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이주민 청소년 언어의 특징

        강명희 ( Kang Myoung Heui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2 독일어문학 Vol.96 No.-

        오늘날 독일 이주민 청소년 언어는 미디어에 의한 대중적인 관심과 유행에 따라 이주민뿐만 아니라 독일어 모국어 화자들 사이에서도 쓰임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제까지 길거리의 ‘서툰 독일어’로 평가 절하되던 이주민 언어는 사용영역의 확대와 규칙성으로 인해 일단의 언어학자들로부터 독일어의 ‘새로운 변이형’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이에 대한 학자들의 논쟁이 이어지면서 독일 이주민 언어는 사회언어학적 측면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독일 이주민 언어는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고 단계별 범주 구분도 통일적이진 않지만, 일반적으로 노동자 독일어, 터키 독일어, 카낙어, 키츠독일어의 네 단계로 분류된다. 키츠독일어는 가장 최근에 등장한 독일 이주민 언어에 대한 명칭으로, 피진어, 인종어, 접촉어, 방언 등의 지위 규정에 따라 학자들마다 상이한 입장을 나타낸다. 그러나 화자 집단의 연령대와 사용 상황 등을 고려할 때 키츠독일어를 청소년 언어로 분류하는 것은 학자들마다 공통된 의견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이주민 청소년 언어에 대한 변화 과정과 키츠독일어의 청소년 언어로서의 자질과 지위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In letzter Zeit wird die Sprache von Jugendlichen mit Migrationshintergrund in Deutschland nicht nur von Migranten selbst, sondern auch von deutschen Jugendlichen ohne Migrationshintergrund entsprechend dem öffentlichen Interesse und dem Trend der Medien verwendet. Zudem wird die als ‘gebrochenes Deutsch auf der Straße’ abgewertete Migrantensprache aufgrund ihrer Verbreitung und Regelmäßigkeit von einigen Sprachwissenschaftlern mitunter als ‘neue Variante des Deutschen’ angesehen. Während die Debatte um den Status des Kitzdeutsch im akademischen Bereich weitergeht, wird die Sprache der Einwanderer in Deutschland unter soziolinguistischen Aspekten aktiv untersucht. Deutsche Migrantensprachen lassen sich in vier Stufen einteilen: Gastarbeiterdeutsch, Türkendeutsch, Kanak Sprak und Kiezdeutsch. Kitzdeutsch als die neueste Bezeichnung für eine Migrantensprache wird in Bezug auf ihren Status (Pidgin, Ethnolekt, Kontaktsprache und Dialekt) unter Sprachwissenschaftlern unterschiedlich definiert. Betrachtet man jedoch das Alter und die Verwendungssituation der Sprechergruppe von Kiezdeutsch, sind sich die Forscher hingegen einig, dass Kiezdeutsch als Jugendsprache eingestuft werden sollte. In dieser Arbeit wurden der Sprachwandelprozess von Migratensprache in Deutschland und die Sprachmerkmale des Kiezdeutsch als Jugendsprache untersucht.

      • KCI등재

        프랑스의 언어, 마그레브 언어의 사용과 전수

        이은령 ( Eun Ryoung Lee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論叢 Vol.35 No.-

        전 세계적으로 국가 간 경계를 넘나드는 국제 노동 이주가 일반적인 현상이 되었으나 이주민의 모어와 출신언어에 대한 권리는 정주국의 언어처럼 보장되지 못한다. 그럼에도 소통과 경제적 이유,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로 언어는 부모 세대에서 자녀세대로 전승된다. 본 연구는 프랑스 사회에서 주변화 된 마그레브 이주민 언어의 사회적 위상과 전수의 양상을 살펴 다문화 사회에서 상호문화적으로 서로를 인정하며 갈등을 최소화할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프랑스 국내에서 90년대 말과 2000년대 중반에 일어났던 대도시 근교 폭동 사건 등으로 이주민에 대한 인식이 악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랑스 사회에서 마그레브 아랍어는 타자의 언어로서 차별의 기재가 되었다. 화자 수에서 프랑스어 다음으로 규모가 큰 마그레브 아랍어는 프랑스 내에서 300년 동안 교육되어 온 언어이다. 이 과정에서 문어 표준 아랍어와 구어 지역 방언이라는 이분법은 문어 표준 아랍어를 우위의 지점에 올려놓았고 구어 지역 방언 교육을 공교육의 틀 밖으로 밀어냈다. 그럼에도 구어 지역어의 수요는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프랑스의 언어이자 이주민의 언어, 그리고 마그레브 지역의 생활 언어인 마그레브 지역어의 교육과 전수를 위한 언어정책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문어 아랍어만을 강조하는 교육은 이주민 자녀 세대에게는 허구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다는 위험을 인식하고, 구어 아랍어의 사회적 기능과 언어적 특성에 따라 교육도 보장해야 할 필요성을 검토한다. The labor migration crossing the international boundaries became a common phenomenon, but the immigrants often do not have the language right in their resident countries. Nevertheless, languages, often considered as a symbol of the cultural identity, are transmitted to the children from their parents generation for the communication.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status of immigrants’ languages, marginalized in French society and the ways to minimize social conflict on the basis of the inter-culturality. The recognition about migrants was deteriorated due to the riots in French metropolitan banlieues occurred in the end of 1990’s and the mid-2000’s. In those circumstances, the Maghreb Arabic language, as a language of others, is the very criteria for the social differentiation. Maghreb Arabic, second language in the numbers of speakers, has been teaching in France for over than 300 years. Nevertheless, the literal Arabic has come to occupy a point of superiority in the dichotomy between colloquial dialect and literal, standard Arabic. Standard Arabic extruded the regional dialect in the public education of France, but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the colloquial dialect rather increased. In such a situation it is imperative to design a linguistic policy for the Maghreb dialects in France. This research is aware of the risk of the education emphasizing only the literal Arabic since it may transmit a fictional cultural identity to the children of immigrants. Finally, we suggested the need for providing the language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learners’ linguistic need and social function of the Maghreb Arabic.

      • KCI등재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질적 메타 분석 : 언어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이주민 밀집 지역 학교 교육과정에의 시사점 탐색

        류영휘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3 교육문화연구 Vol.29 No.2

        한국에서도 이주민의 거주지 분리 현상에 따라 이주 배경 학생들이 학생 인구의 다수를 차지하는 학교 교육 맥락이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학교 교육 맥락에서 ‘언어’는 단순히 기능적인 문제가 아니라 언어에 대한 사회적규범과 연결되어 있으며, 비판적인 관점으로 탐색될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에 기반해 설계되었다. 구체적으로 본연구는 Ruiz(2014)의 문제, 권리, 자원으로서 언어의 틀에 기반해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을 질적 메타 분석함으로써, 이주 배경 학생들의 언어와 관련한 교육 양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주민 밀집지역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에서 한국어 교육은 의사소통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한국어로 교과를 학습할 수 있는 데까지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으나, 학교는대학 기반 연구자들과의 협력을 통해 대안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이중언어 교육의 경우, 방과후 교육을 통해 모국어교육 또는 제2외국어 교육으로 제공되면서 이주 배경 학생들의 언어를 언어적 권리이자 자원으로 확대하였으나, 여전히 ‘한국어/외국어’라는 공고한 언어 경계 속에 이중언어를 위치시킴으로써 단성적 언어 규범에 균열을 가하지는못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이중언어 교육은 정규 교육과정 속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해 제2외국어 교육으로진행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중언어 교육을 두 가지 단일언어 중 하나를 가르치는 교육으로 단순화시킨다는 점에서마찬가지로 한계가 있었다. 추후 주목할만한 시도로 이주 배경 학생들의 언어와 교과 내용을 결합하는 이중언어교육과정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 다문화교육 정책학교 교육과정 속에서는 문제로서 언어, 권리로서언어, 자원으로서 언어의 접근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점과 함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 배경 학생들의 언어가지배적으로는 여전히 문제로 여겨질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논의되었다.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이주민 밀집지역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의 함의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이주민을 위한 공공언어 진단 연구 - 사회통합정보망을 중심으로

        안정민,한혜민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3 리터러시 연구 Vol.14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국민을 대상으로 국어 순화적인 관점에서만 이루어져 오던 공공언어에 대한 논의를 확장하여 한국 체류 이주민을 위한공공언어의 진단을 시도해 보는 것이다.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정보가 영어, 중국어및 일부 언어를 제외하고는 모두 한국어로 제공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보면 한국에서 이주민으로서 겪는 정보 부족의 어려움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주민들이 대한민국에서 초기 정착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접하게 되는 사회통합정보망사회통합프로그램 페이지의 공공언어를 진단하였다. 먼저 기술적인 용어 또는 표현, 거의 쓰이지 않는 단어 또는 표현, 어색한 표현을 기준으로 사회정보망 사회통합프로그램 페이지를 분석하였을 때, 이주민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법률 용어가 많았으며 어려운 문어체 표현과 주어와 서술어의 일치를 보이지 않는 문장, 번역투 문장, 외래어표현도 눈에 띄었다. 다음으로 388개의 어휘를 분석한 결과 초급 어휘가 18.81%였고, 중급에 해당하는 어휘가 43.04%로 가장 높았으며 고급은 21.65%에 달했다. 중급 이상의 어휘가 64.69%를 차지하고 있어 초급 수준의 이주민들은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사이트에서 정보를 얻기가 힘들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주민 또한 엄연한 대한민국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알 권리’와 ‘평등권’을 보장받아야 하는 대상으로 앞으로 공공언어 개선 및 정책을 논의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공공언어의 개선에 있어서 이주민의 입장 또한 고려하여 이주민의 정보 접근성이 제고될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pand the discussion on public language, which has been made only from the perspective of purifying the Korean language for the Korean language-speaking people, and to attempt to diagnose public language for immigrants staying in Korea. Considering that information provided by public institutions is in Korean except for English, Chinese, and some languages, it is easy to guess the difficulty of lack of information as migrants in Korea. In this study, the public language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page of the social integration information network that migrants encounter for their initial settlement in Korea was diagnosed. First, when analyzing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page based on technical terms or expressions, rarely used words or expressions, and awkward expressions, there were many legal terms that were difficult for migrants to understand, and there was no match between difficult literary expressions and subjects and predicates. Sentences, translation-to-sentences, and foreign language expressions were also noticeable.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388 vocabulary, beginner vocabulary took up 18.81%, intermediate vocabulary took up the highest at 43.04%, and advanced took up 21.65%. Intermediate or higher vocabulary accounts for 64.69% of the time, suggesting that it will be difficult for migrants at the elementary and middle level to get information from the site without the help of others. However, migra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when discussing public language improvement and policies in the future, as they are subject to the guaranteed “right to know” and “right to equality” as members of Korean society.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migrants’ access to information can be improved by considering migrants’ positions in improving public languages.

      • KCI등재

        제주 거주 몽골 이주 배경 부모의 이중언어교육 경험 연구

        난딩토야(B. Nandintuya ),신효주(Hyo-Joo Shin),문현식(Hyeon-Sik Moon),김민호(Min-Ho Kim) 제주학회 2024 濟州島硏究 Vol.61 No.-

        이 연구는 한국의 이중언어교육 정책이 국제결혼가정에 한정된 것을 문제 삼아, 국제결혼가정뿐만 아니라 외국인 노동자 및 유학생 부모가 자녀 대상 이중언어교육을 어떻게 하고 있고,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중언어교육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제주 거주 몽골 이주 배경 네 가정의 부모를 면담했고, 4개의 주제와 9개의 하위 주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가정의 유형, 자녀의 출생지역 등에 따라 ‘한국어가 편한 가정’, ‘한국어와 몽골어를 섞어 말하는 가정’, ‘한국어와 몽골어 둘 다 좋지 않은 가정’ 등이 존재했다. 둘째, 이주 배경 부모는 ‘다문화, 이중언어라는 말만 들어도 싫은’ 부모와 ‘몽골어와 몽골 문화를 제대로 배워야 한다’는 부모로 구별되었다. 셋째, ‘제주에는 몽골어 교육기관이 없고’와 ‘부모 모두 몽골인 가족은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없다’는 것이 이중언어교육의 어려움으로 제시되었다. 넷째, 이중언어교육의 의미는 ‘필요할 때 필요한 언어를 배우면 된다’는 입장과 ‘당연히 배워야 한다’는 입장으로 구별되었다. 곧 이중언어교육 환경의 다양성, 이중언어교육 태도의 대조성, 이중언어 학습자원의 제한성, 이중언어교육 의미의 상충성을 확인하였다. 장차 몽골 이주 배경 자녀가 제주에서 이중언어교육을 성공적으로 이수하려면 부모교육과 함께 지역사회 및 정부가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이중언어교육 기회를 더욱 확대하고, 정주민과 이주민은 상호문화주의 관점에서 대등하게 교류하고 소통하는 태도를 함양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problem that Korea's bilingual education policy is limited to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We investigated how international marriage families, as well as parents of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students, provide bilingual education to their children, what difficulties they face, and what meaning they give to bilingu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ents of four families with Mongolian immigrant background living in Jeju, and a total of four themes and nine subthemes were derived. We confirmed the diversity of bilingual education environments, the contrast in attitudes toward bilingual education, the limitations of bilingual learning resources, and the conflicting meanings of bilingual education. Through this, we confirmed that children with a Mongolian immigrant background can successfully complete bilingual education in Jeju. In addition to parent education, the community and government should further expand bilingual education opportun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culturalism, and residents and immigrants should cultivate an attitude of equal exchange and communi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sm.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어린이의 다중언어발달과정 연구

        유수연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3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3 No.-

        Die Studie beschäftigt sich mit dem Prozess der Mehrsprachigkeit vonden Kindern bei den multikulturellen Familien, deren MütterHeiratsimmigranten von binationalen Paaren sind. Die Kinder von denHeiratsimmigranten haben besonders gute Voraussetzungen, zweiverschiedene Sprachen und Kulturen erwerben zu können. Aber in derAlltagswirklichkeit in Korea können die meisten von ihnen selten dieSprache und die Kultur der Mütter erlernen, weil die familiäreUmgebung und die koreanische Gesellschaft systematisch den Erwerb derSprache verhindern, die keinen anerkannten Status als eine Fremdsprachein Korea hat. In dieser Arbeit wurden die Erkenntnisse und Ergebnisse aus Forschungen über Mehrsprachigkeit in Europa besonders im DaF-Bereichvorgestellt. Anschließend wurde unternommen, diese Erkenntnisse auf diekoreanische Situation zu übertragen. Zum empirischen Teil habe ich mitHilfe von Diskursanalysen, Interviews und Hospitationen dieMehrsprachigkeit in Kommunikationssituationen beschrieben undanalysiert. Dafür habe ich Mütter und Kinder beobachtet, interviewt,Gespräche mit ihnen aufgenommen und transkribiert. Anhand derTranskriptionen wurde versucht, die Alltagswirklichkeit darzustellen unddie Gründe der Verständigungsprobleme zu analysieren, die dazu führen,dass die Sprache nicht erworben werden kann. Daraus ergibt sich, wenn die Sprache der Mutter in Korea einegesellschaftlich anerkannte Fremdsprache ist - wie zum BeispielChinesisch -, dass dann die Familien und Mütter dazu neigen, dieseSprache auch weiterhin zu praktizieren und den Erwerbsprozeßfortzusetzen. Auf der Grundlage dieser Untersuchungsergebnisse sollte eineFörderung zur Entwicklung von Mehrsprachigkeit institutionalisiertwerden. Wenn die Kinder mit verschiedenen Sprachen und Kulturenausgestattet werden, können sie später z.B. als Experte imWirtschaftsbereich in den entsprechenden Ländern interkulturellangemessen arbeiten. Aber wenn diese Chance zur Mehrsprachigkeitsystematisch nicht genutzt wird, und statt dessen eine totale Integrationverlangt wird, kann eine multikulturelle Gesellschaft kaum entstehen. Esist die höchste Zeit, dass man eine Sprachenpolitik entwickelt, diegesellschaftliche Unterstützung zur Förderung der Mehrsprachigkeitanbietet, die Offenheit und Toleranz zur fremden Sprache und Kultur imschulischen Gebiet ausbilden und fördern hilft.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의 다중언어습득 연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서지연구 결과를 우리나라의 다문화 가정의 상황과 접목하여 다문화 가정 어린이들의 모어습득 여부를 질적인 연구방법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장연구와 인터뷰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상황을살펴보니, 다문화 가정은 그 어머니 나라의 언어와 한국어를 접할 수있는 환경적 조건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어린이들이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를 배울 수 없었고, 이는 가족과 사회의조직적이고 철저한 억압 속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앞에서 잠시 언급하였듯이 본 연구의 계획단계에서는 모어와 한국어가 동시에 습득이 가능한지 관찰하기를 기대하였다. 다중언어습득시 상승작용과 간섭현상이 일어날 것을 예상하였으나, 현장연구를 통해서 모아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다문화 가정의 구성원들은 모어를 배제하고 한국어만을 사용하는 습득 과정만이 기록되었다. 모어를 습득하는 어린이의 수 자체가 너무 적어서 다중언어성의 발달이라고 얘기할 수 없는 ‘슬픈’ 현실을 학문적인 현장연구의 방법으로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유럽에서도 한 언어사회내에서 다중언어성을 개발하는데에 어려움이 따르지만 여러 가지 사회적인 장치로 다중언어성을 장려하면서동화주의를 극복하고 있다. 다중언어성은 사회와 가정이 뒷받침되어야, 그리고 사회적인 보상이 따라야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는몽골어, 인도네시아어 등 유용성측면에서 외국어로서 일정 지위를 인정받지 못 하는 언어는 우리나라에서 다중언어습득의 대상이 될 수없음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다만 중국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외국어로 인정받고 있는 언어만이 주위 환경의 격려를 받으며 모어습득이가능하고, 이때만이 다중언어성이 장려되었다. 유럽은 동화주의를 극복하고 한 사회내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정치적, 정책적, 사회적 노력을 하고 있다. 다문화 사회로 진입한 우리나라도 역시 다양한 정치적, 사회적 노력과 정책으로 소수자 언어를 위한 다중언어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제도권 내에서 이러한 언어능력을 인정해줌으로써 보다 다양한 인재를 육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우리나라 다문화 가정의 환경을 다중언어화자로 키울 수 있는 좋은 조건으로 받아들이고 사회적 인정과 장려가 시급히 필요하다. 올해 처음으로 수능에 베트남어가 들어가서 다문화가정의 어린이들과 다중언어사회의 모어 장려의 측면으로서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해당언어가 우리나라에서 제2외국어로서 인정되는 언어가 아닌 소수의 언어라 할지라도 외국어 고등학교에 학과를 만들거나, 대학에학과를 만들어서 다문화 가정의 어린이들의 사회 진출을 돕는 사회적 장치가 필요해 보인다. 또한 교사 양성과정에서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올바른 다문화 교육을 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할 수있다. 즉, 모어를 할 수 있는 학생들이 학급에서 ‘이상한’ 가정 출신의 학생이 아니라, ‘매우 독특한 문화와 언어를 가진 어린이’, ‘많은다른 학생이 할 수 없는 언어를 하는 학생’으로 인식되어 다문화 가정 어린이로서의 불이익을 받지 않고 우리나라의 글로벌 리더로서자라날 수 있게 교육할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언어 학습에서 정체성의 문제에 대한 탐색 - Norton(2013)을 중심으로 -

        박지순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3 언어사실과 관점 Vol.60 No.-

        제2 언어 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에서 정체성은 개인의 일관되고 변하지 않는 특징으로서 언어 습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로 여겨져 왔지만 후기 구조주의에서는 다양하고 모순되기도 하며 역동적인 것으로서 언어 습득에 좀 더 근본적인 기제가 된다고 본다. Norton(2013)의 연구는 정체성이 변화하는 것이라는 점, 그리고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언어가 깊이 관여한다는 점을 다양한 학습자들의 내러티브 분석을 통해 그리고 후기구조주의의 여러 이론을 통해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제2 언어 습득 연구자들이 학습자가 목표어 공동체에 접근하는 데에 권력 관계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다룰 필요가 있다는 점, 학습자의 언어 습득의 본질적인 측면을 꿰뚫기 위해서는 서로를 상호구성하는 ‘정체성’, ‘실행’, ‘자원’의 세 가지 요소에 대한 탐구와 ‘투자’와 ‘상상의 공동체’에 대한 개념 적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Norton(2013)의 언어 정체성과 언어 습득에 대한 통찰을 주요 개념인 ‘정체성’, ‘투자’, ‘상상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그동안 ‘정체성’에 대한 이슈가 논의되어 온 범위와 깊이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정체성 연구가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지, 이를 위해 정체성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identity has been considered as a consistent and unchanging characteristic of an individual and one of the factors affecting language acquisition, but in poststructuralism, identity is seen as diverse, contradictory, and dynamic, and is more fundamental to language acquisition. Norton's study(2013) sought to prove that identity is something that changes and that language is deeply involved in forming identity through analysis of the narratives of various learners and through various theories of poststructuralism. In the process, Norton emphasized the following two things. Firs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researchers need to address how power influence learners' access to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Second, in order to penetrate the essential aspects of learners’ language acquisiti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three elements of ‘identity’, ‘practice’, and ‘resources’ and apply the concepts of ‘investment’ and ‘imagined community’. This study examined Norton's (2013) key insights into language identity and language acquisition, focusing on the key concepts of ‘identity’, ‘investment’, and ‘imagined communit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scope and depth of discussions on ‘identity’ issu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is, it is examined what identity research can contribute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hat direction identity research should take.

      • KCI등재

        이주민의 언어교육 강화를 위한 법률 개정 방안: ‘일본어교육추진법(2019)’ 비교를 중심으로

        민기채 ( Kichae Min ),김은종 ( Eunjong Kim ),서관욱 ( Kwanyook Suh ),손소정 ( Sojeong Son ),이준민 ( Junmin Lee ),임종건 ( Jonggeon Lim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다문화와 평화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이주민 언어교육 관련 법률을 비교·분석하여 이주민의 언어교육 강화를 위한 법률 개정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언어교육 현황과 지원체계를 설명하고, 한국의 「다문화가족지원법」 및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과 일본의 「일본어교육추진법」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본어교육추진법」이 포괄적으로 언어교육 관련조항들을 다루고 있는 반면, 한국 법률에서는 사업주의 책무, 기관연계 강화, 교육과정 지침, 언어능력 평가에 대한 조항이 부재하거나 모호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족지원법」 제6조의 ‘생활정보 제공 및 교육 지원’에서 언어능력 평가 조항을 추가하고, 「재한외국인처우기본법」 제12조의 ‘결혼이민자 및 그 자녀의 처우’에서 임의조항을 강행규정으로 변경하며, 사업주의 책무와 기관연계 강화 조항 신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다문화공생 관점의 법적 토대구축을 통해 이주민의 언어교육 강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laws related to language education for migrants in Korea and Japan, and to derive an amendment to the law to strengthen language education for migrants.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and support system of language education in Korea and Japan were explained,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Act」 and 「Basic Act on the Treatment of Foreigners in Korea」 in Korea and 「Japanese Language Education Promotion Act」 in Japan were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Japanese Language Education Promotion Act」 comprehensively deals with the provisions related to language education, while employer’s responsibility, institutional linkage strengthening, curriculum guidelines and language ability evaluation was absent or ambiguous in Korea law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provision of language ability evaluation was added to the provision of living information and education support, and was proposed to change the provisions to mandatory regulations in the treatment of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and to establish new provisions for strengthening the responsibilities of employers and institutional link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einforcement of language education for migrant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legal foundation of the multicultural symbiosis perspective.

      • KCI등재

        재외 이주민 정체성의 불확정성과 이중성의 의미 -재일동포와 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시를 중심으로-

        윤의섭 한중인문학회 2009 한중인문학연구 Vol.27 No.-

        본고는 재외 이주민의 한국어 시를 통해 그들의 정체성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민족 언어에는 민족에 대한 정체성을 드러내는 표지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에 대한 문제는 그들이 거주하는 국가의 여러 요인에 의해 순일한 정체성을 유지하지 않고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는 데 있다. 즉 대개의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이중적 성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불확정성 원리’의 특징에 따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어느 한쪽의 정체성적 양상만을 파악하고자 할 경우 다른 한쪽의 정체성에 대한 특징은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본고는 재일동포의 한국어 시와 중국 조선족의 한국어 시를 통해 이들 정체성이 갖는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재일동포의 시와 중국 조선족의 시에 나타난 정체성은 국가 정체성과 민족 정체성으로 대변할 수 있는 이중적 양상을 동시에 보이고 있다. 그런데 우리가 만약 그들의 민족적 성격을 염두에 두고 민족 정체성의 양상만을 강조할 경우에는 그들의 국가 정체성이나 다른 성격의 정체성에 대해선 제대로 파악하기 힘든 것이다. 그만큼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다양한 양상을 함께 갖고 있다. 이러한 정체성의 이중적 양상은 모순적으로 보이지만, 오히려 그들 정체성의 현재적 위상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재외 이주민의 정체성은 복합적이면서도 이질적인 정체성이 함께 결합하면서 또 다른 개념의 이주민 주체로서의 정체성으로 생성되어 가는 과정을 거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재외 이주민의 한국어 시에 나타난 그들 정체성의 특성은 결국 민족이나 국가와 같은 기존의 정체성 요인만이 아니라 그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정체성 형성의 요인을 동시에, 그리고 서로를 배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바라보아야 분명하게 파악되는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through their poetry in Korean. It is because national language shows the sign that reveals national identity. Identity issue among Korean emigrants lies in the complexity without a fixed, single identity because of various factors and situations in the countries in which they reside.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in most cases, is characterized by its duality. Such identity among Korean emigrants should be examined by ‘uncertainty principle’. When one aspect of identity examined, the other aspect of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can be hardly verified.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ty through poetry in Korean by Korean Japanese and Korean Chinese. Identity in poetry by Korean Japanese and Korean Chinese demonstrates duality that represents identity of a country and a nation. When national identity emphasized with national characteristics in mind, it is hard to grasp their identity of a country or other aspects.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has various aspects to that extent. Although such duality in identity seems contradictory,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present state of their identity.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is complex, combined with heterogeneous identities and experiences the process to become another identity of emigrants with another concept. Therefore, identity of Korean emigrants shown in poetry in Korean can be understood clearly by simultaneous awareness of various factors of identity without any exclusion in any way.

      • KCI등재

        이주민 대상 호주 영어교육 정책의 현황 및 시사점

        심상민 국제어문학회 2018 국제어문 Vol.0 No.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sent situation of English education policy among Australian migrants ‘language policie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Korean language multicultural society’s language education policy. We looked at the concept and types of language policy and examined how Australian language policies have changed in accordance with key national reports published in time. In addition, we examined the immigration history of migrants in a diachronic perspective and also examined how English education policies for migrants were implemented. We have looked at AMEP, an adult migrant English program among migrants in the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This study also showed the programs of Intensive English Center and Intensive English High School for learners who learn English as an additional language.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unified and systemized support policy on language education are needed and various Korean programs should be performed considering learner variables in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이 논문은 이주민 대상의 호주의 언어 정책 중 영어교육 정책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한국 다문화 사회의 언어교육 정책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언어 정책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살펴보고 호주의 언어 정책을시기별로 발표된 주요 국가 보고서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이주민들의 이민사를 통시적으로 살펴보면서 이주민들 대상의 영어교육 정책이 어떻게 시행되었는지도 알아보았다. 현재 연방 정부와 주 정부 차원에서이루어지는 이주민 대상의 영어교육 프로그램 중 성인이민자영어프로그램인AMEP에 대해서 살펴보았으며, 부가어로서 영어를 학습하는 학습자 대상의 집중영어센터와 집중영어고등학교의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다문화 사회의 언어교육 정책에서 일원화되고 체계화된 지원 정책과 학습자의 변인을 고려한 다양한 한국어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