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 및 장애인식에 대한 문헌 연구

        고영환,김경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 장애인식 및 변인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 체계적인 문헌분 석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2000년 이후 발표된 학술지 및 학위 논문들을 국내 학술정보데이터서비스인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및 한국학술지정보(KISS)를 사용하여 검색하였으며, 연구 참 여자 2인과 특수체육 전문가 2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회의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학술지 논문 7편(중복주제 포함) 및 학위 논문 10편 총 17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체육수업에 참가한 비장애학생들이 참가하지 않았던 비장애학생들에 비해 통합체육수업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체육수업을 경험한 비장애학생들이 경험하지 못했던 비장애학생들에 비해 장애인식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장애학생의 통합체육에 대한 인식과 장애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통합체육 수업의 참여 여부, 태도, 장애관련 봉사활동 참여 여부 및 주변지인의 장애 여부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perceptions about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ttitude and variables toward disability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analyse the literatures, article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since 2000 were searched using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and the 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After the search, the expert meeting was conducted, consisting of researchers and two specialists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As a result, a total of 17 papers were collected, including seven papers (including duplicate topics) and ten papers.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had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an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Seco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who experience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had a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disability than students who did not. Third, variables affecting students' perceptions of inclusive sports and attitude toward disability were participation in inclusive sports, attitude toward disability, volunteer activities, and neighbor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송비정(Song, Bi-Jung),홍재영(Hong, Jae-Young)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0 시각장애연구 Vol.36 No.4

        연구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특수교사의 경험을 통해서 나타나는 교사의 개인적·실천적 지식과 그러한 교사의 경험이 어떻게 형성하고 발전시켜 나가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목적 표집을 통해서 초등학교에서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가르친 경험이 있는 특수교사 1명을 선정하였다. 2020년 3월부터 9월까지 7개월 동안 6차례의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Clandinin과 Conely(2000)가 제안한 내러티브 분석 절차에 따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는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처음 만나면서 통합교육 환경에서 교육을 받는 시각중복장애 학생 대한 ‘걱정’과 시각중복장애 학생과 친해지기 위한 ‘고민’에 대한 경험을 하면서 개인적·실천적 지식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는 시각중복장애 학생에게 적합한 교육환경을 만들기 위한 ‘책임감’과 학생의 특성에 맞는 교육 방법을 찾기 위한 ‘끈기’, 통합교육을 실행하기 위한 ‘소통’, 시각중복장애 학생과 나아가기 위한 ‘미래’에 대한 경험을 통하여 교사의 개인적·실천적 지식을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언: 통합교육환경에서 시각중복장애 학생을 가르치면서 겪은 경험을 토대로 형성되는 교사의 개인적·실천적 지식은 향후, 통합교육 환경에서 특수교사의 전문성 향상과 시각중복장애 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a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PPK) that developed through an experience of teaching a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s and multiple disabilities(SVIMD) in elementary school and examines how the teacher’s experience formed and developed. Method: The participant in the study w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who had experience of teaching SVIMD, chosen through purposive sampling. Results: The research participant began to form PPK as she met the student and developed ‘worries’ over the student who received education in an inclusive education environment and ‘concerns’ over how to become acquainted with her. The research participant accumulated PPK captured by the following themes: ‘responsibility’ for mak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ppropriate for the SVIMD, ‘perseverance’ to continue searching for a teaching method that matched the student s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that embodied inclusive education, and the ‘future’ that she would step toward with the student. Conclusions: The teacher’s PPK formed based on an experience of teaching SVIMD in an environment of inclusive education.

      • KCI등재

        청각장애학생의 전정기능과 정적균형에 대한 연구

        김영록,한경임 한국특수아동학회 200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3 No.-

        본 연구는 청각장애 학생 32명의 전정 기능과 균형 능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청력의 손실은 신체 발달 능력의 지연을 초래하는데 그 가운데 전정 기능과 균형 능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청각장애 학생의 전정 기능과 균형 능력을 쉽고 간편하게 측정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은 청각장애 학생의 운동 교육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첫째, 보청기 유무에 따른 청각장애 학생의 균형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둘째, 시각정보 입력의 유무에 따라 청각장애 학생의 균형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았으며, 셋째, 발바닥 고유수용성 감각의 차이에 따라 청각장애 학생의 균형 능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보청기 착용 집단에서 안진의 지속 시간이 길어서(p<0.05) 청력 손실의 정도가 높을수록 균형 감각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시각 정보의 입력이 제공된 경우에 외발 기립 서기에 의한 정적 균형 수행 능력이 오래 지속(p<0.001)되어 시각이 청각장애 학생의 균형 능력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발바닥 고유 수용성 감각이 양호한 지면에서 외발 기립 서기에 의한 정적 균형 수행 능력이 오래 지속(p<0.01)되어지지 면의 안정도가 청각장애 학생의 균형 능력 지도에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estibular function and static balance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e subjects were 32(male 16, female 16) aged 11 to 19 with hearing impairment. Nystagumus testing was used to investigate the vestibular function and the one-leg standing metho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static bal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vestibular function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n relation to with and without of hearing aids. This means the severer hearing impairment is, the severer vestibular function disorder is. Secon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tatic balance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n relation to with and without of visual input. This means the visual input is an important index of the static balance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Third,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tatic balance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 of the proprioception of foot. This means the stabilization of base is important on the static balance ability of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s conclusion of this study, it is need to investigate the dynamic balance as well as the static balance of the more students with hearing impairment and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balance ability as the age of wearing of hearing aids in a following study.

      • KCI등재

        장애 남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진로탐색 간의 관계

        이옥인,임양미 국립특수교육원 2017 특수교육연구 Vol.24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ender role identity on career exploration in male and fe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were 210 disabled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ree universities and three high schools located at Gyeonggi-do, Chungcheongbuk-do, and Jeollanam-do in Korea. Th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gender role identity and career explor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ree way ANOVA. Especially, during the ANOVA, the level of school, the level of disability, and the type of gender role identity are designa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career exploration(intended-systematic exploration, environment exploration, and self-exploration) as dependent variabl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effect of gender role identity on intended-systematic exploration was only found for fe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while the interaction effect of school level and gender role identity on environment exploration was found for 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main effects of school level and gender role identity was done for fe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inally, while the main effect of school level on self-exploration was only found for 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main effects of school level and gender role identity were done for female students with disabilities. 이 연구는 장애 남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이 진로탐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충청북도와 전라북도에 위치한 3개 대학교와 3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 남녀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진로탐색, 성역할 정체감 척도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장애 남녀학생별로 진로탐색의 3개 영역(체계적 탐색, 환경 탐색, 자아 탐색)을 종속변인으로 하고, 학교급, 장애정도, 성역할 정체감 유형(양성성, 남성성, 여성성, 미분화성)을 독립변인으로 한 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 남학생의 경우 체계적 진로탐색에 대해 학교급, 장애정도,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 효과가 의미있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장애 여학생의 경우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라 체계적 진로탐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 정체감 유형이 양성성, 여성성, 미분화성인 장애 남학생 경우 고등학교 집단보다 대학교 집단에서 환경적 진로탐색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성역할 정체감 유형이 여성성인 경우 두 학교급 집단의 환경적 진로탐색의 차이가 현저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성역할 정체감 유형이 남성성인 남자 장애학생의 경우 대학교 집단보다 고등학교 집단에서 환경적 진로탐색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여학생의 경우 환경적 진로탐색에 대한 학교급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장애 남녀학생의 학교급, 장애정도, 성역할 정체감 유형에 따른 자아탐색은 장애 남학생의 경우 학교급의 주효과만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으며, 장애 여학생의 경우 자아탐색에 대한 학교급과 성역할 정체감 유형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나타났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장애관련 접촉경험과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관한 연구

        김민경,임용재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2 지적장애연구 Vol.24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us of disability-related contact experiences, the social distance on students with disabilities (SDSD), and factors affecting SDSD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79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fth and sixth grades) in Busan, South Ko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dentify personal characteristics, disability-related contact experience, and SDSD of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two-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direct experience related to dis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89 (76.3%) had experience of meeting people with disabilities, 153 (40.4%) had experience of being in the same class as students with disabilities, 140 (36.9%) had experience of help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learning and daly living, 46 (12.1%) had experience of being participated in volunteer activities related to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14 (3.7%) had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indirect experience related to dis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247 (65.2%) had experience of watching related to disability video media and 142 people (37.5%) had experience of reading book media. Second, the mean of SDSD was 2.08(SD=76). Third, the SDS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xperiences help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learning and daly living(F=4.46, p<.05).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pose a direction to narrow SDSD through the disability-related contact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장애관련 접촉경험의 실태를 파악하고,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 중에서도 특히 장애관련 접촉경험의 영향에 대해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부산의 초등학교 5, 6학년생 379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장애관련 접촉경험과 사회적 거리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장애관련 직접경험은 장애인과 만난 경험이 289명(76.3%), 장애학생과 같은 반을 한 경험이 153명(40.4%), 장애학생의 학습 및 생활을 도운 경험이 140명(36.9%), 장애인과 관련된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46명(12.1%), 장애가 있는 가족 및 친척이 있는 경우가 14명(3.7%)으로 나타났다. 간접경험은 장애관련 영상매체 경험이 247명(65.2%), 도서매체 경험이 142명(37.5%)이었다. 둘째,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수준은평균 2.08(SD=.76)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장애학생의 학습 및 생활을 도운 경험에 따라 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4.46, p<.05).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접촉경험을 통해 사회적 거리감을 좁히기 위한 방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 중학생의 영어교육에 대한 만족도 연구

        신정희,이해균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9 시각장애연구 Vol.25 No.4

        This study was to accomplish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the purpose of the English education amelioration of schools for the visual impairments by means of investigation, the satisfaction degree, the English education of the visual impairments in middle schools. It was through the survey on the acknowledgement to English of the 12 middle school students who attend the visual impairments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curriculums, English teachers, English classes,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English education surroundings and the demand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s' English education. It was done through the questionnaires according to sexes, grades, handicap levels, the handicaps' offspring which belongs to backgrounds.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in the area of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cknowledgement on English,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the middle schools are higher than the students with low visions. Second, in the area of the satisfaction degree on English curriculums,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re higher than the students with low visions. Third, in the area of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middle schools, the students with low visions are higher than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Fourth, in the area of the satisfaction degree on the effect of English class of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lower grades are higher than upper grades, satisfaction degree on the effect of school English, students in lower grade are higher than higher grade. Fifth, in the area of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in middle schools, the class method of not boring and interesting is the best of all the methods, next is the method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and interesting aid materials, text materials, the enlargement of the facilities and materials of laboratories. Along with these, the items which needs subsequent studies are suggested in the suggestion. 본 연구는 시각장애 중학생의 영어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시각장애학교 영어교육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 12개 시각장애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부 학생의 영어에 대한 인식과 영어 교육과정, 영어 교사, 영어 수업, 영어 교육환경에 대한 만족도 그리고 학교 영어교육 개선을 위한 요구를 설문조사하여 성별, 학년별, 장애정도별, 장애발생시기별의 배경변인별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 중학생의 영어에 대한 인식 수준은 맹학생이 저시력학생보다 높았다. 둘째, 시각장애 중학생의 학교 영어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는 맹학생이 저시력학생보다 높았다. 셋째, 시각장애 중학생의 학교 영어 수업의 질에 대한 만족도는 저시력학생이 맹학생보다 높았다. 넷째, 시각장애 중학생의 학교 영어 수업의 효과에 대한 만족도는 저학년이 고학년보다 높았다. 다섯째, 시각장애 중학생의 학교 영어교육에 대한 개선 요구는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는 수업방식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다양하고 재미있는 보조자료 및 교재 개발, 어학실습실 등의 시설 및 기자재 확충 등이었다. 이와 함께 후속연구가 필요한 사항들을 제언에 제시했다.

      • KCI등재

        시각장애학교 학생을 위한 국악치료 실태 연구-음악교사 설문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김은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7 국악교육연구 Vol.11 No.2

        Music teachers of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are responsible for several grades, and only one music teacher carries out class activities, considering the various disabilities, needs, and levels of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at the same time. Becaus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such a learning site, music therapy activities involving Korean music lessons are ne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status of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related to music therapy activities during Korean music classes and promote the activation of Korean music therapy based on experiences of Korean music therapy and non-musical changes in musical therapy. For this, a questionnaire designed to examine the status of Korean music therapy was made and distributed to 12 music teachers at school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and 12 teachers were respond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hav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makes Korean music therapy possible. After examining places for Korean music therapy activities, availability of school owned musical instruments, music teachers‘ performance abilities, a ratio of students with the visual impairment and students with the visual impairment and additional disabilities,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were visually impaired with additional disabilities and needed extra learning support. Secondly, musical experiences in Korean music therapy are highly related to sociality in terms of developmental aspects. The types of experi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are divided into recreation, improvisation, creation, appreciation, and integrated activities, and they are most effective in the social area of body, cognition, health, society and language. Thirdly, non-musical changes through Korean music therapy can be grounded in psychology. Students are able to understand the change situation of students music through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apy with respect to each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by medical, behavioral, psycho-dynamic and humanistic aspect. Fourthly, Korean music therapy activities are necessary for the emotional cultivation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The emotional area is overwhelmingly dominant in significantly contributing to students. Emotional empathy is needed to show positive changes in student’s depressed emotions and sociability.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 and status of Korean music therapy, experiences of Korean music therapy, non-musical changes, and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Korean music therapy. It offers a chance to investigate the role of music teachers at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schools and to consider the exchange of teachers’ opinions to vitalize Korean music therapy. In order to continuously develop Korean music therapy activities at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high-quality follow-up research for the activation of Korean music therapy that works on a questionnaire for students who are currently attending at the twelve schools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in Korea. 시각장애학교 음악교사는 여러 학년을 담당하고 있고, 교사 1명이 시각장애학생들의 다양한 장애상태, 요구, 수준 등을 동시에 고려하며 수업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학습현장을 유지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국악 수업이 개입된 음악치료 활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 목적은 시각장애학교에서 국악 수업 시간에 국악치료 활동과 관련된 학교 실태를 파악하여 국악치료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악치료 상황을 점검 가능토록 설문 문항을 제작하여 전국 시각장애학교 음악교사 12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12명에게 회수 받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교는 국악치료 활동이 가능한 여건과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다. 국악치료 활동이 이루어지는 장소, 학교 소유 국악기 사용 유무, 음악교사 악기 연주 능력 상황, 시각장애학생과 시각중복장애학생 구성 비율 집계 결과 절반 이상의 학생이 시각중복장애학생임을 나타내며 이들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국악치료에서 음악 경험은 발달 측면 중 사회성과 관련이 높다. 국악치료 경험 유형은 재창조, 즉흥, 창작, 감상, 통합 활동으로 나누어 구성되고, 신체․인지․건강․사회․언어 영역 중 사회 영역에 가장 많은 효과를 본다고 한다. 셋째, 국악치료를 통해 음악 외적으로 변화된 점은 심리학에 근거를 둘 수 있다. 국악치료를 통한 학생들의 음악 외적인 변화 상태를 의학적․행동주의적․정신 역동적, 인본주의적 측면으로 각 심리학적 특징과 관련하여 학생 변화 상황을 알 수 있다. 넷째, 국악치료 활동은 시각장애학생의 정서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학생에게 가장 이바지할 수 있는 부분은 정서적 영역이 압도적으로 우세했다. 학생의 우울한 정서와 사회성 부문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보이도록 정서 교감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각장애학교 국악치료 여건과 실태, 국악치료 경험 및 음악 외적 변화, 국악치료 활성화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시각장애학교 음악 교사 역할을 알아보고, 교사 의견을 통해 국악치료 활성화를 위해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국악치료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국내 12개 시각장애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설문을 유도하여 국악치료 활성화를 위한 양질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일반교사와 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와 교육적 시사점

        강종구,김정현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08 시각장애연구 Vol.24 No.2

        Our country does not have many studies on what kinds of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and how attitudes influenc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s of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students and teachers have and how these attitudes influence education. In addition, we examined how to improve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higher students get in grade, the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have. In addition, the more experiences or knowledge about students with disabilities teachers have, they more acceptable they have. Teachers' attitudes influe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researchers argued that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need to be understood by considering various situations. Researchers also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studies that discuss the ways to overcome negative attitudes towa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nsisted that these methods need to be widely used in schools. 국내에는 일반교사나 학생이 장애학생에 대해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태도가 교육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교사와 학생이 장애학생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 지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태도가 교육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 보았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일반학생이 가지고 있는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었으며, 일반교사는 장애에 대한 경험이나 지식이 많으면 많을수록 장애학생에 대하여 보다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가 가지는 태도는 장애학생의 교육에도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여러 가지 상황들을 고려해서 이해해야 한다. 또한 장애학생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여러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을 현장에서 보다 널리 사용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 KCI등재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홍일,이도영,김종식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와 문제 행동의 변화를 검증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학생 20명을 각각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발달장애학생의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가 향상 되었다. 둘째,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발달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이 감소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발달장애학생의 장애학생 건강체력평가(PAPS-D)와 문제행동에 대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changes in PAPS-D and problem behavior after conducting a composite exercise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20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ith 10 students ea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PAPS-D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improved after the composite exercise program was conducted. Second, the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reduced after the composite exercis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PAPS-D and problem behavio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시각장애학생의 학습 유형과 과학적 태도의 관계

        김정현,박현옥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0 시각장애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e of characteristics of learning styles and scientific attitudes, and investigat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factors and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For this purpose, 106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ampled from 5 special school in Korea. The Instruments were used in the study are ASL(learning styles scale), and scientific attitudes scales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d Pearson’s γ.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learning style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make no difference by the gender and onset of disabilities, but by the school grade and visual acuity. Second, the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make no difference by the school grade and onset of disabilities, but by the gender and visual acuity. Third, the learning styles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re related deeply. Forth, the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majored in special school could be predicted by the learning styles. 이 연구는 시각장애학생의 학습 유형과 과학적 태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생의 학습 유형은 학교 급별, 성별, 시력 정도별, 장애발생 시기 별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시각장애학생의 과학적 태도는 학교 급별, 성별, 시력 정도별, 장애발생 시기 별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시각장애학생의 학습 유형과 과학적 태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시각장애학생의 학습 유형이 과학적 태도를 예언할 수 있는가? 이 연구에는 시각장애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ㆍ고등부 학생 106명이 참여하였으며, 연구 대상 학생들에게 ALS 학습 유형 검사와 과학적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연구 문제에 따라 각각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학생의 학습 유형은 학교 급별 및 시력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성별 및 장애 발생 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다. 둘째, 시각장애학생의 과학적 태도는 성별 및 시력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학교 급별 및 장애발생 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다. 셋째, 시각장애 학생의 학습 유형과 과학적 태도는 상호 관련이 있다. 넷째, 시각장애학생의 학습 유형은 과학적 태도를 예언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