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덕수궁 돌담길의 역사문화가로 장소 인식 특성에 관한 연구

        양유선,손용훈 한국조경학회 2019 韓國造景學會誌 Vol.47 No.3

        Today, Deoksugung Doldam-gil, which is a well-known area in Seoul, has become a mixed place as many places reaching a critical age have been converted into parks. However,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Deoksugung Doldam-gil was deficient in that the user, an essential variable, was not considered when assessing the place. Based on that,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perception of the places in Deoksugung Doldam-gil and to analyze factors to further enrich the place to visitor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representative idea of Deoksugung Doldam-gil is "the distance you want to go" and that has influencing factors, such as vehicle restrictions and the improvement of the walking environment. The analysis of classifying the variables that make up the perception of the place, physical environments, activities and meanings showed high awareness in, “streets of green (3.95)” and “stone walls of curves (3.88).” In the category of activities, "walking activities in the inner city (4.01)" and "love and romance (3.57)" were high. These results seem to reflec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ets and the familiar image of the place were important. Five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factor analysis to provide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place perception,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factor, and the place atmosphere of Deoksugung Doldam-gil. These factors confirm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green landscape' and 'historicity.'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analysis reflects vital space, visual experience, and free walking conditions to be important, and these variables are present in urban parks. It also indicates the long-accumulated image and behavior near the site of Deoksugung Palace, including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gnitive perception of Deoksugung Doldam-gil and the formation of the atmosphere of the place were strongly recognized. It found that there was a need to reflect the value and importance of ‘green’ in the future as culture or in the use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related to heritage. This study presented a direction to be noted from the perspective of a user's place awareness, but considered only a fraction of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multidimensional sense of place and location recognition, and thus must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오늘날 서울에서 대중적 인지도가 높은 덕수궁 돌담길은 역사유산으로서의 장소 인식과 공원으로서의 장소 인식 등 혼재된 장소성을 지닌 곳이다. 그러나 덕수궁 돌담길과 관련한 기존 연구는 장소성에 중요한 변수인 이용자를 배제한 채 장소성을 논하였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덕수궁 돌담길 장소 인식과 이에 미치는 요인을 방문객을 대상으로 분석․해석하여 장소성을 더욱 풍부하게 해석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로 덕수궁 돌담길의 대표 이미지는 ‘걷고 싶은 거리’로 차량 통제 및 보행환경 개선이라는 제도적 요인이 작용된 것으로 해석된다. 장소성을 형성하는 변수들을 물리적 환경, 활동, 의미로 분류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푸른 녹음의 가로수(3.95)’, ‘곡선의 돌담길(3.88)’이 높게 나타났다. 활동의 범주에서는 ‘도심 속 산책 활동(4.01)’이, 의미에서는 ‘사랑과 낭만(3.57)’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가로공간이라는 장소적 특성과 기존에 친숙하게 받아들여지던 장소이미지가 반영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요인분석을 통해 5개의 요인을 추출하여 장소인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했으며, 각 요인들과 덕수궁 돌담길의 장소적 분위기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녹지 가로경관’과 ‘역사성’에 대한 높은 상관성을 확인했다. 이는 녹음으로 위요된 공간, 시지각적 체험, 자유로운 보행 여건 등이 반영되어 도심 속 공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며, 또한 덕수궁이라는 역사문화유산에 영역이 포함되기에 오랜 시간 누적된 장소적 이미지와 행태가 반영된 결과이다. 덕수궁 돌담길 장소 인식 요인 및 장소적 분위기 형성에는 녹지와 관련된 것들이 강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향후 역사문화가로 또는 유산과 관련된 보존 및 관리활용에 있어 녹지에 대한 가치 및 중요도를 반영할 필요성이 있음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이용자의 장소 인식 관점에서 주목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으나, 장소 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는데 있어 다차원적 장소성의 일부분만을 고려했기에 추후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 -광주광역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승훈 한국관광학회 2021 관광학연구 Vol.4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various level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which are their destinations as attractive brands. In particular, in order to emphasize the local resident participation in local branding,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place brand complexity,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intentional for spreading the word of mouth were examined. This study approached the place branding from a social function perspective, and it is also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at considers place branding as a complex phenomena when considering local residents. A total of 310 samples, collected during the month of August 2019, was used for empirical data analysis.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to analyze frequency, reliability,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s, an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EM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lace brand complex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place commi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place satisfaction, place identity, and place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word of mouth. These results solidify the theoretical foundation that the level of place brand complexity should be managed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it provides useful directions in practice to actively engage residents when local governments establish a place brand policy as part of tourism marketing. 이 연구의 목적은 관광 장소 브랜딩을 추진하고 있는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주민을 잠재적 관광 마케터로 활발히 참여시키는데 유용한 방향과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는 장소 브랜딩을 사회적 기능의 관점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접근에서 시작되었고, 지역주민을 고려할 때 장소 브랜드는 복잡성을 가져야 한다는 이론적 배경에 기초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장소 브랜드 복잡성,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장소에 대한 전념, 그리고 구전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지역주민이며, 2019년 8월 한 달 동안 수집한 총 310부의 조사자료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모형분석을 시행하였다. 자료의 분석 결과, 장소 브랜드 복잡성은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그리고 장소에 대한 전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장소 만족도, 장소 정체성, 그리고 장소에 대한 전념은 구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주요 시사점을 제공한다. 장소 브랜드의 복잡성은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높은 수준으로 관리되어야 한다는 이론적 토대를 공고히 한다. 아울러 지방자치단체가 관광 마케팅의 일환으로 장소 브랜드 정책을 수립할 때 지역주민을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는 유용한 방향을 실무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도시관광에서 장소의 의미와 애착

        이남희(Lee, Nam-Hee),김남조(Kim, Nam-Jo)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6 觀光硏究論叢 Vol.28 No.4

        장소는 경험을 통해 구축된 의미가 부여된 공간적 환경으로서 장소에 대한 의미와 애착은 장소와 인간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관광객들은 어떠한 의미를 통해 장소애착을 형성하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서촌을 방문한 관광객 10명을 대상으로 관광객들의 심도 깊고 풍부한 경험을 도출해 내기 위해 사진유도기법 중 하나인 visitor employed photography(VEP)를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관광객들은 다양한 의미부여를 통해 장소정체성/정서적 애착, 장소의존성, 장소친밀성, 장소귀속감, 장소착근성 등 다차원적 형태의 정서적·심리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관광지에서의 장소애착은 지역주민과 지역사회에 대한 호의적 태도, 충성도, 및 정주의식 형성으로 확대됨에 따라 장소애착의 새로운 역할과 의미를 발견하였다. 더 나아가 지역 정체성, 진정성, 젠트리피케이션, 상업화 등 도시관광지가 처해있는 사회적·환경적 특성들이 장소애착 형성에 직간접적인 요인으로 분석됨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도시관광 계획 및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s place is a spatial setting which is given meaning based on human experience, the meaning and attachment of place are important components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nd human being.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lace meaning and place attachment in urban tourism by applying visitor employed photography(VEP) which is one of the photo-elicitation techniques. This study is conduct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10 tourists at Seochon village which is the famous urban tourist spot.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urban tourists form the place attachment including place identity/affective attachment, place dependence, place familarity, place belongingness, and place rootedness through various meaning. Furthermore, the findings show that soci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faced with urban tourism such as local identity, authenticity, gentrification, and commercialization have a directly and indirectly significant effect on formation of place attachment. As a result, the study provide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and for the development of urban tourism.

      • KCI등재

        장소 연구의 핵심 주제 ‘장소의 정감’ 재논의와 장소 만들기에서 그 중요성

        이재하(Lee, Jaeha) 한국지역지리학회 2018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는 최근 서구에서 장소 연구의 급증 현상과 더불어 핵심적 연구주제가 되고 있는 장소의 정감에 관한 국내 연구의 정확한 방향성과 활성화를 위해 관련 문헌을 통해 ‘장소의 정감’ 개념을 재논의하고, 아울러 그 중요성을 오늘날 지역사회 ‘장소 만들기’의 주요 과제에 적용한 연구사례들을 중심으로 짚어 본다. 장소의 정감은 1970년대 인본주의적 인문지리학자 Tuan과 Relph에 의해 연구 의제로 공식화된 이후, 여러 학문분야에서 그것의 하위 구성개념 혹은 구성요소에 관심을 갖고 많은 연구 노력을 기울여 왔다. 오늘날 대다수의 학자들은 그것을 개인이나 집단이 장소를 경험하며 부여하는 장소정체성, 장소애착, 장소의존성, 장소의미를 포괄하고 있는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소의 정감을 초월한 장소착근 혹은 ‘착근된 장소의 정감’에 관한 경험적 연구도 논의되고 있어 주목된다. 그리고 오늘날 현실세계에서 장소의 정감의 중요성은 도시재생, 환경교육, 공공공간 만들기 등과 같은 지역사회 ‘장소 만들기’의 주요 과제에 장소의 정감을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 성과에서 잘 확인된다. 따라서 향후 국내 ‘장소의 정감’ 연구는 비록 장소의 정감의 하위 구성개념에 관한 연구라 할지라도 그것의 바른 이해를 위해 장소의 정감 개념의 맥락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국내 장소 연구 학자들도 장소 만들기 사업에 관계된 단지나 지구에 적용 가능한 장소의 정감 연구에 적극적인 참여가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reexamines ‘sense of place’ concept which has been a core research theme with sharply increasing place studies in the recent Western society, and also reviews its significance through some case studies which sense of place had been applied to an important placemaking for community on the purpose of the accurate direction and vitalization of research on them in Korean society. After human geographer Tuan and Relph’s contribution in the 1970s, sense of place and its subordinate constructs have been explored by so many scholars in multi-disciplines. As a result, majority of scholars agree to sense of place that comprises place identity, place attachment, place dependence, and place meanings which an individual or a group experiences and gives to a place. But it is noticeable that rootedness or rooted sense of place has been examined in empirical studies. And the significance of sense of place in contemporary reality is well identified from the outcomes of some case studies that should be taken account into the placemaking projects for community such as urban regeneration, creating public spa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fore, even though the domestic study on sense of place is a research on a subordinate component of that, it is needed to approach in a context of the concept for a right understanding of it. In addition, it is my hope that related scholars will engage positively in exploring sense of place applicable to site or area in term of placemaking projects.

      • KCI등재

        장소 맥락에 따른 로봇 얼굴 디자인에 대한 사용자 인식 차이 ‑ 공공장소와 사적장소를 중심으로

        윤지선(Yoon, Jisun),류한영(Ryoo, Han Young),최지원(Choi, Jiwon),정승은(Chung, Seungeun)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1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0 No.1

        연구배경 오늘날 로봇들은 인간의 감성적인 부분까지도 보살필 수 있는 존재로 주목받으며 다양한 서비스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로봇들의 외형을 살펴보면 대부분 인간형 디자인을 적용하고 있으며, 공통적으로 얼굴이 있다는 특징을 지닌다. 로봇에게 있어 얼굴이 중요한 이유는 사용자들이 이들과 상호작용할 때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부분이기 때문이며, 로봇에 대한 첫인상을 결정하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또한 인간의 대면 상호작용에 있어 공공장소와 사적장소로 분류되는 장소 맥락은 상호작용의 결과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실은 인간-로봇의 상호작용의 과정에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한 사실로 판단된다. 연구방법 다양한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는 인간형 로봇의 얼굴 디자인을 얼마나 인간적으로 느껴지는 지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그 분류를 활용하여 공공장소와 사적장소에서 수준별 로봇의 얼굴들이 호감도와 지각된 유용성에 대해 어떻게 다르게 인식되는지와 특정 수준의 로봇 얼굴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맥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수준별 분류 조사 결과 로봇의 얼굴 디자인을 인간적인 정도에 따라 5개의 수준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해 가장 추상적인 디자인부터 가장 인간적인 디자인까지를 수준1에서 수준5로 정의하였다. 장소 맥락에 따라 수준별 로봇의 얼굴에 대한 호감도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공장소에서는 수준2, 수준4가 호감도가 높은 그룹으로 분류되었고, 사적장소에서는 수준1, 수준2, 수준4가 호감도가 높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수준1의 경우 장소 맥락에 따른 호감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장소 맥락에 따라 수준별 로봇의 얼굴에 대한 지각된 유용성 인식을 분석한 결과, 공공장소에서는 수준2, 수준4가 지각된 유용성이 높은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수준3과 수준4는 지각된 유용성이 중간인 그룹에도 포함되었다. 사적장소에서는 수준1, 수준2, 수준3, 수준4는 지각된 유용성이 높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하지만 로봇의 장소 맥락에 따른 지각된 유용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사용자들은 로봇 얼굴의 인간적인 정도를 판단하는 데에 얼굴형보다 얼굴요소 개수에 영향을 받지만, 공공장소와 사적장소에서의 호감도나 지각된 유용성의 경우 얼굴 요소개수와 상관없이 인상을 좌우하는 얼굴형이나 얼굴 요소 간의 비례 등에 영향을 크게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사적장소에서는 공공장소에서와 달리 추상적인 로봇 얼굴 디자인이 거부감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호감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각된 유용성의 경우 장소 맥락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로봇 얼굴을 디자인할 때 사용자가 로봇을 대면하게 되는 장소와 로봇 얼굴 인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Today’s robot has been recognized as a being to care human emotion, and applied to various service fields. Most service robots have human-like design and a human face in common. Designing a face for a robot is important in human-robot interaction because user faces its face at first, and it has the greatest effect on determining the first impression. Furthermore, the context of a place which can be classified as public and private is a major factor for the outcome of the human’s face-to-face interaction, and this seems to be equally applicable to the process of human-robot interaction. Methods This research categorized human-type robot face designs into various levels of similarity with human face, and explored how robot faces are perceived differently for like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in public place and private place and differences of users’ perception about different levels of robot faces depending on the context of places using levels of robot fac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categorizing research. Result In classification research, designs of robot faces were categorized into 5 different levels. The least human-like face design was defined as level-1, and the most human-like face design was defined as level-5.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ikeability of the robot face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lace, level-2 and level-4 were classified as high group in public places, and level-1, level-2, and level-4 were classified as high group in private places, In the case of Level 1, the difference in likeability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la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ived usefulness perception of the robot face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lace, level-2 and level-4 were classified into groups with high perceived usefulness in public places, and level-3 and level-4 were also included in middle group. In private places, level-1, level-2, level-3, and level-4 were classified as high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in perceived usefulness according to the context of the place of the robot fa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users are influenced by the number of facial elements rather than the face shape in determining the humanity of the robot"s face. But in the case of likeabi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in public and private places, they are more influenced by the proportionality between facial elements. In addition, we find that in private places, unlike in public places, abstract robot face design serves as a factor in reducing repulsion.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lace where the user faces a robot when designing the robot face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안성의 문학적 장소성

        김장근(Kim Jang-keun) 픽션과논픽션학회 2021 픽션과논픽션 Vol.3 No.1

        이 글은 안성의 문학적 장소설ㅇ으로 안성 출신 문인인 안구선, 안막, 박두진, 조병화, 정진규, 임홍재의 문학세계와 생애를 조명하는 글이다. 문학적 장소성이란 이들의 문학세계와 생애가 장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이른다. 이 글은 이 푸 투안, 애드워드 랠프, 도 린 매시 등 인본주의 지리학자들의 장소 이론을 바탕으로 출신 문인들이 안성의 장소들과 맺는 상호 관계에 초점을 맞춘다. 안국선과 안막의 생애가 보여주는 사상의 부침은 안성시의 획정과정에서 드러나는 장소의 부친과 유사하지만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다만 1963녀 그들의 출생지인 양지군(현 고삼면)이 안성시로 편입되면서 안성의 문학적 장소성의 일부로 편입된다. 안국선의 개화사상과 이후 친일 행적, 안막의 프로 비평가에서 문화기획자로서의 변신, 월북과 숙청은 문학사와 사상사를 포함한 한국현대사의 한 단면을 보여준다. 평가가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이들은 역사적 의미로 안성의 문학적 장소성 안에서 작동하게 된다. 박두진, 조병화, 정진규, 임홍재 등 아성 출신 시인들에게서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은 고향의식이다. 고향은 원초적 동일성의 장소이다. 이들은 각각 초월적 자연과 현실 인식의 출발점 (박두진)이자 근원적 영원성을 응시하는 존재의 본향 (조병화)이며 완전한 자유와 합일의 세계 (정진규)이고 피폐한 현실 너머 공동체의 가치를 꿈꾸는 장소 (임홍재)로 안성에 고향으로서의 의미를 더한다. 그러나 시인의 고향은 시인의 의식 속에서 재구성된 없는 장소 이다. 이렇게 상실된 고향은 그 장소를 진정성을 가지고 ?q섬하는 자들을 통해 되살아난다. 이것이 고향이 지니는 진정한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출신 문인들은 문학과 생애를 통해 안성에 풍부한 장소감을 제공한다. 안성의 문학적 장소성을 생생하게 만드는 일은 결국 장소와 개인적 경험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문학적 장소성의 측면에서 새로운 가능성은 아직 많이 남아 있다. 타계한 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아직 현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문인들, 안성에 작업실을 차린 문인들은 새롭고 다양한 문학적 장소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안성의 문학적 장소성은 끊임없이 움직이며 새롭게 창조될 것이다.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literary world and life of Ahn Guk-seon, Ahn Mk, Park Doo-jin, Cho Byeong-hwa, Jeong Jin-gyu, and Lim Hong-jae, who are writers from Anseong. Literary placeness means that their literary world and life affect placeness.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relationships that writers have with places in Anseong based on the theory of place of humanist geographers such as Yi-Fu Tuan, Edward Ralph, and Doreen Massey. The ups and downs of thoughts shown by the life of An Guk-seon and Ahn Mk are similar to those of places revealed in the process of defining Anseong-si, but are not directly related. However, Yangji-gun (currently Gosam-myeon), their birthplace, was incorporated into Anseong-si in 1963, and it was incorporated as part of Anseong s literary placeness. Ahn Kuk-seon s enlightenment thoughts, pro-Japanese activities, and Ahn mak s transformation from a proletarian critic to a cultural planner, going to North Korea, and being purged show one aspect of Korean modern history, including literary and thought history. Whether the evaluation is positive or negative, they work within Anseong s literary placeness in a historical meaning. A common feature that appears in poets from Anseong, such as Park Doo-jin, Cho Byung-hwa, Jeong Jin-gyu, and Lim Hong-jae, is the sense of hometown. Hometown is a place of original identity. They are the starting point of transcendent nature and reality awareness (Park Doo-jin), home of existence staring at fundamental eternity (Cho Byung-hwa), complete freedom and unity (Jeong Jin-gyu), and a place to dream of community value beyond the impoverished reality (Lim Hong-jae). However, the poet s hometown is a place that doesn t exist reconstructed in the poet s consciousness. The lost hometown is revived by those who experience with sincerity. This is the true meaning of hometown. Writers of origin provide a rich sense of place in Anseong through literature and life. Making Anseong s literary place vivid is eventually possible only by the constant interaction of place and personal experience. There are still many new possibilities in terms of literary placeness. Writers who have just passed away or are still active, and writers who have set up a writing room in Anseong are expected to provide new and diverse literary placeness. Anseong s literary placeness will be created by constantly moving.

      • KCI등재

        장소애착 형성요인의 환유 적용에 관한 연구

        박경윤 ( Kyung Yoon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인간이 장소에 대하여 애착을 가지고 장소에 특별한 의미와 정체성을 부여하는 요인을 기호학적 측면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장소는 인간의 인식 속의 의미작용과도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호학적으로 분석해 보는 것은 공간에 장소적 의미를 부여할 때 간과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하겠다. 장소애착은 장소 정체성, 장소 의존성, 장소 착근성 등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으며 이는 인간들의 삶 속에서 발생되는 것이므로 기호학에서 다루는 의미체가 탄생하게 되는 경로와 그것이 발현하여 실체화되는 과정에 적용시켜 장소 애착을 형성시키는 요인을 규명할 수 있다. 장소애착이 인간의 인식 속에서 대상체를 의미체로 전환시키는 수단으로 환유가 적용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기호가 의미를 형성시킬 때 특징적 수단 중 장소와 결합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기호체로서 환유(metonym)를 본 논문의 주제로 선정하여 장소애착과 환유와의 관계성을 규명하였다. 환유의 기호학적 기능과 힘은 장소애착을 형성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장소의 생존력과 지속성과도 깊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바 장소애착 형성요인 분석과 장소의 환유 적용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새로운 장소를 만들어나갈 때 반드시 적용하여야 할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환유가 장소애착에 적용되어지는 두 가지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데, 역사적·사회적 사건을 중심으로 하는 인지적 환유와 인간의 상상력에 의해 창조된 대상체를 중심으로 하는 추상적 환유의 적용을 제시할 수 있다. 앞으로 장소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감성과 상징등 인간적 측면이 더욱 강조되고 있으므로 이와 교감할 수 있는 장소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시사함에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from a semiological perspective, the factors that lead humans to form place attachments and to accord special meanings and identities to places. Since place is deeply related with the working of meaning in human consciousness, the semiologicalanalysis thereof is an essential process when attaching place-meaning to spaces. To further explain the concept of place attachment, it is classified into place identity, place dependency, and place rootedness. These elements, which may form an integral part of a person’s life, canbe applied to the path in which objects of meaning are created, handled by semiology, as well as to the process of materialization of such objects, so as to define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lace attachments. A metonym is used as a means of converting a placeattachment from a physical object to a meaningful object in a person’s consciousness. This study attempts to shed light on the correlation between place attachments and metonyms, by selecting the metonym as the strongest semiological object from among the means that can be combined with place when signs form a meaning,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semiological function and power of the metonym provide the cause of the formation of placeattachment, which has a deep correlation with survival power and continuity of place. Thus, an analysis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a place attachment and a study of place in the application of metonym are essential factors in the creation of new places. There are two directions in which a metonym can be applied to place attachment, i.e. a cognitive metonym focusing on historical and social events, and an abstract metonym focusing on physical objects created by human imaginativeness.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significance as an attempt to accord new value to the concept of place in communicating with humanistic elements likehuman sentiments or symbols, which will be the subject of future studies.

      • KCI등재

        1970년대 민중시에 나타나는 장소 연구

        조효주 ( Jo Hyo-ju )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5

        본 연구는 신경림·김지하·정희성의 1970년대 민중시에 나타나는 장소를 살펴보고, 훼손되거나 빼앗긴 장소를 통해 드러나는 민중의 현실인식과 현실대응 방식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잃어버린 참된 장소의 회복 가능성을 확인하는 일이 된다. 민중시에 나타나는 장소는 크게 ‘폭압적 현실에 의해 훼손되거나 빼앗긴 장소’와 ‘참된 장소의 회복을 위해 투쟁하는 장소’로 구분할 수 있다. 외부의 힘에 의해 훼손되거나 빼앗기는 장소는 민중의 일터와 관련된 장소이거나 평범한 일상생활이 이뤄지는 장소이다. 이런 장소의 훼손은 생명과 신체의 훼손 및 일상이 파편화되는 결과로 이어지고, 이 때문에 민중은 분노와 좌절을 겪지만 이 감정은 표출되지 못하고 내면화된다. 말하지 못하는 서발턴으로 살아가는 민중의 모습은 그들이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또 다른 장소는 훼손된 장소를 참된 장소로 회복하기 위해 투쟁을 벌여 나가는 곳으로, 일상적 삶과 관련된 장소뿐 아니라 충청도·강원도·경상도 등의 지역, 그리고 민중이 발 딛고 살아가는 실존적 장소로서의 ‘이곳’이다. 이 장소들은 삶의 터전으로서의 참된 장소를 회복하기 위해 농민, 노동자, 도시빈민이 ‘온몸’을 던져 폭압적 현실과 투쟁하는 장소이다. 개인 또는 집단으로 저항하고 투쟁하는 민중의 모습에서 훼손된 장소를 참된 장소로 회복하는 것이 가능한 일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 가능성은 온몸을 던지는 민중들의 저항과 투쟁, 그리고 그들이 품고 있는 미래에 대한 희망을 통해 구체적으로 제시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laces described in the people’s poetry of Gyeong Lim Shin, Ji Ha Kim, and Hee Seong Jeong in the 1970s, and confirm the perception of and the means of coping with the realities by the people revealed through the places that have been damaged and taken from the people. This is a task of confirming the possibility of restoration of the lost places. Places described in the people’s poetry can be divided largely into ‘places that have been damaged or taken by oppressive realities’ and ‘places undergoing struggles for restoration of truthful places’. Places damaged or taken by outside forces are places related to the workplaces of the people or places in which ordinary and routine daily life activities are conducted. Damages to such ordinary daily life places lead to damages to life and body, and fragmentation of daily life. Accordingly, people experience rage and frustration due to such damages. However, such emotions cannot be expressed but become internalized. Images of people living as subalterns unable to express their minds illustrate how they perceive the realities. Other places are the venues for undergoing struggles to restore the damaged places into truthful places, and they include not only the places related to ordinary daily life but also regions such as Chungcheong-do, Gangwon-do, and Gyeongsang-do, etc. as well as ‘this place’ as existential places in which people strive to settle in for their lives. These are the places in which farmers, laborers, and the urban poor struggle against oppressive realities by dedicating themselves to restoring such places into truthful places as the basis of their lives’ places. It can be confirmed that although the people are angered and frustrated due to damages to these places, it is possible to restore the damaged places into truthful places through those who resist and struggle as individuals or in groups. Such possibility is presented specifically through the resistance and struggle of people who dedicated themselves as well as their hopes for the future.

      • KCI등재

        영화 <갯마을>의 상징적 장소와 장소성

        손은하 ( Sohn Eunh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9 한국디자인포럼 Vol.24 No.-

        `장소(place)`는 환경, 공간, 위치 등의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하기도 하나 이것은 위치 이상의 것으로 통합되어있고 자연적 환경을 문화화한 개념이다. 또한 공간을 장소로 만들고 특정 장소를 다른 장소와 구별되게끔 하는 총체적 특성을 `장소성(placeness)`이라고 하며 이는 장소의 정체성과 장소 애착(place attachment), 장소감(sense of place) 등의 파생된 개념과 공존한다. 이러한 장소와 장소성은 인간이 매개되지 않으면 형성되지 않는 개념이다. 그리고 인간 생태학을 토대로 하는 공동체 이론도 장소를 밑바탕으로 하여 생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개념들을 바탕으로 하여 <갯마을> 텍스트에 나오는 인물들을 접목시켜 보았다. 이들은 바다를 매개로 자연적 공동체를 이루어 나가는 모습들이 장소애착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 공동체의 상징적인 장소, 즉 바다에 대한 의미는 사람마다 차이를 보인다. 주인공 "해순"과 "해순의 시어머니"는 바다가 삶의 원천이며 자신의 몸과 뗄 수 없는 애착의 장소이나 "순임"에게 있어 바다는 죽음에 이르는 "깊은 이미지"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을 어귀에 있는 성황당은 기도와 정성을 담아 예를 올리는 신화적 장소로 혹은 원망과 통곡의 장소로 이용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인간에게 있어서 장소와 장소성은 인간과 환경, 시간, 활동, 공동체 의식, 경관, 상대적 위치 등에 의해서 매겨지는 중층적인 측면을 갖고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 <갯마을>의 공간적 배경이 되었던 일광바다의 답사를 통해 조사한 결과 이 텍스트가 그 장소의 역사적 사실과 현장성을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While the term “place” is interchangeably used to mean environment, space or position, the term is more than a position and embodies the culturaliz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Moreover, the term “placeness” refers to the comprehensive quality which makes a space into a place and distinguishes a given place from another place. This term coexists with the identity of a place as well as the related ideas such as a place attachment and a sense of place. A “place” and the “placeness” are ideas which cannot be formed without human beings serving as media, and they are based on the community theory or place which is built upon human ecology. The intertwined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s in the < Gat-Maeul > text are portrayed based on the aforesaid theoretical concepts. These characters form a natural community through the ocean as the medium, which depicts their place attachment. For “Hae-Sun,” the protagonist, and “Hae-Sun`s Mother-in-law,” the ocean is the source of life, a place to which they are attached. For “Sun-Im,” on the other hand, the ocean is the “profound image,” a place of death. The shrine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is a mythological place in which people pay their respect with prayer and devotion. It is also used as a place of grudge as well as mourning. In conclusion, for human beings, a place and the placeness are multi-layered concepts which relate to certain elements such as human beings and environment, time, activities, community awareness, scenery and relative position. Finally, after investigating the Il-Gwang ocean, the actual background of Gat-Maeul, it has been proven that this text reflects the historical facts as well as the presence of that ocean.

      • KCI등재

        인문지리학자의 ‘장소’와 ‘경험’에 대한 도가적 접근 : 제프 말파스와 노장사상을 중심으로

        김덕삼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9 대순사상논총 Vol.33 No.-

        장소는 공간과 구분된다. 인문지리학에서 장소는 공간과 달리 사람과 사람의 경험이 강조된다. 본고에서는 인문지리학자들과 방향을 같이하면서 지리학이 아닌 철학에서 출발한 제프 말파스(Jeff Malpas)의 관점과 老莊의 관점에 기초하여, 장소와 경험에 대한 말파스와 노장의 견해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사전적 의미를 기초로 장소와 공간을 구분하고, 이를 말파스와 노장적 견해로 정리하였다. 이어서 ‘경험’과 ‘장소 경험’이라는 측면에서 장소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경험은 장소를 장소이게 하는 것으로 말파스가 강조한 것이다. 이를 통해 장소의 장소됨을 확인하고 장소의 특징을 규명하면서 老子와 莊子에서 언급된 견해와 말파스의 견해를 비교하며, 장소와 장소 경험의 의미를 생각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장소가 왜 장소여야 하는지, 장소에서 경험은 어떤 의미를 갖는지, 이러한 것에 대하여 노장사상에는 어떤 관점과 입장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장소연구에서, 장소는 동서양을 떠나 모두에게 의미 있는 주제이다. 이러한 작업을 토대로 동양적 장소론이 보다 정교하게 대두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the approach to ‘Place’ and ‘Experience’ typically adopted by anthropogeographers will be reconsidered in light of the Taoist perspective to these phenomena. In order to develop the discussion more specifically, this exploration will be based on Jeff Malpas’s philosophical theories rather than geography, and the Lao-Zhuang (Laozi and Zhuangzi) perspective will also come into pace as place and experience are examined. In this paper, I have divided place and space on the basis of their dictionary meanings and have reconsidered each via Malpas and Lao-Zhuang views. I then discuss place in terms of ‘Place’ and ‘Place experience.’ Experience is what Malpas emphasizes as having Place in regards to place. Through this, I check the placing of plac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lace, while comparing the views mentioned in Lao-Zhuang with those of Malpas and considered their meanings. In this study, I look at why a place should be a place, what experience in a place means, and what view and position Lao-Zhuang Thought has on this matters. Place is a meaningful subject for both the East and the West. Based on this work, I hope that Asian place theory can emerge an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