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르투갈어와 한국어의 개념적 은유 대조 연구 - ‘인기’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성효정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23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20 No.1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abstract concepts of ‘fame’ and ‘internet’ is structured in Portuguese in the scope of cognitive linguistics and contrast them to Korean ones. To that aim, the study presents Conceptual Metaphor Theory which explains how metaphor is present in the way we think about the world and how it this way of thinking can vary according to a culture of language. A parallel corpus was constructed with metaphors from the dialogue in two Brazilian movies and with its legends in Korean and complemented with existing metaphoric expressions in case the translation had not been effectuated into a metaphor. The analysis shows that the notion of ‘fame’ is structured in the following metaphors for both Portuguese and Korean: FAME IS RESULT OF VITORY IN A WAR, FAME IS PUMP, FAME IS POWER. Meanwhile, for Korean, CHARM CAUSES DEATH, FAME CAUSES DEATH and FAME IS HOT metaphors. Metaphors about ‘internet’ for both Portuguese and Korean were INTERNET IS SPACE, INTERNET IS A ENTITY, INTERNET IS A BOARD, INTERNET IS TOOL and A SPACE IN THE INTERNET (BLOG) IS POSSESSION. INTERNET IS A POSTAL PACKAGE metaphors is coherent only in Portuguese and INTERNET IS GOSSIP, INTERNET IS UP and INTERNET IS A COMPANY are valid only in Korean. Despite the contribution this study may have in the field of Portuguese-Korean studies, it was held with a small corpus extracted from two Brazilian movies and limited to conceptual metaphors, without discerning metonymies or metaphoric expressions.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언어학적 시각에서 ‘인기’와 ‘인터넷’ 개념이 포르투갈어에서 어떠한 개념적 은유 체계를 갖는지 살펴보고, 한국어의 체계와 대조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은유가 일상적 개념체계의 근본이 된다고 설명하는 개념적 은유이론을 소개하여 인간이 어떻게 사고하는지, 어떠한 방식으로 세상을 바라보는지, 그리고 사회 문화적 맥락의 차이점 등으로 인해 생각하고 행동하는 방법이 문화마다 다를 수 있음을 이론적 배경으로 제시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포르투갈어와 한국어 병렬코퍼스를 대상으로 양 언어를 대조 분석한다. 브라질 영화 <오늘부터 로그아웃>과 <러브닷컴>에서 ‘인기’와 ‘인터넷’과 관련된 은유를 추출하여 소규모 포르투갈어-한국어 병렬코퍼스를 구축하여 ‘인기’와 ‘인터넷’에 대한 포르투갈어 개념적 은유를 한국어와 대조하여 살펴보는데, 본 연구를 위한 병렬코퍼스는 포르투갈어 대사와 해당 대사의 한국어 자막으로 구성된다. 분석 결과, 포르투갈어에서 ‘인기’는 [인기는 전쟁 승리의 결과물], [인기는 펌프], [인기는 권력] 은유로 이해하여 개념화하는 것을 보았다. 이와 달리, 한국어에서는 [매력은 죽음], [인기 많음은 죽음], [인기는 뜨거움] 은유가 사용되는 것을 보았다. ‘인터넷’에 대한 [인터넷은 공간], [인터넷은 개체] [인터넷은 게시판], [인터넷은 도구] 은유는 포르투갈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음을 찾아냈다. [인터넷 공간(블로그)은 소유물]은유는 포르투갈어에서 발견되었고, [인터넷 게시물은 우편물] 은유는 한국어와 정합하지 않아 포르투갈어에서만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반대로 한국어에서만 정합하여 포르투갈어 개념체계에서 발견되지 않는 은유는 [인터넷은 소문], [인터넷은 위에 위치함], [블로그는 기업]이다. 본 연구를 통해 포르투갈어-한국어 언어쌍의 개념적 차이를 부분적으로 조명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만, 분석 대상이 영화 두 편이라는 소규모에 그쳤다는 점과 개념적 은유만을 살피는 연구로써 환유, 은유적 표현 등으로 세부적으로 다루지 못한 점 등을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밝힌다.

      • KCI등재

        IT텍스트에서의 은유의 사용 : 개념적 은유와 개념적 통합 이론을 바탕으로 한 컴퓨터와 인터넷 언어의 분석

        노윤채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4 프랑스어문교육 Vol.46 No.-

        Dans cet article, nous explorons la sémantique des expressions dans le langage du NTIC(nouvelle technnologie de l'information et de la communication) en français et essayons de comprendre comment le sens est construit dans la métaphore de ce domaine à l'aide de deux théories de la sémantique cognitive : celle de la métaphore conceptuelle et celle de l'intégration conceptuelle. Les métaphores pour l'ordinateur et Internet apparaissent à tout niveau, même au niveau technique, bien que les langues de spécialités soient censées décrire la réalité d'une façcon objective et ainsi ne pas devoir recourir aux métaphores. La théorie de la métaphore conceptuelle de Lakoff and Johnson(1980) définit la métaphore comme l'usage de concepts appartenant à un domaine pour en exprimer d'autres, qui à leur tour appartiennent à d'autres domaines en général plus abstraits. Dans le texte du NTIC, on décrit l'ordinateur et Internet comme un bureau, une personne, un espace, une mer, un bâtiment, etc. et l'utilisation des métaphores semble jouer un rôle de suppléance au manque linguistique et celui de de vulgarisation. La théorie de l'intégration conceptuelle, developpée par Fauconnier et Turner permet pour sa part une analyse du processus de conceptualisation des métaphores des expressions spécifiques comme 'surfer sur Internet' ou 'déposer le fichier dans la corbeille', en ne limitant pas le nombre des espaces d'entrée et en systématisant la correspondance entre les espaces mentaux. Surtout, l'espace intégrant est efficace pour comprendre l'utilisation des métaphores qui décrivent les activités qui se font dans un espace virtuel comme Internet. Le concepte de la métaphore primaire aussi permet de bien expliquer la complexité des métaphores, la correspondance entre les éléments des domaines différents et la motivation de l'intég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