 한국군 창설에 기여한 학생일수록 건국대학의 군사훈련, 무도훈련, 정신훈련 그리고 塾 공동생활을 매우 높게 평가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