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저축-투자 상관관계

        전상준(Sangjoon Ju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0 사회과학연구 Vol.49 No.1

        본고에서는 1960~2006 기간중 아시아-태평양 28개국의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Feldstein-Horioka puzzle로 알려진 저축-투자 상관관계를 조사한다. 본연구는 최근 개발된 패널 공적분 기법들을 활용하여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의 국내 저축률 및 투자율간의 장기 균형관계를 검정하고 추정한다. 저축률과 투자율 변수들은, 5종의 패널 단위근 검정과 3 종의 패널 공적분 검정에 근거하여, 단위근이 존재하고 공적분되어 있다는 것이 발견된다. CCR, DOLS 및 FMOLS 기법들을 사용한 저축유지율(saving-retention ratio) 계수 추정치들은 표본기간중 하향 추세를 보여 왔음이 판명되었다. 본고에서 저축유지율 계수 추정치들의 크기는, 통계 자료의 비정상성과 그로 인한 가성회귀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Feldstein and Horioka(1980)보다 훨씬 작게 나타났다. 본고의 실증 분석 결과는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에서 국제 자본이동성이 1960~2006년 기간중 거의 다섯 배가 되었고, 특히 1990년대와 2000년대에 크게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avings-investment relationship, also known as the Feldstein-Horioka puzzle, for a panel of 28 Asian-Pacific countries over 1960~2006. It utilizes the recently -developed panel cointegration techniques to test and estimate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savings and investment. Investment and savings rates are found to have unit roots and to be cointegrated, based on 5 different panel unit root tests and 3 types of panel cointegration tests. The estimated coefficients on the savings rate employing CCR, DOLS, and FMOLS techniques, exhibit a declining trend over subsample periods including the structural break for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1997-98. Moreover, the magnitude of the estimated saving-retention coefficients is much smaller than those reported by Feldstein and Horioka, who did not consider the nonstationarity of data and the resulting spurious regression problem. It suggests that international capital mobility in the Asian-Pacific economies has almost quintupled over 1960~2006 and substantially increased in the 1990s and 2000s.

      • KCI등재

        동아시아 금융통합의 가능성 검증

        강보경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동아시아 경제의 국제금융시장과의 통합정도와 몇 가지 주요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유도하기 위해 다음 문제를 검토한다. 첫째, 금융위기 이후 동아시아는 국제금융시장과의 통합정도가 증가했는가? 둘째, 동아시아 국가는 국제금융시장과의 통합이 진전됨에 따라 이익을 얻었는가? 셋째, 자유로운 자본유출입을 고려하면 동아시아는 어떤 환율상장제도를 채택할 수 있겠는가? 넷째, 동아시아 각 채권국은 얼마나 많은 순대외자산을 보유하고 있는가? Lane and Milesi-Ferretti(2006)의 자료를 기초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동아시아 경제는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국제금융시장과의 통합은 진전하고 있다. 이 금융통합의 진전이 동아시아 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Feldstein and Horioka(1980)가 주장한 방법을 사용하여 저축과 투자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유로권 경제에 비해 동아시아 경제 쪽이 높고, S/Y에 비해 I/Y가 크게 적다. 국제금융시장과의 통합이 진전하고 있다는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소비의 위험공유가 동아시아에서 향상되었는가를 Asdrubali, Pierfederico, Sorensen, and Yosha(1996)와 Ravallion and Chaudhuri(1997) 모형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동아시아에서 국제적인 자본시장과 신용시장을 통한 소비의 평준화 정도가 낮고, 금융자산을 상호 보유함으로써 동아시아 경제 고유의 충격을 평준화하는 정도도 유로권 경제보다 낮다. 이들 결과로부터 동아시아 경제에서 위험공유의 정도를 높임으로써 사회후생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현 시점에서 국제금융시장과의 통합정도가 상승한 것만으로는 통화통합은 소비의 평준화를 위한 해결책이 될 수 없다. 과도한 대외자산보유도 위험공유 효과를 줄어들게 함으로 동아시아 각 경제주체는 순대외자산 보유수준을 낮추어야 한다. The saving-investment correlation in East Asia is higher than those of the Euro area economies and the I/Y shows large drop compared with the S/Y. It is an obvious clue that Financial integration in East Asia is getting progress very fast on world financial markets. We estimates the degree of consumption risk sharing and analyzes the channels of consumption risk sharing among the East Asian countries using the method suggested by Asdrubali, Pierfederico, Sorensen, and Yosha(1996), Ravallion and Chaudhuri(1997).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the degrees of smoothing of idiosyncratic shock by cross-holding of financial assets are lower than the euro area economies. Capital markets play a minimal role, and credit markets provide a positive but limited role. These result suggest that there is some room for improvement in potential welfare gains in those economies by means of further risk sharing. On the basis of the international risk sharing model, this paper demonstrated that the high international reserve in East Asia was a second best international risk sharing mechanism in recent years, because the model of this paper proved that the international risk sharing mechanism was inherently inconsistent. Present net foreign assets scale in East Asia has exceeded reasonable scale.

      • KCI등재

        국제 자본이동성 연구

        全相準(Sangjoon Jun)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0 East Asian Economic Review Vol.14 No.1

        본고에서는 1960~2006년 기간 중 OECD 30개국의 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Feldstein-Horioka puzzle로 알려진 저축-투자 상관관계를 조사한다. 본연구는 최근 개발된 패널 공적분 기법들을 활용하여 OECD 국가들의 국내 저축률 및 투자율간의 장기 균형관계를 검정하고 추정한다. 저축률과 투자율 변수들은, 5 종의 패널 단위근 검정과 3 종의 패널 공적분 검정에 근거하여, 단위근이 존재하고 공적분되어 있다는 것이 발견된다. CCR, DOLS 및 FMOLS 기법들을 사용한 저축유지율 계수 추정치들은 표본기간 중 하향 추세를 보여 왔음이 판명되었다. 본고에서 저축유지율 계수 추정치들의 크기는, 통계자료의 비정상성과 그로 인한 가성회귀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Feldstein and Horioka(1980) 보다 훨씬 작게 나타났다. 본고의 실증 분석 결과는 OECD 회원국에서 국제 자본이동성이 1960~2006년 기간 중 거의 네 배가 되었고, 특히 1990년대와 2000년대에 크게 증가하였음을 보여준다. 본고의 실증 분석 결과는 1960~2006년 기간 중 30개 OECD 국가들에서 Feldstein-Horioka puzzle과 반대되는 증거를 제시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avings-investment relationship, also known as the Feldstein-Horioka puzzle, for a panel of 30 OECD countries over 1960-2006. It utilizes the recently-developed panel cointegration techniques to test and estimate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savings and investment. Investment and savings rates are found to have unit roots and to be cointegrated, based on 5 different panel unit root tests and 3 types of panel cointegration tests. The estimated coefficients on the savings rate employing CCR, DOLS, and FMOLS techniques, exhibit a declining trend over subsample periods. Moreover, the magnitude of the estimated saving-retention coefficients is much smaller than those reported by Feldstein and Horioka (1980), who did not consider the nonstationarity of data and the resulting spurious regression problem. It suggests that international capital mobility in the OECD economies has almost quadrupled over 1960-2006 and substantially increased in the 1990s and 2000s. The empirical findings in this paper provide evidence against the Feldstein-Horioka puzzle in OECD countries over 1960-200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