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전거전용도로의 통학목적 이용특성에 대한 실증 연구

        박하나(Park, Hana),김영석(Kim Youngsuk),양승우(Yang, Seung-Woo)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통학목적의 자전거 전용도로 이용특성을 밝히는 것이며, 서울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산분석과 통학도로와 자전거 전용도로의 이용률을 비교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자전거를 통학 수단으로 선택하는 이유는 보도, 버스 등 다른 통학수단과 비교하여 빠르고, 편리하기 때문이었다. 둘째, 자전거 통학 노선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자전거 전용도로의 설치 유무, 통행시간의 최소화 가능성 그리고 젓돌의 위험성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자전거를 오래 타면 탈수록 사고나 젓돌의 위험에 대하여 많은 신경을 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자전거 도로 설치 시 고려해야 되는 중요한 요소로 판단된다. 셋째, 집에서 학교까지 자전거 통학권역은 1.6㎞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자전거 노선 선택 특성 분석을 종합하면, 자전거 전용도로의 설치는 자전거 통학노선의 선택으로 바로 이어지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통학로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설치해야 활용도가 높아지며, 보행자와의 젓돌이나 장애물이 많은 경우에는 선택되지 않았다. 또한 아무리 자전거 전용도로가 설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우회하는 노선은 거의 선택되지 않았고, 방향을 바꾸는 수를 최소화 하는 노선을 선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iking to school on the exclusive bike lanes through the survey to high school in Seoul.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ain reasons that students use a bike to school are because it is faster and more convenient than bus and walking. Second, the study shows that the installation of exclusive bike lanes influences the bike route choice most, and the possibility of minimizing the time and the safety from the crash with pedestrians, obstacles, cars. The longer it is to bike to school, the more seriously students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ollisions or accidents. Third, the catchment area of biking to school is 1.6㎞. Forth, the characteristics of route selection indicates that creating an exclusive bike lanes along the school routes often used by students can lead to maximizing its utility. Bike lanes are not chosen in case of the higher possibility of collisions with pedestrians, obstacles, cars, and the detour route. Also students tend to choose the bike routes in order to avoid excessive turns.

      • KCI등재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본 자전거도로 실태분석- 서울특별시 자전거 전용도로를 중심으로

        이하나 한국도시설계학회 202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3 No.6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bike lanes in Seoul from theperspective of public design. Based on ‘Seoul Public Design Guideline 2020’,‘Seoul Bike Lane Design and Maintenance Manual (2017)’, and ‘Global StreetDesign Guide (2016)’, three evaluation criteria, namely continuity, safety, anddomain, were developed. By referring to the ‘Seoul Bike Guide Map (2022)’, thelocations of bike lanes were identified and related photos were collected throughKakao Map Road View.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network system of bikelanes in Seoul is not sufficient for continuous riding since there are interruptions inconflicting sections with adjacent street components such as sidewalks, roadways,green areas, and transportation facilities.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bike path infrastructure, such as lowering curbs of bicycle entrances, crosswalks, andintersections which involve a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In addition, it isnecessary to provide comfort and enough space to secure the territoriality of thebike lanes through clear route indication. 본 연구는 서울의 자전거 전용도로를 대상으로 공공디자인의 관점에서 현황과 실태를 분석하고, 자전거 이용자 중심의 안전한 자전거도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연구이다. 『서울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2020』에서 제시하는 공공공간의 목표와 Global Designing Cities Initiative(GDCI)의 『Global Street Design Guide』(2016), ‘서울형 자전거도로 설치 및유지관리 매뉴얼(2017)’, ‘서울형 자전거도로 설치 및 유지관리 매뉴얼(2017)’을 종합하여 연속성, 안전성, 영역성의 세 가지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서울시 도시교통실 자전거정책과에서 발행한 ‘서울 자전거길 안내지도 2022’를 참고하여 자전거 전용도로의 위치를 파악하고, 카카오맵 로드뷰를 통해 대상지 현황사진을 수집하였다. 서울시 자전거도로는 구간별로 단절되어 연속적 주행을 위한 네트워크 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자전거 전용도로는 보도와 차도, 녹지대, 교통시설물 등의 인접 가로구성요소와의 상충구간에서 주행단절구간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이 높은 도심 내 자전거 유출입부와 횡단보도, 교차로 구간을 중심으로 보도턱 낮춤 등의 시급한 이용환경개선이 요구된다. 또한 명확한 노선표시를 통한 자전거도로의영역성 확보를 통해 주행의 방향성 제시 및 안전한 이용환경을 제공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자전거전용차로 설치에 따른 기대효과 추정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신희철,황기연,조용학,정성엽 대한교통학회 2010 대한교통학회지 Vol.28 No.4

        Environmental issues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and energy crises have become global issues, and cycling has gained greater popularity for sustainable transportation. Though many cities are trying to build bicycle roads, it is not easy to implement bicycle roads because there is little available space for bicycle facilities. Therefore, road diets have become more popular in Korea. However, there has been no intensive research to date of their impa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road diets and construction of bike lanes. Every benefit, including energy benefit, environmental benefit, and health benefit is considered, while only time savings benefit has been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The benefit analysis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a case study shows that road diets have a (1) time saving benefit for only five percent of the mode share and (2) enough total benefit even if bicycle mode share is less than two percent.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로 지구가 위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은 시대의 흐름으로, 교통수단 중 자전거는 가장 빨리 이 목표를 가능하게 해주는 수단이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자전거 인프라가 부족한 현 시점에서 자전거전용도로를 새로이 건설하는 것이 효과적이나, 공간 확보가 어려우므로 도로다이어트가 도시 내에서 자전거전용차로를 확보하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다. 그러나 도로다이어트에 대한 효과분석이 이루어진 사례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다이어트에 의한 자전거전용차로 설치시 자전거 수단분담률 변화에 따른 각 수단의 전환율을 산정하였으며 이로부터 편익을 추정하였다. 현재 자전거의 수단전환 모형이 구축되어 있지 않아 자전거로의 전환량 목표를 설정한 후 다른 수단의 전환량을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사례지역으로 서울을 선정하였으며 SECOMM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의 통행시간 절감편익 이외에 건강증진, 환경오염, 에너지절감 편익 등을 고려하였다는 것이 타연구와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 볼 수 있으며, 도로다이어트의 시행으로 수단들의 총 통행시간이 증가하지만 자전거의 분담률이 5% 정도가 되면 상쇄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담률이 2% 일 때 통행시간 절감편익은 (-)이지만 전체 편익은 (+)이며 분담률이 5%를 넘어설 때엔 통행시간 절감편익도 (+)가 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서울특별시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자전거 도로 최적 입지 선정: 자전거 전용도로 및 전용차로를 중심으로

        김지은,남수민,이준기 사)한국빅데이터학회 2023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8 No.2

        2015년 도입된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는 2022년 연간 이용자 수 4000만 명을 달성하였다. 개인형 이동장치의 일종인 ‘전동 킥보드’ 또한 각종 공유 서비스의 증가로 2020년 이용자 수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 다만, 이 새로운 교통수단의 주요 통행로인 자전거 도로는 타 교통수단에 비해 도로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자전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자전거 도로 최적 입지 선정 방안을 제안하였다. 입지선정 시 도로 교통의 안전성에 주목하여 자전거 사고 위험도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이에 회귀모델을통해 자전거 교통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높은 지역을 선별하였다. 해당 지역을 클러스터링 분석을 통해6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군집별 변수의 특징을 기반으로 적합한 자전거 도로의 유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서울시의 자전거 전용 도로 및 전용차로의 확충을 비롯한 교통 환경이 개선되기를 기대한다. Seoul’s public bicycle system, ‘Ttareungyi,’ introduced in 2015, has achieved an annual ridership of 40 million in 2022. Similarly, electric scooters, a type of personal mobility device, surpassed one million riders in 2020 due to various sharing platforms. However, the major roadways for these new transportation, bicycle lanes, are notably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forms of transport. Hence, this study proposes an optimal location selection method for bicycle lanes in Seoul to prevent accidents and enhance bicycle ride safety. The location selection process prioritizes road safety concerning bicycle accident risk. Using regression models, high-risk areas for bicycle accidents are identified. Cluster analysis categorizes these areas into six clusters, each suggesting suitable types of bicycle lanes based on cluster-specific characteristic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Seoul’s transportation environment, including the expansion of dedicated bicycle lanes and lanes for personal mobility devices.

      • KCI등재

        광주광역시 자전거도로 유형별 만족도조사 연구

        박현길(Park Hyun Gil),최완석(Choi Wan Seok) 한국지역개발학회 2016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8 No.1

        As the needs of bike infrastructure for bike us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s keep growing, however just 5.5% of the entire road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is bike lanes. To suggest bike lane policy for Gwang-ju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this study proceeds survey for bike lane user's satisfaction. The way of survey is personal interview with likert scale to measure bike lane user's satisfaction. The survey is mainly composed five type of user satisfaction to each bike lane type. To analyze bike lane user's satisfaction survey this study use satisfaction model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s the model, safety factors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type of bike lane, comfort factor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bike track and accessibility factor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pedestrians combined bike lane. According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afety factor is most impactful factor to all type of bike lane. Differences between bike lane and pedestrians combined bike lane is occurred by purpose of users. Bike lane user's main purpose is leasure and pedestrians combined bike lane user's main purpose is transportation. With this results, bike lane policy should focus on safety factor supplementation. In addition, comfort factor supplimentation is needed to bike track policy and accessibility factor needed to pedestrians combined bike lane polic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안전성 위주의 자전거 전용 도로 안내 사인 디자인 개발 -국내 및 일부 선진 해외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김원선 ( Won Seon Kim ),김형석(교신저자) ( Hyeong Suk Kim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4

        현대 사회는 자동차 이용의 증가로 인해 특히 도시 환경 파괴와 에너지 낭비 현상이 야기되었다. 때문에 이를 위한 해결 방안 중 하나로 자전거 이용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제대로 된 체계를 갖추지 않은 자전거 이용 시설물과 사인 시스템으로 인해 많은 자전거 이용자들은 불편과 혼란을 겪고 있다. 매년 자전거 관련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고, 자전거 이용자들 뿐 만 아니라 일반 운전자나 보행자들도 사고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안내 사인을 포함한 자전거 관련 이용 시설의 잘못된 설치로 인해 도리어 자전거 이용이 불편해지고 심지어는 위험한 상황에 처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한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재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자전거 전용 도로 사인 디자인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전거 도로 교통법이 체계적으로 잘 구축되어 있는 일부 선진 해외 사례와 현 도로 교통법 시행 규칙에 따라 설치되어 있는 국내 자전거 전용 도로 안내 사인의 실태를 조사하여 그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고 방지 및 자전거 이용자를 위한 편의성에 대한 인식을 알기 위한 자전거 이용자의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여 의견을 수렴하였다. 현재 혼용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 안내 사인과 자전거 안내 사인을 정확히 구분하여 자전거 이용자의 혼란을 방지하고, 보다 시인성이 뚜렷한 자전거 안내 사인이 제시되어 체계적인 사인 시스템이 제대로 설치된다면 자전거 이용의 안전성과 편의성이 더욱 확보될 것이다. 그에 따라 자전거 이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도시 환경의 공해는 크게 줄어들 것이며, 나아가 우리는 좀 더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By increased use of car, destruction of urban environment and wasting energy arise in modern society. So, necessity of bicycle using, one of solutions is emphasized for this. However, a lot of bicycle users are confusing and uncomfortable as bicycle-related facilities which is not conducted system and sign system. every year bicycle-related traffic accidents increase and not bicycle user but driver and pedestrian who using same load is exposed danger of an accident. also so go wrong installation of bicycle-related facilities which is included guide sign that bicycle using result in side effect uncomfortable even. To solve this problem, sign design study of bike lane is necessary as way considering safety bicycle using. For this, I analyze the condition of native and foreign Bicycle guide sign and have its sign systems which are care signs, regulatory signs, indicating signs, assistant signs, according to enforcement regulations of the Road Traffic Act. accident prevention and to conduct interviews of cyclists to know the perception of convenience for the cyclists were opinions. Currently guide sign of car and bicycle make a division exactly to prevent from confusing of bicycle using and if Systematic sign system that clear visibility installed safety and convenience of bicycle using more than. When bicycle using is activated, pollution of city environment will reduce largely and we have more health and beautiful life.

      • KCI등재후보

        자전거 이용자 증대를 위한 편의시설 개선방안

        김형일,황규영 한국체육정책학회 2012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to enhance number of bikers in Korean society. A comprehensive research of Korean and foreign countries public policy and infrastructure on the road bicycling and consider successful example and compare it to Korean policy. The Korean public policy enforced insufficient bike friendly policy on intersections, and bike lanes. The study also suggests that a bike only signal is necessary on the bike only lane and a modification is necessary on the public policy regarding the protection of the bikers on the crosswalk. An improvement of integration with the public transportation by providing not only bike parking near the transfer stations but also increase bike share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