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힐링캠프에 입소한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요인에 대한 연구

        이명화(Lee, Myung-Hwa)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3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살을 인식하고 있는 관심보호병사를 대상으로 자살위험요인을 개인적, 가족적, 사회 환경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관심보호병호병사의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들을 강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청소년과 대학생의 자살과 관련된 학술지, 학위논문들을 바탕으로 자살, 자살충동, 자살생각, 자살사고, 자살시도, 자살관련, 자살행동, 자살위험성, 자살성, 자살위험요인의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총 235편의 논문 중 학술지에 등재된 5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자살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가족적, 사회 환경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틀을 설정하여 관심보호병사들의 자살 위험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자살위험요인인 개인적, 가족적, 사회 환경적 특성 중 개인적 특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자살위험요인 중 개인적 특성의 하위요인으로는 부정적 정서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자살위험요인 중 가족적 특성의 하위요인으로 가족환경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자살위험요인 중 사회 환경적 특성의 하위요인으로는 사회적 지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결론: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자살을 생각하거나 시도하는 관심보호병사들의 자살위험요인은 하나만 나타나는 것이라 상호 결합하여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자살을 인식하는 관심보호병사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며, 제대 후에도 지속적으로 정신건강에 대한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방안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help raise the level of mental health by analyzing the suicidal risk factors of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considering suicide, in terms of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ethod: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suicide perception of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59 papers listed in the journal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235 papers. based on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related to suicide. suicide attempt, suicidal thoughts, suicidal behavior, suicide risk, suicidal tendency, and suicide risk factors of youth and college students from 2006 to 2017. The factors affecting suicide perception were divided into personal,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set up to investigate suicide risk factors of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characteristics in personal,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the highest risk factors for suicide. Second, negative emotions were the most common subfactors among suicide risk factors. Third, family environment of sub-factors of family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factor of suicide risk factors. Fourth, social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subfactor in the sub-factors of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uicide risk factors. Conclusion: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suicide risk factors of the soldier needing intensive care who think or attempt to commit suicide appear not in their own but in a mutual combination.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improve the level of mental health by effectively managing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and to prepare measures to help the mental health management continuously after the discharge.

      • KCI등재후보

        힐링캠프에 입소한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요인에 대한 연구

        이명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논총 Vol.33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help raise the level of mental health by analyzing the suicidal risk factors of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considering suicide, in terms of individual,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Method: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suicide perception of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59 papers listed in the journal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235 papers. based on academic journals and theses related to suicide. suicide attempt, suicidal thoughts, suicidal behavior, suicide risk, suicidal tendency, and suicide risk factors of youth and college students from 2006 to 2017. The factors affecting suicide perception were divided into personal,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the analytical framework was set up to investigate suicide risk factors of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characteristics in personal, family,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were the highest risk factors for suicide. Second, negative emotions were the most common subfactors among suicide risk factors. Third, family environment of sub-factors of family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factor of suicide risk factors. Fourth, social support was the most important subfactor in the sub-factors of soci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uicide risk factors. Conclusion: In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suicide risk factors of the soldier needing intensive care who think or attempt to commit suicide appear not in their own but in a mutual combination.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to improve the level of mental health by effectively managing the soldier who need intensive care and to prepare measures to help the mental health management continuously after the discharge.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살을 인식하고 있는 관심보호병사를 대상으로 자살위험요인을 개인적, 가족 적, 사회 환경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관심보호병호병사의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들을 강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관심보호병사의 자살인식 요인에 영향을 미 치는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17년까지 청소년과 대학생의 자살과 관련된 학술지, 학위논 문들을 바탕으로 자살, 자살충동, 자살생각, 자살사고, 자살시도, 자살관련, 자살행동, 자살위험성, 자살성, 자살위험요인의 관련 주제어를 검색하여 총 235편의 논문 중 학술지에 등재된 59편의 논문을 선정하였 다. 자살인식에 미치는 요인을 개인적, 가족적, 사회 환경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틀을 설정하여 관심보 호병사들의 자살 위험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자살위험요인인 개인적, 가족적, 사회 환경적 특성 중 개인적 특성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둘째, 자살위험요인 중 개인적 특성의 하위요인으 로는 부정적 정서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자살위험요인 중 가족적 특성의 하위요인으로 가족환경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자살위험요인 중 사회 환경적 특성의 하위요인으로는 사 회적 지지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결론: 이처럼 본 연구를 통해 자살을 생각하거나 시도하는 관 심보호병사들의 자살위험요인은 하나만 나타나는 것이라 상호 결합하여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러한 점을 활용하여 자살을 인식하는 관심보호병사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정신건강 수준을 높이기 위 한 다양한 방안들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며, 제대 후에도 지속적으로 정신건강에 대한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방안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잠재계층유형이 지역사회 거주 치매 환자 가족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미진(Park, Mi Ji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는 치매환자와 동거하는 가족의 자살생각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에 따라 유형화를 하고, 각 유형집단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자살예방을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활용하여 치매환자와 동거하고 있는 가족 2,715명의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고, 잠재계층모형분석과 이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분석내용은 (1) 자살생각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유형화 (2) 유형화된 집단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총24개의 자살생각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지표를 활용하여 잠재적 집단분석을 실시하여 ‘고위험-저보호요인’집단, ‘고위험-고보호요인’집단, ‘저위험-고보호요인’집단, ‘저위험-저보호요인’집단으로 유형화하였다. 분석 결과, ‘고위험-저보호요인’집단인 경우 자살생각이 가장 높았고, 유의하게 자살생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기반한 실천적 함의와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empirical data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by analyzing the group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family members living with dementia patients and the effects of each type on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uicidal ideation among family members of people living with dementia by using a community health survey. It then investigated the effect of each latent group on the suicidal ideation of family members of people living with dementia. Twenty-four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n suicide ideation were analyzed by using Mplus. The four latent classes were high risk - low protective, high risk - high protective, low risk - high protective and low risk - low protectiv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high risk-low protective factor group had the highest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and challenges were presented.

      • 자살 위험요인의 평가와 예측

        곽경필,송창진,사공정규,이광헌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2004 東國醫學 Vol.11 No.1

        자살은 정신과 영역에서 주된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며, 자살사고, 자살시도, 자살성공 둥은 응급정신의학의 가장 핵심적인 문제 중 하나이다. 자살의 위험성을 평가함에 있어, 가장 높은 위험성을 가진 대상으로 평가되나 교정 할 수 없는 자살 위험요인이 있고, 자살 위험의 가능성을 가지나 효과적인 치료로 수정 가능한 자살 위험요인들로 크게 분류할 수 있으며 이 구분은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교정 불가능한 자살 위험요인에는 이전 자살 시도, 가장 최근에 자살 시도된 시기에 가졌던 자살기도, 성별, 인종, 연령, 결혼 상태, 경제적 상황, 성적 편향성 등이 포함된다. 적절한 조치에 의해 교정 가능한 자살 위험요인에는 불안, 무망감, 연속적인 치료, 정신과적 장애의 동반, 사회적 고립, 의학적 질환 등이 있다. 그리고 보다 객관적인 자살 위험 요인을 평가하고 예측하기 위해 현재 여러 가지 심리검사와 평가 척도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의 요인에 대한 조사와 평가는 자살시도나 자살사고를 가진 환자에 대한치료를 계획하고 자살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된다. Suicidal ideation, suicide attempts, and the specter of completed suicide form one of the core problems in emergency psychiatry. In the assessment of an individual at risk for suicide,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factors that help to identify very high-risk individuals but that are not modifiable and the risk factors not only that place an individual at high risk but that may be modified by effective treatment. "Fixed" risk factors include previous suicide attempts, suicidal intent at the time of the most recent attempt, sex, ethnicity, age, marital status, economic situation, and sexual orientation. Potentially "modifiable" risk factors include anxiety, hopelessness and life situation, access to means, continuity of care, psychiatric illness, social isolation, medical illness. There are many of psychometric scales included Beck Depression Inventory, Beck Hopelessness Scale, Scale for Suicidal Ideation, Scale for Escape from the Self and so on. These risk factors and psychometric scales operate as the foundation for treatment planning in those with suicidal ideation or who have made suicidal attempts.

      • KCI등재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과 보호요인

        김순규(Soon Gyu Kim)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0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29 No.-

        청소년 자살이 미치는 파급효과가 개인적ㆍ사회적으로 심각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청소년 자살연구는 양적으로 활발하지 못할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단편적인 경우가 많다. 특히 청소년 자살연구의 대부분이 자살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 확인에만 초점을 두고 있어 보호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청소년 자살에 대한 위험 요인과 보호요인의 영향을 확인하고, 보호요인이 청소년 자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매개하여 완충하는지 보호요인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ㆍ경기, 전남ㆍ북 지역 고등학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인 Mplu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은 청소년 자살을 증가시키고, 보호요인은 청소년 자살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요인은 위험요인이 청소년 자살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여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Although the effect of adolescent suicide is personally and socially a serious condition, internal studies of adolescent suicide are not active in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direct effect of th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nd propose measures to enhance these protective factors. The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of 600 high-school students living in the urban and rural communities. The Mplus-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sed to test the proposed models. We found out that risk factors increased adolescent suicide, however, upon introduction of the protective factors, such incidents were decreased. Futhermore, these protective factors buffered negative effects of the risk factors by mediation. Therefore, the models used was able to predict certain types of phenomena that can be applied to real life situations.

      • KCI등재

        자해와 자살행동 메타분석 연구 개관: 생물심리사회모델에 따른 위험 및 보호요인을 중심으로

        김성연(Kim, Seong-Yeon),양모현(Yang, Mo-Hyun),박효은(Park, Hyo-Eun),김지윤(Kim, Ji-Yun),이동훈(Lee, Dong-Hun) 한국교육치료학회 2023 교육치료연구 Vol.15 No.1

        메타분석 연구는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여러 개별연구에서 다룬 변인들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방식으로 포괄하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상호 연관성이 높음에도 그간 분리되어 연구된 자해와 자살의 영향요인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자 자해 및 자살 관련 메타분석 연구 문헌을 고찰하여 생물심리사회모델에 따라 영향요인을 개관하였다. 국내외 12개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17편(자해 3편, 자살 14편)의 메타분석 논문을 최종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 자해와 자살에서 공통으로 연구된 위험요인은 10개, 보호요인은 3개, 청소년 자해에만 연구된 위험요인은 22개, 보호요인은 7개, 청소년 자살에만 연구된 위험요인은 10개, 보호요인은 12개가 확인되었다. 전체연령 대상 연구에서 자해와 자살의 공통 위험요인은 7개, 자살에만 연구된 위험요인은 24개가 확인되었고, 보호요인은 확인되지 않았다. 이처럼 자해와 자살 연구의 영향요인은 공통되는 요인과 차별적으로 연구된 요인이 확인되어 향후 공통 및 차별 영향요인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겠고, 위험요인에 비해 밝혀진 보호요인이 현저히 적어서 보호요인에 대한 활발한 탐색과 검증이 필요하겠다. Meta-analysis research encompasses the variables dealt with in several individual studies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To comprehensively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elf-injury and suicide, this study analyzed 17 meta-research literature that was searched through domestic and abroad databases. As a result, ten risk factors and three protective factors were commonly identified in youth self-injury and suicide, 22 risk factors and seven prote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in youth self-injury only, and ten risk factors and 12 prote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in youth suicide only. In the study for all ages, seven common risk factors for self-injury and suicide, 24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only for suicide, and no protective factors were identified. Many common and discriminatory influencing factors were placed, and the factors that have been differentially studied need to be considered in an integrated way in the future.

      • KCI등재

        개념지도를 통해 본 자살시도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

        김성혜(Kim, Sung-Hye)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자살시도자의 관점에서 자살시도 위험 요인의 주요 차원을 밝히며, 자살시도를 어떻게 극복하게 되는지 그 보호 요인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자살시도를 경험한 20~50대 8명을 인터뷰하고 개념지도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자실시도 위험 요인 50문항, 보호 요인 53문항의 핵심문장을 추출하였고, 자살시도 위험 요인, 보호 요인 각각 5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자살시도 위험 요인의 개념지도를 살펴보면, 외적 요인-타인과의 관계적 요인 사분면에는 군집 5(가족과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죄책감과 짐이 됨)가, 외적 요인-개인심리적 요인 사분면에는 군집 4(사회적으로 고립된 채로 죽음을 통해 고통으로부터 탈출하고자 함)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내적 요인-타인과의 관계적 요인 사분면에는 군집 1(해결되지 않은 삶의 문제로 인한 체념)과 군집 2(살아갈 의미와 희망이 없음)가, 내적 요인-개인심리적 요인 사분면에는 군집 3(자기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자존감 저하)이 위치하고 있다. 보호 요인의 개념지도에서 군집별 위치를 살펴보면, 소통 지향 요인-지지체계의 도움 요인 사분면에는 군집 4(지지체계 만들어 가기)와 군집 5(새롭게 삶의 의미 부여하기)가, 소통 지향 요인-스스로 챙김 요인 사분면에는 군집 3(남겨진 사람의 고통을 헤아리고 살아갈 방법을 찾아감)과 군집 2(살아갈 의미와 희망이 없음)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내면 지향 요인-지지체계의 도움 요인 사분면에는 군집 1 일부와 군집 5 일부가, 내면 지향 요인-스스로 챙김 요인 사분면에는 군집 1의 일부가 위치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자살시도자의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통해 자살시도자를 위한 개입계획을 세우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of suicide attempt from the viewpoint of suicide attempters and to define the protective factors of how to overcome suicide attempt. Towards that end, eight suicide attempters, in their 20s to 50s, who were sampled from mental health promotion centers and emergency rooms in the Jeonbuk region, were interviewed, and thus 50 key statement sentences of risk factors of suicide and 53 statement sentences of protective factors suicide were derived from the interviews. The data were put into similar matrix tables by group, and underwent ALSCAL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Based on this result, the concept map was created, and five clusters of risk factors of suicide and five clusters of protective factors were thus deriv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tter understand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of suicide attempts for suicide prevention programs so that intervention plans can be established. Notably, this study implies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strengthening protective factors so as to ease suicide impulse even under vulnerable intern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o apply such programs to real situations so as to verify their suitability and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data are expected to be used to activate the intervention by families of suicide attempters and their self-help meetings.

      • KCI등재

        자살생각의 이해와 극복 - 케르스틴 기어의 <그 여자의 자살편지>를 중심으로 -

        도기숙 한국헤세학회 2019 헤세연구 Vol.42 No.-

        Diese Arbeit versucht, Ursachen von Suizidversuchen und Suizidgedanken zu finden, und zwar insbesondere anhand der Hauptfigur Gerri aus Kerstin Giers Roman Für jede Lösung ein Problem. Gerris Suizidgedanken zeigen sich als prototypisch für allgemeine Risikofaktoren und protektive Faktoren. Hoffnungslosigkeit, soziale Isolation und negative Affekte der Protagonistin können den Risikofaktoren für einen Suizid zugerechnet werden. Ihre negativen Lebenserfahrungen, geprägt von Vorwürfen und Verletzungen seitens ihrer eigenen Familie, Verwandten, Bekannten und Freunden, tragen dazu bei, dass Gerri von ihrer Kindheit und Jugend an als neurotische-depressive Person aufwächst. Aber auch protektive Faktoren sind bei izu beobachten. Besonders wenn sie Romane schreibt, fühlt sie sich lebensfroh und zufrieden. Sie schreibt vor ihrem Suizidversuch Abschiedsbriefe an ihre Familie, Verwandte und an alle, die sie seit ihrer Kindheit verletzt haben. Inhaltlich geht es in ihren Abschiedsbriefen um Gründe und Motive ihres Suizids sowie ihr Trauma, an dem sie wegen der Verletzungen von der jeweiligen Personen litt. Sie geht in den Abschiedsbriefen mit ihren eigenen Emotionen nicht um und benutzt die Abschiedsbriefe auch als ein Kommunikationsmedium. Die vorliegende Analyse von Für jede Lösung ein Problem macht die Risikofaktoren und die protektiven Faktoren für einen Suizid deutlich und hilft uns, die im Roman geschilderten Suizidgedanken nachzuvollziehen. Damit ermöglicht sie auch ein neues Verständnis für die Suizidalität und bereichert ebenso den Diskurs über Möglichkeiten zur die Überwindung des suizidalen Gedankens. 본 논문은 자살예방의 차원에서 심리부검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독일의 현대소설 <그 여자의 자살편지>를 분석한다. 주인공 게리의 자살위험성 분석에 따르면 그녀에겐 자살위험요인과 보호요인 모두가 크게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그녀가 소설을 습작하며 구사하는 유머와 해학 가득한 문장은 언뜻 자살미수자의 고립된 심리와는 거리가 멀어 보이기도 하지만, 그녀의 내면엔 자살생각의 위험요인이 되는 우울감, 무망감, 위축감, 고립감 등의 부정적 정서가 깊게 뿌리박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녀의 자살이 미수로 끝나는 데에는 자살생각의 보호요인도 크게 작용하였다. 소설 쓰기가 바로 그 예다. 소설쓰기는 게리에게 높은 자기 만족도를 주었고, 특히 그녀의 자살편지는 억압된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람과의 소통의 매개체로 작용함으로써 가장 큰 보호요인이 되었다. 그 외 친구인 샤를리의 정서적 지원도 게리의 자살시도 재발을 막는 또 다른 보호요인이 되었다. 본 논문은 주인공 게리의 자살위험요인과 자살보호요인 모두를 분석함으로써 자살생각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자살자의 심리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자살을 예방할 수 있도록 관련 담론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한국형 심리부검 기반 이차원적 자살유형 연구: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중심으로

        육성필,서종한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3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9 No.1

        The current study aimed to explore the suicidal behaviors and risk factors of completed suicides using psychological autopsy and use them as index variables to classify suicidal types.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influential factors that affect each suicidal type. related to suicidal behaviors and suicidal risk factors by psychological autopsy. In addiction, the distinctions among the classes were analyzed. For this, psychological autopsies were conducted on the families and the close ones of 128 completed suicides. Then, the index variables were finally chosen for classifying suicidal types. The selected index variables for suicidal risk factors were mental disorders, suicide/self-harm, significant changes in physical appearance, marital conflict, adjustment and relationship issues at work/school, unemployment/layoff, jobless status and serious financial problems. The selected index variables for suicidal behaviors were expressing their suicidal attempts, writing suicidal notes, asking for help, the time/place/method of suicidal behavior, past suicidal/self-harm experience and the first person who witnessed the suicide. The Latent Class Analysis(LCA) and the 3-step method were used for classifying suicidal types. Then external variables(financial changes, cohabitation, existence of stressors, changes in stress level or relationships and family members with mental disorder/alchohol problems/ physical disorders, and work/school stisfaction) were applied for distinguishing classes. As a result, 5 classes(financial problems, adjustment problems, complex problems, psychiatric problems, and response to event[s]) were revealed on suicidal behaviors and 3 classes(residence- suicidal attempt- found by family, nonresidence- nonsuicidal attempt- found by acquaintances, residence- nonsuicidal attempt- found by family) were presented on suicidal risk factors. External variables such as gender, marital status, cohabitation, changes in relationships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among the 3 classes. Especially, class 3(residence- nonsuicidal attempt- found by family) tended to cohabit with others, were married, and had a significantly high level of interpersonal conflicts. When comparing the 5 classes of suicidal risk factors, auxiliary variables such as economic changes, cohabitation, stress, relationship changes, and family-related problems, and school/work satisfaction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the 5 classes. Especially class 3 (complex problems) experienced comparatively less family-related problems, but showed an aggravating level of personal stress. Suicial prevention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본 연구는 심리부검을 통해 완결된 자살자의 자살행동과 자살위험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지표로 자살 유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이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128명의 완결된 자살자와 관련 유가족과 지인을 대상으로 심리부검 면담을 실시했고 유형 분석에 필요한 지표변수를 최종 선정하였다. 자살위험요인 지표변수로 정신장애, 자살/자해, 중대한 신체변화, 배우자간 갈등, 직장/학교 내 적응 및 관계문제, 실직/해고, 사업실패, 무직, 심각한 재정적 문제가 선정되었다. 자살행동 지표변수로 자살의지표현, 자살유서, 구조도움요청, 자살시간/장소/방법, 과거 자살/자해 시도, 자살자 최초발견이 선정되었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과 3단계 분석 방법(3-step method)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석하였고 각 유형에 대한차이를 규명하고자 외부변수(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존재/변화, 관계변화, 가족 중 정신장애/알코올문제/신체질병, 학교/직장 만족)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살행동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는 5가지 계층(경제문제, 적응문제, 복합문제, 정신과문제, 사건반응), 자살위험요인을 기반으로 한 유형 분석에서는 3가지 계층(주거지-자살시도-가족발견형, 비주거지-비자살시도-지인발견형, 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이 탐색되었다. 자살행동 기반 3가지 유형 간에는 성별, 결혼상태, 동거여부, 관계변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히 유형 3(주거지-비자살시도-가족발견형)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해 동거중인 상태로, 기혼자일 가능성이 높고 대인관계 갈등이 두드러졌다. 자살위험요인 기반 5가지 유형 간에는 경제적 변화, 동거, 스트레스, 관계변화, 가족 관련 문제, 학교/직장 만족도에서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유형3(복합문제)은 상대적으로 가족 관련 문제는 없으나 개인적인 스트레스 발생과 악화가 두드러졌다. 향후 해당 유형과 유형별 영향요인에 맞는 자살예방과 위기개입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도시지역 동단위 자살위험요인 탐색 -2015년 서울시 423개 행정동 데이터를 중심으로

        정은희,채철균,최명민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7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mall-area characteristics that determine the relative risk of suicide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a city. The study unit is basic administrative districts, 'Dong's, in Seoul. Data on the socio-demographic and physical environment factors and suicide rates of 423 administrative districts were collected by 2015.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ith follow-up contrast statement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are follows. First, the small-area characteristics in dong level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uicide risk area groups even in one city. Second, the determinants of suicide-moderately risk area in comparison to the suicide - low risk area were the number of basic livelihood recipients and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The higher the number of recipients, the higher the odds ratio that belongs to the suicide-moderately risk area, while the number of elderly population with the lower odds ratio. Third, the determinants of suicide-high risk area in comparison to the suicide - low risk area were the number of basic recipients and the number of divorce, the number of hospitals and the area of the park. The influence of suicide risk factors was found to be more variable and stronger in the high - risk suicide area.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일 도시 행정동 단위의 상대적 자살위험도를 결정하는 특성을 탐색해봄으로써 지역사회 차원의 자살예방을 위한 근거자료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5년 기준 서울시 행정동별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물리적 환경요인에 관한 데이터가 있는 423개 행정동이며 분석방법으로는 일원분산분석과 다항로지스틱 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같은 서울시 내에서도 동지역 자살위험도 집단 간 지역특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살 저위험지역 대비 자살 중위험지역 결정요인은 기초수급자와 노인인구수로 나타났다. 셋째, 자살 저위험지역 대비 자살 고위험지역의 결정요인은 기초수급자수, 이혼건수, 병의원수, 조성공원면적 등으로 도출되었으며 자살 저위험 대비 고위험지역 결정요인들이 중위험 지역 결정요인보다 더 다양하고 그 영향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행정동 단위의 자살예방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