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르크하이머의 이데올로기 비판

        이종하(Jong-Ha Lee) 한국현상학회 2009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41 No.-

        호르크하이머의 이데올로기 비판은 사회비판의 수단이다. 그의 이데올로기 비판은 부정적 사회현실을 부정적 방식으로 들어내는 부정성의 원리에 의해 수행된다. 호르크하이머의 이데올로기 이론의 특징은 이데올로기 개념의 광범위하게 확장시켰다는 데 있다. 그는 이데올로기 개념을 다양한 절대적 가치나 입장을 주장하는 모든 이론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적 작용을 하는 모든 가치와 이론들도 이데올로기 개념에 포섭시킨다. 또한 행위자 관점을 도입해 이데올로기적 작용을 수행하는 모든 행위를 이데올로기 개념에 확장시킨다. 호르크하이머는 이데올로기 자체와 그것의 작용을 범주적으로 구분하지 않는다. 이것은 이데올로기 비판과 지배비판의 경계를 모호하게 한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그러나 호르크하이머의 확장된 이데올로기 개념의 이론적 한계는 총체적 지배비판의 차원에서 수행되는 이데올로기 비판이라는 측면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그의 확장된 이데올로기 개념은 사회적 지배방식의 변화에 따라 이데올로기 비판의 방식이 다르게 전개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부정적 사회현실이 존속하는 한 사회비판으로서 중단 없는 이데올로기 비판은 여전히 유효한 것이다.

      • KCI등재

        최인훈 비평에서의 관념 비판의 의미

        정영훈 한국현대문학회 202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8

        이 논문은 최인훈 비평에서 관념 및 관념 비판이 지닌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인훈은 비평 활동을 시작한 후 지속해서 관념이라는 문제와 대결해 왔는데, 그의 관념 비판은 이데올로기 비판의 의미로 이해될 만한 것이었다. 『현대 이데올로기의 제 문제』 기획자들이 최인훈에게 문학과 이데올로기의 관련성을 다룬 글(「문학과 이데올로기」)을 부탁하게 된 이유도 그의 관념 논의를 이데올로기 논의의 일종으로 이해했기 때문이었다. 최인훈에게 관념은 이데올로기를 포함하는 더 큰 개념이었고, 관념에 관한 논의는 이데올로기 논의에 선행하는 보다 근본적인 수준의 논의였다. 최인훈은 ‘관념=풍속+방법’이라는 등식을 통해 풍속이 관념의 발생적 근거이자 관념의 육화된 표현임을 보였고, 이를 통해 경화된 관념으로서의 이데올로기를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최인훈 관념 논의의 핵심은 서양의 관념을 수용하는 방식의 문제, 나아가 우리 현실에 대한 비판에 있었다. 관념 수용의 방식을 비판함으로써 관념 비판을 대신한 데 최인훈 관념 비판의 특수성이 있었던 것이다. 최인훈은 이데올로기보다 관념이라는 용어를 더 선호했는데, 이는 최인훈이 우리에게는 자생적 관념이 존재하지 않는 만큼 관념이 경화된 사례로서의 이데올로기 문제를 다루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했고, 오히려 우리 풍속에 기초한 관념의 수립 자체를 작가적 과제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풍속에 어울리는 적절한 인식을 수립하는 데 관심이 있었던 만큼, 최인훈은 폐쇄적이고 경화된 관념이라는 뜻의 이데올로기 대신 보다 근본적인 것으로서의 관념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으려 했던 것이다. 「문학과 이데올로기」에서 최인훈은 (DNA)′라는 메타포를 통해 관념의 성격 및 이와 관련한 문학의 과제를 제시한다. 개체 발생은 계통발생을 되풀이한다는 헤켈의 명제를 참고하여 이야기할 때 관념이 온전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그 관념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과정을 기억하고 되살리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는 문학과 예술이 담당해야 할 과제에 속한다.

      • KCI등재

        ‘이데올로기 비판’의 비판적 재구성

        임홍빈 범한철학회 2017 汎韓哲學 Vol.84 No.1

        Es handelt sich erstens um die analytische und kritische Darstellung der “Deuschen Ideologie”, wo die damaligen junghegelianischen Philosophen kritisiert werden. Das Hauptanliegen der Untersuchung ist die Aufklärung der Gründe, wie sich die methodologische Ansätze von Marx und Engels aus der kritischen Kritik der Ideologie ergeben. Im Laufe der hermeneutischen Rekonstruktion der betreffenden Schriften zeigt sich eine weit über den Idealismuskritik hinausgehende Intention von beiden radikalen Intellektuellen. Es wird besonders herausgehoben, dass sie sich selbst dazu gezwungen, eine 'immanente Kritik' als eine einzige Alternative zu akzeptieren. Darüberhinaus sehen wir eine radikale Entwicklung der Feurbachschen Religionskritik, wo wir das Paradox von Ikonoklast und Ikonolatrie unterstellen können. Schliesslich geht es um die Frage, ob die Ideologiekritik selbst in eine positive Theorie der Ideologie oder eine real-politische Ideologie rekonstruktriert werden kann. Ich argumentiere in meiner Untersuchung gegen solche Möglichkeit, so dass Marx sich selber nicht mit einem der vulgären Marxisten identifizieren konnte. 청년헤겔학파의 이데올로기비판이 마르크스와 엥겔스에 의해서 어떻게 비판되고 있으며, 이 같은 ‘비판의 비판’이 어떠한 방법론적 관점들을 채택하도록 요구하고 있는 지를, ‘독일 이데올로기’와 그 후 저술된 여러 관련 문헌들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다. 여기서 관념론으로서의 철학의 지양을 넘어 ‘이데올로기 비판’이 어떻게 ‘정치경제학 비판’으로 전개되는 지 살펴 볼 것이다. 그 과정에서 특히 마르크스는 ‘camera obscura’ 와 같은 시각적 이미지의 차용과 함께, 헤겔로부터 비롯하는 ‘방법론적인 내재주의’를 채택하게 된다. 또한 이를 서술하는 과정에서 ‘상품물신주의’에 대한 분석은 이데올로기비판의 연장선상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 글은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초기에 의존했던 포이어바흐적인 종교비판의 동기가 첨예하게 재구성되는 과정과, 우상파괴와 우상숭배의 이중성을 중심으로 형성되는 이데올로기비판의 딜렘마를 마르크스가 어떻게 우회하려고 시도하는 지에 대해 논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딜렘마는 이데올로기 비판 자체가 하나의 실정적인 이데올로기나 교리적인 정치이론으로 변형될 수 있는가에 대한 회의를 반영한다. 동시에 이는 급진적 계몽주의자로 간주될 수 있는 마르크스 스스로가 교조적인 마르크스주의자일 수 없는 하나의 논거로 간주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사회성격론 재론과 주체사상

        방인혁(Bang In-Hyuk)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3

        본 논문은 탈냉전 이후 변화의 현상과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대안적 비판이론을 구상하고 그 과정에서 마르크스주의와 주체사상이 기여할 수 있는 요소는 없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지구화로 함축되는 현재의 세계자본주의는 인류의 기존 생활방식에 근본적 변화를 초래한 것으로 보이게 한다. 그러나 이런 변화의 현상은 축적위기에 몰린 자본의 대응이라는 본질을 갖는 것이다. 달리 말하자면 신자유주의적 지구화를 가능케 한 생산력의 비약적 발전에 기존의 축적구조, 즉 자본주의적 생산관계가 질곡으로 작용하는 역사적 이행기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안적 비판담론은 변화의 현상과 본질에 근거하여 구상되어야 한다. 대안적 비판이론은 자본주의의 본질적이고 내재적인 모순의 극복을 지향하는 변혁의 관점에 기초하면서도 현상적 차원에서의 변화에 대응하는 구체적이고 현실적 대응방안을 겸비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한국에서 사회구성체론 재론의 형태로 제기되고 있는 몇 가지 대안적 비판이론들은 총체적 목표 설정과 현상적 변화에 조응하는 구체적 전략전술이나 조직방식 등에서 일면적 편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런 편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본주의를 이행 중에 있는 특정한 역사적 경제사회구성체로 보는 마르크스의 문제의식에 입각해야 한다. 또한 본질과 현상, 구조와 주체, 과학과 실천의 변증법적 종합을 시도한 마르크스 사상이론적 자원은 대안적 비판이론의 구성에서 불가결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한국사회에 수용되었던 소련의 마르크스-레닌주의는 마르크스주의 전통에서 가장 강력한 구조중심적이고 생산력주의적인 것이었다. 현재 제기되고 있는 대안적 비판이론들이 과거의 한국사회성격론을 비판하는 것은 이것과 무관치 않다. 마르크스주의에 대한 계승성과 독창성을 주장하는 주체사상은 구조중심적이고 생산력주의적 마르크스주의 이론들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로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달리 말하자면 마르크스주의에 대해 독창성과 계승성을 주장하는 주체사상의 의의와 문제점에 관한 정치사상적 검토는 원래의 마르크스의 사상이론적 문제의식으로 되돌아갈 수 있는 계기로 될 수 있다. 대안적 비판이론 구상에서 주체사상을 재론하는 의의는 바로 여기에 있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consider whether or not Marxism and Ju-Che Ideology can have contributory elements to construct an alternative critcal theory by grasping the phenomena and essence of changes since the post-cold war. The present global capitalism that is compressed into the globalization seems to change human lifestyle fundamentally. However the phenomena of this changes are in essence the countermeasures of the capital that has been faced with the accumulation crisis. In other words, this period is the historical transition phase when the established structure of accumulation, that is, the capitalistic relation of production fetters to the rapid development of productive force that has made the neo-liberalistic globalization possible. Accordingly the alternative critcal theory should be constructed based on the phenomena and essence of these changes. The alternative critcal theory ought to base on the revolutionary point of view that aims at overcoming the essential and inherent contradictions of capitalism and should fulfill the concrete and realistic countermeasures to cope with phenomenal changes at the same time. But we can ascertain that some alternative critcal theories which have been proposed in the form of reargument of the debate on the south korean socio-economic formation have biased views at establishing the general goal as well as concrete strategy and tactics and organization method that can be correspond with phenomenal changes. In order to overcome these biased views, we must based on the original Marx’s point of view that defined capitalism as the special historical socio-economic formation at transition. Also the Marx’s theoretical resources that attempted at the dialectical synthesization between essence and phenomenon, structure and agent, science and practice give an indispensable insight to construct an alternative critcal theory. However the Soviet Marx-Leninism that has been introduced into this country since mid-1980s is the strongest structure-determinism and the productive force-determinism in the Marxist tradition. It is related to this condition that the proposed alternative critcal theories at present criticize the past debate on the socio-economic formation. The Ju-Che Ideology that maintains the originality and inheritability from Marxism may have a the significance as a raising a question on the structure-deterministic and productive force -deterministic Marxism. In other words, the political ideological investigation on the meaning and flaw of Ju-Che Ideology that maintains the originality and inheritability from Marxism can be a moment to turn back the original assertion of Marx. It is the very reason to reargue Ju-Che Ideology in the process of considering an alternative critcal theory.

      • KCI등재

        논문 : 대학에서 비판적 사고 교육의 의의 -경쟁과 긍정적 사고를 넘어서-

        박정호 ( Jeong Ho Park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1 시대와 철학 Vol.22 No.2

        본고는 경쟁과 긍정적 사고가 우리 사회와 대학을 지배하는 주요 삶의 양식이자 이데올로기임을 밝히고 이를 극복하는 데 비판적 사고 교육이 어떤 의의를 지닐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우리 사회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영향 아래 무 한 생존 경쟁이 지배적인 삶의 양식이 되었으며 이는 우리의 경쟁 위주의 교육 체제와 맞물려 증폭되었다. 무한 경쟁 체제는 자유 경쟁이 불가피하고 바람직하다는 경쟁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해 뒷받침된다. 가혹한 경쟁주의 논리를 보완하는 이데올로기가 긍정주의로서, 긍정주의는 긍정적 사고가 성공과 행복을 가져오므로 부정적 사고를 멀리해야 하며 불행과 실패는 개인의 마음 탓이라고 주장함으로써 비판적 사고를 마비시킨다. 경쟁주의와 긍정주의는 대학에도 침투하여 학생들은 배려와 공감의 능력과 태도, 전체적·맥락적 사고 능력, 비판적 사고 능력 등을 계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능력과 태도를 함양하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 교육이 필수적이다. 현재 비판적 사고 교육은 대체로 논리적 사고력 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비판적 사고에는 능력 뿐만 아니라 태도 또는 성향이 포함되어 있다. 현재 우리 사회에서 대학생들이 함양해야 할 주요한 비판적 사고 성향으로는 자신에 대한 반성적 사고 성향, 타인에 대한 공감적 사고 성향, 전체적으로 사고하는 맥락 추구 성향, 행동과 삶의 의미를 묻는 의미 추구 성향 등이 있다. 능력과 성향을 모두 포함하는 비판적 사고에 대한 교육은 경쟁과 긍정적 사고로 인한 대학생들의 인성 왜곡에 맞서 비판적 지성의 산실이라는 대학의 전통적 이상을 회복하기 위해, 그리고 풍부한 감성과 높은 덕성을 갖춘 비판적 지성인의 양성이라는 전인 교육적 인성 교육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가장 시급히 요청되는 교육이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at competition and positive thinking is the main forms of life or ideology in our society and colleges and that critical thinking education is significant in overcoming competition and positive thinking. Since the exchange crisis of 1997 limitless survival competition became the dominant forms of life in our society and it was amplified through the competitive educational system. Limitless competition system is supported by the competitionist ideology that insists on the inevitablity and desirability of free competition. Affirmativism compliments the brutal competitionism and asserts that positive thinking brings success and happiness and that negative thinking brings failure and unhappiness. Competitionism and affirmativism have permeated the universities and so students cannot develop their sympathetic attitude, contextual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To cultivate these abilities and attitudes critical thinking education is necessary. Critical thinking contains not only abilities but also attitudes or dispositions. It is necessary for our university students to develop reflexive, sympathetic thinking disposition and context-and meaning-persuing disposition. Critical thinking education should oppose distortion of students` character due to competition and posi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education is necessary to realize the ideal of character education that is to cultivate the critical intellect with rich sensibility and high morality.

      • KCI등재

        비판적 담론 분석과 비판적·해방적 학문

        신진욱(Jin-Wook Shin)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89

        이 연구는 오늘날 담론분석과 문화연구 분야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비판적 담론분석 학파의 비판적 - 해방적 목표와 대표적인 담론분석의 연구사례들을 검토하여, 비판적 담론 분석의 한계와 문제, 과제를 정식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비판적 담론분석 학파는 담론을 단지 언어적 텍스트와 기호체계로 이해하지 않고, 사회적 총체의 한 계기로서 작용하는 사회적 실천으로 간주한다. 특히 사회의 지배관계를 재생산하고 강화하는 데 기여하는 담론의 질서와 언어적 장치들을 규명하여, 그것의 이데올로기적 자명성을 해체하고 해방적 인식의 가능성을 여는 것이 핵심적 목표다. 담론분석의 연구실제에서 그와 같은 비판적 - 해방적 인식관심은 무엇보다 담론의 권력효과, 이데올로기의 언어적 장치들, 지배담론의 역사적 전승과 사회적 확산 기제를 규명하는 것을 통해 구현됐다. 그러나 비판적 담론 분석은 지배관계를 치밀하게 폭로하기보다는 규범적 판단을 선언적으로 전제하는 경향이 있으며, 언어적 전략과 장치에 대한 분석에 국한되어 국가권력과 자본주의의 작동양식에 대한 분석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지 못했고, 담론의 지배기능과 헤게모니 효과를 드러내는 데 치중하여 담론의 적대성과 균열, 담론투쟁의 역동성을 포착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상의 한계를 극복했을 때 비판적 담론 분석의 비판적 · 해방적 목표는 힘과 예리함을 더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sympathetic criticism of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pproach by way of the critical reassessment of their criticalemancipatory interest and some major research practices. The CDA school criticized the formal notion of discourse as a linguistic text corpus and semiotic system, and understood it as a social practice which functions as a constituent moment of the social totality. In particular, the main purpose of the CDA is to inquire into the order of discourse and linguistic devices which contribute to the reproduction and reinforcement of the system of domination within a society, and to disintegrate their ideological self-evidence and to open up the possibility of an emancipatory discourse. In the research practices of discourse analysis, such a critical-emancipatory interest was realized by way of investigating and revealing the power effect of discourses, the ideological linguistic devices, and the mechanisms of historical transmission as well as systemic diffusion of the dominant discourses. Despite the immense significance of these theoretical elaborations and research contributions of the CDA, however, the CDA tended to start from a declaratory moral-political judgment instead of exposing the reality of domination and injustice; was not that successful in integrating a deeper analysis of the state power and capitalism into the discourse analysis; and gave undue value upon the hegemonic effect of the dominant discourses, while overlooking the antagonism, rupture, and struggles within the field of discursive interactions in society.

      • KCI등재

        기독교의 이데올로기 관련성과 정치이데올로기적 역할

        김녕(Nyung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09 현상과 인식 Vol.33 No.4

        ‘이데올로기’라고 매도되던‘해방신학’에서처럼, ‘이데올로기’는 교회 안팎에서 흔히‘나쁜 것’으로 간주되곤 했는데 그런 편견은 극복되어야 한다. ‘이데올로기’는‘더 나은 세상에 대한 신념과 그런 세상을 위한 정치적ㆍ사회적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원칙이나 사고의 체계’이므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다. 그리고 역사상의 기독교는 이데올로기로부터 자유롭지도 초연하지도 않았다. 기독교는 이데올로기성, 이데올로기 비판성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 초월성도 지닌다. 또한 기독교는‘하느님 나라’의 정치질서에 기반을 둔 미래에 대한 신념과 비전을 지니기에 정치 이데올로기적인 특성도 지닌다. 기독교는, 본연의‘예언자적 역할’에 입각하여, 일반 정치 이데올로기들에게 정치 이데올로기들이 추구해야 할 궁극적인 방향을 제시해주는‘빛’의 역할과, 그 이데올로기들이 잘못되어 갈 때엔 그들을 규탄하는‘소금’의 역할을 해 줄 수 있다. 이데올로기적 접근을 통해서 신학과 사회과학이, 그리고 신앙과 정치가, 만나므로 기독교의 이데올로기 관련성 연구는 중요하다. As seen in the case of liberation theology that has been harshly criticized as nothing but an ‘ideology’, there has been strong prejudice against the term ‘ideology’from within and without the church. This article argues, first of all, that the prejudice can be overcome by defining ‘ideology’properly and rationally as the body of doctrine or thought forming a belief in, and a political or social program for, a better world, not merely stigmatizing it as a bad thing preoccupied with partial interests or class interests. This article, then, explores how the Christian religion is related to ideology and what politico-ideological roles it can play to secular political ideologies. Major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ristian religion in history has neither been free from nor aloof from ideologies. Secondly, it has characteristics that equal to ideologies, on the one hand, and that transcend ideologies, on the other, for it pursues something eternal and universal, e.g., the justice of the Kingdom of God. These dual characteristics enable it to play some critical and enlightening roles to secular ideologies. Thirdly, it also has politico-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at it seeks to realize the Kingdom of God in this real world. It has body of doctrine or thought forming a belief in and a vision for the future based on a better political order. It is ow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ligion, both politico-ideological and transcendent, that the ‘prophetic role’of Christian religion can play the role of “the light and the salt”for political ideologies, showing them the eventual direction they will have to seek, and denouncing them when they degenerate into nothing but reigning ideologies that play the hypocrite. And, lastly, ideological approach is indispensable for us to understand how the Christian religion actually can work for making the world better and how religious faith can be connected to political action. It is through ideological approach that theology meets social sciences, and that religious faith meets politics.

      • KCI등재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 연구

        김유미 ( You Mi Kim ) 한국독서학회 2014 독서연구 Vol.0 No.3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 학습자의 기능적 문식성(functional literacy)과 비 판적 문식성(critical literacy)을 균형 있게 신장할 수 있는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 및 방법을 고안하는 것이다. 현재의 비판적 읽기 교육은 국어교육 초기 에 비해 외연이 확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글을 읽고 내용의 타당성 이나 표현의 효과성, 자료의 적절성 등을 평가하는 기능 중심의 활동이 주된 교수.학습 내용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비판적 문식성 교육을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연구의 결과가 원리나 방향 제시 수준 에 머물러 있으며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내용 및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 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판적 담화분석(Critical Discourse Analysis)의 관점과 방법을 읽기 교육에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비판적 담화분석은 담화분석 연구의 한 유형으로서 사회적 권력 남용, 지배, 불평등이 사회.정치적 맥락 속에서 말이나 글에 의해 구현되고 재생산 되고 저항되는 방식을 연구하는, 비판적 사회학의 접근법 중 하나이다. 비판 적 담화분석은 텍스트의 언어적 실현 양상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관련지어 이해하게 하고 그 속에 담긴 공동체의 가치관이나 사회적 신념 등을 인식하 고 비판하게 함으로써 텍스트와 독자의 인지적 작용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비판적 읽기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연구자는 비판적 담화분석의 개념, 원리, 방법 등을 이론적으로 고찰하 고 이것을 국어교육에서 학습자의 비판적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읽기 교육의 절차를 ‘인식 확장’, ‘비판적 담화분석 실행’, ‘확인 및 내면화’의 3단계로 구안하였다. ‘인식 확장’ 단계에는 ‘언어 사용(읽기)에 대한 인식’과 ‘자기반성적 점검’을, ‘비판적 담화 분석 실행’ 단계에는 ‘언어적 실현 분석’, ‘사회적 맥락 분석’, ‘언어적 실현과 사회적 실재의 연관성 해석 및 문제점 비판’을, ‘확인 및 내면화’에는 ‘분석 결과의 표현 및 확인’과 ‘학습 내용 내면화’를 세부 내용으로 구성하고 각각 에 적합한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고안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예비 연구에 참가한 81명의 학생들 중 61명을 재선정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검증을 위한 실험은 61명의 학생들을 세 집단으로 나누어 각기 다른 내용의 수업을 수행하고 그들의 비판적 읽기 결과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 다. 첫 번째 집단에는 비판적 담화분석을 활용한 비판적 읽기 수업을, 두 번째 집단에는 기존의 학습방식에 따른 비판적 읽기 수업을, 세 번째 집단에 는 비판적 읽기와 무관한 외래어 표기법 수업을 수행하였다. 총 3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한 후 학생들에게 동일한 논평을 읽고 분석하고 평가하는 과제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과제 수행 결과에 대한 통계적 분석과 내용 분석 을 하여 비판적 담화분석 활용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new contents and methods of critical reading education so that high school students can improve their critical literacy. At present, the critical reading education has mainly centered on those activities aimed at evaluating the validity of contents, effectiveness of expression, appropriateness of materials, etc., while putting a less focus on the context of texts or their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a principle and method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should be also applied to reading education in order to overcome such bias in the current reading education and keep a balance between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education. In this study, the procedure of such reading education consists of three stages; “expanding recognition”, “practic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ascertainment and internalization” In more detail, the stage of expanding recognition includes “recognition on language use (reading)” and “self-reflective monitoring”. The next stage of practic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s composed of “analysis of linguistic realization”, “analysis of social contexts” and “interpretation of connection between linguistic realization and social reality”. And, the last stage of ascertainment and internalization consists of “expression and ascertainment of analysis results” and “internalization of learning cont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newly devised educational contents and methods, 61 students were selected out of 81 ones who participated in the preliminary study,and the critical reading classes were carried out for them. This test for verification was performed in such a way that those 61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o receive different classes from each other. The first group was involved in a reading clas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second group was placed in a critical reading class according to an existing learning method, and the third group took a spelling class, having nothing to do with the critical reading. After those classes were performed a total of three times, 61 students were given the same articles and asked to analyze and evaluate them. Then, we came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 of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exhibited an educational effect by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on task performance results. As a result of analysis, when reading the article, those students who took the class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were characterized by evaluating the contents, expressions and structures of the article in an overall aspect and criticizing it based on logical and objective grounds. They went so far as to figure out even social cognition embedded in texts by understanding them in social contexts, and express meaning construction in a more logical and systematic way after critical read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detailed method for critical literacy education, which has been actively discussed in recent times. It also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students`` critical reading performance aspects empirically, find out problems, and prepare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results. Furthermore, it examin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in actual classes, which has emerged as a relatively new field of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ircles, and applied it to teaching and learning areas, as well.

      • KCI등재

        아도르노: 사회비판으로서 음악비판

        이종하(Lee Jong-Ha)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6 No.4

        아도르노에게 음악은 곧 인식이며 음악비판은 사회비판을 의미한다. 사회비판으로서 음악비판은 내재적 비판과 음악의 사회적 기능비판으로 구분된다. 내재적 비판은 매개의 문제가 그 중심에 있고 음악의 사회적 기능비판은 물화비판과 이데올로기 비판을 축으로 한다. 사회비판으로서 음악비판은 사회적 부정성의 인식과 함께 다른 사회의 가능성을 보여 주는데 있다. 아도르노의 사회비판으로서 음악비판은 생산미학, 내용미학, 규범적 원리, 광범위하게 확장된 이데올로기 개념, 음악청중의 자율성에 관한 소극적 인식, 작곡주체에 대한 과도한 의미부여, 물화테제의 지나친 강조에 기초하고 있다. 이론적 난점에도 불구하고 부정의 정신으로서 아도르노의 음악비판은 상업주의의 딜레마 속에 빠져있는 진정한 음악과 상품화를 내세우는 음악에 대한 비판을 수행하며 음악 속에 내재한 사회적인 것을 의식화하는 데 여전히 유효한 주장이다. 다른 음악의 가능성에 대한 아도르노의 요구는 다른 사회에 대한 요구이며 음악은 유희와 기분전환, 가상을 넘어서 그것을 보여주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교육목적으로서 비판적 사고의 재고찰

        최석민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09 초등교육연구논총 Vol.25 No.2

        본 연구는 비판적 사고가 교육목적으로 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즉 비판적 사고의 이유 검토와 같은 활동이 이데올로기의 문제를 넘어서서 존재할 수 있느냐의 문제에 대해 대답하고 그 대안으로 다관점 인식활동과 변증법적 대화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검증을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전통적 담론에서 비판적 사고가 점하고 있는 자율성의 기업으로서의 성격과 그 기준에 대한 주장을 검토하였다. 또한 비판적 사고 연구가들의 주장이 여전히 이데올로기적 맥락 속에 위치하고 있다는 주로 비판이론가들의 비판과 이에 대한 비판적 사고의 옹호론자의 대답을 통해 양자의 논의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론으로 본 연구는 철학적 논의를 통해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에 필요한 합의점을 쉽사리 도출해 낼 수 없다고 판단하는 대신, 이 문제는 종국에서 적절한 교육적 논의를 통해 방법론을 강구하는 것이 가장 타당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그 대안으로 다관점 인식활동과 변증법적 대화를 제안하였다. 연구자는 이 두 접근이 공히 자신의 관점과 자신의 관점과 반대되는 관점에 대한 중립적 인식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비판적 사고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문제 제기를 충분히 담당할 수 있으면서도 전통적 비판적 사고의 개념 내에 위치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절충적 대안으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