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서각도서의 성립 과정과 전래 경위

        이재준(Lee, Jae-j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21 장서각 Vol.- No.46

        장서각은 일제강점기인 1911년에 설립된 왕실도서관으로 11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왕직은 1911년 2만여 점의 제실도서를 기반으로 장서각을 설치하였다. 1915년 장서각 건물을 신축하고 1945년 광복으로 이왕직이 폐지될 때까지 왕실도서의 수집, 정리 목록 편찬에 주력하였다. 1940~1950년대 혼란기에 관리 소홀로 인한 장서각도서 유출이 여러 차례 발생하였고 한국전쟁 시기에 적상산사고본 실록은 북송되기에 이르렀다. 1961년 문화재관리국이, 1969년 문화재관리국 장서각사무소가 설립되었다. 문화재관리국 장서각사무소는 산재한 국가왕실문헌의 수집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다. 그 결과 설립 당시 2만여 점이던 장서각도서의 규모는 1981년에 9만여 점으로 확대되어 현대 장서각도서의 골격이 완성되었다. 문화재관리국 장서각사무소는 1970년대 초반부터 수집된 도서를 통합 정리하고 목록을 편찬하여 한국학 연구의 기초 자료를 생산하였다. 또한 훼손도서 수리, 마이크로필름 촬영, 장서각도서 영인 출판을 통하여 한국학연구를 지원하였다. 문화재관리국 장서각사무소는 1981년 장서각도서와 장서각도서의 이관대장, 도서목록, 마이크로필름 일체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으로 이관하고 폐지되었다. The Bureau of Yi Dynasty Affairs established Jangseogak Archives, a repository of Royal collection of Joseon Dynasty in 1911. Jangseogak collection of the Bureau of Yi Dynasty Affairs was based on 20,000 materials of Joseon Royal Library. The Bureau of Yi Dynasty constructed a new building for Jangseogak Archives in 1915. It also focused on collecting and cataloging of royal documents of Joseon Dynasty until 1945. 1940s and 1950s, a period of confusion, numerous materials of Jangseogak Archives were destroyed or lost. After all, the Annals of Joseon Dynasty from Jeoksangsan Archives (赤裳山史庫) were sent to the North Korea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The Bureau of Cultural Properties was established in 1961 and the Administrative office for Jangseogak Archives of the Bureau of Cultural Properties was set up in 1969. The office for Jangseogak Archives pursued to collect the royal documents of Joseon Dynasty, which were scattered in all over the country. As a result, the number of the materials of Jangseogak Archives became more than 90,000 in 1981. This was an increase of about 70,000 from the beginning of Jangseogak Archives. The Administrative office for Jangseogak Archives published catalogues and photoprint editions of the books of Jangseogak Archives. It also carried out repairing and microfilming the materials of Jangseogak Archives. After all the materials, catalogues and microfilms of Jangseogak Archives were transferred to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Administrative office for Jangseogak Archives was abolished in 1981.

      • KCI등재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장서관리지침서 개발에 대한 연구

        이승길,송기호,Lee, Seung-Gil,Song, Gi-Ho 한국문헌정보학회 2017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 학교도서관에서 장서관리정책을 수립할 때 근거 및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장서관리지침서에 포함할 구체적인 항목과 내용 요소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 장서관리 관련 문서를 국제 수준 및 국가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해외 장서관리지침서에서는 장서의 양적 기준 이외에 디지털 정보자원에 대한 접근성과 자원 공유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의 제기 자료에 대한 처리 절차를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수준의 학교도서관 장서관리지침서가 포함해야 할 항목을 크게 장서관리의 일반 원칙과 장서관리지침으로 구분하고 각 항목별 내용 요소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국가 수준의 장서관리지침서가 학교 현장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 마련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detailed items and elements to be included in a national guideline for school library collection which can be used as a basis and standard for establishing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in individual school libraries. For this purpose, materials related to the collection management of school library were analyzed with the international and national level. As a result, the international materials emphasizes accessibility and resource sharing of digital materials besides quantitative standards of the library collection and deal with the process for the objection collection. In this study, items to be included in the national guidelines are divided into general principles of collection management and collection management guidelines, and elements of the each item are suggested. And proposed systematic bases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national guidelines to school libraries.

      • KCI등재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인터넷이 도서관 장서관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경화,남태우 한국정보관리학회 1999 정보관리학회지 Vol.16 No.4

        In this paper, we have studied the technical contribution of internet as a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CMC) tool for collection management. A new communication process is appearing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which enable users to have an access to information without the help of librarian. Also, internet makes collection management possible in the absence of vendors. This study found out that internet reinforces the traditional functions of collection management and enables librarians to better perform their roles. The future library manager should become activel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order to manage resources of internet focusing on the needs of user. Also, we have concluded that collection management should be modernized and transformed with its emphasis on the new evaluation method and assessment of quality when offering resources of internet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using computers.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CMC) 도구로서 인터넷이 장서관리에 기여하는 기술적 공헌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정보기술과 텔리커뮤니케이션의 발전으로 인한 전자정보환경에서 사서의 중재를 벗어난 이용자의 탈중재적 정보이용이라는 새로운 정보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나타나고 있는 것과 함께 도서관의 장서관리에 있어서도 벤더나 중개업자를 통하지 않고 인터넷이라는 컴퓨터를 매개로 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통한 도서관 자원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인터넷은 전통적인 장서관리 기능을 보다 강화시켜 주고 사서들로 하여금 장서관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의 장서관리자는 지속적인 기술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대처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이용자중심의 인터넷 자원을 관리할 수 있도록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활용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동시에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인터넷자원 제공에 대한 새로운 평가기법과 품질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도서관 장서관리로 현대화 하고 변화해 나가야 할 것임을 규명하였다.

      • KCI등재

        의학도서관 장서관리정책 사례 연구

        남태우,김은주 한국정보관리학회 2010 정보관리학회지 Vol.27 No.1

        In Korea, more than half of medical libraries are small‐sized hospital libraries operated under the single‐librarian system, and it is keenly required to establish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for exchanging resources with other libraries and maintaining consistency. however, it is rare to set up their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on the web among the domestic medical libraries. Thus, this study purposed to survey cases of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in domestic and foreign medical librarie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nd ideas for Korean medical libraries that are preparing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As long as core requirements are satisfied,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do not have a way. Thus, this cas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deas to medical libraries developing their collection management policie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12 survey items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investigated one domestic and five foreign medical libraries, and analyzed collected data.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ses, we suggested 12 guidelines. 우리나라 의학도서관의 경우 과반수 이상이 1인 사서제로 운영되는 영세한 규모의 병원도서관으로 다른 도서관과의 자원협력과 일관성 유지를 위해서라도 장서관리정책 수립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지만 국내의 경우 장서관리정책을 웹상에 올려놓고 있는 의학도서관은 거의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의학도서관의 장서관리정책을 사례로 조사하여, 장서관리정책을 준비하는 우리나라 의학 도서관을 위한 기초 자료와 아이디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핵심요소만 충족이 된다면 장서관리정책은 한 가지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사례조사는 장서관리정책을 준비하는 의학 도서관에 아이디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선정한 12가지 항목을 사용하여 국내 의학도서관 1곳과 국외 의학도서관 5곳을 사례연구 방법으로 조사 및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들의 조사 분석을 통해서 12가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학대학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정은주,곽철완,Jeong, Eun-Ju,Kwak, Chul-Wa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수립 요인과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장서개발정책 사례로 국외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구성요소 및 세부사항을 분석하였고,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에서 장서개발정책 수립을 위해 고려해야 할 외적 환경요인과 내적 요인을 밝히고 이를 기초로 서문, 장서의 선정, 장서의 수집, 예산, 장서의 유지 및 관리, 상호협력과 지적자유, 장서개발정책 개정의 7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국내 신학대학교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established factors and a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for the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To achieve purpose of the study, we analyzed of elements and detail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at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overseas. The study then conducted a surve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at libraries of theological universities in Korea. Based on the above results, reflecting both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factors, the investigator presented a model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by identifying seven elements that should be included when developing the policy: prefaces, collection selection, collection gathering, budget, collection maintenance, mutual cooperation and intellectual freedom, and revision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ies.

      • KCI등재

        대학도서관 장서관리 웹사이트 컨텐츠구성에 관한 연구

        윤혜영 한국문헌정보학회 200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36 No.1

        The collection management paradigm has drastically changed since the emergence of collection management activities on the internet. Due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web, web has become the newly open field as a useful tool to facilitate collection management transaction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evaluating web sites of the university library’s collection management in United States,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collection management web site. To fulfill the purpose, 6 categories for the contents of the collection management web site are suggested.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researching of collection management web site. Web site is playing a role of stepping up its activities and informing useful information on its selection tool an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본 연구는 인터넷이라는 새로운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장서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미국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현황을 살펴보고 구성요소별 내용평가를 통해 웹사이트를 분석하고, 나아가 장서관리의 목적과 특성에 맞는 사이트를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장서관리 웹사이트의 컨텐츠 구성을 목적으로 한다. 컨텐츠 구성은 <장서개발정책>, <직원주소록>, <통계>, <선정도구>, <구입 희망자료 신청>, <신간안내>의 6개 영역으로 구분된다. 웹사이트의 활용을 통해 장서관리 업무의 효율화를 이룸으로써 향후 장서관리 웹사이트를 구축하고자 하는 도서관에게 보다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가도서관 장서개발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윤희윤,장덕현,Yoon, H.Y.,Chang, D.H. 한국비블리아학회 2010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1 No.4

        국가도서관은 한 국가의 지식문화유산인 국가장서를 집중적으로 개발 보존하고 제공해야 할 책무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국가적 책무를 수행하는 기관으로서의 정체성과 위상을 유지하기 위해 국가장서의 개발 관리를 위한 장서개발정책의 수립이 필수적이다. 이를 근거로 이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 장서개발정책의 기본적 원칙과 지침을 설정하고 유형별, 매체별, 주제별 장서개발을 위한 지침을 요체로 하는 최적의 정책모형을 제안하였다. 그 기본방향은 모든 관종을 대표하는 국립도서관, 국내의 모든 정보자료를 제출받는 납본도서관, 한국인의 정신세계와 지식문화를 축적 전수하는 보존도서관, 인터넷 정보유통을 선도하는 게이트웨이로서의 정체성과 역할로 설정하였으며, 주요 국가도서관의 장서개발정책을 분석하여 구성체계, 구조적 및 내용적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근거로 선택적으로 벤치마킹하되 변용하였다. 결과로 서문, 장서개발의 대상, 주체, 방법, 장서개발의 우선순위와 기본원칙, 장서개발 기본지침, 주제별 집서수준 지침, 보존관리 및 제적 폐기 지침, 협동장서개발 전략, 장서개발정책(CDP)의 관리주체 및 개정주기로 구성된 국가도서관 장서개발정책 모형을 제시하였다. A national library bears responsibility to collect, develop, manage and preserve the national knowledge resources and heritages. The institu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duty, should center on systematically develope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This paper, in this regard, strives to propose a model to comprise of basic principles of collection development of a national library in order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esources by the types and subjects. Major emphasis was put on the nature of a national library as a legal deposit library, an information gateway, and a repository for national information resources. As a result, a model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appropriate for a national library has been proposed by analyzing cases in other countries to guide establishing principles for determining and analyzing the types and magnitude of the collection acquisition; by applying the Five-level conspectus to be optimal to collection magnitude; and, by identifying the essential elements in systematic development of national knowledge/information resources.

      • KCI등재

        대학도서관 장서평가 연구 - A대학교도서관 정치학장서를 중심으로 -

        장덕현,Chang, Durk Hy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No.4

        대학도서관에 있어서 장서개발의 목적은 각 학문분야별로 구성된 장서의 강점과 균형은 유지하고 약점은 보완하여 장서구성의 체계성과 망라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대학도서관들은 장서의 규모를 확충하는데 주력한 반면 그 품질을 제고하는 데에는 미처 관심을 갖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무엇보다 최적의 장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수적인 과정인 장서평가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데 기인하는데,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에 소장된 특정 주제분야 장서를 중심으로 장서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표본 대학도서관의 정치학 장서를 대상으로 장서의 현황을 분석하고, 과연 장서가 학과의 학부 학생들과 대학원생의 학습 및 연구지원, 교수의 연구지원과 얼마나 밀접한 관련성을 맺으며 개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정치학 강의에서 사용된 교재 및 연구자들이 학술활동 과정에서 인용한 문헌의 리스트를 작성하고 이에 근거한 대학도서관의 장서 보유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정치학 교육과 연구에 있어서 필요한 장서의 현황, 장서의 최적성 수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strives to perform a pilot collection assessment study with the political science collection in a university library. Employing the basic list-checking analysis method, the study scrutinized the collection statistics and the circulation statistics, and check the current library holdings with a standard list which was composed of cited works extracted from course syllabi, theses, dissertations and faculty research papers. Although the study is a pilot case study that a particular model was applied to a collection in the field of political science, the result and procedures of the assessment will provide some implications regarding collection assessment in university libraries.

      • KCI등재

        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조사 및 분석

        김성준,이병기,Kim, Sung-Jun,Lee, Byeong-Ki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8 No.1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의 154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설문지는 학교도서관의 장서현황, 이용현황, 장서관리 체제의 3개 영역에 걸친 총 12개의 조사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분석결과 도출된 주요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현황에서 2015년 기준 학생 1명당 단행본 수는 전문단체인 한국도서관협회기준과 비교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기준을 초과하였으나, 고등학교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입수자료의 주제별 비율은 문학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다음 주제로 사회과학과 역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용현황에서 학교급별 대출현황은 학생, 교사, 학부모 모두 초등학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2013년부터 2015년까지 한 번도 대출된 적이 없는 자료는 전체 장서의 64.6%로 나타났다. 셋째, 장서관리 체제에서 전체 154개교 중 114개교(74%)가 자체의 장서관리 정책서를 보유하고 있고, 이들 모든 학교는 연간 1회 이상의 장서점검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부분의 학교는 자체의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은 연 중 2~3회의 회의를 개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교도서관운영위원회는 학교도서관 현안문제에 대한 대화와 소통의 장으로, 그리고 장서개발, 운영지원, 홍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reports the result of the survey on collection management from 154 school libraries in Korea. The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three section: state of collection, state of book use, and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Results reveal that (1) elementary schools and middle schools have many books for each student compared to the KLA's School Library Standards; (2) the component ratio of literature books is the biggest in school library collections; (3) the ratio of library book use is overwhelmingly higher in elementary schools than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4) 64.6 percent of library books in the sample are never used during 2013-2015; (5) 74 percent of libraries have its own collection management document; (6) Almost all schools compose its own committee for library management, the committee plays an important roles in the communication among school members, collection development and promotion.

      • KCI등재

        공공도서관 장서관리 현황 분석

        이지연 한국문헌정보학회 2009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3 No.3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ollection management process and its requirements for public libraries. The surve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etailed collection management guidelines and to grasp its requirements varying across different types of public libraries. The respondents to the survey were librarians who are responsible for managing collections in public libraries which achieved excellence in the 2008 nationwide library management assessment.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most public libraries do not have organized collection management guidelines covering the whole collection management area. In addition, small libraries such as those in hospitals, armies, and prisons have difficulties in managing collections since they do not have proper collection management guidelines. 이 연구는 국내 공공도서관의 장서관리 현황을 분석하고 요구사항을 조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장서관리의 세부운영지침을 조사하고 공공도서관의 유형에 따라 장서관리 지침 및 요구사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장서관리 지침은 세부적으로 일부 이용자와 관련하여 명시하기 쉬운 업무를 위주로 성문화된 지침을 가진 곳이 많았으나 포괄적으로 장서관리를 다루는 체계적인 장서관리 지침이 마련된 곳은 없었다. 특히 작은도서관, 병원, 교도소, 병영도서관 등 전문 인력과 재원이 부족한 작은 규모의 도서관에서는 체계적인 장서관리 업무에 어려움을 겪거나 실무에 바로 참고할만한 지침을 갖고 있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