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번역문학가’ 전혜린

        양시내 ( Yang Sinae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21 독일언어문학 Vol.- No.94

        전혜린은 생전 신문에 기고한 마지막 칼럼에서 자신의 이름 아래 ‘번역문학가’라고 적었다. 국어사전에는 등재되지 않은 번역문학가라는 단어는 수필가/문학가로 더 널리 알려졌지만, 번역가이기도 했던 전혜린을 포괄적으로 정의하는 단어인 동시에 조금 더 깊이 들여다보면 번역에 대한 전혜린의 태도를 집약적으로 설명하는 단어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번역문학가’를 단초 삼아 번역가로서의 전혜린에게 실증적으로 접근해보고자 한다. 2000년 즈음 촉발된 전혜린에 대한 연구는 수필가, 문학성, 전혜린 신드롬 또는 신화, 번역, 젠더 등 다양한 키워드를 포섭하며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특히, ‘번역’이라는 키워드와 관련한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혜린 연구에서 전혜린을 수필가로서만 주목했던 사실을 지적하며, 이를 통해 문학 내에서의 번역의 위상 또는 (여성)번역가의 위치 등에 대한 생산적인 논의를 끌어냈다. 다만 이 메타적 논의에서 전혜린은 실질적인 번역가로서 보다는 상징적인 차원에서 다뤄지고 있기에 본고에서는 채 십년이 되지 않는 기간 동안 전혜린이 남겨 놓은 번역서들을 목록화하여 살펴보고 분석하는 것에 집중한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에 기반하여 전혜린 번역의 특징, 예를 들면 번역성향, 번역서의 선별에서 엿보이는 세계관, 번역에 임하는 태도 등을 도출해 낸다. 나아가 전혜린의 번역을 독일어 원문과 비교 대조함으로써 출발텍스트의 권위에 구애받지 않는 전혜린의 자유로운 번역 방식, 즉 ‘번역문학가’적 스타일을 확인하고 이것이 오늘날 새롭게 주목하는 번역과 번역가의 위상에 던지는 의의를 제고한다. Cheon Hyerin bezeichnete sich in ihrem letzten Artikel als ‘übersetzende Literatin’. Obwohl das nicht im koreanischen Wörterbuch aufgeführte Wort eher als Essayist bzw. Schriftsteller interpretiert ist, dient es als Bezeichnung, die Cheon Hyerin, die auch Übersetzerin war, umfassend definiert und gleichzeitig ihre Stellungnahme gegenüber der Übersetzung beschreibt. Dies als Ausgangspunkt nehmend, soll in diesem Beitrag Cheon Hyerin als Übersetzerin empirisch untersucht werden. Forschungen zu Cheon Hyerin ab den 2000er Jahren umfassen verschiedene Schlüsselwörter wie ihre Essays, deren literarischer Wert, Cheon Hyerin-Syndrom / Mythos, Übersetzung und Gender. Insbesondere die Beiträge bezüglich “Übersetzung” weisen darauf hin, dass die bisherige Forschung Cheon Hyerin lediglich als Essayistin betrachtet hat. In den Diskussionen entfaltete sich ein produktiver Dialog zum Status der Übersetzung in der Literatur oder von Übersetzern (Übersetzerinnen). Da Cheon Hyerin in dieser Meta-Diskussion eher symbolisch in Betracht gezogen wird, als dass sie als tatsächliche Übersetzerin angesehen wird, zielt die vorliegende Arbeit darauf ab, ihre übersetzten Texte detailliert zu analysieren, die sie in knapp 10 Jahren hinterlassen hat. Im Mittelpunkt stehen die freie Übersetzungsmethode von Cheon Hyerin, also ihr Stil der übersetzenden Literatin, unabhängig von der Autorität des Ausgangstextes und der dadurch inspirierte neue Status von Übersetzer und Übersetzung.

      • 전혜린론 - 전후 지식인여성에 관한 담론화 양상 -

        송경란 ( Song Kyungra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18 한국어와 문화 Vol.23 No.-

        이 논문은 전후세대와 교양담론 형성을 연구할 때 주목하게 되는 작가 ‘전혜린(田惠麟)’에 대한 고찰의 일부이다. 전혜린은 사후에 발간된 수필집의 대중적 인기와 죽음을 둘러싼 논란으로 말미암아 더욱 주목받았다. 따라서 그의 생애가 투영하는 전후사회의 실존적 내면풍경과 유학파 여성의 지적(知的) 편력, 그리고 이것이 일으킨 파장은 오늘날 대중의 독서취향과 지식인여성의 변화를 읽어내는 단초가 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전혜린을 오늘날까지 호명하는 신문을 비롯한 언론매체의 태도와 유고집 출간을 둘러싼 기획과 편집의 의도, 전혜린을 주인공으로 한 서사담론 특히 평전(評傳)에 담긴 이야기 방식, 전혜린에 관한 연구담론 등이 갖는 특성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혜린에 관한 신문기사가 ‘전혜린의 죽음’이 불러일으키는 반향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의 틀을 제공하면서 전혜린을 문화적 기호로 사유하게 만들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전혜린을 주인공으로 한 2차 텍스트-평전, 에세이, 소설-를 통해 1960~80년대 여학생과 청년, 여성독자들이 열광한 이유가 전혜린의 글이 지닌 성향-‘이국취향’, ‘비범에 대한 동경과 인식욕’, ‘절대 자아에 대한 추구’, ‘속물 혐오’, ‘죽음에 대한 동경과 허무의식’, ‘낭만적 사랑에 대한 동경과 감정 과잉’ 등-에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전혜린에 관한 연구가 그의 수필에 대한 해석 및 평가를 벗어나, 정신분석적 관점, 신화화를 둘러싼 시대와 문화적 자장, 독서문화, 번역 작품, 페미니즘적 시각, 한국문학제도 등을 아우르면서 비판적 담론을 형성하고 있음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전혜린 신화’나 ‘전혜린 현상’에 담긴 대중문화에 대한 폄하, 읽고 쓰는 여자들에 대한 경계 등을 세밀히 진단하고, 지금까지도 문제가 되는 문단권력과 대중영합주의에 관한 반성의 필요성도 느꼈다. The paper is part of a review of Jeon Hyerin, the author of the book, which draws attention when studying the formulation of cultural discourse with postwar generations. Jeon Hyerin is a well-recognized writer due to the popularity of the posthumous collection of essays and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ir deaths. The real-life scenes of the postwar society, the intellectual adventures of the studying women, and the repercussions they cause today’s public taste in reading, and women’s eating habits, are easy to read. In this regard, Jeon Hyerin is still called in today’s book, and the narrative of the planning, editorial intent, and narrative that will feature Jeon Hyerin’s style of writing is included in the discussion of the newspaper and media. As a result, a newspaper article on Jeon Hyerin focused on the echo of Jeon Hyerin’s death, identifying her with a frame of interpretation, and identifying her with a cultural statement. Critics have also recently criticized the boundaries of what is now called the tendency of the literary world to denigrate the popular culture of Jeon Hyerin’s Myth or Jeon Hyerin’s phenomenon, and to read and write about it. So, although the literary nature of the essay left by Jeon Hyerin is important, I would like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Jeon Hyerin myth and its discourse in the context of social and cultural change.

      • KCI등재

        전혜린 신화와 평전 연구

        정은경(Jeong, Eun-Gyeong)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4

        본고는 전혜린 신화화 과정과 이차 텍스트들을 통해 6~80년대 대중들을 사로잡았던 ‘전혜린 현상’을 분석했다. 전혜린 신화는 우선 전혜린의 ‘천재, 요절, 비극적 사랑’이라는 생애에 기반한 대중적 스토리텔링에 의해 형성, 전파되었고, 기성 권력과 출판시장의 애도와 보증을 통해 확증되었다. 이에 대한 대중들의 열광은 전혜린의 텍스트가 지니고 있는 ‘낭만주의’ 성격과도 밀접히 관련된다. ‘이국취향’ ‘비범에 대한 동경과 인식욕’ ‘절대 자아에 대한 추구’ ‘속물 혐오’ ‘죽음에 대한 동경과 허무의식’ ‘낭만적 사랑에 대한 동경과 감정과잉’ 등이 그 내용이다. 전혜린의 비극적 낭만주의는 전후 실존주의적 추상성과 허무의식이 이국적 향수와 이상주의와 결합해 낳은 50년대 모더니즘의 한 결과이고, 60년대 근대화로 가속화된 개인주의와 물화의 결과이며 반발이기도 하다. 또한 전혜린 현상은 이러한 시대적 의미와 더불어 사회로 진입하면서 겪는 청소년들의 성장통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획득하고 있다. 전혜린 평전 중 이덕희의 『그대 이름은 전혜린』은 지인이 쓴 평전이고, 또 적극적으로 주관적인 해석과 평가에 바탕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는 글이다. 이덕희는 전혜린을 부르조아적 질서에 도전했던 아웃사이더로 규정하고 전혜린 신화를 확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함으로써 저급한 대중적 스캔들을 잠재우고 고결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또한 죽음과 비극적 애련을 미스테리로 남겨둠으로써 신화성을 강화하고 있다. 주관적인 해석과 평가를 배제하고 사실성에 충실한 정공채의 평전은 전혜린에 공감하는 글쓰기를 보여주고 있으며, 시적 문체를 통해 전혜린을 더욱 낭만화면서 ‘신화 다시 쓰기’를 수행하고 있다. 서충원의 에세이 『스물 넷에 만난 전혜린』은 일종의 오마주로 독후감과 감상문 성격이 짙다. 그러나 1990년대에 오로지 전혜린에 바쳐진 책 한권을 출간되었다는 사실에서 전혜린의 영향력의 확인할 수 있다. 정도상의 『그 여자 전혜린』은 전혜린의 한계를 허구적 인물을 통해 비판하고 보완하고 있는 작품이다. 정도상은 전혜린의 가상 소설을 통해 ‘백창우, 쟌느, 강문철’을 창조하고 이들을 통해 전혜린이 외면했던 현실성과 육체성, 타자성을 구현함으로써 대화적 구성과 다성적인 시학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rgues Jeon hyerin’s syndrome through mythicization process and meta-text. Jeon hyerin’s syndrome was formed and propagated by the popular story based on the life which has the drama ‘genius, early death, tragic love’. That storytelling was confirmed by publication market and authority. The public was fascinated by romanticism which show ‘exoticism, absolute ego, tragic love, early death’. Jeon hyerin’s romanticism was the results of the 50’s modernist abstraction and existential consciousness which combined with the exoticismand nihilism. Jeon hyerin’s syndrome was the result the modernization as well as it’s characteristic of growth novel. Li Dukhee’s critical biography of Jeon Hyerin defined Jeon Heyrin as outsiders who challenge the bourgeois order and confirm Jeon Hyerin to be a myth. And that book emphasized spiritual of Jeon Hyerin erased pubic scandal and highlighted nobility. Jung Gongche’s book is faithful to reality, shows sympathetic writing and through the poetic style make Jeon Hyerin more romantic myth. Seo Chungwon’s book is Hommage oriented worship. Jung Dosang’s novel is work which criticize and remedy Jeon Heyrin’s limit through fictitious characters. He took the dialogue and polyphony through achievement of realistic and physical properties, otherness.

      • KCI등재

        전혜린 서사 연구 –이덕희의 『전혜린』: 자매혼(Schwester-seele)과 성정체성에 얽힌 물음-

        박영준 ( Park Young-ju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0 No.-

        제목에서 명명한 전혜린 서사는 전혜린의 삶 전체를 소재로 삼아 새롭게 엮거나 창작한 서사를 가리킨다. 전혜린이 창작한 것이 아니라 전혜린 사후에 다른 주체가 전혜린의 삶을 새롭게 쓴 텍스트를 뜻한다. 이덕희의 『전혜린』은 정신을 우위에 두고 전혜린의 삶을 평가하는 글이며 여성의 입장에서 처음으로 전혜린의 삶 전체를 이야기로 만든 첫 평전에 해당한다는 데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여성 작가가 지닌 남성화된 시각으로 여성 전혜린을 바라보는 서술과 여성 주체로서 전혜린의 고통을 공감하는 서술이 부조화적으로 혼재한다는 약점을 갖지만 여성 작가에 의해 창작된 첫 평전이라는 점, 전혜린이 쓴 편지를 공개했다는 점 외에『전혜린』은 대중에게 일상을 벗어난 ‘신화’와 ‘전설’의 공간에서 산 것으로 신화화 되었던 전혜린의 삶의 공간을 현실적 여성의 공간으로 이동시켰다는 성과를 거둔다. 그리고 가장 큰 특징은 서사의 결론으로 자매혼의 존재를 부상시킨다는 점에 있다. 전혜린의 의식 속에서 성이란 무엇이었는가를 생각하게 만든다. 전혜린이 말한 자매혼은 여성 연대 차원에서 등장하는 자매애 및 남성중심사회에서 성적 불평등을 견고하게 만드는 형제애 등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등에 대해 생각하게 만든다. 이덕희의 전혜린 평전은 이런 의미 있는 문제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유연한 구성을 가진 창작물이라 할 수 있다. The narrative about Jeon Hye-rin's life, named in the title, refers to a newly woven or created narrative based on Jeon's entire life. It is not created by Jeon Hye-rin, but it means a text in which another writer rewrote Jeon Hye-rin's life after Jeon Hye-rin's death. Lee Deok-hee's Jeon Hye-rin is an assessment of Jeon Hye-rin's life with an advantage in spirit,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biography that made Jeon Hye-rin's entire life a story for the first time from a woman's point of view. And the biggest feature is that the narrative's conclusion raises the existence of ‘sister soul’. It makes us think about what sex was in Jeon Hye-rin's consciousness. The ‘sister soul’, which Jeon Hye-rin said, makes us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isterhood and brotherhood that solidifies sexual inequality in a male-dominated society, etc. Lee Deok-hee's text is a creation with a flexible composition in that it has drawn such a meaningful problem.

      • KCI등재

        기억의 토포스, 존재의 아토포스

        임정연(Lim, Jung-Yeon)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52

        이 글은 전혜린의 글쓰기에 나타난 독일 토포필리아의 양상에 주목해 독일이라는 장소와 장소기억이 전혜린이라는 개인이 세계 내에서 자신의 존재 좌표를 설정하는데 어떻게 관여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혜린의 글쓰기가 지니는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뮌헨 ‘슈바빙’이라는 장소는 전혜린의 기억과 글쓰기의 근원적인 토포스(topos)를 이루고 있다. 그러므로 전혜린의 글쓰기는 슈바빙에 ‘대한’ 기록이 아니라 슈바빙으로부터의 말하기, 슈바빙이 가능하게 했던 실존의 기록이라 할 수 있다. 전혜린의 독일행이 내면에 자리잡은 실향(失鄕)의식과 관련이 있다고 할 때, 슈바빙은 ‘먼 데에 대한 그리움’이 구현된 장소로서 존재의 토포스로 기능한다. 그곳에서 전혜린은 반속물주의를 지향하는 ‘대학생’에게서 ‘슈바빙적인 것’과 슈바빙의 정신을 발견하고, 자아의 이념형(Idea-blid)으로 동일시한다. 그러나 ‘귀향’이 불가능성을 전제로 고향을 찾아가는 행위라 할 때 어떤 장소에서도 존재의 완전한 정주는 불가능하다. 전혜린의 글에서 발견되는 일상에 대한 낯설음, 권태와 광기, 반항과 방황 등은 바로 이 같은 고향 상실의 징후들로서, 이 상실감은 근본적으로 자기와 참 자기 사이의 실존적 거리감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전혜린은 기억속에서 슈바빙을 끊임없이 소환함으로써 ‘슈바빙적인 것’과 유기적으로 관계 맺으면서 존재 망각에 저항하고자 했다. 전혜린의 글쓰기는 권태와 상실에 대항해 자신의 실존적 고향(topos)을 재탈환하려는 분투의 흔적인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전혜린의 독일행은 고향을 찾아나서는 근원적 충동의 여로였고, 독일이라는 장소를 소환하는 글쓰기는 자아의 동일성을 회복하려는 ‘귀향’의 글쓰기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aspect of German topophilia in Jeon, hyerin’s writing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the place, German, and Jeon, hyerin. Jeon, hyerin’s writing is a text to remember the place, ‘Schwabing’ of Munich, Germany. In her writing, Schwabing makes the fundamental topos of every memory. Her studying in Germany was driven with the consciousness of loss of hometown, which is ‘longing for a distant place’, accordingly, Schwabing was a place where German word ‘Fernweh’ was realized. She discovers the spirit of Schwabing in Munich University students’ antisnobbery, identifying as an ideal type of the self. However, simultaneously, Jeon, hyerin’s writing expresses the symptoms of loss of hometown such as unfamiliarity to daily lifew, weariness and madness, disobedience and wandering, etc. This sense of loss is generated from existential distance between the self and true self. Jeon, hyerin intended to resist the existence forgetting and sense of loss by remembering and recording Schwabing. Therefore, Jeon, hyerin’s writing is a trace of a struggle to retake her existential hometown(topos) by resisting weariness and loss. That is, Jeon, hyerin’s depart for Germany was a journey of fundamental impulse to search her hometown, and her writing was that of ‘going home’ to fill hunger of spirit.

      • KCI등재

        전혜린 문학에 나타난 `고향`과 `회상`의 글쓰기

        이행미(Lee, Haeng-mi) 한국현대문학회 201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4

        이 논문은 전혜린 문학을 특별하고 신비로운 한 개인의 정신적 소산으로 이해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그의 문학 세계가 형성되는 과정을 통시적 차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간의 연구와 달리 전혜린이 실제로 발표했던 원문을 찾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전혜린의 글에서 강한 애착을 보이는 장소로 나타났던 신의주, 부산, 뮌헨의 슈바빙에 주목하였다. 이 세 장소는 각각 유년기, 고등학교와 대학 시절, 독일 유학 시기 전혜린의 인식세계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던 곳이다. 또한 일제 말기의 국경 지대, 한국전쟁기 임시 수도, 전후 한국사회와 대비되는 서구 사회라는 사회적 차원의 의미를 담고 있는 장소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시공간적 맥락과 지형을 고려하여 전혜린의 글에서 발견되는 장소에 대한 인식의 변모 양상을 추적하였다. 지금까지 이 세 장소는 ‘정신의 고향’이라는 이상화된 장소로서 동일한 의미를 띤다고 여겨져 왔다. 그러나 그와 같은 의미화는 독일 유학 이후 한국에 귀국한 후 쓴 글에서 발견되는 특징이다. 그 이전의 글에서 세 장소는 각각의 구체적인 경험을 지닌 곳으로 재현된다. 신의주는 친구와 국경을 넘어 ‘다른 장소’로 갈 수 있는 경계이자, 압도적인 자연 앞에서 유한한 인간으로서의 삶의 의지를 다지는 장소이다. 신의주는 해방과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현실을 통해 영원히 갈 수 없는 ‘미지의 세계’가 된다. 부산은 전후 실존주의 수용의 현장이었고, 전혜린은 그곳에서 문학과 철학에 대한 이해에 깊이를 더해갔다. 그런 점에서 부산은 실질적으로 갈 수 있는 새로운 ‘미지의 세계’인 독일로 떠날 수 있게 하는 계기적 장소라는 의미가 있다. 유학 시절 뮌헨을 재현하고 알리는 글에서는 상식과 규범을 벗어나 다양한 생활방식이 인정되는 장소임을 보여주는 여러 일화가 다채롭게 소개된다. 그러나 귀국 후 전혜린에게 이 세 장소는 모두 돌아갈 수 없는 ‘먼 곳에 대한 그리움’이 투사된 공간으로 변모된다. 자기정체성의 분열을 겪지 않은 관념적 차원의 공간, 참된 자기를 찾으려는 여정이 현실에 부딪쳐 좌초되기 전의 공간의 의미로 추상화된다. 이는 현실 세계와 내면의 간극이 더욱 심하게 벌어짐에 따라 회상 행위를 통해 이상화된 공간으로 재구축하고자 했던 작가의 (무)의식의 투사된 것이다. 그러나 그의 고향회귀에 대한 염원은 애초에 현실에서는 불가능하다는 전제를 알면서 이루어지는 회상 행위이며, 이는 그의 관념적 지향을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Jeon Hye-rin"s literary world from a diachronic view. This is a departure from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Jeon Hye-rin Literature as a mental product of a special and mysterious person. For this purpose, I found the original text by Jeon Hye-rin. In particular, she paid attention to Sinuiju, Busan, and Schwäbingh, which appeared to be a place of strong attachment in Jeon Hye-rin"s writings. These three places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ception of Jeon Hye-rin during their childhood, high school and college years, studying abroad in Germany. It is also a place that contains the social dimension of the clos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temporary capital of the Korean War, and the western society as opposed to the postwar Korean society.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perception of places found in Jeon Hye-rin"s writings. These three places have been regard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as the idealized place of "the home of spirit". However, this is a characteristic found in the article written after returning to Korea after studying in Germany. In the previous article, three places are reproduced to each specific experience. Shinuiju is a place to go beyond a border with friends and to go to another place, and is a place to grow the will of life as a finite human in front of overwhelming nature. Shinuiju becomes an "unknown world" that can not go on forever through the historical reality of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Busan was a scene of acceptance of postwar existentialism, and Jeon Hye-rin added depth to his understanding of literature and philosophy. In that sense, Busan has a meaning as an opportunity to leave Germany as a new "unknown world" that can actually go. In an article that recreates and informs Munich during the time of studying abroad, various anecdotes are introduced to show that it is a place where various lifestyles are recognized beyond common sense and norms. After returning to Korea, they are transformed into a space projected with "longing for distant places(Fernweh)" that can not be returned to all three places. It is abstracted into a space of ideational dimension that has not undergone the division of self-identity. As the gap between the real world and the spirit deepened, the artist"s inner surface was projected to reconstruct the idealized space through recall. This recall has furthered her ideological orientation.

      • KCI등재

        보편을 분유(分有)하는 문학소녀들의 책읽기 —전혜린의 독서 노트와 베스트셀러 『데미안』의 탄생

        임진하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1 No.-

        This essay investigates the phenomenon of Herman Hesse’s novel Demian being reborn as a bestseller owing to Jeon Hyerin’s essay on the novel. It also complicates the position of female readers of this novel as a bildungsroman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its cultural history. In the early 1960s Korea, Hesse was recognized as a literary giant and a spiritual leader of post-war Germany. However, it was Jeon Hyerin’s essay which prompted Hesse’s novel Demian to become a bestseller, and for the German writer to be known as a writer of the most beloved coming-of-age novel. In her essay, Jeon Hyerin described Demian as a youth obsessed with pursuing existentialist questions and exploring the ‘idea’ of a human. She also wrote about a classmate of hers from girls’ school who had died after reading the novel under discussion. This, perhaps, could also hint at the reason why women who read her essay took an interest in Demian. The readers were captivated by the universal symbols of the modern age embodied in the novel as argued by Jeon Hyerin. I intend to argue that Jeon Hyerin’s essay suggests that she experienced alienation as a Korean woman, which encouraged her interest in universality despite the fact that the same universality would be denied to her for that very reason. It was also this very ‘universality’ that rendered Jeon Hyerin susceptible to criticism. Her emphasis on universality was seen as abstract and thus, lacking a historical consciousness. As a Korean, and as a woman, Jeon Hyerin experienced double othering which also ignited the need in her for a universal language. Her aspirations for universality revealed the internalized cracks which exist between the dichotomy of the West and Korea. Reading and translating German literature was a process for her to reclaim her position as a Subject within this framework. Jeon Hyerin is remembered as a cultural symbol because she was not the only one who desired to share universality through literature in that time. It was also the female readers of the time who also displayed the same desire. 이 글은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이 전혜린의 독서 노트를 통해 베스트셀러로 재탄생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함으로써 교양소설의 독자로서 여성의 존재를 문제화하고 그 문화사적 의미를 고찰한다. 1960년대 초반 한국에서 헤세는 전후 독일의 정신적 위대성을 알린 구도자이자 문호로 조명되었다. 그러나 전혜린의 수필집에 수록된 독서 노트를 계기로 『데미안』이 베스트셀러에 오름에 따라 헤세는 성장기의 애독서 『데미안』의 작가로 각인되기 시작한다. 독서 노트의 서두에서 전혜린은 『데미안』을 품에 안고 무덤에 들어간 여학교 동창에 대한 기억을 꺼낸다. 이 기억의 고백을 당시의 맥락 속에서 다시 읽을 때, 전혜린을 매개로 한 데미안 의 베스트셀러화는 교양소설이 형상화하는 근대의 상징적 가치에 대한 여성 독자의 욕망을 드러내는 사건으로 새로 읽히게 된다. 『데미안』이 상징하는 관념의 세계에 대한 매혹은 전혜린이 보편에 함몰되어 현실인식을 결여했다는 비판의 요인이 되어왔다. 그러나 전혜린의 수필은 그녀가 보편의 세계에 매혹되었으되 바로 그런 이유로 결코 보편이 될 수 없는 자신의 위치를 의식하며 소외를 경험하였음을 시사한다. 한국인이자 여성이라는 이중의 타자로서 보편의 언어를 욕망하였던 전혜린의 글은 서구 대 한국이라는 이항 대립을 가로지르며 그 내부적 균열들을 드러낸다. 독문학을 읽고 번역한다는 것은 이 같은 소외의 조건 속에서도 자율적인 내면을 소유한 인간으로서 자기를 주장하기 위한 과정이었거니와, 전혜린이 하나의 시대적 기호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보편을 분유하고자 했던 그녀의 욕망이 수많은 여성 독자들의 것이기도 했던 까닭이다.

      • KCI등재

        전혜린의 젠더의식과 실천적 글쓰기

        이행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6 No.-

        Jeon Hyerin has been considered as a sensitive individual who could not stand a repetitive and depersonalized daily life. Her voice pursuing ‘existence’ and ‘self’ was regarded as what highlighted ideality and revealed indifference to others and the society. However, the world of her consciousness inharmonious with the reality is also the indicator showing a tension and competition with the oppressive reality where one cannot live as a ‘true 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he ideational values regarded as what Jeon Hyerin pursued were produced in what context and what relation they have to the issues in the reality. Her practical deed to purse ‘self’ was embodied as she refused an obstacle―the gender bias rigidified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of South Korea at that time―to it. In the atmosphere where socioculturally-formed feminity needed to be internalized, she showed that one could cross the line between feminity and masculinity and created a crack in the solid dichotomous view on gender. At this point, the power to traverse the essentialized gender starts from not turning away from the very moment when ‘self’ is recognized. In the fixed logic about role gender socially inducing women’s loss of self, she argued that staring at this absurdity that every woman could feel was the only opportunity to live a life for ‘self’ that did not follow conventionalities and the viewpoint of others. Such a way is closely related to the reasons shown in existentialist philosophy by Sartre and Beauvoir and the book she read, In the Midst of Life by Luise Rinser. In addition, she expressed her sympathy and support for multiple women undefinable as a single identity whom she had met through reading by the act of writing including translation, indicating the reasons not to harmonize with the gender rules in the public sphere. It suggests that she developed her motivator and ways to write so as to fight against the reality and overcome limitations, influenced by the books she read. This way, she carried out a cultural practice shaking the gender norms through writing and reading. Moving across the boundary between feminity and masculinity, which were standardized, she emphasized individuals who created ‘themselves’, and as a result, it appeared as a performance tearing down the dichotomous gender structure of those days. Viewed in this say, It can be said to be an on-sided interpretation to affirm that the attempts to escape from the ordinary and snobbishness seen in her works are to disregard the detailed reality or to get away of the reality. 전혜린은 반복적인 일상이나 몰개성적인 삶을 견디지 못하는 민감한 감수성을 지닌 예외적 개인으로 이해되어왔다. ‘실존’과 ‘자기’를 추구하는 그의 목소리는 관념성을 부각하는 것이자 타인과 사회에 대한 무관심을 드러내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실과 불화하는 그의 의식세계는 ‘참된 자기’로 살아가기 어렵게 하는 억압적 현실과의 긴장과 경합을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전혜린이 추구했다고 여겨지는 관념적 가치들이 어떠한 맥락에서 생산되었고, 현실 문제와 어떠한 관련성을 띠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혜린의 ‘자기’를 추구하려는 실천적 행위는, 그 과정에서 장애가 되는 당대 한국사회의 가부장적 관념 속에 굳어진 젠더 규범을 거부하면서 구체화되었다.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 여성성을 내면화해야 하는 분위기 속에서, 전혜린은 한 개인이 여성성과 남성성에 속하는 면면들을 넘나들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이분법적 젠더체계의 견고함에 균열을 일으켰다. 이때, 본질화된 젠더를 횡단하는 힘은 ‘자기’가 인식되는 찰나의 순간을 외면하지 않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사회적으로 여성의 자기 상실을 유도하는 고착화된 성역할 논리 속에서, 전혜린은 여성이라면 공통적으로 느끼게 되는 이 부조리함을 응시하는 것만이 인습과 타인의 시선을 따르지 않는 ‘자기’의 삶을 살게 하는 계기가 된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샤르트르, 보부아르 등의 실존주의 철학과 루이제 린저의 『생의 한가운데』 등 그가 읽었던 책에서 나타나는 사유들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인다. 또한 독서를 통해 만난 단일한 정체성으로 규정되지 않는 복수의 여성‘들’에 대한 공감과 지지를 번역을 비롯한 산문에 담아냄으로써 공론장의 젠더 규범과 화합하지 않는 사유를 보여주었다. 이는 전혜린이 자신의 현실과 투쟁하고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글쓰기 실천의 동력과 방법을 그가 읽은 책과의 영향 속에서 키워나갔음을 알게 한다. 이처럼 전혜린은 읽고 쓰는 행위를 통해 젠더 규범을 동요하게 하는 문화적 실천을 수행했다. 규범화된 여성성과 남성성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자기’를 만들어가는 개인을 강조했고, 이는 결과적으로 당대 이분화된 젠더구조를 무너뜨리는 수행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볼 때, 전혜린 문학에서 발견되는 평범함과 속물성을 벗어나고자 하는 시도를 구체적 현실을 도외시하거나 현실 밖으로 탈주하고자 했다고 단언하는 것은 일면적인 해석이라 하겠다.

      • KCI등재

        1960년대 전혜린의 수필에 나타난 독일 체험 연구

        김기란 대중서사학회 2010 대중서사연구 Vol.- No.23

        본 연구는 1960년대 전혜린의 독일 체험이 글쓰기로 구현되고 대중들에게 수용되는 과정을 연극학적 개념을 활용한 퍼포먼스(performance)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이러한 분석 방법은 도시와 그것을 경험한 사람들의 관계를 ‘텍스트’와 ‘독자/등장인물’의 관계가 아닌 수행적 과정의 ‘상연(performance)’와 ‘관객/공연자=배우’의 관계로 파악하고 관객과 배우의 상호매개적 신체성과 그것이 도시와의 관계 속에서 추동하는 위상학적(topological) 구조에 착안한 요시미 슌야의 ‘상연론적 관점’ 중 특히 상연론적 관점의 출발점을 이루는 “현실의 세계는 그 자체 항상 상연을 통해서 연극적으로 구성된다”는 전제를 수용하여 그것을 기행문이라는 글쓰기 방식의 특성과 매개시킨 것이다. 기행문의 속성 자체가 경험한 자의 신체 감각이 최대한 동원되어 작성되는 것이며 동시에 그런 감각을 독자에게 생생하게 전달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기행문은 배우가 연기하는 인물에 의해 구축되는 무대 위 가공의 세계를 극적인 효과를 통해 체험하는 공연 관람과 유사한 경험을 글쓰기 생산자와 수용자에게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이 때 기행문의 저자는 동시적이고 순환적으로 낯선 공간을 경험한 관객(보는)이자 동시에 그것을 다른 공간에서 연기하는 배우(보여지는)가 되고 기행문에서 다뤄진 낯선 공간은 현실 그 자체의 재현된(represented) 공간이 아닌 ‘연출된(presented) 공간’이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연극학적 개념을 통해 전혜린의 독일 체험과 그것이 반영된 글쓰기의 관계를 ‘연출된 공간’의 공연 즉 퍼포먼스로 이해하고 고찰했으며 특히 전혜린의 독일 체험을 매개로 독일 체험-글쓰기-수용의 영향 관계가 어떻게(how) 작동하는가에 주목했다. 따라서 본 논의의 초점은 전혜린이라는 여류 문인과 1960년대 문학사에 대한 고찰이 아니라 도시체험이라는 1차적 재료가 텍스트 속에 현상되고 수용되는 과정에서 작동하는 메커니즘이다. 이에 본론에서는 전혜린의 독일 체험이 전혜린 텍스트를 구성하며 1960년대 대중적으로 수용되는 특이점을 퍼포먼스 공연의 관점에서 분석했다.

      • KCI등재

        전혜린의 일기에 나타난 ‘모성’이라는 문제

        이행미 한국여성문학학회 2023 여성문학연구 Vol.60 No.-

        이 글은 전혜린의 일기를 중심으로 모성에 대한 그의 사유를 규명하고자 했다. 미발표 일기와 『가정생활』에 연재된 ‘육아일기’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전혜린의사유를 보다 세밀하게 조명하고, 일기 형식이 공적 차원의 글쓰기로서 얻게 되는의미를 해명하고자 했다. 전혜린의 일기에는 임신과 출산을 둘러싼 감정이 복잡하게 서술되어 있다. 불안, 공포, 혐오를 느끼면서 어머니 되기를 거부하는 모습과 함께, 행복과 경이로움, 모성애의 중요성에 대한 언급이 공존한다. 전혜린의 이러한 사유는 경험 속에서 솟아난 순간적이고 우발적인 감정들, 결론을 내리지 않은 균일하지 않은 단상들을 통해 드러난다. 이러한 서술은 개인적 체험을 바탕에 둔 일기라는 형식을통해 표현된다. 내밀한 이야기를 제약 없이 할 수 있는 일기라는 형식을 통해 모성에 대한 전혜린의 사유는 통일되지 않은 형태로, 다양한 문제를 제기하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나아가 구체적인 경험의 서술을 통해 다른 여성들과의 감정과 경험의 공통지대를 찾고, 당대 지배적인 모성 이데올로기에 균열을 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시도는 모성을 개념적으로 재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모성 자체를 규범화하지 않고 개별적 차원에서 사고하도록 유도한다. 일기라는 개방적이고 유연한 형식을 통해 모성의 의미를 불확정적이고 유동적인 상태로 남겨둔다. 이와같은 사유는 1960년대 모성 담론을 비판하고 전복한다. 전혜린의 ‘육아일기’는모성에 대한 그의 성찰을 드러내는 동시에, 일기라는 문학적 형식의 의미를 파고들고 있다는 점에서 그의 문학 세계를 살펴볼 때 중요한 텍스트이다.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Jeon Hye-rin’s contemplation on motherhood, focusing on her diaries. By examining both her unpublished diaries and the ‘Childcare Diaries’ serialized in Family Life, the study seeks to more thoroughly explore Jeon Hye-rin’s thought process, while elucid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diary format in public writing. Jeon Hye-rin’s diaries intricately detail the turmoil of emotions surrounding pregnancy and childbirth. They narrate a rejection of motherhood through feelings of anxiety, fear, and disgust, while simultaneously mentioning happiness, awe, and the importance of maternal love. Her contemplation is reflected through spontaneous and incidental emotions and a series of inconsistent thoughts that arise from her experiences. This narrative style is effectively conveyed through the diary format, which i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The diary, an open and unrestricted form, allows for the portrayal of fickle and inconsistent thoughts, various desires, and unrefined views. The myriad questions and musings that arise from her experiences as a daughter and a mother are more richly revealed through the diary format. Questions left unanswered in her experiences, feelings of powerlessness, frustration, anger, and disgust, are born from a collision with the socially defined conventions of womanhood, including motherhood. In this context, the emotions encountered in the process of discovering her unique way of becoming a mother can be considered. This approach does not seek to conceptually redefine motherhood but suggests that motherhood should not be standardized and needs to be considered on an individual level. The diary, as an open and flexible format, maintains the meaning of motherhood in an indefinite and fluid state. Such contemplation critiques and subverts the 1960s discourse on motherhood. Jeon Hye-rin’s ‘Childcare Diary’ is significant in her literary world as it reveals her reflections on motherhood while delving into the significance of the literary form of the di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