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

        김동태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16 신학과 사회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enomenal aspect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the Borderline Patients toward Idealized Obj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Colaizzi’s method, one of phenomenological methods to focus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human experienc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ree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Data of this study were gathered from July 3, 2015, to December 20, 2015, and the method of the data collection had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m. This study categorized 8 theme clusters from themes exposed by statements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the Borderline Patients toward Idealized Objects. As a resul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Borderline Patients went looking for attachment objects by strong desire loved by objects. Secondly, the Borderline Patients primitively idealized attachment objects, because they considered that the Idealized Objects and their parents was one and the same person.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y tried to control the Idealized Objects not to get separated from them. Fourthly, the Borderline Patients distorted the messages of the Idealized Objects. Fifthly, Because of their distorted perception, they did not readily trust the Idealized Objects, forgot themselves in anger, and expressed their insecure mind. Sixthly, the Idealized Objects suffering from stress tried to leave them and they were seized with fear to be left out from the Idealized Objects. Seventhly, it was found that the Borderline Patients craved affection and attention from the Idealized Objects. Eighthly, they felt hollow because they lost relationship of the Idealized Object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that the Idealized Objects of the Borderline Patients were the image of their parents,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toward the Idealized Objects were infant dependence on their par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인간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히는 현상학적 연구 중에서 콜라이찌(Colaizzi) 방법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의 공통적인 속성을 도출해 내었다. 연구 참여자 표집방법은경계선성격장애로 판정 받은 사람 중 연구에 동의한 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7월 3일부터 2015년 12월 20일까지 약 6개월이며, 방법은 연구 참여에동의한 3명에게 심층면담을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콜라이찌의 분석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의 진술에서 드러난 주제들로부터 8개의 주제군으로 범주화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랑받고 싶은 강한 욕구로 애착대상을 찾아다녔다. 둘째, 애착대상이 부모와 같은 존재라서원시적 이상화가 이루어졌고, 셋째, 이상화대상을 놓치지 않으려는 생각에 대상을 통제하려는 행동이 나타났다. 넷째, 이상화대상들의 표현을 왜곡 시켰다. 다섯째, 왜곡된 인지는 과도한 의심을 이끌게 되어 분노를 조절하지 못하는 등 불안정한 심리를 표출하게 만들었다. 여섯째, 심한 스트레스를 받은 이상화대상들이 경계선성격장애인들을 떠나려는 행동에 버림받는 두려움을 겪게 되었다. 일곱째, 이상화대상은 잃어버릴 수 없는 절대적 대상이기 때문에 사랑과 관심을 갈구하는 모습을 보였다. 여덟째, 이상화대상과의 관계상실로 마음의 공허함을 경험했다. 분석결과에 나타난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들 즉 대상을찾고, 이상화하고, 통제하려고 하고, 버림받지 않으려는 두려움과, 관심을 받기 위한 필사적인 노력들은 이상화대상이 부모대상의 표상이기 때문으로 드러났다. 그래서 그들이 이상화대상에게 보이는 감정과 행동들은 부모에 대한 유아적 의존을 보이는 것으로 이해되었다. 종합하여 보면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이상화대상에 대한 부적응적인특징들은 유아기 때 형성된 결함을 성인기에 드러내는 유아적 노력으로 이해될 수 있었다. 따라서 연구결과에 나타난 이상화대상에 대한 경계선성격장애인의 심리적 경험은 부모를 찾는 행동이었고, 이상화대상에게 보이는 감정과 행동은 부모에 대한 유아적 의존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이상화 문학에 나타난 시적 상상력의 근원 연구

        유신지 ( Yu Shin-ji ),여상임 ( Yeo Sang-im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7 어문론총 Vol.74 No.-

        이상화문학에 대한 논의는 이상화 당대는 물론,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상당히 구체적으로 진행되었다. 주로 상징주의나 낭만주의와 같은 문예사조적인 경향이나 저항시인이라는 민족주의적인 관점에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에서는 이상화 문학 전반에서 드러나는 동양적이고 전통적인 사유를 다 해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이상화문학과 그의 사상의 근저에는 동학이나 천도교적인 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내재적 초월의 사유가 자리하고 있다. 내재적 초월의 사유는 이상화 문학의 곳곳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드러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상화의 시적 상상력의 근원이 이러한 내재적 초월의 사유로 파악될 수 있다고 보고, 전통시학의 관점, 특히 기층철학을 토대로 이상화의 문학 텍스트를 분석해보고자 했다. 특히 이상화의 전기적 사실들을 살펴보면, 그의 사상과 사유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인 십대와 이십대 전반에 걸쳐서 천도교적인 색채가 짙은 인물들과 깊은 교류를 맺었고 그와 관련된 활동들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그가 제시하는 문학론이나 시작품들에서도 그러한 사유들이 드러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화의 문학평론이나 시에서는 우리 고유의 민속 신앙인 샤머니즘과 이를 계승한 동학사상의 색채가 드러난다. 그의 시작품들에서도 특징적인 것이 ‘하늘’,‘신령’, ‘검’, ‘동굴’ 등과 같은 시어들이 빈번히 쓰이고 있는데, 이러한 시어들은 이상화 텍스트 전반에서 관찰되는 ‘내재적 초월’의 사유들을 드러내는 것으로 쓰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기존의 논의에서 채 규명되지 못한 부분들로, 동양적이고 전통적인 사유의 지평 안에서만 비로소 설명이 되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논의는 이상화가 1920년대 시단의 다양한 흐름 속에서도 그 시류에 휩쓸리지 않고, 우리의 자생적인 사상이라 할 수 있는 전통철학의 토대 위에 그 나름의 시세계를 구축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해주며, 나아가 이상화 문학을 바라보는 새로운 해석의 지평을 넓혀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ntill now, the study on Lee Sang-hwa’s literature has been done very widely. Most rearchess have been done in the point of view of symbolism, romanticism, or nationalism. But, through these views, we couldn't find the basic thoughts of his Literature. There are immanent transcendence in the origin of his Literature and his own ideas. Therefor, at this thesis, we found that the origin of poetic imagination in Lee Sang-hwa’s literature is based on the oriental and traditional thoughts. Especially, when we searched Lee Sang-hwa’s biography, we found that he was related to the people who had Chondo-kyo belief. Such thoughts appeared his literary theory or in his prototypes. His literary criticism and poetry reveal the color of Korean folk faith, Shamanism and Donghak's succession. In his poetry text, the words such as 'heaven', 'spirit', 'sword' and 'cave' are frequently used. And these words are used to reveal the aspects of 'Immanent transcendence' observed wholy. This aspect can not be clarified in the existing discourse and is only explained within the horizon of the traditional thoughts. This study enables us to confirm that Lee-Sanghwa has built his own poetry system on the basis of traditional philosophy which is not influenced by the currents in the various ideal flows of the 1920s. In addition, it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roaden the horizon of the new interpretation in reading the Lee-Sanghwa’s literature.

      • KCI우수등재

        배우자이상화와 결혼만족도: 의사소통 패턴의 매개효과

        박유빈,한그림,정연우,박선웅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Vol.32 No.1

        The aim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examine whether partner-idealization (i.e., perceiving one's partner more closely to one's ideal partner than partner's own self-perception) is related to one's own and the partner's marital satisfaction and to explore the role of communication patterns (constructive communication, husband demand-wife withdraw, and wife demand-husband withdraw) in that process. Seventy-eight married couples rated themselves, their partner, and an ideal partner on interpersonal qualities, and responded to measures of communication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for both husbands and wives, higher partner-idealization was related to one's own and the partner's greater marital satisfaction. We also found that either partner's partner-idealization was related to wife's report of more constructive communication, which in turn was related to both partners' greater marital satisfaction.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wife's partner-idealization and her own marital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low wife-perceived husband demand-wife withdraw and wife demand-husband withdraw patterns.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wife's partner-idealization and husband’s marital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low wife-perceived wife demand-husband withdraw pattern. Taken together, individuals who idealized their partner or were idealized by their partner were more satisfied in their relationship, and how wives came to perceive the communication pattern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proces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the short- and long-term effects of partner perceptions on marital satisfaction.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이상화(배우자를 배우자 자신이 평가하는 것보다 더 이상적 배우자에 가깝다고 평가하는 것)가 본인 및 배우자의 결혼만족도와 어떤 상관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세 가지 의사소통 패턴(건설적 의사소통, 남편요구-아내철회, 아내요구-남편철회)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78쌍의 부부가 자기 자신, 배우자, 그리고 이상형의 성격에 대해 응답하고, 의사소통 패턴과 결혼만족도에 대한 척도에 답변하였다. 연구 결과 남녀 모두 배우자를 이상화하는 것은 본인과 배우자의 높은 결혼만족도와 관련이 있었다. 또한 남편의 배우자이상화와 아내의 배우자이상화는 각각 아내가 지각하는 부부의 건설적 의사소통을 통해 두 사람의 높은 결혼만족도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내의 배우자이상화와 결혼만족도 간의 정적 관계는 아내가 지각하는 낮은 남편요구-아내철회 및 낮은 아내요구-남편철회 패턴이 매개하였다. 아내의 배우자이상화와 남편의 결혼만족도 간의 정적 관계는 아내가 지각한 낮은 아내요구-남편철회 패턴을 통해 매개되었다. 종합해보면, 사람들은 자신이 이상화하거나 자신을 이상화하는 배우자와의 결혼생활에서 더 만족감을 느끼며 이 과정에서 아내가 부부의 의사소통 방식을 어떻게 지각하는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배우자에 대한 지각이 결혼만족도에 장․단기적으로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무한길이 솔레노이드 이상화에 대한 물리 교사와 고등학생들의 인식

        임정,강남화 한국물리학회 2016 새물리 Vol.66 No.6

        This study surveyed physics teachers' and high-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nfinite-length idealization for the magnetic field of a solenoid. A total of 213 high-school students and 38 phys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demonstrated a low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idealization conditions for solenoids whereas their recognition level was high for mechanics topics. Most teachers in the study stated that they rarely addressed idealization conditions when teaching about solenoids. One teacher questioning or one problem-based lesson was offered to two groups of students respectively, each consisting of 30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students who took the lesson were able to recognize the idealization condition. However,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did not change, regardless of the lesson. Nonetheless, those who took the lesson demonstrated interest in learning and liked the critical thinking experienced during the lesson. These findings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ing about idealization in physics. 본 연구에서는 솔레노이드의 자기장에서 사용하는 무한길이 이상화 조건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수업을 통해 고등학교 학생들의 이해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고등학생 213명, 교사 3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과 교사 모두 역학에서 사용하는 이상화 조건의 인식 정도에 비해 솔레노이드 자기장의 무한 길이 이상화 조건에 대한 인식의 정도가 낮음이 드러났다. 설문에 응한 대부분의 교사들이 수업 시간에 솔레노이드 이상화에 관해 명시적으로 다루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등학생 60명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교사 문답식 수업과 학생 주도 문제 중심 수업을 실시한 결과, 수업을 받은 학생은 솔레노이드의 이상화에 관한 인식이 설문 결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솔레노이드의 무한길이 이상화 조건을 명확히 이해한 학생은 많이 증가하지 않았다. 한편, 수업을 받은 학생들은 특히 흥미와 물리 지식에 대한 비판적 사고의 경험을 지적하며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는 솔레노이드의 이상화에 대해 깊은 이해보다 이상화 조건의 필요성과 관련 변인을 인식하는 수준에서 다루는 것이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추후 물리학습을 계속 할 학생들에게 유용한 인지적 도구를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입자 중심의 이상화 방식 유형 분류

        계기철,양성호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3 현장과학교육 Vol.17 No.4

        화학 전공 연구원들이 화학적 현상을 설명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이상화의 대상이 되는 입자의 요소와 입자 중심의 이상화 방식을 분류하였다. 확산과 용해의 구분, 삼투압과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의 유사성, 라울의 법칙에서 사용하는 가정, 확산과 분출 속도식의 유사성, 오스트발트의 묽힘 법칙과 식의 의미 등 5개의 질문으로 일대일 면담을 하였다. 그들은 입자의 수량, 입자의 운동, 입자 간 상호작용을 대상으로 정하여 이상화하였다. 이상화의 대상이 된 입자의 세 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이상화 방법을 범주화한 결과, 그들은 균질화, 무시, 한정, 극한의 네 가지 방식으로 입자의 요소들 이상화하였다. 화학 연구원들의 이상화 전략을 학교 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이상화 능력을 촉진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object of the particles for idealization and types of idealization methods were classified by analyzing the explanations provided by chemistry researchers regarding chemical phenomena. One-on-one interviews was conducted, consisting of five questions pertaining to: the differentiation between diffusion and dissoluti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osmotic pressure equation and the ideal gas law, the assumptions underlying Raoult's law, the correlation between diffusion and effusion rate equations, and the interpretation of Ostwald's dilution law. The findings revealed that researchers commonly employed three primary entities for the process of idealization: the quantity of particles, the motion of particles, and the interactions among particles. Furthermore, when classifying types of idealization methods based on these three entities, it became evident that four principal idealization methods were typically employed: homogenizing, ignoring, finite, and infinite. It was suggested that the idealization strategies employed by chemistry researchers could potentially be applied in education to assist students in improving their ability to engage in the process of idealization.

      • KCI등재

        경포대(鏡浦臺) 제영(題詠) 한시(漢詩)에 나타난 이상화(理想化)의 양상(樣相) 연구(硏究)

        용환진 ( Hwan Jin Yo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7 漢文古典硏究 Vol.15 No.-

        우리 선인들이 남긴 문화유산 중에서 문학작품만큼 숨김없이 자기 반영을 하는 것은 없고, 이 문학작품 중에서도 시만큼 진솔하게 자기를 드러내는 것은 없다. 특히 漢詩는 어떤 것이든 作者의 理想이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 우리가 한시를 이해한다는 것은, 이 한시 작품들의 실상을 전제로 하여 무엇을 담고 있는가, 어떻게 표출하고 있는가, 무엇이기 때문에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가 하는 것들을 알아보는 일이다. 예컨대 사상을 기준으로 분류해 보면, 儒家的 理想을 읊은 한시, 佛家的 理想을 읊은 한시, 道家的 理想을 읊은 한시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는 한시가 실제로 있는 것을 읊은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실제로는 없는 것을 虛構化하여 읊은 것인가에 따라 實在世界를 읊은 한시와 虛構世界를 읊은 한시로도 구분해 볼 수 있다. 여기서 필자는 실재세계를 읊은 한시를 現實的 理想化로 허구세계를 읊은 한시를 非現實的 理想化로 정의하고, 이 기준에 따라 鏡浦臺 題詠 漢詩를 고찰하였다. 먼저 現實的 理想化를 읊고 있는 鏡浦臺 題詠 漢詩에서는, 인간 세상에서 느끼는 고뇌, 자신이 처한 현실 상황, 그리고 영원한 세월 속에 유한한 존재로서의 인간을 노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인간 세상에서 부딪히는 現實的 理想 世界를 形象化 한 것이 대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非現實的 理想化를 읊고 있는 鏡浦臺 題詠 漢詩에서는, 선인의 은둔 풍류를 흠모하고, 四仙들이 국토를 유람했던 일을 회상하며 경포대 주변을 신선 세계에 비유하며 신선 세계를 동경하고 있음이 확인 되었다. 다시 말해 이들 漢詩에서는 非現實的 理想 世界를 동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Nothing is as heart to heart self-reflecting as literary work of all cultural heritages left by our forefathers, and nothing is as self reflecting as poem of all literary works. In particular, even any kind of chinese poem reflects author`s idea. By the way, the fact that we understand chinese poem means that we try to know what is contained in these poem, how they are expressed, and for what reason they are expressed in that way. For example, they are classified as chinese poem recited as confucian ideal, and as buddhistic ideal by the criterion of ideology. And according as whether they recite what exists as they are. or they recite falsely what doesn`t exist, they are also classified as chinese poem reciting real world and one reciting false world. Thus I defined chinese poem reciting real world as realistic idealization and one reciting false world as unrealistic idealization, and then according to this criterion, I studied chinese poem titled Gyeongpodae. First of all, I came to know that the chinese poem titled Gyeongpodae reciting realistic idealization expresses suffering of human life, realistic situation of them, and human as limited existence in the eternal world and most of them are also making figuration of realistic ideal world. Next it was certain that chinese poem titled Gyongpodae expresses admiration of forefather`s refinement or reflects four angel`s sightseeing of our nation and worships angelic world comparing the surrounding of Gyeonpodae as angelic world, In other words, I came to know that these chinese poems worships unrealistic ideal world.

      • KCI등재

        인쇄-낭독-전시의 ‘보이기’ 전략과이상화 시의 에크리튀르

        홍성희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5

        이상화(1901-1943)는 1920년대 초중반 왕성하게 활동한 시인 가운데 한 명으로, 그의 시는 한국 근대시가 형성되어 가던 시기 시 언어에 대한 감각이 발명되고 변화해 간 궤적의 한 모습을 보여준다. 인쇄 매체에 시를 발표하고, 문예 강연에서 시를 낭독하고, 미술계의 전시회에 시화詩畫로 참여하기도 하면서, 이상화는 시의 언어를 ‘보이는’ 방법과 시의 언어를 통해 ‘보이게’ 되는 것들에 관해 충실히 고민해 갔다. 『백조』 활동 시기 다른 동인들과 더불어 이상화의 시가 적극 활용하고 있는 쉼표쓰기와 띄어쓰기 전략은, 문자가 그 시각적 효과로서 활성화시키게 되는 청각적 감각과 그것을 시각적으로 ‘보이게’ 할 수 있는 문자 자체의 가능성을 적극 탐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러한 전략을 경유하여 이상화의 시가 ‘보이게’ 되는 방식과 실제로 ‘낭독되는’ 방식을 긴밀하게 파악한 당대의 비평은, 의미를 실어 나르는 평면적 도구를 넘어서 감각들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입체로서 시의 문자를 적극 재의미화할 수 있었다. 한편 이상화의 시적 행보는 그러한 감각적 물질성을 점차 덜어내는 방식으로 평면화되어 간 1920년대 시 언어의 특수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쉼표를 포함한 문장 부호 사용을 줄이고 띄어쓰기 활용법을 거듭 바꾸어가면서, 이상화는 시가 보여주어야 할 것과 보여주지 않을 것 사이에서 ‘보이는’ 방식을 단순화해 가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한 변화는 시의 언어를 이미지와 함께 ‘전시’되는 대상으로 실천한 시인의 이후 행보와의 연관성 속에서 검토될 여지가 있다. 시작 활동 기간이 길지 않고 1927년 이후의 행적에 관한 자료가 더 필요한 상황이지만, 보여주는 적극적 행위이자 보이는 정적 대상으로서 시 언어가 가지는 특수성을 살펴간 이상화의 궤적은 문자의 복합적 물질성과 감각성의 측면에서 한국근현대시사를 이해해 갈 수 있는 문을 열어주고 있다. Lee Sang-hwa (1901-1943) was one of the poets who was active in the early and mid-1920s. His poem was a significant example which had shown the trajectory of the invention and change of the sense of poetic language during the period of establishment of modern Korean poetry. By publishing poems in print media, reciting poems at literary lectures, and participating in art exhibitions with poetry paintings, Lee Sang-hwa has focused on how to ‘show’ the language of poetry and what could be made ‘visible’ within it. Along with other members of 『Baekjo』, he actively utilized the comma writing and spacing strategies to activate the auditory sense of visual letters. Closely grasping the way in which Lee Sang-hwa’s poetic language became ‘visible’ through such strategies and the way in which it was actually ‘spoken’, contemporary criticism could found the letters of the poem as a three-dimensional material in which senses operate complexly, beyond being a two-dimensional tool carrying meaning. Meanwhile, Lee Sang-hwa’s poetic moves also revealed the specificity of the poetic language of the 1920s, which had become flattened in a way that gradually reduced such sensuous materiality. With decreasing use of punctuation marks, including commas, and repeated changes of the use of spacing, Lee Sang-hwa appears to be simplifying his poetic language between what it should and should not reveal. Such changes remain as a matter of thought in relation to the poet’s subsequent actions, who practiced the language of poetry as an object to be ‘exhibited’ along with images of modern art. Although the period of his activity was not long and there is a lack of the data on his activities after 1927, Lee Sang-hwa’s trajectory which examined the specificity of poetic language as an active act of showing and as a static object to be seen, opens the door to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poetry in terms of the complex sensuous materiality of letters.

      • KCI등재

        이상화 시의 시어 양상 연구

        박순원(Park, Soon-Weon)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4

        이 연구는 이상화 시의 시어 목록을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어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개별 연구자가 감당할 만한 규모의 시어 목록을 작성하면서 그 과정과 결과를 공유하여 시어 연구의 협업를 모색하는 차원에서 기획되었다. 이상화는 60여 편의 시를 남기고 있으며 전집 작업도 다양한 차원에서 여러 번 진행되어 시어 정규화 과정에 크게 무리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문의 Ⅱ장에서는 이상규, 유성호, 김학동의 전집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확정하고 입력하는 과정을 소상하게 밝혔다. 우선 전집들을 대조하여 이상화의 창작시 62편의 텍스트를 확정하였다. 자료를 검증받는 데는 전산자료를 공유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제약이 있을 때는 이와 같이 모든 과정을 밝히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Ⅲ에서는 이상화의 시를 통계 처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상화의 62편의 시에는 총 2,026개의 시어가 6,054회 출현한다. 통계적 특성으로는 한자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할 뿐 아니라 이상화 시어 중 의미 있는 국면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에서는 고빈도 어휘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일반명사 중 ‘신령’은 16회 반복되는데, 이는 『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 전체 시어 612,065번의 출현 빈도 중 4번에 불과한 시어이다. 또한 ‘신령’은 10편에 이르는 작품에 다양하게 출현하므로 앞으로 이상화 시를 규명하는 데 주요한 키워드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그리고 정지용 시의 고빈도 시어와 비교했을 때, 명사와 동사가 각기 다른 양상을 보여 앞으로 시어 연구의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Ⅲ, Ⅳ에서는 『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과 이미 제출되어 있는 정지용 시어의 자료를 적극 활용하였다. 더 많은 시인들의 자료가 확보되어 시어 목록에 대한 비교와 대조가 활발해진다면 시어와 시세계에 대한 더 정확하고 풍성한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reate a list of poetic words in Lee Sang-hwa’s poems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words based on this. This study was designed to seek collaboration in poetic research by creating a list of poetic words that can be handled by individual researchers, sharing the process and results. Lee Sang-hwa left about 60 poems, and the complete works were also carried out several times in various dimensions, so it was judged that the poetic words normalization process would be smooth. In Chapter Ⅱ of the main text, the process of confirming and inputting texts based on the complete works of Sang-gyu Lee, Seong-ho Yoo, and Hak-dong Kim was revealed. First, the texts of 62 Lee Sang-hwa’s creative poems were confirmed by contrasting the entire works. Sharing computerized data is the best way to verify the data, but when there are restrictions, revealing all the processes like this could be one method. In Ⅲ, Lee Sang-hwa’s poetry was statistically processed. In Lee Sang-hwa’s 62 poems, a total of 2,026 poetic words appear 6,054 times. Among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it was confirmed that Chinese characters not only occupied a large proportion, but also constituted a meaningful phase among idealized poems. In Ⅳ, the patterns and meanings of high frequency vocabulary were examined. Among common nouns, ‘spirit’ is repeated 16 times, which is only four times out of The frequency dictionary for the words of Korea’s modern poetry’s 612,065 times. In addition, since “spirit” appears in various ways in 10 works, it may serve as a key keyword for clar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Lee Sang-hwa’s poems in the future. In addition, compared to the igh-frequency poems of Ji-yong, nouns and verbs show different patterns, which could be an important clue for future poetic research. In Ⅲ and Ⅳ, we actively utilized The frequency dictionary for the words of Korea’s modern poetry’s and the data of Ji-Yong Jeong already submitted. If more poets’ data is secured and the comparison and contrast of the list of poetic words become active, a more accurate and richer understanding of poetic words and poetic worlds can be drawn.

      • KCI등재

        이상화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의 양상

        배선미(Pei, Xian-Mei)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4

        본고에서는 피식민 국가에 살다간 시인 이상화가 인지한 비극적 현실인식을 시로 확장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슬픔과 비애의 감정을 ‘멜랑콜리의 정동’이라고 규명하였고 층위를 나눠서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우선 이상화의 작품에 드러난 세계인식의 형성을 살펴본다면 ‘상실’이라는 체험이 위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는 자신이 직접 경험한 상실 체험과 이로 인해 파생된 우울한 내면을 동물 이미지와 결합하여 독특한 시 세계를 형성하였다. 조국과 민족 상실을 경험한 이상화는 자신이 처한 세계를 임박한 파국으로 바라보았다. 그의 시에 나타난 신 또는 신적인 이미지는 구원자의 모습이 아니라 오히려 피할 수 없는 재앙과 종말을 가져오는 부정적인 존재로 형상화되었다. 이런 불행의 심리가 세계의 종말과 초월적 존재의 구원에 대한 불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고에서는 ‘종말론적 멜랑콜리’라고 정의하였다. 이상화는 부정적 세계의 종말에 대한 기대를 표출했지만 이는 단지 파멸의식 또는 죽음 충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다. 파국과 같은 현실 속에서도 그는 새로 창조된 세계에 대한 희망을 간직하였으며 새로움을 추구하는 ‘영웅적 멜랑콜리’의 태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이상화 시에 나타난 멜랑콜리는 단순한 슬픔만으로 귀결된 것이 아니라 상실한 것을 인식하고 그 상실한 것을 새롭게 창조하게 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화의 멜랑콜리는 역동적인 힘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는 시 세계를 추동하는 원동력으로 작동한다. 그리하여 ‘멜랑콜리’는 그동안 감상주의 또는 퇴폐주의로 평가받았던 이상화의 시 세계를 재평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This paper mainly does research about a poet Lee Sang-hwa who has lived in a colonized country and his sadness he showed in his poem in the process of his cognition of the real world. And the feelings, which can be summarized as “melancholy affect”, will be investigated in layers subtly. By combining his experience of losing and the crying of animals together, Lee Sang-hwa expressed his sadness and sorrow over Japanese imperial aggression and extended sadness of his and the community. Besides, Lee Sang-hwa, who experienced the losing of his motherland and nation, believed that the world in which he lived was on the verge of collapse. The image of god in his poems didn’t mean the savior, but the brining inevitable disasters to the public of Korea oppositely. Therefore, a defiant attitude against the god was shown. Such a mentality, based on the expectation of the end of the world and the distrust of salvation, is defined as “the eschatological melancholy”. Despite of his expectation of the end of the passive world where he lived, this didn’t just end by the consciousness of destruction or the impulse of death. In the reality just as a dangerous situation, he was still hopeful about the “new world”, and put constant emphasis on innovation, which has demonstrated the “melancholia heroica”. In conclusion, the melancholy embodied in Lee Sang-hwa’s poems is not merely negative emotion, but an affect that implies a force driving him move forward. This is of great significance when re-examining his world of poetry.

      • KCI등재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의 ‘이상화(理想化)’ 양상 연구 - <사씨남정기>의 ‘사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길연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8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37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idealization aspect of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of Yussisamdaerok劉氏三代錄 in comparison with "Ms. Sa謝氏" of Sasinamjunggi謝氏南征記. The two figures are similar in that they embody the universal moral norms of human characters among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Korean full-length novel, and they experience similar conflict structures due to the hostility of the Concubine or second wife of husband. The creation of the works was similar in that it was created in a relatively early period of Korean full-length novel history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However, Unlike Ms. Sa謝氏 who is closely related to Buddhism and in the level to build a poetry,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has been strengthened in Confucianism and has emerged as a scholar-type person like saint or gentleman. Unlike Ms. Sa謝氏 who is obedient to her husband, in case of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the moral subjectivity is strengthened and the tolerance is maximized. Unlike Ms. Sa謝氏 who is confined company in the private domain,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orks in the public domain and at the same time returns the glory to the family of her husband. Unlike Ms. Sa謝氏 who is getting help from a patriarch or a deceased parents,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showed a difference in that she appeared as a solver of the Yee family with excellent foresight.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is a person who emphasizes moral and political autonomy compared to Ms. Sa謝氏 and poses a positive effect in that she is heighten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women by appearing as the most ideal humanoid form without the right of the director of the performance. In this context, it can be seen that the late Chosun Dynasty had a consciousness that women were equal subjects with men, mainly women with intellectuals, and the reality of the time when they tried to make political writings or to raise public speeches. However,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ho is idealized as an omnipotent and benevolent person like a saint, has a role as a solver that heals and manages the crack of patriarchy. The desire of men who desire absolute comfort or care from idealistic women during the 17th and 18th century extremist turmoil is projected to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which may be an example of overburdening women. In particular, even if patriarchy works for a corporation, it is a patriarchal system that only a husband exists in case of Ms. Sa謝氏, whereas Princess Jinyang晉陽公主 has father in law, mother-in-law and many brothers of his husband. 본고에서는 <사씨남정기>의 ‘사씨’와의 비교를 통해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의 이상화(理想化) 양상의 특징과 의의를 살펴보았다. <사씨남정기>와 <유씨삼대록>은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의 비교적 이른 시기에 창작된 장편소설로, 두 작품의 여주인공이라 할 수 있는 사씨와 진양공주는 장편소설의 여성인물 중 남녀 보편의 도덕적 인간형의 표준을 구현하고, 남편의 첩 혹은 둘째부인 등의 적국의 모함으로 인해 흡사한 갈등을 겪는다는 점에서 유사하다. 그런데, 불가와의 친연성이 높고 시문을 하는 정도의 사씨에 비해 진양공주는 유교 중심주의가 강화되고 성현군자와 같은 학자형 인물로 등장한다는 점, 남편에게 순종하는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도덕적 주체성이 강화되고 포용력이 극대화된다는 점, 사적 영역에 한정된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공적 영역에서 활약하면서 그 영광을 시가로 환원한다는 점, 돌아가신 시부모나 도승에게 도움 받는 사씨와 달리 진양공주는 뛰어난 예지력으로 시가의 해결사로 등장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진양공주는 사씨를 염두에 두고 고안된 인물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여성인물의 이상화라는 큰 궤적에서는 동궤에 있지만 여러 모로 사씨와 대척점을 지닌 인물로서 형상화되고 있었다. 특히 진양공주는 사씨에 비해 도덕적·정치적 자율성이 강조되는 인물로,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의 우의 없이도 가장 이상적인 인간형으로 등장함으로써 여성에 대한 인식을 최고조로 고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의의를 갖는다. 여기에는 조선후기 사대부가 지식인 여성을 중심으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주체라는 자각과 더불어 정치적인 글을 짓거나 상소문을 올려 공적 발언권을 가지려 했던 당대의 현실이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 사씨에 비해 성녀와 같이 전지전능하고 자비로운 인물로 이상화된 진양공주는 결국 가부장제의 균열을 치유, 관리하는 해결사의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 성찰도 요구된다. 17∼18세기 당쟁으로 인해 극도로 혼란한 시기에 이상적인 여성으로부터 절대적인 위안을 받고 싶은 남성들의 욕망이 진양공주에게 투사되어 있으며, 이는 여성에 대한 과도한 짐 지우기의 한 양태일 수도 있다. 사씨에게는 가부장제가 작동한다고 해도 남편만이 존재하는 단출한 가부장제인 데 반해, 진양공주는 시부모를 비롯한 남편의 숱한 형제로 구성된 거대 가부장제에 포섭됨으로써 진양공주에게 주어진 권한이 시가를 위한 것으로 회귀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17세기 후반~18세기 전반 장편소설에서는 여성인물의 이상화에 큰 공을 들이며 <사씨남정기>의 사씨를 거쳐 <유씨삼대록>의 진양공주에 이르면 그 극점에 도달하는데, 진양공주와 같이 극도로 이상화된 여성인물은 당대 여성들에게 빛과 그림자를 동시에 던져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