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방 십자인대 재재건술의 분석

        박찬희,송은규,선종근,임지현,강경도,이태민,Park, Chan-Hee,Song, Eun-Kyoo,Seon, Jong-Keun,Yim, Ji-Heoun,Kang, Kyung-Do,Lee, Tae-Min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Vol.10 No.2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수가 증가하면서, 재건술의 실패로 인한 재재건술의 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저자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발생한 이식건 실패의 원인 및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후의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2월부터 2010년 7월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실패에 대하여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을 시술받은 후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3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재건술 후 재재건술까지의 평균기간은 60(5~334)개월이었으며, 처음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술 시 23예(63.9%)에서 동종 이식건을, 13예(36.1%)에서 자가 이식건을 사용하였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실패의 주증상으로 불안정성이 가장 많았으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한번 시행 받았던 경우가 35예(97.5%), 두 번 시행 받았던 경우가 1예(2.5%)였다. 임상적 결과는 Lysholm 슬관절 점수, Tegner activity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안정성은 Lachman 및 pivot shift 검사와 Telos devic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추시 기간은 21(12~40)개월이었으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실패원인으로는 외상이 19예(52.8%)로 가장 많았고, 대퇴 터널의 부정위치가 13예(36.1%), 경골부 터널의 부정위치가 1예(2.8%), 골융합의 실패 3예(8.4%)로 나타났다.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을 시행할 시 34예(94%)에서 동종이식건을, 2예(6%)에서 자가 이식건을 사용하였으며, 21예에서 반월상 연골판 손상이 동반되었다(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14예, 외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7예). Lysholm 슬관절 점수는 술전 66.5점에서 술후 최종 추시시 92점으로 호전되었다(p<0.01). 환자의 대부분은 수술 결과에 만족(92%)하고 있었다. Tegner activity 점수는 술전 2.0점에서 술후 6.2점으로 호전되었다(p<0.01). Lachman 및 pivot shift 검사에서 33예, 30예가 Gr I 이하로 호전되었으며, Telos device를 이용한 안정성 검사에서는 양측 차이 정도는 술전 평균 15.5 mm에서 술후 최종 추시시 4.5 mm로 의미있게 호전되었다(p<0.01). 환자의 대부분은 수술 결과에 만족(92%)하고 있었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재 재건술은 1년 이상 추시 결과 약간의 전방 불안정성이 존재하였으나, 임상적 결과 및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에 있어서는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As the number of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has increased, the incidence of revision of ACL reconstruction due to reconstruction failure has been also increased. Therefore, authors analyzed the reason of the failure of ACL reconstruction and the clinical result of the ACL revis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February 1998 to July 2010, we selected 36 cases which was followed at least 12months after the ACL reconstruction failure. Duration from reconstruction to revision, the average duration was 60 months (5~334) and on first reconstruction, we used allograft on 23 cases (63.9%) and autograft on 13 cases (36.1%). For the main symptom of ACL reconstruction failure, instability was the most common symptom, and 35 cases (97.5%) were undergone only one reconstruction and 1case (2.5%) was undergone two reconstruction.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by Lysholm knee joint score, pivot shift test, and Telos device. Results: Average follow-up duration of the patients was 21 months (12~40), and the reason for the ACL reconstruction failure, trauma was most common by 19 cases (52.8%), malposition of the femoral tunnel was 13 cases (36.1%), malposition of the tibia tunnel was 1case (2.8%), and failure of osteointegration was 3 cases (8.4%). On performing the ACL revision, we used allograft on 34 cases (94%) and autograft on 2 cases (6%), and 21 cases accompanied injury of the meniscus (medial meniscus 14 cases, lateral meniscus 7 cases). Lysholm knee joint score was improved from 66.5 points, preoperatively to 92 points on last follow-up (p<0.01). In most cases, patients were satisfied (92%) with the operation results. Tegner activity score was also improved from 2.0 points preoperatively to 6.2 points on the last follow-up. On Lachman and pivot sift test, 33 cases and 30 cases were improved to grade I respectively, and on stability test using Telos device, the bilateral difference was improved from mean 15.5 mm preoperatively to 4.5 mm on the last follow-up. Conclusion: After 1 year follow-up, Revision of ACL had a little anterior instability but it showed satisfactory result on clinical result and patient's subjective satisfaction.

      • 관절경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의 이중 다발 재건술

        정영복,박세진,정호중,유재현,Jung, Young-Bok,Park, Se-Jin,Jung, Ho-Joong,Yoo, Jae-Hyun 대한관절경학회 2007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1 No.2

        목적: 관절경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의 이중 다발 재건술의 수술 방법을 보고하고 단일 다발 재건술과 이중 다발 재건술의 술 후 임상적 결과 대해 비교하려고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전방 십자 인대의 손상으로 진단된 총 98예의 환자 중 전방 십자 인대 단독 손상이었던 61예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술 전과 수술 후 연속적으로 안정성 및 임상적 결과를 검사하였으며 술 전과 술 후 1년째 자료를 이용하여 단일 다발 재건술의 결과와 이중 다발 재건술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단일 다발 재건술 환자는 총 30예였으며 이중 다발 재건술 환자는 총 31예이었다. 안정성 검사로는 Telos를 이용한 전방 전위 방사선 사진과 KT-2000 arthromete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임상적 결과로는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점수와 OAK(Orthopadische Arbeitsgruppe Knie) 점수 및 관절 운동 범위와 대퇴 사두근의 둘레를 확인하였다. 모든 수술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시행되었다. 결과: 술 전 Telos를 이용한 전방 전위 방사선 사진과 KT-2000 arthrometer를 이용한 안정성에 있어서 단일 다발 재건술 환자군에서는 각각 $7.9{\pm}3.3$과 $7.4{\pm}2.0$, 이중 다발 재건술 환자군에서는 $8.3{\pm}3.5$와 $7.9{\pm}3.2$로 확인되었다. 술 후 1년째 시행한 검사에서는 단일 다발 재건술 환자군에서 각각 $1.9{\pm}1.2$와 $2.2{\pm}1.6$, 이중 다발 재건술 환자군에서 $1.1{\pm}0.9$와 $1.0{\pm}1.0$으로 이중 다발 재건술을 시행한 군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와 OAK(Orthopadische Arbeitsgruppe Knie) 점수 및 대퇴사두근 둘레와 관절 운동 범위에서는 두 군 사이에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결론: 안정성의 측면에서 볼 때, 전방 십자 인대의 이중 다발 재건술은 단일 다발 재건술보다 술 후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나 그 외 다른 임상적 결과는 두 군에서 차이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surgical technique of doub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ACL) reconstruction and to compare the short-term clinical results between arthroscopic single-bundle and double-bundle ACL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5 to May 2006, ninety-eight patients were underwent ACL reconstruction. We designed prospective study with sixty-one patients who were revealed isolated ACL injury. We serially checked clinical and radiologic data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We compared single-bundle with double-bundle ACL reconstruction patients with preoperative datas and postoperatively 1-year data. There were 30 single bundle reconstruction and 31 double bundle reconstruction. Stability was assessed objectively by anterior stress radiographs with the $Telos^{(R)}$ device and the maximal manual test with the KT-2000 arthrometer. The clinical results were assessed by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and OAK(Orthopadische Arbeitsgruppe Knie) scores. Also, we evaluated postoperative thigh circumference and range of motion. All of operations were done by only one surgeon. Results: At single-bundle reconstruction group, preoperative AP instability which was checked by $Telos^{(R)}$ device and the maximal manual test with the KT-2000 arthrometer was $7.9{\pm}3.3$ and $7.4{\pm}2.0$, respectively. At double-bundle reconstruction group, it was $8.3{\pm}3.5$ and $7.9{\pm}3.2$, respectively. Residual AP laxity checked at 1 year after operation was $1.9{\pm}1.2$ and $2.2{\pm}1.6$ in single-bundle reconstruction group, and $1.1{\pm}0.9$ and $1.0{\pm}1.0$ in double-bundle reconstruction group. So, double-bundle reconstruction had better results in both anterior stress radiographs with the $Telos^{(R)}$ device and the maximal manual test with the KT-2000 arthromete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s. But, clinical results such as IKDC(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scores, OAK(Orthopadische Arbeitsgruppe Knie) scores, thigh circumference and range of mo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s: On the basis of stability, the side-to-side anterior laxity of double-bundle ACL reconstruction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at of single-bundle reconstruction,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clinical measures among them.

      • 군 병원에서 이중 다발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방사선학적 분석과 임상적 결과

        정덕문 ( Chung Duk Moon ),이영관 ( Lee Young Kwan ),김정열 ( Kim Jung Ryul ),유재두 ( Jae Doo Yoo ) 국군의무사령부 2010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41 No.1

        목 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군병원 정형외과에서 가장 많이 행해지는 수술중의 하나이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보통 단일 다발 재건술에 의한 방법으로 시행되고 80~90%의 높은 성공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많은 연구에서 이중 다발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재건은 단일 다발에 의한 재건술보다 더 큰 안정성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중 다발과 단일 다발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비교를 통해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치료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전방 십자인대 파열의 소견을 보인 60예의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30예는 이중 다발을 이용한 재건술을, 30예는 단일 다발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평가와 방사선학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KT 1000 관절계를 이용한 전방 안정성, pivot shift test를 이용한 회전 불안정성, 슬관절의 운동 범위, IKDC 주관적 검사와 Lysholm 슬관절 검사를 이용한 환자 만족도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인 평가는 술후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대퇴 터널의 확장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Lysholm 슬관절 검사에서 이중 다발 재건술이 유의하게 좋은 결과를 보였다. Pivot shift test에서는 29예(97%)의 이중 다발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정상적인 회전 안정성이 관찰되었고, 반면에 9예(36%)의 단일 다발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grade I의 회전 불안정성이 관찰되어 이중 다발 재건술이 유의하게 좋은 결과를 보였다. 나머지 다른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이중 다발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결과 단일 다발을 이용한 재건술 보다 회전 안정성 및 환자 만족도에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전역 후에 회전 안정성이 필요한 스포츠 활동을 요구하는 젊은 인원들에게 단일 다발 재건술보다 장기적으로 훨씬 더 나은 결과를 줄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를 지침으로 전 군병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 단기 추시 결과

        안진환,조용진,이용석,신성기,Ahn Jin-Hwan,Cho Yong-Jin,Lee Yong-Seuk,Shin Seong-Kee 대한관절경학회 200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7 No.2

        목적 :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후 시행한 전방십자인대 재 재건술의 단기추시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8월부터 2002년 2월까지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대하여 재 재건술을 시술 받았던 18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재건술후 재 재건술까지의 평균기간은 39$(7\~120)$개월 이었으며, 동종이식건 14예$(78\%)$, 자가이식건 4예$(22\%)$를 관절경을 이용하여 전방십자인대 재 재건술을 시술하였다. 주 증상으로는 불안정성이 16예$(89\%)$로 가장 많았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한번 시행받았던 경우가 16예$(89\%)$, 두번 시행받았던 경우가 2예$(11\%)$였다. 술전, 술후 및 추시관찰시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 2000 및 방사선학적으로 전방십자인대의 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Lysholm score 및 HSS score를 비교 분석하였고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평균 추시관찰 기간은 27$(12\~60)$개월이었으며, 술전 Lachman test 및 pivot shift test는 전예에서 양성의 소견을 보였으나 술후 대부분의 예에서 음성으로 나타났으며, KT 2000은 술전 7.75$(3.5\~12.5)$mm에서 술후 최종추시시 2.36$(1.0\~6.0)$mm로 안정되었다. Lysholm score 및 HSS score는 각각 술전 72.6$(66\~77)$점, 72.5$(68\~78)$점에서 술후 최종추시 시 89.2$(80\~92)$점, 88.2$(81\~92)$점으로 향상되었다. 환자의 대부분은 수술결과에 만족$(89\%)$하고 있었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실패원인으로는 대퇴터널의 부정위치가 11예$(61\%)$로 가장 많았다. 결론 :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치료로 적절한 이식건을 이용하여 관절경적 전방십자인대 재 재건술을 시술함으로서 주관적 및 객관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인 슬관절을 얻을 수 있었으나, 일차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가장 많은 실패의 원인이 수술 수기의 오류임을 감안한다면 정확한 수술 수기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술하는 것이 중요할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was to evaluate the early result of revision of fail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 From August 1997 to February 2002, this report presents the findings of 18 patients who had revision surgery for failed ACL reconstruction. There was an average of 39 $(7\~120)$months from index procedure to the time of revision. Allografts were used in 14 $(78\%)$cases and autografts were used in 4 $(22\%)$cases and the revision procedures were assisted by arthroscopic technique. The majority of chief complaints were instability in 16 $(89\%)$cases. Sixteen $(89\%)$ cases had 1 previous reconstruction, 2 $(11\%)$ cases had 2. Before and after revision, patients were evaluated by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 2000, radiographs, Lysholm score and HSS score and subjective satisfaction. Results : Average length of followup was 27 $(12\~60)$months. Preoperatively, all cases were positive in Lachman test and pivot shift test. After revision the majority of cases were negative. Objectively improving stability was confirmed by KT 2000 and all average KT 2000 was 7.75 $(3.5\~12.5)$mm preoperatively and 2.36 $(1.0\~6.0)$mm at final followup. Lysholm score and HSS score were also improved from 72.6 $(66\~77)$ and 72.5 $(68\~78)$ preoperatively to 89.2 $(80\~92)$ and 88.2 $(81\~92)$ at final followup. Most $(89\%)$ of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results. The most common causes of failed ACL reconstruction were malposition of femoral tunnel in 11 $(61\%)$cases. Conclusion : Arthroscopic revision ACL surgery with adequate graft for failed ACL reconstruction was successful in objectively and subjectively improving stability. However, considering the most common causes of failure after ACL reconstruction were errors in surgical technique, it is important that the primary ACL reconstruction should be performed with correct surgical technique.

      • 단일다발 및 이중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전향적 무작위적 비교 연구

        박상은,임무준,Park, Sang-Eun,Lim, Moo-Joon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1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있어서 이중다발과 재건술과 단일다발 재건술의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한 전향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연구는 편측 무릎의 전방십자인대 손상이 있는 56명의 환자군(group T)을 모집하여 27명은 이중다발 재건술군으로 배정하였으며(group D), 29명은 단일다발 재건술군으로 배정하였다(group S). 두 비교군 간의 임상적인 수술 결과는 최소 2년간의 추적 관찰 기간 내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Lachman & pivot shift test와 영상 검사(슬관절 전후방 부하 X선 촬영검사)를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후 2년 추적 관찰에서의 Lysholm knee score, Tegner activity score 수치에서, 두 비교군 사이에 유의한 임상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와 영상 검사 결과상에서도 두 비교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점이 밝혀지지 않았다(p>0.05). 결론: 이중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최소 2년간의 추적 관찰에서, 단일다발 재건술에 비해 임상적 결과나, 수술 후 영상 검사 상에서의 우월함을 보이지 못하였다. 이는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들에서 전내측 다발 재건술만으로도 우수한 임상적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Purpose: To evaluate and compare the postoperative knee stability and functional scores between single- and double- bundl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at a minimum 2 years follow-up. Materials and Methods: 56 patients (group T) with ACL injury in one knee were recruited with 27 allocated to the double bundle ACL reconstruction group (group D) and 29 to the single bundle ACL reconstruction group (group S). Clinical outcomes including Lysholm knee scores, Tegner activity scores, Lachman and pivot shift test results, and radiographic stabilities were also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Clinical outcomes including Lysholm knee and Tegner activity scores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at 2 years follow-up. Furthermore, stability results of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radiological findings failed to reveal any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Conclusion: Double bundle ACL reconstruction does not produce better in clinical outcomes and postoperative stabilities.

      • KCI등재
      • KCI등재

        외상성 슬관절 탈구의 수술적 치료 : 단계적 재건술의 결과 Result of Staged Reconstruction of Cruciate Ligament

        이범구,엄기석,이종훈 대한슬관절학회 2003 대한슬관절학회지 Vol.15 No.1

        목적 : 단계별로 치료한 십자 인대 손상을 포함한 외상성 슬관절 탈수 환자의 추시 결과를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6년부터 2001년까지 본원에 내원한 16례의 외상성 슬관절 탈구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측 측부 인대 손상은 일차 봉합 또는 보존적 요법을 시행하였고, 후외측 손상은 일차 봉합 또는 조기 재건술, 동반된 반월상 연골 손상은 봉합술 또는 부분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3개월 후 불안정성을 평가하여 후방 또는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단계적으로 시행하였다. 7례에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였고, 그 중 3례에서는 수상 5개월 후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했으며, 6례에서는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3례에서는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지 않았다. Lysholm 점수, 관절 운동 범위, 스트레스 방사선 검사로 평가하였다. 결과 : 최종 추시에 건측과 비교하여 평균 5.1㎜의 후방 전위를 보였으며 Lysholm 점수는 평균 82.8점, 평균 관절 운동 범위는 124°였다. 합병증으로 비골 신경 손상이 1례, 관절 강직이 1례 있었다. 결론 : 외상성 슬관절 탈구의 복합 인대 손상에서 측부 인대 치료 후 전방 십자 인대 및 후방 십자 인대를 단계별로 재건술을 시행하는 것은 양호한 안정성을 얻을 수 있고 관절 강직의 합병증을 감소시키는 치료방법이라 사료되나 MRI에서 후방 십자 인대가 완전 파열된 다발성 인대 손상시에는 후방 십자 인대 단독 손상과는 달리 후방 불안정성이 많이 남으므로 조기에 재건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clinical result of staged treatment of traumatic dislocation of knee joint. Materials & Materials : This study population included 15 men and 1 woman who were treated between 1996 to 2001. MCL injury was treated with primary repair/ conservative treatment and posterolateral instability was treated with primary repair / augmentation. Combined meniscal injury was treated with repair/partial meniscectomy. After 3 monthes, ACL or PCL was treated by reconstrucrtion if needed. PCL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in 7 and after 5 monthes in 3 of them ACL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In 6, only ACL reconstruction was ACL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In 3, no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as performed. The evaluation included range of motion, Lyaholm score, stress radiogram. Result : Lysholm mean value was 82.8 and ROM 124 degrees. Complication is 1 peroneal nerve palsy and 1 arthofibrosis. Average posterior drawer compared with constralateral limb is 5.1 ㎜. Conclusion : We suggest that this staged treatment for traumatic dislocation of the knee joint reduce the frequency of complication such as arthrofibrosis and obtain stability of knee joint. Acute PCL reconstruction is necessary for complete PCL tear on MRI in multiple ligament injuries.

      • KCI등재

        단일 및 이중 다발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골 터널 확장 비교

        이주홍(Ju-Hong Lee),왕성일(Seong-Il Wang),박종혁(Jong-Hyuk Park),배현경(Hyeon-Kyeong B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4

        목적: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골 터널 확장 정도를 단일 다발 재건술과 비교하고 임상적 결과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시행한 224예의 전방 십자인대 재건술 환자 중에서 1년 이상 방사선학적 추시가 가능했던 단일 다발 재건술 38예와 이중 다발 재건술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안정성은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KT-1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건측과의 이완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기능적 결과는 Lysholm 점수와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평가표를 이용하였다. 전후면 및 측면 방사선 사진 상 경화상 변연부의 가장 넓은 부위에서 터널 장축과 수직인 위치에서 확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대퇴 터널의 확장은 두 군간의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경골 터널은 이중 다발 재건술 군에서 유의하게 확장 정도가 적었다(p=0.001, ICC: 0.94) 임상적 결과와 안정성 회복 정도는 두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이중 다발 재건군에서 KT-1000검사는 1.1 ㎜, Pivot shift 검사는 93%에서 음성을 보여 단일 다발 재건군에 비해 다소 향상된 경향을 보였다. 골 터널의 확장 정도와 임상적 결과에 있어서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결론: 이중 다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단일 다발 재건술에 비해 경골부 터널의 확장 정도는 적었지만 골 터널 확장에 따른 임상적 결과와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tunnel enlargement in patients who had undergone a double-bundle (DB) or single-bundle (SB)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tent of bone tunnel enlargement and the clin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224 primary ACL reconstructions performed from January 2004 to May 2008 we examined in this study 38 patients who underwent a SB-ACL reconstruction and 30 patients underwent a DB-ACL reconstruction. They were followed up over 1 year. The evaluation methods were the Lachman test, pivot-shift test and KT-1000 measurement for knee stability and the Lysholm score and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ratings for the functional results. Tunnel enlargement was measured at the sclerotic ridge of the most widest area on the anteroposterior and lateral radiographs in longitudinal and vertical axis of the tunnel. Results: The tunnel enlargement on the femoral side was similar in the DB-ACL group and the SB-ACL group On the other hand, on the tibial side, the tunnel enlargement was less in the DB-ACL group than in the SB-ACL group (p=0.001, ICC: 0.94) The two groups showed different functional results and extent of stability recovery. The KT-1000 arthrometer revealed 1.1 ㎜ and 93% of negative in the pivot-shift test for the DB-ACL group, which induced an improved tendency compared to the SB-ACL group.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tunnel enlargement and clinical results. Conclusion: A DB-ACL reconstruction results in less tunnel enlargement on the tibial side than a SB-ACL reconstruction.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tunnel enlargement and clinical results.

      • KCI등재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염윤석(Yoon-Seok Youm),조성도(Sung-Do Cho),조혜용(Hye-Yong Cho),정승현(Seung-Hyun Jung),강승우(Seung-Woo Kang),주용태(Yong-Tae Jo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3 No.5

        목적: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시 일차 재건술의 실패 원인과 동반 손상을 분석하고, 재재건술 후 기능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실패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에 대하여 재재건술을 시행하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차 재건술의 실패 원인과 동반 손상을 분석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주관적 슬관절 점수,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와 KT-1000 arthrometer 검사를 이용하였다. 결과: 실패 원인은 외상이 27예(58.7%)로 가장 많았으며, 부적절한 수술술기로 인한 실패는 19예(41.3%)였다. 동반 손상의 경우 반월상 연골 손상 29예(63.0%), Outerbridge 등급 II 이상의 관절 연골 손상이 19예(41.3%)에서 확인되었다. 임상적 결과에서 IKDC 점수,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및 KT-1000 arthrometer 검사 모두 술 전에 비해 최종 추시 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재재건술 시 술 전 실패의 원인은 외상이 가장 많았으며, 슬관절의 안정성 면에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였으나 기능적 면에서는 기존에 문헌상 보고된 일차 재건술 후의 통상의 결과보다는 만족스럽지 못하였는데 이는 많은 동반 손상으로 인한 결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es of failure after a primary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ACLR), associated injuries, and the clinical results of revision ACLR.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valuated 46 patients (46 knees), who were followed at least two years after revision ACLR. The evaluations included the causes of failure after primary ACLR, associated injuries, 2000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subjective knee scores,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 Results: The most common cause of failure was trauma (27 patients, 58.7%) and 19 failures (19 patients, 41.3%) were caused using an inappropriate surgical technique. The associated injuries were meniscus tears in 29 cases (63.0%) and articular cartilage injuries of Outerbridge grade II to IV in 19 cases (41.3%). The IKDC scores,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and KT-1000 arthrometer measurement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at the final follow-up. Conclusion: The most common cause of failure after primary ACLR was trauma. One stage revision ACLR resulted in relatively satisfactory stability but less satisfactory clinical function than the primary reconstruction, as reported previously,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more associated injuries.

      • 전방 십자 인대 파열과 슬관절 내반 변형 동반시 근위 경골 절골술과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동반 치료와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단독 치료의 비교

        곽지훈,심재앙,이용석,황철호,이범구,Kwak, Ji Hoon,Sim, Jae Ang,Lee, Yong Seuk,Hwang, Chul Ho,Lee, Beom Koo 대한관절경학회 2013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7 No.1

        목적: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슬관절 내반 변형 동반시 근위 경골 절골술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동시 치료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단독 치료의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시행한 근위 경골 절골술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동시 시행한 8예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만을 단독 시행한 13예를 비교하였다. 평균 나이는 각각 34.1세(범위: 20-53), 34.9세(범위: 21-50)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각각 22.6개월(범위: 12-35), 20개월(범위: 13-33)이었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양 군간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점수, Lysholm 점수,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KT-2000 관절계 검사, $30^{\circ}$, $90^{\circ}$ 전방 전위 긴장 방사선 검사 등에서 임상적, 방사선학적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으나, Tegner 운동 점수, Cincinnati 운동 점수는 각각 근위 경골 절골술을 동반 치료한 군이 각각 4.9점, 57.9점이었고, 단독 치료한 군이 각각 5.6점, 72.9점으로 근위 경골 절골술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동반 치료한 군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결론: 전방십자인대 파열과 슬관절 내반 변형 동반시 근위 경골 절골술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동반 치료는 전방십자 인대 재건술의 단독 치료에 비해 일상 생활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운동 능력에 있어서는 제한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of the results between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reconstruction alone and combined with high tibial osteotomy for ACL ruptured knees with varus alignment.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8 cases of ACL reconstruction combined with high tibial osteotomy (Group I) and 13 cases of ACL reconstruction alone (Group II) for varus angulated ACL ruptured knees (from March 2005 to February 2007). Mean age were 34.1 years (range: 20-53) in Group I, 34.9 years (range: 21-50) in Group II. Average follow up period were 22.6 months (range: 12-35) in Group I, 20 months (range: 13-33) in Group II. We analyzed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between two groups for IKDC scores, Lysholm knee scores, Lachman test, pivot shift test, KT-2000 arthrometer, $30^{\circ}$ and $90^{\circ}$ anterior drawer stress radiographs. Tegner activity scales and Cincinnati knee ligament rating scales were 4.9, 57.9 in Group I, and 5.6, 72.9 in Group II. Group I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Group II for Tegner activity scales and Cincinnati knee ligament rating scales (p<0.05).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living between ACL reconstruction alone and combined with high tibial ostetomy for varus angulated ACL ruptured knees. However, ACL reconstruction combined with high tibial osteotomy could limit sport activity 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