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년기 선호여가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수행도 및 여가만족도의 차이분석: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교

        우예신(Woo, Ye-Shin),박다솔(Park, Da-Sol ),신가인(Shin, Ga-In),박혜연(Park, Hae-Yeon) 한국노년학회 2019 한국노년학 Vol.39 No.2

        본 연구는 노인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고 선호하는 여가의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만족도와 여가수행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국민연금연구원의 제 6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IS) 부가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최종 분석 대상자는 전기노인 2,212명, 후기노인 1,985명으로 총 4,197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전기노인(6.83시간/7.39시간)에 비해 후기노인(7.64시간/7.81시간)의 주중 및 주말 여가시간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참여하고 있는 여가활동유형은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요일에 관계없이 휴식활동이 80%이상(TV 시청 및 라디오듣기 70% 이상)을 차지하였다. 선호여가 수행여부에 따른 여가수행도와 여가만족도 결과, 주중의 경우 선호하는 여가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후기노인의 여가수행도가 더 높았고, 주말의 경우에는 선호여가 수행여부와 관계없이 후기노인의 여가수행도가 높았다. 여가수행도의 경우에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수행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여가만족도의 경우,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에서 모두 보통으로 응답하였고 전기노인의 여가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여가변화요구도의 경우 선호여가 수행여부나 요일에 관계없이 전기노인의 여가변화요구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지만 두 집단의 응답 점수는 변화하고 싶지 않음에 가까웠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만족을 향상시키고 여가수행을 지속하기 위한 여가제약요인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건강관리제도 도입과 같은 실천적인 움직임이 이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활동 현황이나 유형분석에서 더 나아가 여가참여에 영향을 주는 주관적 요소 등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한 체계적인 조사척도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performance according to whether elderly people are performing their preferred leisure activities. For the analysis, we used sample from the 6th (2015) panal data as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data of 4,197 elderly (2,212 young-old and 1,985 old-old) were analyzed. As a result, weekday and weekend leisure time of the old-old (7.64 hours / 7.81 hours) than the young-old (6.83 hour / 7.39 hour) was increased and resting activites (over 70% of watching TV and listening to the radio) accounted for more than 80% of the both elderly leisure activities. Leisure performance were higher in old-old who did not perform preferred leisure activities during weekdays. Leisure performance on weekends was higher in old-old regardless of whether they had preferred leisure time. Average of leisure performance was high in both groups and they responded leisure satisfaction was moderate. In the case of need for leisure change, young-old was higher than oid-old regardless of preference leisure performance and day of the week. However, the responses of the both groups are closed to those that do not want to cha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hould be practiced such as develomenting program and introduction of health management system considering leisure constraints to improve leisur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of leisure activities for young-old and old-old. We also emphasize the need for a systematic survey scale that takes into account the qualitative aspects of leisure activities as well as the subjective factors influencing leisure participation.

      • KCI등재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의 여가생활 특성 비교 분석

        오세숙(Sae-Sook Oh) 한국여가문화학회 2023 여가학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전기노인(65세~74세)과 후기노인(75세 이상)으로 구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여가활동 실태 및 여가생활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21 국민여가활동조사」를 원시자료로 하여, 전기노인 2,241명, 후기노인 1,490명으로 총 3,731의 65세 이상 노인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26.0을 사용하였다. 우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여가활동유형, 동반자유형, 여가활동빈도, 그리고 여가공간을 포함한 여가활동 특성에 있어서 분포 차이의 유의도를 검정하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에 여가자원이용, 여가인식, 그리고 행복수준을 포함한 여가생활 특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여가활동 실태에서는 여가공간을 제외한 여가활동유형, 동반자, 여가활동 빈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모두 가장 많이 참여한 여가활동유형은 휴식활동으로 나타났고, 동반자 유형에서는 혼자서, 여가활동 빈도에 있어서는 매일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을 대상으로 여가생활 특성인 여가자원이용, 여가인식, 그리고 행복수준에서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고, 그 결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모든 집단에서 여가자원이용, 여가인식 그리고 행복수준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eisure activity characteristics, and leisure life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 elderly into the young-old(65-74 years old) and the old-old(75 years old and ol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used the data of a total of 3,731 elderly aged 65 or older with 2,241 young-old and 1,490 old-old using the 「2021 Korean National Leisure Activities Survey」 as a raw data. SPSS 26.0 was used for the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Chi-squared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a distribution differences i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the type of companion,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y, and leisure space of two age-separated groups. In addition,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life characteristics including leisure resource use, leisure awareness, and the level of happiness betwee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statistics were p<0.05,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isure activity characteristics of two age-separated groups in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the type of companion, and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y excluding leisure space. The type of leisure activity that both the young-old and the old-old participated the most was ‘take a rest’ in the type of activity, ‘alone’in the types of companion, and ‘daily’in the frequency of leisure activity. Finally,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leisure resource use, leisure awareness, and the level of happiness, which are leisure life characteristics, and as a resul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resource use, leisure awareness, and the level of happiness in two-aged separated groups.

      • KCI등재

        전기·후기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영향요인

        임성옥 ( Lim Sung Ok ),김경희 ( Kim Kyung H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8 사회복지정책 Vol.45 No.3

        본 연구는 노인의 연령 집단별 자살생각 예측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고,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 경로구조를 분석하여 연령군에 따른 노인의 자살생각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의 이차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전체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10,299명이다. 이 중 65-74세의 전기노인 5,892명(57.2%)과 75세 이상의 후기노인 4,407명(42.8%)명으로 구분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및 AMOS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자살생각 및 예측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살생각을 제외한 모든 예측요인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은 전기노인에 비해 후기노인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경제수준도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는 전기노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울은 후기노인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효과크기도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집단 간 경로계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경로, 경제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경로, 그리고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경로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기노인의 경우, 주관적 건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제수준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력이 후기노인에 비해 의미 있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후기노인은 전기노인에 비해 주관적 건강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노인자살예방을 위한 사회복지정책 및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predicting factors of suicide ideation among the elderly and to analyze the pathway structure between the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Secondary data from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 were used for the elderly in 2017, and the total number of elderly people aged 65 and older was 10,299. Of these, 5,892 (57.2%) were elderly people aged 65-74, and 4,407 (42.8%) were elderly people aged 75 or older. The analysis used SPSS 18.0 and AMOS 22.0.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icidal ideation between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old-old elderly.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dictive variable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elderly. Subjective health and economic levels were found to be worse in old-old elderly people than young-old elderly people.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in young-old elderly than old-old elderly. And the depression was higher in the old-old elderly than in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effect size was significantly higher.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old-old elderly in the path of subjective health, the path of economic satisfaction to life satisfaction, the path of subjective health to depression and the path of depression to suicide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suicide prevention of the elderly were suggested.

      • KCI등재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비교

        김재희(Kim, Jaehee)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1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집단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7년에 실시한 노인실태조사의 제주지역 전기노인 200명, 후기노인 232명, 총 432명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수인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은 정서적, 도구적, 신체적, 경제적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에게 도움받음은 도구적, 신체적, 경제적 지원 영역에서 전기노인보다 후기노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자녀에게 도움줌은 경제적 지원 영역에서 후기노인보다 전기노인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원교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전기노인 집단에서는 지원교환 변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후기노인 집단에서는 자녀에게 정서적 지원을 많이 제공할수록, 경제적 지원을 많이 제공할수록 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수준에 차이가 있고,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영역이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제주지역 노인의 비동거자녀와의 지원교환 특성과 그에 따른 시사점을 논의하고,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증진할 수 있는 노인가족복지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influence of the intergenerational support of children not living with their paren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young-old and old-old groups among the Jeju elderly. The study analyzed 432 cases (200 young-old and 232 old-old) of elderly in Jeju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elderly in Korea. Intergenerational support of children living apart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emotional, instrumental,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instrumental, physical, and financial support of the elderly score are higher in the old-old than in the young-old category. Besides, the elderly’s financial support of their children shows a higher score in the young-old than the old-old category. Second, in the young-old group, none of the intergenerational support variables influence life satisfaction. However, in the old-old group, the elderly’s providing their children with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 positively impacts their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improving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s life satisfaction by enha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ies and their children who live apart.

      • [자유주제 2] 연령대별 노인의 건강상태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배지윤(Jiyoon Bae) 한국노인복지학회 2019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6

        본 연구는 2016년에 실시된 제6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자료를 활용하여 전기 노인 1,396명과 후기노인 1,48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일반특성 및 건강상태를 비교하고 연령대별 노인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일반특성의 경우 전기노인은 후기노인 대비 도시 거주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기노인은 후기노인 대비 고등교욱(고등학교 졸업 이상)을 받은 비율, 본인을 중위층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비율, 자가 주택 소유 비율, 거주주택 외에 부동산 자산보유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 특성의 경우 모임에 참여하는 전기노인의 비율이 후기노인의 비율 대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생활양식의 경우, 전기노인의 규칙적 운동 비율, 평소 음주 비율, 현재 흡연 비율이 후기노인의 비율 대비 높게 나타났다. 건강상태의 경우 후기노인이 전기노인 대비 주관적 건강상태 및 객관적 건강상태가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전기노인의 경우 사회경제적 요인, 사회적 지원 요인, 건강생활양식이 이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객관적 건강상태에는 사회적 지원 요인을 제외한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생활양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후기노인의 경우 사회경제적 요인, 사회적 지원요인, 건강생활양식이 이들의 주관적 건강상태 및 객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us of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old-old elderly using ths KLoSA data conducted in 2016, And to analyze the factors. First, in the case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e rate of the young-old elderly living in the city is higher than that of the old-old elderly. The proportion of the young-old elderly taking higher education is higher that that of the old-old elderly. The proportion of the young-old elderly who think that they are more than middle-class i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old-old elderly. In addition, the ration of the young-old elderly owning real estate assets, residential housing is higher than that of the old-old elderly. In the case of social support characteristics, the proportion of the young-old elderly participating in the social activities is higher than that of the old-old elderly. In the case of lifestyle, the percentage of the young-old elderly who regularly exercise, drink alcohol, and smoke is higher than that of the old-old elderly. In the case of health status, the old-old elderly perceived that their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status is lower than that of the young-old elderly. After that,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status of the young-old elderly and the old-old elderly were analyzed. Factors affecting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young-old elderly are socioeconomic factors, social support factors, and lifestyle factors. Also the objective health status of the young-old elderly is influenced by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lifestyle factor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old-old elderly, socioeconomic factors, social support, and lifestyle factors were found th heavily affect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health status.

      • KCI등재

        우울과 개인부담 입원비용의 관계에서 신체질환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성혜연(Sung, Hyeyeon),서청희(Seo, Chonghee),이성규(Lee, Sungkyu)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제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우울과 개인부담 입원비용의 관계에서 신체질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노인 4,505명으로, 65세 이상 75세 미만의 노인을 전기노인으로, 75세 이상의 노인을 후기노인으로 포함하였다. 개인부담 입원비용에 미치는 우울의 직접적인 영향과 신체질환을 통한 우울의 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봄에 있어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다집단 경로분석 모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우울은 신체질환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이는 결과적으로 개인부담 입원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데, 특히 개인부담 입원비용과 우울의 관계에서 신체질환의 매개효과는 전기노인보다 후기노인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 실천 전문가들은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우울과 신체질환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노인의 우울 예방과 복지증진을 위한 통합적인 서비스 모형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Using the 6th data from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il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out-of-pocket inpatient expenditures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Study sample consisted of older adults (N=4,505), who are the young-old (65-74) and the old-old (75 and older). To examine the variation in the direct effects of depression and indirect effects of depression via comorbid physical illness on out-of-pocket inpatient expenditures between the young-old and the old-old, a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tilized. Study results indicate that a high level of depression was associated with a great number of comorbid physical illness, which in turn, increased out-of-pocket inpatient expenditure. In particular,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through comorbid physical illness on out-of-pocket inpatient expenditures was greater among the old-old than that of the young-old. Study findings suggest that social work practitioners shoul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comorbid physical illness among the young-old and the old-old, and make an effort to develop an integrated healthcare model for the prevention of depression and the promotion of welfare among older adults.

      • KCI등재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연구

        김미령(Kim Mee-R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2

        본 연구는 노인의 범주를 60세 혹은 65세 이상으로 구분할 때 동질적이라고 보기 힘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인 요인들과 삶의 질의 차이 및 하위영역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각각 조사하였으며, 전·후기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지역의 노인 310명이며 전기, 후기노인들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t-test와 χ²검증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변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기, 후기노인 모두 배우자, 건강인지, 자긍심,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하게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전기노인의 경우 역할수행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경제적 어려움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회참여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후기노인의 경우 역할수행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사회참여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전기와 후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에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distinguishes the aging population as young-old and old-old women. It examines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 between young-old and old-old women. Also, it examines the effect of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adults in both groups and compares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between both groups. The sample of this study is collected from Daegu and Kyungbuk province and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310. As statistical method, t-test, χ²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are used. As demographic factors, age, marital status, income and education are controlled.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marriage, perceived health,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of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for both groups. However, for young-old group, the perceived economic hardship and the receipt of social welfare affect negatively and social participation affects positively on the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for old-old group, informative social role affects positively and social participation affects on the quality of life negatively.

      • KCI등재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감에 대한 연구

        백지은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loss experience,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between young-old and old-old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effect of loss experience on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65 elderly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First, the young-old were more likely to have spouses than the old-old. Second, old-old experience more loss of health, relationships, economy, and role than young-old. And old-old had higher aging anxiety and lower depression than young-old. Third, for young-old, loss of health, economy, and role affected depression. And for old-old, loss of role affected aging anxiety and depression, and loss of economy affected aging anxiety. This study is meaningful as a basic data for preparing policy and system to supplement loss experience suitable for young-old and old-old. 본 연구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 일반적인 특성, 상실경험, 노후불안, 우울에 있어서의 차이를 분석하고, 상실경험이 노후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간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으로 편의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06명의 자료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서는 전기노인이 후기노인에 비해 배우자가 있는 경우가 더 많았으며, 다른 변인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후기노인이 전기노인에 비해 건강, 관계, 경제, 역할에 있어서의 상실경험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노후불안은 더 크고, 우울은 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전기노인의 경우 건강, 경제, 역할상실이 클수록 우울이 높게 나타났으며, 후기노인의 경우 역할상실과 경제상실 경험이 클수록 노후불안이 컸으며, 역할상실이 클수록 우울이 높았다. 본 연구는 노년기를 세분화하여 노년 전기와 후기에 적합한 상실경험 보완 정책 및 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전기·후기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개인체계, 가족체계, 지역사회체계 요인을 중심으로

        정규형 ( Jeong Kyu Hyoung ),고아라 ( Ko A Ra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53 No.-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을 전기(65-74세)와 후기(75세 이상)로 구분지어 각각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이다. 분석 자료는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 중 배우자가 있는 전기노인과 후기노인 총 6,201건이다. 노인의 자살생각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X<sup>2</sup>검정을 실시하였고, 자살생각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이항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전기·후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개인체계 측면 중 인구사회학적 측면의 변수들은 전기노인 보다 후기노인의 자살생각에 더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건강 측면의 변수는 후기노인에게만 영향을 미쳤다. 경제 측면의 변수들은 전기노인에게만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가족체계 측면에서는 부부관계와 부부갈등이 전기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나 후기노인은 부부관계 뿐만 아니라 자녀관계 역시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노인집단별 맞춤형 접근방식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old into the old people as Young-old(Age 65-74) and Old-old(Older than 75) Elderly in Korea and is to check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suicidal ideation based on eco-system approach. For the research data, the survey data of actual condition of the old people in 2014 was used. The samples of analysis in this study are the Young-old people who have spouse Old-old people, which are in total 6, 201. In order to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al ideation of the Young-old people and Old-old people, Chi-square analysis was implemented an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the influencing factors of suicidal Ideation of Young-old and Old-old Elderly. As a result of analysi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icidal ideation of the Young-old people and the Old-old people. The variables in terms of the sociology of population among personal system factors have affected more to the suicidal ideation of Old-old people than the Young-old people. Variables in terms of health have influenced on the Old-old people and the variables in terms of economy have significantly affected to the Young-old people.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conflict of conjugality and marital conflict affect to the suicidal ideation of Young-old people however it has been appeared that the Old-old people are significantly affected not only by the conjugality but also by the relationship with children. In order to reduce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old people, the customized approach per group of the old people has been presented.

      • KCI등재

        전 · 후기 노인의 취업 영향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최희정(Choi, Hee-Jeou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3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취업 영향요인을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한 연구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제2차(2008년)~제5차(2014년)까지 4개년의 자료를 활용하여 패널 로짓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노인의 취업에 성별, 연령, 학력수준, 거주지역, 주관적 건강, 가구총소득과 총자산, 그리고 기초연금 수급여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면 후기노인은 성별, 연령, 학력수준, 거주지역 뿐만 아니라 배우자 유무와 독거여부 또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기노인과 달리 건강적요인, 경제적 요인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정리하면, 인구사회적 요인은 후기노인이 더 크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건강적 요인에서는 전기노인의 경우 주관적 건강이 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이 파악되었다. 경제적 요인에서는 전기노인의 경우에만 가구총소득 및 총자산과 기초연금 수급여부가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 임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전 · 후기노인의 취업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과 정책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employment of elderly over 65 years old.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complied b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from the year 2008 to 2014 and panel logit random effect model.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igured out that the young-old is affected by sex, age, educational level, residential district, subjective health status, household income and total assets, and whether to receive a basic pension. Second, on the other hand, the old-old is affected not only by sex, age, educational level, residential district but also by a presence of spouse and whether to live alone. Also, unlike the younger elderly, Health and Economic factors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In summary, the older elderly was more affected by socio-economic factor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young-old’s employment. In economic factors, it was proved that household income, total assets and basic pension are main variables on only the young-old’s employ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practical intervention and policy to enhance the employment of the elderl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