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초반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의 당재건운동

        최용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08

        이 논문은 1930년대 초반 함경북도 온성군, 경성군, 회령군 일대에서 활동했던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의 등장 배경과 운동 과정을 살펴보고, 역사적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1929년 만주의 공산주의 운동가들은 코민테른의 「12월 테제」에 따라 농민과 노동자를 핵심으로 삼는 당재건운동을 시도하였다. ML파 공산주의 운동가 한빈은 함경남도, 서울, 부산에서 당재건운동을 시도하다가 일제에 검거되면서 실패하였다. 기존 연구는 한빈이 최령과 전우일에게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의 결성을 지시했다는 사실을 제대로 주목하지 않았다. 이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은 한빈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를 ML파의 당재건운동으로 해석하려고 한다.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는 함경북도 일대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주목하였다. 함경북도 일대의 주민들은 경제적으로 빈궁한 상태였고, 식민지 당국에 불만이 높았다. 그래서 1920년대 함경북도의 사회경제적 난관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단체가 각지에서 등장하였다. 사회운동가들은 공산주의 사상에 입각하여 민족해방운동을 이끌었고 이들 중 전우일은 함경북도 경성군의 사회운동가들과 교류하면서 그 일대로 당재건운동을 확장하는 데 열중하였다.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는 함북 일대의 산업 시설에 농민과 노동자를 대상으로 야체이카를 설치하였다. 이들은 혁명적 농민조합을 조직하여 지역 청년들에게 공산주의 사상을 교육하고, 등사판을 이용한 공산주의 선전물을 제작해 배포하는 방식으로 일제에 저항했다. 하지만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는 조직 운영과정에서 몇 가지 한계를 드러냈다. 첫째로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는 「12월 테제」에 따라 일반 농민과 노동자를 조직의 핵심으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일찍이 공산주의 사상을 수용했던 당재건조직의 지식인들이 간부직을 도맡았다. 둘째로 지도부는 당재건운동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서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곗돈을 강탈하였다. 만주지역 무장투쟁의 영향을 받아 당재건운동의 핵심으로 내세우던 농민과 노동자를 강탈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은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의 가장 뚜렷한 한계였다. 한편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 참여자는 개인적 친분, 교우관계, 사회단체를 통해 교류하면서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이들은 함경북도 온성읍과 접경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비슷한 연령대라는 유사점을 보여주었다. 같은 지역에서 활동하던 신간회 온성지회와 온성청년동맹의 일부 사회운동가는 지역사회의 문제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공산주의 사상을 받아들였다. 그들 중 하나였던 전우일은 이를 통해 1920년대 함경북도 사회운동의 경험을 쌓아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에서 활동할 수 있었다는 점에 주목한다.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는 국경 도시에서 활동했기 때문에 만주지역 공산주의 세력과의 관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일제 측 자료에는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가 중국공산당과 직접적으로 연계되었다는 근거가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가 만주의 공산주의 세력과 협력하여 무기를 구하려고 시도했다는 점, 최령과 전우일을 지도했던 한빈이 중국공산당과 연계되어 있었다는 점이 조선공산당 함북준비위원회가 만주지역 공산주의 세력과 연계 ... This thesis examines the background and trajectory of the early 1930s reorganization campaig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Hamgyeongbuk-do Province Preparatory Committee in Onseong-gun, Gyeongseong-gun, and Hoeryeong-gun Counties and analyzes its historical significance. In 1929, communists in Manchuria attempted to reorganize their movement around farmers and laborers according to the Comintern’s “December These.” The arrest of Marxist-Leninist Han Bin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ended his efforts to reorganize the communist movement in Hamkyeongnam-do Province, Seoul, and Busan. The preexisting literature, however, overlooks that Han ordered Choi Ryeong and Jeon Uil to organize the Korean Communist Party Hamgyeongbuk-do Province Preparatory Committee. This thesis corrects this oversight by emphasizing Han’s role while analyzing the Marxist-Leninists’ reorganization campaign of said branch. The Korean Communist Party Hamgyeongbuk-do Province Preparatory Committee focused o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the region. The residents of the area were impoverished and deeply resented the colonial authorities; thus social organizations were formed to overcome the region's economic hardships. These movement activists, followers of communist ideology, led the movement to liberate Korea, with Jeon Uil in particular interacting with the activists of Gyeongseong-gun County and expanding the reorganization campaign there. The Preparatory Committee established yacheikas (cells) targeted towards farmers and laborers in industrial facilities around the Hamkyeong region. They organized revolutionary farmers' associations, educated youths on communist ideology, and mimeographed communist propaganda to resist the Japanese. However, the Preparatory Committee's operations demonstrated a few limitations. The first was despite professing to follow the “December These,” all leadership positions were held by the reorganization movement's communist intellectuals from the start. Second, the same leadership also procured money for the Preparatory Committee by stealing the local residents' community funds. Exploiting the same farmers and laborers they claimed to reorganize was probably the most glaring flaw in the movement influenced by the armed resistance in Manchuria. Meanwhile the Preparatory Committee's members created networks through personal connections with friends, colleagues, and social organizations. These networks shared similarities in that they consisted of individuals in the same age range and based around Onseong-eup Village and surrounding areas. Some members of the Onseong branch of the New Korea Society(新幹會) and Onseong Youth League, active in the same area, adopted communist ideology as a solution to the region's social problems. The experiences of Jeon Uil, one such member of the 1920s social movements in Hamgyeongbuk-do province, are noteworthy here regarding his participation in the Korean Communist Party Hamgyeongbuk-do Province Preparatory Committee. As the Preparatory Committee operated in a border city, their relationship with the communists in Manchuria demands review. Japanese sources demonstrate there was no direct pipeline from the party branch to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Manchuria. However, the fact the two organizations did collaborate and attempt to procure weapons, and Han Bin who directed Choi Ryeong and Jeon Uil, does lend weight to the possibility of ties between the party branch and communists in Manchuria. In addition, the secret society in Onseong founded after the Preparatory Committee's dissolution reached out to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early 1930s campaign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Hamgyeongbuk-do Province Preparatory Committee features a liberation movement undergoing transition. This movement was influenced by both the Manchurian armed resistance organizations and social movements in Hamgyeongbuk-do Province, but contradicted its own prioritizin...

      • KCI등재

        1920년대 전반기 고려중앙국의 조직과정과 운영

        조철행(Chul-Hang Cho)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연구소 2008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30

        국제공산당은 1921년 11월 채택한 조선문제결정서에서 조선과 관련한 최초의 공식적 입장을 표명했다. 1922년 4월에는 두 번째 조선문제결정서를 채택했다. 이 결정서들은 상해파 고려공산당과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사이에서 빗어진 당권 · 군권 투쟁을 해결하고 연합고려공산당을 만들려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었다. 그 결과 1922년 10월 베르흐네우딘스크에서 고려공산당통합대회가 개최되었지만 대표자격문제를 둘러싼 대립으로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 등은 탈퇴하여 치타에서 새로운 고려공산당대회를 개최하였다. 고려공산당통합대회가 결렬되자 1922년 12월 국제공산당 산하 조선문제위원회는 조선문제결정서를 채택했다. 세 번째 결정서는 고려 공산당을 포함한 국내외 모든 공산주의그룹을 통합하여 단일한 공산당을 만들고 혁명적 민족주의단체와 통일전선의 수립 등의 방침을 밝혔다. 고려국은 그 방침의 실행기구로 조직되었다. 이 글은 고려국의 조직과정과 그 운영을 해명하려는 것이다. 베르흐네우딘스크 고려공산통합당대회와 분립된 치타 고려공산당 대회의 결과 조직된 조선문제위원회와 그 조선문제위원회가 채택한 조선문제결정서의 내용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국제공산당이 대조선정책을 결정할 때 어떠한 방식과 어떤 자료에 근거하였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각 공산주의그룹은 각자의 보고자료를 제출하고 조선문제위원회 회의에 참가하여 자기의 입장과 태도를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조선문제위원회는 그 자료를 검토하고 논의를 거쳐 조선 문제결정서를 채택하였다. 앞선 연구들이 국제공산당이 조선문제를 일방적으로 결정했고 우리 공산주의자들은 그 결정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했다는 전제는 정정되어야 한다. 조선문제결정서는 결정서 채택 방식 등을 밝힌 전문과 조선의 혁명적 민족운동과 노동운동, 분파, 고려중앙국과 그 임무 등 4개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결정서는 국내 계급분화를 분석하며 고양되는 노농운동을 중심으로 공산당을 조직하고 혁명적 민족-종교 단체와의 공동항일 전선을 구축할 것과 분파근절, 고려중앙국의 성원과 위상, 임무 등을 명시했다. 고려중앙국은 1923년 2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실질적 활동을 개시하였다. 고려중앙국은 선전선동부, 교섭부를 두었고 회의는 총 25회 개최되었다. 회의는 사안에 따라 소집되었고 고려중앙국 위원 보이진스크 · 이동휘 · 한명세 등과 의제와 관련된 인물이 참석하였다. 회의에서는 국민대표회의와 민족문제, 조선인 빨치산부대 문제, 국내외 공산주의단체 조사 등이 주요한 의제로 다루어 졌다.

      • KCI등재

        朝鮮共産黨 派爭論

        최봉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5

        본 주제는 조선공산당의 파쟁문제에 관하여 필자의 이해대로 좁은 식견을 서술하였는데, 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가령 조선공산당 내부에 확실히 파쟁이 존재하였다면, 그 기본 요소를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파쟁으로 막을 내린 고려공산당의 영향이 그 첫째이고, 조선공산당의 전신으로 출현하여 말썽이 많았던 초기 사회주의 연구 그룹이 그 둘째이며, 식민지시기 조선독립운동(혁명운동)단체들의 초민주주의원칙에 의한 백가쟁명이 그 셋째이다. 일제 경찰자료들은 조선공산당의 ‘분파’를 이론파와 비이론파로 구분하였는데, 이른바 ‘화요파’ㆍ‘ML파’ 등이 전자에 속하고 ‘서울파’ㆍ‘상해파’ㆍ‘이르쿠츠크파’ㆍ‘서울-상해연합파’ 등이 후자에 속한다. 이런 분파들은 기실 일제의 분화 목적에 의해 날조된 것이고 ‘화요파의 만주총국’이나 ‘ML파의 만주총국’ 따위도 역시 일제의 추악한 본질에 의해 분류된 것으로, 조선공산당 만주총국과 고려공산청년회 만주총국 앞에는 아무 딱지도 붙일 필요가 없다. 조선공산당이 ‘파쟁’ 딱지를 달게 된 것은 코민테른 6차대회의 부당한 결의와 일제 경찰당국의 믿음직하지 못한 심문조서와 학계의 무의식적인 논조에서 유래하였다. 그러나 일제 경찰당국에서 조선공산당의 ‘파쟁’ 내막을 그토록 자세히 파악 기록할 수 있었다는 것은 조선공산당이 그만큼 온 세상이 달 알도록 활약했었다는 것을 반증한다. 조선공산당이 해체된 주요 원인을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조선공산주의자들이 공산주의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공산당을 조직하였으므로 그 진리여부에 관한 분쟁을 피면하기 어려웠다. 둘째, 나어린 조선공산당이 일제 경찰 측의 고압정책에 대응할 만한 능력이 없었다. 셋째, 코민테른의 졸렬한 ‘12월테제’는 실제상 식민지조선의 특수성을 무시하고 조선공산주의운동을 말살하였고 또한 교조주의적인 ‘일국일당 원칙’은 비록 중국공산당의 세력을 어느 정도 강화하였으나 그 대신 조선공산주의자들로 하여금 평등하고 독립적인 지위를 상실케 하였으며 이로 인해 재만조선인(특히 공산주의자)들은 막대한 대가를 치를 수밖에 없었다. 요컨대, 조선공산당은 조선민족해방운동의 역사적 산물로서 응당 공정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 왜냐 하면 이른바 그 ‘파쟁’ 속에 교훈들이 적잖게 들어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8·15 직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의 조직적 한계와 좌·우 분립의 배경

        윤덕영(Yoon, Duk-Young)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100

        이글은 조선건국준비위원회 중앙 조직의 조직적 성격, 건준을 확대하기 위한 좌?우협상이 결렬되는 과정과 원인, 건준에서 조선인민공화국으로의 전환과정에서 분명해진 재건파 조선공산당의 헤게모니 전취 등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건준 활동이 실패하게 된 내적인 조직적 한계를 해명하고, 그러한 한계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배경으로 재건파 조선공산당과 박헌영의 민족통일전선론의 성격을 분석함으로써 해방직후 최초의 국가 건설과정에서의 좌?우 분립의 일 배경을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건준 1차 중앙조직은 건준을 밑받침하고 있는 정치세력의 취약성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었다. 그것은 일제하 이래 민족운동과 사회운동 세력 중 일부만으로 조직되었다. 2차 중앙조직에 이르러 조직의 체계가 잡히지만, 재건파 조선공산당 세력이 최대의 세력을 이루었고, 본래 취약한 인적구성을 갖고 있던 건국동맹?여운형계는 다수를 점하지 못했다. 민족주의세력으로는 기호파 일부 안재홍계열이 주로 참가하였지만, 이들은 전체 민족주의세력 중 극히 일부분이었다. 건준에 광범한 민족주의세력을 망라하기 위한 좌?우 협상이 여운형?안재홍과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두 차례에 걸쳐 진행되었다. 그렇지만 재건파 조선공산당 세력의 방해로 협상은 무산되게 된다. 이미 건준에서는 재건파 공산당과 연결된 세력들이 주도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건준에서 인공 선포에 이르는 과정에서 여운형의 지도력은 그 주변의 사람들에 국한되었지, 공산주의자들에게는 미치지 못했다. 재건파 공산당의 정치노선으로 확정된 8월 테제는 민족부르주아와의 협동이나 민족통일전선 결성을 주장하고는 있었다. 그렇지만 관심의 초점은 프롤레타리아 헤게모니, 즉 노동계급의 영도권 확립을 위해 대중을 전취하는데 있었다. 8월 테제는 송진우를 반동적 민족부르조아지로, 한민당을 지주?자본가 계급의 반동적 정당으로 못박음으로써, 한민당을 중심으로 결집해 있는 광범한 민족주의세력과 일부 사회주의 우파세력을 민족통일전선에서 배제하겠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이러한 재건파 공산당의 노선과 활동은 해방 후 최초 국가건설과정에서 건준이 좌?우의 정치세력을 망라하는 민족통일전선으로 발전하지 못하게 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그 결과 좌?우 정치세력의 분립은 보다 분명해져 갔다.

      • KCI등재

        8.15후 中國 延邊地方의 조선인 무장부대의 창설과 초기 활동

        廉仁鎬(Yeom, In-ho)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4 역사문화연구 Vol.21 No.-

        Attacking Manchuria from Russian Red Army began on the ninth of August in 1945 and Japanese Army was soon defeated and surrendered. To maintain the public peace and order, many armed organizations appeared spontaneously in all parts of Yanbian. One of armed organizations, the Youth Union, was formed by Korean communists and was very radical. The Youth Union was absorbed into Chinese Communist Party (CCP) that got to Manchuria earlier than Chinese Nationalist Party (CNP). CCP organized communist army in Yanbian based upon the Youth Union. From on 25th of October in 1945, there were severe battles between CCP Army and CNP Army in Shanhaikwan in China for twenty days. CNP Army won over CCP Army and as a result, CNP Army was ready to attack Manchuria that made CCP in Manchuria being afraid. CCP of Yanbian planed to call out Korean Army that organized in Yanbian to a battle if the battle took place in the center of Manchuria. After CNP of Yanbian was annihilated, Yanbian became a strong revolutionary base of CCP of Yanbian. CCP and CNP battled intensely in order to occupy Changchun for three days from on 15th of April in 1946 after Russian Red Army withdrew from Changchun and CCP won. During the battle, Korean Army in Yanbian sided with CCP to fight against CNP and its participation contributed to the victory of CCP over CNP. But because of the engagement of this battle, Korean became detested by conservative Chinese. Thereafter, when CNP took over Changchun, Korean in Changchun had been under Chinese attack that ended in losing many Korean’s lives. 1945년 8월 9일부터 소련군이 滿洲를 공격했다. 일본군은 곧 패배하였고 항복하였다. 일본군의 항복으로 만주에서는 치안이 대단히 문란해졌다. 延邊에서는 치안 확보를 위해 각지에서 자발적인 무장 조직들이 생겨났다. 靑年同盟의 무장부대도 그 하나였다. 청년동맹은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이 조직했고 매우 급진주의적이었다. 中國國民黨 보다 먼저 만주에 들어온 중국공산당은 이 청년동맹 무장부대를 흡수하였고 이 부대를 기본으로 삼아 연변에서 공산당 군대를 조직하였다. 1945년 10월 25일부터 20일 동안 중국 山海關에서 중국국민당 군대와 중국공산당 군대가 상호 격렬한 전투를 전개하였다. 이 전투에서 승리한 국민당 군대는 만주를 공격할 태세를 갖추었다. 이렇게 되자 만주의 중국공산당은 매우 두려워하였다. 연변의 중국공산당은 만약 만주 중심지역에서 전투가 벌어지면 연변에서 조직된 조선인 군대도 동원하려고 하였다. 연변의 공산당 군대는 먼저 연변 내에 있던 국민당 부대를 섬멸시켜 연변을 튼튼한 혁명 기지로 만들었다. 소련군이 長春에서 철수하자 이곳을 차지하기 위한 국민당 공산당 사이의 전투가 1946년 4월 15일부터 3일 동안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공산당 군대가 승리하였다. 이때 연변의 조선인 군대도 공산당 편에 서서 전투에 참가하였다. 그리고 공산당이 승리하는데 크게 공헌하였다. 그러나 이로 인해 조선인들은 보수적인 중국인들로부터 미움을 받게 되었다. 이후 국민당 군대가 장춘을 차지하게 되었을 때 중국인들은 장춘의 조선인 민간인들을 공격하였다. 이로 인해 많은 무고한 조선인들이 죽임을 당했다.

      • KCI등재

        연안파 尹公欽의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

        김용진 숭실사학회 2021 숭실사학 Vol.- No.47

        본 연구는 윤공흠이 해방 이전에 대표적인 사회주의자 출신 비행사로서 활동한 점을 강조하면 서 일제강점기에 전개한 일련의 민족해방운동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그의 식민지 시기의 활동 전반을 정리하면서 몇 가지 그만의 독특한 이력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윤공흠은 일제강점기에 활약한 대표적인 사회주의자 출신 비행사이다. 그동안 사회주의자 비행사들을 발굴하지 못했던 가장 큰 이유는 자료의 제한도 있겠지만, 윤공흠의 사례처럼 해방 이 후의 행적이 부각되어 해방 이전의 일제강점기 당시에 활동한 이력들이 전혀 알려지지 않은 경우가 있다. 즉, 그는 연안파로서 활동한 점이 부각되어 해방 이전의 비행사 이력이 베일에 가려진 것이다. 앞으로 일제강점기에 활약한 여러 사회주의자 출신 비행사를 발굴하여, 균형적인 항공독립운동사 연구에 진전이 있기를 기대한다. 둘째, 윤공흠은 의열단 출신의 2등비행사였다. 그가 습득한 비행술은 반전 선전 활동 및 전단 지 살포에 유리하였다. 그러나 그의 비행술은 직접적으로 활용되지는 않았지만, 윤공흠의 사례를 통해서 미루어짐작컨대 김원봉 등 의열단 지도부에서는 비행술을 활용한 국내 공작 활동의 중요 성을 일찍이 깨닫고 있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이는 ‘1920년 독립전쟁의 해’ 선포를 계기로 항공 력의 중요성이 민족주의 진영 내에서 뿐만 아니라 좌익계열 진영에서도 중요하게 여겼음을 보여주 는 것이다. 셋째, 윤공흠은 초기 민족주의자에서, 이후에는 사회주의자로 변모한 인물이라는 점에서 하나의 전형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예컨대 1929년 광주학생운동을 경험하면서 체득한 민족주의와 초보적 수준의 사회주의 사상은 1933년 의열단의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서 공산주의 이론을 학습하면서 심화되어 자연스레 사회주의자로 경도되었다. 특히 그는 1934년 ‘간부학교사건’으로 대변되는 잠재적 대중을 토대로 한 국내 공작 활동을 통해서 이후의 좌파적 민족협동전선의 활동 에 영향을 주어 민족혁명당·조선의용대(군)·화북조선청년연합회·조선독립동맹 등에서 주요한 적구 공작 책임자로 활약하게 하였다. 넷째, 윤공흠은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2등비행사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해방 이후 북한에서 항 공 관련 직책을 전혀 맡지 않았다는 점이 독특하다. 이는 전술하였듯이 일제강점기에 조선의용군 출신인 왕련과 일본비행학교 출신의 이활이 주요 항공 직책을 역임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런 점 에서 일제강점기에 보기 드문 항공인으로서 전문적인 비행술을 연마한 윤공흠의 북한에서의 행보 는 다른 이들과 비교할 때 독특하다고 할 수 있겠다. 다섯째, 윤공흠의 비행술을 활용한 의열단의 특무 공작 활동은 조선공산당 재건운동 과정 중에 전개된 새로운 형태의 특무 공작이다. 의열단과 조선공산당의 연합전선은 두 조직의 지도자인 김원봉과 안광천의 만남으로 성사되었다. 의열단의 국내 특무 공작은 공산당과의 연합전선을 기반 으로, 국내에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을 펼쳐 조선공산주의혁명당의 건설에 그 목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공작은 한중연합전선 나아가 코민테른 원동국과 일정한 연계를 맺었다는 점에서, 윤공흠의 비행술을 이용한 공작은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새롭게 바라보게 한다. 이처럼 윤공흠에 대한 본 연구는 한 인물을 통해서 해방 전후사를 연속성과 단절성이라는 구도 에서 다시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가 충분하다고 본다. 다시 말해, 한 인 물을 평가함에 있어 해방 전과 후를 구분하여, 별개의 인물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 하나의 동일 인 물로서 해방 전후의 활동상에서 어떤 점이 연속성을 지니고 또 어떤 점에서는 단절성을 지니는지, 객관적으로 봐야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규명됐을 때, 윤공흠이라는 한 인물이 해방 이전 에는 2등 비행사 출신으로 좌파 민족주의자에서 사회주의자로 변모한 배경은 무엇이었으며, 또 해 방 이후에는 대표적인 연안파로서 자리매김한 이유를 밝히는 데에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을 거라 고 본다. This paper dealt with the lif e of Yun Gong-heum(尹公欽) and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before liberation. Until now, Yun Gong-heum has been well known only as a representative Yeonanpa(延安派) in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Prior to that, he was a leading socialist pilot who played for Japanese colonial era. Interestingly, however, he did not hold any aviation-related positions or status in North Korea after liberati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series of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developed in Japanese colonial era, emphasizing that Yun Gong-heum worked as a representative socialist-turned-flight before liberation. While organizing his overall colonial activities, he was able to deriv e some unique his tories. First, Yoon Gong-heum is a representative socialist-turned-airman who playe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biggest reason why socialist aviators have not been discovered so far may be limited in data, but as in Yoon Gong-heum's case, an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period before liberation may not be known at all. In other words, the fact that he worked as a Yeonanpa was highlighted, and the history of the pilot before liberation was veiled. In the future, we look forward to discovering several socialist former aviators who have been active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making progress in the study of balanced aviatio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Second, Yun Gong-heum was a second-class pilot from Heroic Group(義烈團). The flying technique he acquired was advantageous for anti-war propaganda activities and flyer spraying. However, although his performance as an aviator was not directly utilized, it can be in ferred from the case of Yun Gong-heum that the leadership of the Heroic Group, including Kim Won-bong, realized the importance of domestic maneuver activities using flight techniques. This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aviation power was considered important not only within the nationalist camp but also by the leftwing camp as an opportunity o f the declaration of the 1920 Year of Independence War. Third, it can be said that Yun Gong-heum shows a good example in that he is a person who has transformed from an early nationalist to a socialist afterwards. For example, the nationalism and socialist ideas acquired while experiencing the Gwangju Student Movement(光州學生運動) in 1929 were naturally led to socialism while learning communist theory at the Joseon Revolution Military Political Executive School(朝鮮革命軍事政治幹部學校) in 1933. In particular, he influenced the activities of the left-wing national cooperative front through domestic maneuvering activities represented by the executive school incident(幹部學校事件) in 1934, making him a major redemption officer in the National Revolution Party(民族革命黨), Korean Volunteer Corps(朝鮮義勇隊), Hwabuk Korean Youth Association(華北朝鮮靑年聯合會), and the Korean Independence Alliance(朝鮮獨立同盟). Fourth, it is unique that Yoon Gong-heum has not held any aviation-related positions in North Korea since liberation, even though he was a former second-class flight agent working in Japanese colonial era. As mentioned above, this is in contrast to Wang Ryeon(王連), a former Joseon Volunteer Army(朝鮮義勇軍), and Lee-Hwall(李 闊), a former Japanese flight school, serving as major aviation positions in Japanese colonial era. In this regard, Yoon Gong-heum, who practiced professional flight skills as a rare airline in Japanese colonial era, can be said to be unique compared to others. Fifth, the special maneuver operation of the Heroic Group using Yun Gong-heum's flying technique is a new form of special maneuver operation developed during the reconstruction movement of the Joseon Communist Party(朝鮮共産黨 再建運動). The united front of the Heroic Group and the Joseon Communist Party was concluded by the meeting of Kim Won-bong(金元鳳) and An Gwang-cheon(安光泉), the leaders of the two organizations. Based on the united front with the Communist Party, it can be seen that the Heroic Group's special affairs in Korea aims to rebuild the Joseon Communist Party in Korea. In addition, given that this maneuver had a certain connection with the Korea-China united front and the Comintern For East Department, Yun Gong-heum's maneuver using flight techniques is viewed anew in this series of processes. As such, this study on Yun Gong-heum believes that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history is sufficient in that it allows one person to look back at the history before and after liberation from the composition of continuity and disconnection. In other words, in evaluating a person, it was not viewed as a separate person before and after liberation, but as a same person, it was emphasized that what had continuity in activitie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and in what ways had disconnection. When this was identified, I think it could provide a clue to why a person named Yoon Gong-heum was a former second-class pilot before liberation and changed from a left-wing nationalist to a socialist, and after liberation, he established himself as a representative Yeonanpa.

      • KCI등재

        일제강점기 최익한(崔益翰)(1897-?)의 사회주의 사상의 수용과 활동

        송찬섭 ( Chan Sup Song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1 No.-

        한 개인의 사상과 활동은 삶의 족적과 함께 계속 성장하거나 변화한다. 때로는 시기에 따라 상당한 변화를 보여주고 있어도 내면적으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최익한은 한학자로 시작해서 근대학문과 민족주의활동, 사회주의사상과 활동, 국학 등 다양한 이력을 가졌는데 이 또한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이 글에서는 최익한이 일본으로 가서 사회주의사상을 수용하고 활동하였던 시기, 곧 1925년에서 3차 조선공산당 활동과정에서 체포(1928년 2월)되고 8년간의 수형기간까지의 활동에 대해 좀더 검증함으로서 격변의 시기를 살았던 한 지식인으로서의 변화 발전 과정을 알아보고 우리 사회에 대한 공헌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최익한의 1920년대는 민족주의운동에서 사회주의운동으로 넘어가는 과정이었다. 1919년 최익한이 일으킨 임시정부 군자금 모금사건은 뚜렷한 방침이 없는 개인적인 행동일 수 있겠지만 3ㆍ1운동과 스승 곽종석의 영향을 받은 그는 확고하게 대처하였다. 수형생활을 마치고 1923년 풀려나온 최익한은 2년정도 침잠한 끝에 1925년 일본 유학을 선택하며 사회주의사상과 운동으로 전환하였다. 이미 국내에서도 사회주의사상이 싹트고 재일 유학생들이 사상단체운동을 벌여나갔던 상황과도 연결이 된다. 최익한은 와세다대학을 다니며 大山郁夫 교수와 福本和夫 등으로부터 사회주의사상을 배웠고 일월회, 재일본 조선노동총동맹, 재동경조선청년동맹, 신흥과학연구회 등 여러 단체에 참여하면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국내 조선공산당이 결성되고 특히 3차 조선공산당에 일월회 출신 안광천이 책임비서가 되고 일본 유학생 출신들이 국내에 적극 참여하면서 최익한도 국내와 일본을 왕래하면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27년은 최익한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던 시기로 꼽을 수 있다. 이 시기 좌우연합운동단체로서 신간회가 결성되어가는 과정에서도 사상단체해체론을 내세워 큰 역할을 하였으며, 이후 1927년 2월 신간회가 결성되고 이후 동경지부도 세워졌는데 최익한은 본부와 지부에서 각각 간사를 맡았다. 신간회에 대해 비판적인 전진회를 견제하기 위해 1927년 5월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 창립총회가 열리자 상설론을 비판하는 논객으로서 큰 역할을 하였다. 한편 제3차 조선공산당, 김준연, 김세연의 책임비서 시절 조선과 일본을 오가며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1927년 11월에는 코민테른 인물을 만나고 자금을 받고 밀담을 나누기도 했는데 이는 최익한의 비중을 말해준다. 1928년 2월 조선공산당에 대한 대대적인 검거가 이루어지면서 당시 당대회를 위해 국내에 들어와 있던 최익한도 검거되었다. 혹독한 재판과정과 수형생활이 계속되었지만 최익한은 꿋꿋하게 활동하였고 특히 1932년 대전형무소로 이감 도중 만세시위와 재판투쟁은 최익한의 항일의지와 비중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일제에 대한 저항으로 인하여 그는 1920, 30년대 가운데 10년을 감옥에서 보냈다. 이같은 활동을 한 인물이지만 출옥한 뒤 생활을 위해 국학활동에만 전념하였기에 사회주의 운동에서는 공백기를 가졌다. 이 때문에 해방초 최익한은 다시 활동을 재개하였으나 큰 역할을 하지 못한 가운데 월북하였다. Thought and activities of individuals should continue to grow or change with mark in life. Sometimes even to show a substantial change over time in the inner will be connected to each other. Choi Ik-han(崔益翰) are judgment that started from Chinese literature scholar to held a variety of modern disciplines such as history and nationalistic activities, socialism thought and activities, Korean Studies were also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article more verification about Choi Ik-han go to Japan time who accept socialism thought and activities, namely in from 1925 and the arrested in the third Chosun Communist Party(朝鮮共産黨) activities (February 1928), the activities to term of eight years imprisonment. Through this, we learn the intellectuals who lived as a time of rapidly change i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o evaluate the his contribution to our society. Choi Ik-han`s 1920s was the process of move to the socialist movement from the nationalist movement. War chest fundraising event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1919 caused the Choi Ik-han can be a personal act, there is no clear policy to deal with, but he was firmly exercise under the influence of 3·1 Movement and mentor Gwak Jong-seok(郭鍾錫), After a prison life, Choi Ik-han released from 1923 to 1925 was selected to study in Japan at the end of withdraw to two years and was converted into socialism thought and movements. This is also connected with the domestic situation is that socialism thought sprout and Japanese exchange students launch a organization of thoughts. Choi Ik-han learned from socialism thought, such as 大山郁夫(Ikuo Oyama) Professor and 福本和夫(Kazuo Fukumoto) while in Waseda University. And he was actively involved in various organizations that January Association(一月會), The Federation of Korean Laborers in Japan(在日本朝鮮勞動總同盟), The Korean Youths League in Tokyo(在東京朝鮮靑年同盟), Newly Society For Science Study(新興科學硏究會) and activities. Formed the Chosun Communist Party, and especially in from the January Association, Ahn Kwang-Chun(安光泉) was responsible Secretary of the third Chosun Communist Party while Japanese exchange students were actively involved in domestic activities. Choi Ik-han also began activity with travel to Korea and Japan. In particular, 1927 was considered Choi Ik-han when the most active. In this period the process of becoming Shinghanhoe(新幹會) was formed as a union of Left-RIght Coalition Movements, he plays a important role as claim that Organization of Thoughts Disorganization(思想團體解體論), and after he took the assistant administrator in Shinghanhoe and Shinganhoe Tokyo branch(新幹會 東京支部) established in February 1927. In May, 1927 inaugural meeting of Central Council of The Korean Society Organizations(朝鮮社會團體中央協議會) in order to check the JeonJinhoe(前進會), critical for Shinghanhoe, he was a great role as commentators to criticize their Theory of permanent restoration(常設論). Meanwhile, Choi Ik-han was actively splits his time between Korea and Japan when Kim Jun-Yeon(金俊淵) and Kim Se-Yeon(金世淵) were responsible secretary of third Chosun Communist Party. In November, 1927 he meet figure of the Comintern, received the money from him, was closeted with him which tells of Choi Ik-han`s weight. Due to the massive arrest of the Chosun Communist Party in February 1928, Choi Ik-han was arrested for domestic entered the party congress. The continue harsh trial and imprisonment though the Choi Ik-han acted proudly and Especially 1932 hurrah demonstrations(萬歲示威) and court struggle during the transfer to Daejeon prison was an important event to show the Choi Ik-han`s will and the proportion of the Anti-Japanese. Because to the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he spent ten years in prison, of 1920, and 30`s. Despite this history, after release from prison he focused on Korean Studies activities to life and had period of blank in the socialism movement. The results the early part of liberation Choi Ik-han has resumed activity, but soon defected to North Korea while not played a big role.

      • KCI등재

        중공 동북당 조직의 조선민족항일혁명투쟁 인식과 방침 정책

        김성호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2

        . 중국 동북지역의 조선민족은 19세기 중엽부터 조선반도에서 월경천입하여 점차 형성된 새로운 한개 소수민족이다. 1910년 8월 조선이 일본에게 강점당한 후 조선의 애국지사들은 분분히 중국 동북지역으로 건너와 조선민족 이민사회를 기반으로 하여 반일민족투쟁을 계속 진행하였다. 1921년에 탄생한 중국공산당은 맑스레닌주의의 민족이론을 준수하여 시종일관하게 각 민족의 평등, 단결과 해방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였는바, 최초부터 동북 조선민족의 항일투쟁에 대하여 동정하고 지지하는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1930년 이래 동북조선민족 공산주의자들은공산국제의 “일국일당”(一国一党) 조직원칙과 조선공산당 중앙조직이 이미 해체된 상황에 근거하여 그들 대부분이 개인 신분으로 중공 동북당조직에 가입하여 중국혁명에 직접 참가하였다. 중국공산당은 동북조선민족공산주의자들을 통일영도하여 장기간 항일혁명운동을 진행하는과정에서 조선민족을 진일보로 요해하고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게 되었으며 경험교훈을 부단히 접수하면서 점차적으로 동북조선민족의 역사특점과 그들의 항일혁명특수성에 완전히 부합되는 일련의 정확한 방침정책들을 제정하고 실행하게 되었다. 그 주요한 내용은 조선민족 간부들을충분히 믿고 중용하며 조선반일민족독립해방운동을 적극 지원하고 장차동만(东满, 지금의 연변지역)에서 일제식민통치를 뒤엎고 조선민족“자치구”를 건립할 것을 제출한 것 등이다. 중국공산당의 통일적인 영도 하에서 조선민족공산주의자들은 중국 동북혁명과 조선혁명을 모두 완성해야 하는 “두 개의 혁명사명”(双重革命使命)을 짊어지고 동북의 여러 민족들과 긴밀히 단결하여 어깨 겯고 함께 싸우면서 동북항일혁명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큰 역할을 하였으며 돌출한 공헌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점차 김일성 장군을 위수로 한 조선공산주의혁명의 견강한 영도핵심역량이 형성되었으며 중국 조선족사회의 제1대 혁명간부들이 양성되었다. 이는 중국공산당이 정확한 민족정책을 제정하고 집행하여 온 위대한 투쟁역사이며 동북 여러 민족이 대단결을 실현하고 함께 항일혁명승리를 취득한 빛나는 역사 과정이며 동시에 중조 두 나라 인민들이 함께 동방 반파쑈 전쟁터에서 어깨 겯고 싸워 선혈과 생명으로 중조 두나라의 “동지와 형제”의 견실한 우의친선을 마련한 귀중한 역사기록이기도 하다.

      • KCI등재

        강달영의 성장 과정과 사회변혁활동

        강호광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1

        Kang Dal‐yeong is known only as the responsible secretary of the 2nd Joseon Communist Party, which was urgently organized as soon as the 1st Joseon Communist Party that had been founded in April 1925, was collapsed in the Shinuiju incident in November of that year. However, Kang Dal‐yeong conducted independence movements and wide‐ranging social transformation activities in the Jinju area before becoming the chief secretary of the 2nd Joseon Communist Party. Through Kang Dal‐yeong’s birth, growth process, leadership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Jinju region, and participation in a wide range of social activities after the release from prison, this study attempts to focus on his activities until he became the responsible secretary of the 2nd Joseon Communist Party owing to the 1st Joseon Communist Party responsible secretary, Kim Jae‐bong’s being wanted by the police. Kang Dal‐yeong was born on December 29, 1887 in Bibong‐dong, Jinju. After studying Chinese Classics for about 10 years since he was eight years old, he graduated from Gyeongnam provincial Nakyuk High School, a western style education institution around the age of 21, and he worked in the scrivenery business. He also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which began in Jinju on March 18, 1919. While he was sentenced to three years in prison at Daegu prison, his sentenced period was reduced to one year and six months in prison and released in March 1921. Immediately after he was released from prison, he started his activities at Jinju Youth Association and continued a wide range of his social activities with labor‐peasant bodies. As a director of Shidae Ilbo and Chosun Ilbo Jinju branch office, his career brought about another big change in his life. Through the media he obtained understanding of the change in the situation, and the coincidental connection with Hong Deok‐yu, who served as Chosun Ilbo local director, became the decisive factor in becoming a responsible secretary for the 2nd Joseon Communist Party in March 1926. However, as the hurrah demonstration plan, which was scheduled to be implemented directly in line with the national funeral (因山) of King Sungjong on June 10, was pre‐discovered by the Imperial Japan Police, with the collapse of the 2nd Joseon Communist Party, Kang Dal‐yeong had to go through six years of imprisonment. The seven years of harsh prison life, including the time of imprisonment prosecution period, eventually made him a mental patient. Kang Dal‐yeong, who had been living poorly in his hometown of Jinju since his release in September 1933, ended his hard life in July 1940 without overcoming psychosis. 강달영은 1925년 4월 창당된 제1차 조선공산당이 그해 11월 ‘신의주사건’으로 와해되자 급하게 조직된 ‘제2차 조선공산당’의 책임비서 정도로만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강달영은 ‘제2차 조선공산당’ 책임비서가 되기 전 진주지역을 중심으로 독립운동과 폭넓은 사회변혁활동을 전개하였다. 본고는 강달영의 출생과 성장 과정, 진주지역 만세시위 주도와 출옥 후 폭넓은 사회단체활동 참여를 통해 ‘제1차 조선공산당’ 책임비서였던 김재봉의 수배로 인해 ‘제2차 조선공산당’의 책임비서가 되기까지 활동에 집중해 보고자 한다. 강달영은 1887년 12월 29일, 진주 비봉동에서 태어났다. 8세부터 10여 년간 한학을 수학하고 21세 무렵 신학문 교육기관인 경남도립 낙육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서업에 종사했다. 1919년 3월 18일부터 진주에서 시작된 만세시위도 주도하였다. 3년 형을 선고받고 대구형무소에서 복역 중 1년 6개월로 감형되어 1921년 3월 출옥하였다. 출옥 후 곧바로 진주청년회 활동을 시작으로 노․농단체 중심으로 폭넓은 사회활동을 이어갔다. 시대일보와 조선일보 진주지국장으로서 활동은 그의 인생에서 또 다른 큰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였다. 언론을 통해 정세변화를 통찰할 수 있었고, 더욱이 조선일보 지방부장으로 재직하던 홍덕유와 인연은 1926년 3월 ‘제2차 조선공산당’의 책임비서가 되는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약 3개월이 지난 6월 10일 순종의 인산(因山)에 맞춰 직접적으로 실행하기로 했던 만세시위계획이 일경에 의해 사전 발각되면서 ‘제2차 조선공산당’의 와해와 함께 강달영은 6년간의 옥고를 겪어야 했다. 구속수사 기간을 포함하여 7년간의 혹독한 형무소생활은 결국 그를 정신질환 환자로 만들어버렸다. 1933년 9월 출옥 후 고향 진주에서 불우한 생활을 이어가던 강달영은 끝내 정신병을 극복하지 못한 채 1940년 7월 고단했던 생을 마감하였다.

      • KCI등재

        한위건의 생애와 민족독립운동

        김승태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1

        이 논문은 3.1운동 때 학생단 주동자의 한 사람이었던 한위건의 생애와 민족독립운동을 정리한 것이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위건은 1896년 함경남도 홍원군 용원면 동촌리에서 태어나 고향에 있던 사립 중성학교에서 초등교육을 받고, 1914년 서울 오성중학교에 입학하여 1917년 3월 졸업하고 4월 경성의학전문학교에 입학했다. 그는 경성의전 2학년을 마칠 무렵인 1919년 1월 27일 당시 기독교청년회(YMCA) 간사를 맡고 있던 박희도의 초청으로 중국음식점 대관원에서 각 전문학교 유력 학생들이 모일 때 참여하여 학생단의 독립운동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후 강기덕, 김원벽과 함께 각 학교 대표자를 선임하고, 2월 20일 승동교회에서 제1회 학생단 간부회를 개최하였다. 2월 22일 박희도의 제안으로 김원벽, 강기덕과 협의하여 학생단의 독자적인 독립운동을 포기하고 기독교 천도교 연합 독립운동에 참여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기회 있을 때마다 학교, 하숙집, 관북학생친목회 등에서 학생들의 독립운동 참여를 권유했다. 3월 1일에는 경성의전 학생들을 이끌고 파고다공원에 가서 독립선언식과 만세시위에 참여했다. 또한 김원벽, 강기덕과 함께 3월 5일 남대문역 앞 학생만세 시위를 주동하였다. 그는 그후 중국 상하이로 망명, 1919년 4월 10일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하여 내무부위원, 임시의정원 함경도 의원으로 참여했고, 임시정부의 통합에도 적극적으로 협력하였다. 1919년 10월경 국내 특파원으로 파견되어 활약하였고, 상하이로 돌아가서는 신채호를 도와 『신대한』 발간에도 참여하였다. 상하이 교포사회에서도 여러 가지 활약을 하다가 1920년 3월 임시의정원 의원직을 사임하였다. 그는 1920년 일본에 건너가 와세다대학 정치경제학과에 들어가 공부하면서 같은 해 10월 공산주의연구회에 참여하였고, 조선유학생학우회 위원, 조선기독교청년회 이사 등으로 활동하였다. 1923년 7월 제3회 유학생학우회 하기순회강연단 일원으로 귀국하여 전국을 순회하며 강연하였다. 1923년 9월 ‘동경유학생위문구원회’를 조직하여 상무위원으로 활동하고, ‘동경지방 이재조선인구제회’에도 참여하여 잔무처리위원을 맡았다. 같은 해 10월 다시 일본에 돌아가 조선인이재민위문반 간부로 활동하면서 비밀리에 조선동포피해상황을 조사하여, 12월 25일 ‘재동경조선인대회’를 열어 ‘조선동포위문실황’을 보고하고, 일본 정부의 학살 책임을 비판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그는 1924년 가을 귀국하여 10월 시대일보 이사로 활동하였고, 이듬해 3월 동아일보 기자로 입사하여 1928년 2월까지 동아일보 정치부장을 맡았다. 동아일보 기자로 있으면서 1925년 늦가을 동경여자의학전문 출신 이덕요와 결혼하고, 1926년 9월경 조선공산당에 가입했다. 1926년 11월 15일 정우회선언에 참여하고, 12월 6일 조선공산당 제2차 당대회에서 중앙위원에 선출되고 선전부 부원을 맡았다. 1927년 1월 신간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창립준비위원으로 선임되었고, 2월 15일 신간회 창립대회를 하고, 신간회 간사회에서 간사로 선임되었다. 1927년 9월 20일 조선공산당 선전부장에 선임되고, 1928년 2월 27일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에 준비위원 대표로 참석하여, 검사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1928년 가을 일제 경찰의 검거를 피해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여 조선공산당 재건운동에 투신하였다. 그 후 상하이를 떠나 베이징에 가서 1931년 4월 ...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and national independence activities of Han Wui-geon(韓偉健), who was one of the student leaders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 sophomore of Gyeongseong Medical College, he led the students of the school to Pagoda Park to participate i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the street demonstration. He then fled to Shanghai, and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an came to Japan in 1920. In October of the same year, he joined the Communist Research Institute and worked as a member of the Joseon Student Association and director of the Joseon YMCA. In 1923, he carried out activities to investigate the massacre of Koreans and criticize the Japanese government's responsibility. He returned to Korea in the fall of 1924 and worked for Shi-Dae Ilbo and Dong-A Ilbo. Later, he was elected as a central committee member of the Korean Communist Party and became a founding member of Singanhoe. Back in China, Han joined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in 1931. With his wife, he was expelled from the Chinese Communist Part for his “rightism“ but later was reinstated. He died of tuberculosis and typhoid fever in 1937. In 1940,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pproved the legitimacy of his line and erected a tombstone for him in 194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