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의 상위저널을 중심으로 본 한국 경영정보학연구의 다양성에 관한 비교연구

        신호균,심완준,노경수 한국경영정보학회 2014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

        경영정보학의 학문영역은 1968년 정보기술이 경영정보시스템으로 확장 발전되면서 타 학문영역과 비교하여 정확한 분류체계를 가지기 위한 학문적 다양성을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그 동안 이 분야의 연구들은 경영정보학 연구의 주제 및 개념변화를 측정함으로써 패러다임의 변화를 알 수 있으 며, 참고학문영역의 수, 연구방법의 범위 등을 통해 경영정보학의 다양성에 관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Benbasat and Weber, 1996; Robey, 1996). 물론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가 국내 발간 학술지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는 있지 만, 최근 들어 경영정보학을 중심으로 한 내용분석 연구 등은 미흡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경영정보학’ 분야의 상위저널인 APJIS, ISR, 정보시스템 연구의 2009년 부터 2013년까지의 5개년간의 학술논문들을 바탕으로 연구주제의 분석 및 키워드 분석을 통해 저널 별 연구패러다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경영정보학 분야의 패러다임 연구를 통해 정보기술의 발전에 따른 경영정보시스템의 변화를 접목함으로써 중요 키워드의 변화를 바탕으로 MIS 연구의 확장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연구저널을 통합한 키워드의 변화를 통해 경영정보학 연구의 연구동향 및 향후 경영정보학 연구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문헌정보학분야 해외 연구 동향 및 유망 주제 분석 연구

        구본진,장덕현 한국문헌정보학회 2023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7 No.3

        이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문헌정보학의 핵심 연구 영역을 파악하고 향후 유망 연구 주제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는 주제를 식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국외 학술지 5종을 대상으로 지난 30년간(1993~2022)의 학술논문 11,252건에서 40,897개의 저자 키워드를 수집하였으며, 저자 키워드를 활용한 키워드 분석을 통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핵심 연구 영역을 파악하였다. 이어서 논문수, 저자수, 공저논문 비율, 피인용 수를 활용하여 주성분분석과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문헌정보학 분야의 미래 유망 연구 주제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향후 문헌정보학 분야의 유망 연구 주제는 ‘머신러닝/알고리즘’과 ‘연구 영향력’이었으며, 이외에도 소셜미디어와 빅데이터분석, 자연어 처리, 연구 트렌드 분석, 연구성과 평가 등이 향후 주요한 연구주제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문헌정보학 연구의 계량적 분석 -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 연구업적을 중심으로 -

        이종욱,Yang, Kiduk 한국문헌정보학회 201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5 No.4

        This study assesses research patterns and tren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in Korea by applying bibliometric analysis. For the study, 2,400 peer-reviewed publications from 2001 to 2010(including conference proceedings) published by 159 LIS professors in Korea were analyzed by year, author, affiliation and journal. The study findings showed an increasing trend in collaboration(52.75% of total publications with single authors and 47.25% with multiple authors) among LIS professors in Korea, robust publication patterns of Korean LIS faculty(average 1.51 publications per year), and an increasing number in foreign publications(170 publications). The study results also suggested an internationalization of LIS in Korea. Specifically, the study found a higher rate of Korean LIS faculty with foreign degrees than in previous years as well as a higher publication rate of professors with international degrees. The analysis of publication patterns conducted by the study, which is a first step in our aim to establish a multi-faceted approach for assessing the impact of scholarly work, will be followed up with analysis of references and citations to evaluate the quality of publications.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자 및 이들의 연구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국내 4년제 대학의 문헌정보학과에 재직 중인 교수(전임강사 이상) 159명이 지난 10년간(2001~2010년) 발표한 국내·외 학술논문 및 국제 학술회의 발표 논문 2,400편을 연도별, 저자별, 학교별, 학술지별 정량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들의 왕성한 학술활동(1인당 연평균 1.51편의 논문발표), 국외 학술논문 생산증가(170편) 및 공동연구 비율의 증가(단독연구 52.75%, 공동연구 47.25%) 등의 연구행태를 제시하였으며 특히 한국 문헌정보학의 국제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 지난 10년간 해외 박사학위 취득자의 문헌정보학 교수임용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해외 박사학위 교수들의 높은 논문생산성이 나타났다. 학술 논문의 서지정보를 계량 분석한 본 연구는 학술논문 품질평가를 위한 다방면 인용 분석연구의 첫 번째 단계를 실행하였고, 향후 진행될 연구에서는 학술 논문의 참고문헌 및 인용관계에 있는 자료를 분석하여 관련 학문분야 및 논문의 질적인 측면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김갑선,Kim, Kapse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정보학 학술지에 발표된 질적 연구논문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발전의 지향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헌정보학을 대표하는 4개 학술지의 2016년까지 총 73편(1.4%)의 논문을 선별하였다. 분석 결과, 1) 질적연구로 가장 선호하는 주제는 정보행태(39.7%)와 사서업무(20.5%)이다. 2) 연구 목적은 경험의 이해(60.2%)가 우세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현황 개선(30.1%)이다. 3) 선호하는 연구방법은 '일반 질적 연구'(26.0%), '무언급'(21.9%), 근거이론(13.6%), 현상학(10.9%), 사례연구(10.9%) 등 이다. 4) 연구의 참여자는 사서가 41.0%로 매우 우세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전문직 종사자(13.6%)이다. 5) 가장 선호하는 자료수집방법은 심층면담(20.5%), 면담(13.6%), 심층면담과 내부자료(9.5%)이다. 연구 결과, 문헌정보학 분야 질적 연구의 스펙트럼은 매우 다양하여, '느슨한 질적 연구'와 '과학성을 지향하는 질적 연구'가 공존하고 있었다. 문헌정보학의 질적 연구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에서는 질적 연구자의 인식 고양, 엄격한 연구방법(자료수집, 분석과 해석, 타당성과 신뢰성)의 적용이 요구된다. 제도적 차원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의 교과목 설치, 심사자와 연구자의 질적 연구 수행과 이해를 돕기 위한 문헌정보학 질적 연구지침과 표준 제작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s of qualitative research in four representative journals in Korean LIS from 1970 to 2016. 73 papers(1.4%) were analyzed focusing on publication year, subject areas, research purposes, authors, qualitative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methods, data analysis methods, and methods of valid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formation behaviour(39.7%) was the most researched topics, followed by librarians work(20.5%), and bibliotherapy & reading education(13.6%). 2) The most frequently used research purpose was for understanding experiences(60.2%) and for improving current state(30.1%). 3) 'Grounded theory'(13.6%) and 'phenomenology'(10.9%), 'case study'(10.9%), were used frequently, while 'non-specified qualitative method' was 26.0% and 'not indicated' was 21.9%. 4) Librarians (41.0%) were the most researched participants, followed by professionals(13.6%). To collect qualitative data, in-depth interview(20.5%), interview(13.6%), and in-depth interview & internal documents(9.5%) were frequently used. There are 'loose qualitative research' group and 'scientific qualitative research' group. LIS researchers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hould consistently make efforts to increase qualitative theory and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and to apply rigorous research method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sampling, data satur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Institutionally, It is to provid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course and to develop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LIS qualitative research authors and reviewers.

      • KCI등재

        문헌정보학 분야 국제 학술지 논문 계량분석을 통한 국내 연구자 특성 연구

        이종욱,박혜린,Lee, Jong-Wook,Bak, Hye-Ri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분야 국제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의 소속기관 유형 및 전공분야를 파악하고 이를 연도 및 학술지 유형에 따라 분석하여 이들의 연구행태 및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의 동향을 부분적으로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5년부터 2014년까지 문헌정보학 국제 학술지 31종에 게재한 논문 384편에 나타난 국내 연구자 정보 819건을 식별 및 분석하였다. 소속기관, 전공분야, 학술지 유형을 분석하는데 있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범주를 사용하여 향후 연구에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국내와 세계 연구자의 연구행태를 비교가능케 하였다. 공동연구의 경우 공저자 기여도 산정법을 적용하여 개별 연구자의 기여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총 384편 가운데 국내 연구자의 기여도는 342.6편이었으며,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의 국제화와 더불어 연구의 질적수준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국내 대학기관 소속 연구자들의 주도에 의한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 증가 추세를 제시하였으며 소속기관 유형에 따라 연구의 성격이 다를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자의 전공분야 분석을 토대로 문헌정보학 연구가 타 학문분야 즉, 컴퓨터공학, 경영학, 커뮤니케이션학 등과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researchers who have published journal articles in the international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journals, we analyzed the types of institutions of the authors and their disciplines by publication year and journal type. Specifically, we analyzed 819 pieces of author information from 384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5 and 2014 in 31 journals using the existing categories, allowing comparisons of research trends between past and current and between Korean and international researchers. In addition, we used a co-authorship credit allocation method to calculate the credits of individual authors in an accurate manner, and found that 342.6 of 384 papers were contributed by solely Korean researchers. We demonstrated that the internationality and quality of Korean LIS research has increased during this time. In particular, authors who were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took the lead in publishing papers, and we presented that the nature of research might be related to the type of author affiliation. Based on the disciplinary backgrounds of the researchers, we also suggest that LIS research is associated with such disciplines, computer science, management, and communications.

      • KCI등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의 연구동향 분석

        강미희,김정현,Kang, Mi-Hee,Kim, Jeong-Hye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 major trend through exhaustive search of papers contained i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that has been published for 40 years. Therefore, 1,365 paper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from 1974 to 2013 were analyzed. The analysis criteria include detailed subject and joint research status, research fund supporting, research area etc.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research topics, papers o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re the most, 452 papers followed by resource organization, 213 papers. The rest was found in the order of information service 188, information science 155 papers, reading guidance 101, library management 91, bibliography 84, collection development 58,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20 papers. Through this, it was analyzed that information science is on an increasing trend while bibliography is on an decreasing trend and records management shows sluggish production. Second, as for research fund supporting, it turned out that 428 papers were funded and 315 papers among them were supported by the university while the remaining 108 papers wer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Third, joint research is on an increasing trend and unlike the fact that there have been no papers for early, papers were found to increase up to 303 papers for recent. Fourth, unlike the early phenomenon concentrated in Daegu, research areas showed even distribution throughout the country in recent years. This showed that it has grown from certain area-based academic journal to nationwide academic journal. 이 연구의 목적은 창간 40년을 맞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에 수록된 논문의 전수조사를 통해 주요 연구경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대상은 1974년에서 2013년까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에 수록된 1,365편의 논문이며, 분석기준은 연구주제, 공동연구 현황, 연구비 지원 유무, 연구자 소속지역 등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는 문헌정보학일반이 452편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자료조직 213편, 정보서비스 188편, 정보학 155편, 독서지도 101편, 도서관경영 91편, 서지학 84편, 장서개발 58편, 기록관리학 20편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보학은 증가추세인 반면 서지학은 감소추세며, 기록관리학은 생산량이 부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연구비 지원 여부는 428편이 연구비를 지원 받았으며, 이중 315편은 교내지원인 반면 나머지 108편은 정부지원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동연구의 경향은 점점 높아지는 추세에 있으며, 전무했던 초창기와 달리 최근에는 303편으로 증가하였다. 넷째, 연구자 소속지역은 대구, 경북에 집중되었던 초창기 현상과 달리 최근 들어서는 전국적으로 고른 분포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지역기반학회지에서 전국규모 학회지로 성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동향 분석

        박자현,송민 한국정보관리학회 2013 정보관리학회지 Vol.30 No.1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to identify the topic trend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o this end, we collected titles and abstracts of the papers published in four major journals such 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and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uring 1970 and 2012. After that, we applied the well-received topic modeling technique, Latent Dirichlet Allocation(LDA), to the collected data sets. The research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Comparison of the extracted topics by LDA with the subject heading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hows that there are several distinct sub-research domains strongly tied with the field. Those include library and society in the domain of “introduction to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alism,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in the domain of “library system,” library evaluation in the domain of “library management,”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 in the domain of “library service,” services by library type, user training/information literacy, service evaluation, classification/cataloging/meta-data in the domain of “document organization,” bibliometrics/digital libraries/user study/internet/expert system/information retrieval/information system in the domain of “information science,” antique documents in the domain of “bibliography,” books/publications in the domain of “publication,” and archival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among these sub-domains, information science and library services are two most focused domains. Second, we observe that there is the growing trend in the research topics such as service and evaluation by library type, internet, and meta-data, but the research topics such as book,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reveal the declining trend. Third, analysis by journal show that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information science related topics appear more frequently than library science related topics whereas library science related topics are more popular in the other three journals studied in this paper.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문헌정보학 주요 학술지인, 정보관리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의 1970년도부터 2012년도까지 발표 논문 초록을 수집하여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기반의 토픽 모델링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토픽모델링 실험에서 도출된 연구주제를 문헌정보학 주제분류표와 비교․분석한 결과, ‘정보학’영역의 디지털도서관, 이용연구, 인터넷, 전문가시스템, 계량정보학, 자동화, 정보검색, 정보시스템, ‘도서관 서비스’영역의 정보서비스, 도서관 유형별 서비스, 이용자 교육/정보리터러시, 서비스 평가, ‘문헌정보학 기초’영역의 도서관과 사회, 전문성, ‘자료조직’영역의 분류, 편목, 메타데이터, ‘도서관 경영’영역의 도서관 평가, 장서개발/관리, ‘서지학’영역의 고서지, ‘도서관 체제’영역의 도서관 및 정보정책, ‘출판’영역의 도서/출판, ‘기록관리학’영역의 하위주제 등과 연결할 수 있었다. 또한 가장 많은 연구주제가 발견된 학문영역은 정보학과 도서관서비스로 나타났다. 둘째, 문헌정보학의 주요 연구주제에서 도서관 유형별 서비스 및 평가, 인터넷, 메타데이터의 연구주제는 상승세를 보였으나, 도서, 분류, 편목, 고서지에 관한 연구주제는 하강세를 보였다. 셋째, 학술지를 구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 정보관리학회지는 도서관에 관한 연구주제보다 정보학에 관한 연구주제가 많이 출현하였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는 도서관에 관한 연구주제가 정보학에 관한 주제보다 많이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 문헌정보학의 현장연구 현황 분석

        정재영,박진희,Chung, Jae-Young,Park, Jin-Hee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2 No.2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학술지의 최근 10년간 발표된 연구논문 2,165건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현장연구의 현황 즉, 양적 변화, 주제, 연구자, 연구비 지원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논문 중 현장연구는 691건으로 31.9%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현장연구의 주제를 도서관 유형별로 구분한 결과 공공도서관이 246편(35.6%)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학도서관이 238편(34.4%), 학교도서관 141편(20.4%), 그리고 기타 66편(9.6%)으로 조사되었다. 문헌정보학 관련 주제별로 구분한 결과는 도서관운영 관련 연구가 328편(47.5%)으로 가장 많았으며, 정보봉사, 정보시스템 및 전자도서관, 이용자교육, 독서교육 순으로 조사되었다. 저자별 구분의 경우 교수가 329편(47.6%)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으며, 사서, 교수/사서, 교수/학생, 강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비지원 여부의 경우 대학으로부터 지원을 받는 경우가 145편으로 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된 논문 195편 중 74.4%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학술진흥재단 27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9편, 교육인적자원부 4편 순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how the field study has been done in the aspects of the quantity of the research works, research subjects, researchers, the organizations which supported the research expenses and so on by going through the 2,165 research papers of the leading scholarly journal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ublished in the recent 10 years. The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the field studies is 691 and it comprises 31.9% of the total research papers. Classifying the field studies by the types of the subject libraries, the ones about the public libraries comprise the largest proportion(35.6%) of the total papers by the number of 246. Classifying the field works by the topics, the studies on the library administration comprise the largest proportion(47.5%) of the total field studies by the number of 328. They are followed by the research on the information services, information systems and digital libraries, and finally the reading education in the listed order. Classifying the field works by the authors, the professors have written the most papers whose number is 329 and which comprise 47.6% of the total research papers. When it comes to supporting the research expenses, 145 studies were supported by the universities. and they comprise the definitely largest proportion(74.4%) of the total 195 articles supported from some organizations.

      •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과제

        이기덕 한국국가정보학회 2013 국가정보연구 Vol.6 No.2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is aimed systemizing the related knowledge of na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to promote its systematic understanding, improving rationality and effectiveness, and offering its desired direction. Since 1990 when academia showed their interests in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the subject has been considered as a new academic field. Currently, bringing reform to the na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 is a hot topic in Korea, and this enhances our need to develop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academically in order to nurture experts through improving education about theories and practices of national intelligence activities and to develop the organization in a desired direction. This research analyzes the development trend of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the efforts of intelligence community for academic improvement specially in the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the U.K. Also, it exam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intelligence study in Korea and suggests alternatives for academic development of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by applying advanced cases to our country. The alternatives this study suggests are: establishing a thinktank specialized in national intelligence study and education, securing an expanded national budget to support intelligence research, establishing a department of intelligence and expanding intelligence courses in universities, more support for the Korea Association of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KANIS), developing special fields of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training professors, adopting more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subjects in various government staff employment exams, and expanding more access to the research material. Thus, this paper emphasizes not only the government’s proactive support but also close cooperation between intelligence agencies and academia with an expect that this will contribute to academic development of National Intelligence Studies. 국가정보학은 국가의 정보활동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관련지식을 체계화하고, 국가정보활동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제고하는 한편, 국가정보활동이 지향해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해 준다. 1990년대 들어서서 학계에서 국가정보학에 대해 관심을 보이기 시작하면서 국가정보학은 새로운 학문분야로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다. 국가정보기관에 대한 개혁이 화두가 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현 상황에서 국가정보활동에 대한 실무적용 가능한 이론연구와 교육 강화를 통해 관련 전문가를 양성하고, 국가정보기관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발전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정보선진국 특히 미국과 영국을 중심으로 국가정보학 발전동향과 학문적 발전을 위한 노력 등에 대해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현 실태를 진단하는 한편, 선진국의 함의를 우리나라에 적용하여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발전을 위한 대안으로 국가정보 전문연구기관의 설치, 정부의 재정지원 확충, 대학 내 국가정보학과 개설과 강좌개설 등을제시하는 한편, 국가정보학회 지원, 국가정보학 각론 개발, 교수요원 양성, 공무원채용시험에 국가정보학 과목채택 확대, 연구자료에 대한 접근성 확대 등 정부차원에서의 적극적인 지원 조치와 함께 정보기관과 학계간의 긴밀한 협력의 필요성 등을강조하였는 바, 향후 국가정보학의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

      • KCI등재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연구업적의 계량적 분석

        최은주(Choi, Eun-Joo),양기덕(Yang, Ki-Duk)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1 No.1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 205명이 2001년부터 2016년간 발표한 총 4,643편의 학술논문의 연구데이터를 대상으로 교수들의 연령, 출신학교 등의 경력적 요인을 분석하고 논문수, 피인용수, 논문 당 피인용수(cpp) 등의 계량서지학적 지표들을 활용하여 지난 16년간의 국내 문헌정보학과의 연구동향을 포괄적으로 분석하였다. 총 4,643편의 수집 논문은 국내 논문 4,049편, 해외 논문 594편이며, 이와 관련한 피인용수는 총 22,328회로 국내 13,556회, 해외 8,772회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국내 문헌정보학 교수들의 과반수가 50대 이상이며 50대 교수가 가장 높은 생산력과 영향력을 소유하고 있어 한국 문헌정보학이 성숙기에 이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논문수, 피인용수와 최근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 있는 해외 학술지 논문수와 피인용수는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 특히 해외 학술활동의 증진을 보여주었다. 이와 더불어 근래에 급증한 공동연구 또한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가 지난 16년간의 꾸준한 발전을 통하여 성숙기에 접어든 것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demographic and bibliometric data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ers and their publications between 2001 and 2016. The total number of papers collected is 4,643, 594 of which are international papers and 4,049 are domestic papers. The total number of citations for domestic papers is 13,556 and the total number of citations for international papers is 8,772, totaling 22,328 citations. The study found a majority of faculty members to be over 50 years old and those in fifties to be the most productive and influential, which shows the maturi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in Korea. Steadily increasing publication and citation counts along with marked increase in international papers and citations also reflect the steady growth of LIS research in Korea with the a trend towards international publications highlighted. These findings along with rapid increase of co-authored papers in recent years suggest tha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in Korea has entered the period of maturation through the past 16 years of stead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