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음에 기반한 의미 연구의 흐름과 전망

        이동혁(Lee Dong-Hyeok)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9 No.-

        이 글은 마음에 기반한 의미 연구의 흐름과 전망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지시의미론에서는 실재하는 세계에 존재하는 대상을 의미라 간주한다. 만약 실재하는 세계에 지시대상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지시의미론의 장점이 사라진다. 의미를 마음 속에 존재하는 개념으로 본다면 지시의미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Ogden & Richards(1923)의 의미 삼각형에서 마음 속에 들어온 개념을 발견할 수 있다. 마음 속에서 언어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것은 생성언어학의 공이었다. 뇌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 인지 작용은 언어의 의미 구성과 밀접하다. 뇌의 생리적인 활동을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이 발달하여 뇌를 이루는 뉴런들이 계층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계층구조는 개념의 구축과 구조화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인지의미론에서 연구되고 있는 주제를 계층구조의 측면에서 일관성이 있게 살펴보았다. 지난 인지의미론 연구는 언어적 상호작용에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 앞으로 인지의미론에서는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적 사고에 초점을 두고 연구할 것을 전망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look at the flow and prospect of semantic research based on the mind. The referential theory considers meaning as the object that exists in the real world. If there are no objects in the real world, the merits of the theory disappear. Seeing meaning as a concept that exists in the mind can solve the problem of referential semantics. In the triangle of meaning of Ogden & Richards (1923), we can find the concept that came into your mind. t was the work of generative linguistics that specifically explained the working of language in the mind. The cognitive function based on the activity of the brain is similar to the activity of the meaning of language. Advances in the technology to check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brain have shown that the neurons that form the brain are stratified. And hierarchy has an absolute influence on the building and structure of concepts. The topics being studied in the cognitive semantics were examined consistently in terms of hierarchy. Past research in the cognitive semantics was not very interested in linguistic interactions. In the future, the cognitive semantics predicts that the research will focus on the relational thinking of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involved in communication.

      • 사회구조와 의미론

        이남복 청주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2013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5 No.1

        Luhmann approached "semantics" by raising issues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sociology of knowledge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Whereas traditional sociology of knowledge explained the relationship through "subjection of existence" concept, Luhmann focused on the "structural coupling" of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First of all, he explained the changes in social structures based on "complexity" concept. With the characteristic of rising social complexity,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become correlated through particular mediums and forms. Social complexity reflects the situations, roles and differentiation of partial systems contained in semantics. On the other hand, semantics respond with concepts of "contingency" of "operation" that limits selectivity of “communications” and complexity of social systems. Luhmann classified social types in accordance with degree of social complexity. In societies stratified with hierarchy, special semantics are created, since communications are usually done within each social class. In today's society with differentiated functions, exclusive semantics appropriate for each functional system are established, because communication patterns are followed within the functional systems. Semantics and social structures are inter-dependent because the process of their differentiation is based on their structural coupling. Such inter-dependence is a prerequisite of their individual "evolution." Semantics that are structurally linked to social systems can affect them, and semantics are affected by the disturbance of social systems. Evolution of semantics always remain at a "self-reference" level in everyday social life, and its exclusive stimulation is ensured only through differentiation of social structures. Social systems tend to rely on semantics in order to maintain communications, the basic operational mediums in society. Through such structural coupling, the “variability of historical and circumstantial distinction”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mantics and social structures can be recognized. However, this thesis is intended to explore semantics as "interpreting patterns" for resolving issues through functional analysis of meanings and structural coupling concepts from the standpoint of "systems theory". First of all, this thesis will explore the meaning of systems theory and semantics. Next, the structural coupling of social structures and semantics will be analyzed by explaining the accessibility of meanings and their three different aspects, based on the operational concept of the systems theory. Finally, interpreting patterns for resolving issues with "systems" and "environment" will be explored through functions of semantic concepts in connection with structural coupling. 루만은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서 전통적 지식사회학과는 다른 문제제기로 “의미론”에 접근하고 있다. 전통적 지식사회학이 “존재의 피구속성”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면, 루만은 오히려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구조적 연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우선 루만은 사회구조의 변화를 “복합성”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다. 사회적 복합성의 상승을 그 특징으로 하는 사회구조와 의미론은 특정한 매체와 형식을 통하여 그 변화관계를 형성한다. 사회적 복합성은 의미론이 함축하고 있는 상황, 역할이나 부분체계의 분화를 반영한다. 반면에 의미론은 사회체계의 복합성과 “커뮤니케이션”의 선택가능성을 제한하는 “조작”의 “우연성”에 상응하는 개념으로 응답한다. 루만은 사회복합성의 정도에 따라 사회유형을 구분하고 있다. 위계질서로 계층화된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주로 계층 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에서는 특별한 의미론이 형성된다. 오늘날과 같이 기능분화된 사회에서 의미론은 특히 기능체계 내에서 커뮤니케이션 궤적을 따르기 때문에, 각각의 기능체계에 적절한 독자적인 의미론이 형성된다. 의미론과 사회구조의 구조적 연계는 의미론과 사회구조가 분화 되는 과정에서 서로 그 필연성을 사용하기 때문에 서로 의존관계에 있다. 이러한 의존성은 각기 “진화”를 하기위한 전제조건이다. 사회체계와 구조적으로 연계된 의미론은 사회체계를 자극할 수 있으며, 의미론 자체는 다시 사회체계의 교란에 의해 자극을 받는다. 의미론의 진화는 언제나 일상적인 사회생활에서 "자기준거"에 머물러 있으며, 사회구조의 분화를 통해서만 독자적인 활성화를 보장받을 수 있다. 사회체계는 다시 그 기초적 조작인 커뮤니케이션을 유지하기 위해서 의미론에 의지하고 있다. 이처럼 구조적 연계를 통하여 의미론과 사회구조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상황적 구분의 가변성”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글의 목적은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의미의 기능분석과 구조적 연계 개념을 통하여 문제해결의 “해석패턴”으로서 의미론을 모색하는데 있다. 우선 이 글은 체계이론의 의미와 의미론을 살펴 볼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체계이론의 조작적 개념을 토대로 의미의 접속 가능성과 의미의 세 가지 차원을 설명하여 사회구조와 의미론의 구조적 연계로서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끝으로 구조적 연계로서 의미 개념의 기능을 통하여 “체계”와 “환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석패턴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소통, 사회구조와 의미론 -코젤렉의 개념사 연구의 대안으로서 루만의 의미론-

        이철 ( Chul Lee ) 한림과학원 2013 개념과 소통 Vol.0 No.12

        본 논문은 루만의 “의미론” 연구의 성과를 분석한다. 의미론에 관해서는, 사회구조와 의미론 상관관계 테제와 소통과 의미론의 순환관계 테제를 끌어낼수 있다. 본 논문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상관관계 테제를 순환관계 테제의 기본틀 안에 통합할 것을 주장한다. 의미론과 사회구조는 둘 다 형식인 반면, 소통과 의미론은 사건과 형식으로서 루만 사회 이론의 기본 구도이기 때문이다. 루만에게 있어 사회적 세계는 소통 사건의 창발에서 생성되고 형식에 힘입어 후속 사건으로 이어진다. 소통은 의미론을 만들어 내고, 의미론은 그 자신이 소통을 통해 활성화되며 후속 소통을 용이하게 한다. 순환관계 테제는 소통과 의미론과 기능체계들의 생성과 변이를 설명할 수 있다. 루만의 근대분석은 소통 기관들의 독립분화와 의미론과 기능체계들의 독립분화가 서로를 진작시킨 결과 “기능적으로 분화된 세계 사회”로의 구조 변동을 완료했다는 데에 있다. 루만의 의미론 분석은 코젤렉의 개념사 연구 전통의 문제의식을 계승했는데, 이제 개념사 분석을 이론적·방법론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개념사 연구가 역사적·정치적 차원에만 분석을 제한한 데에 비해, 의미론 연구는 전체 사회의 맥락에서 모든 사회영역들에 대해 이루어진다. 역사주의에만 의존하는 관점은 기능주의적으로 통제되는 관점으로, 단수의 개념사는 복수의 의미론으로 대체된다. 지식을 존재구속성에 묶고 인간행동을 결과하는 것으로 보는 유물론적 전통의 지식사회학적 관점은 의미론 자체가 소통을 통해서만 현실화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하는 체계이론적 지식사회학적 관점으로 대체된다. 무엇보다도 루만의 의미론 분석은 사건을 기본 단위로 하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역사적 변화뿐만 아니라 단기간에 실행되는 역사적 사건의 분석에도 사용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Luhmann`s analysis of semantics to show how the correlation of societal structure with semantics can be integrated with the circular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and semantics. This is because communication, as an event, and semantics, as a form, make up the basic composition of Luhmann`s theory of society; whereas both semantics and societal structure are regarded as forms. For Luhmann, social systems are generated by the emergence of particular modes of communication, and their successful propagation depends on their form. Communications generate semantics, and semantics are activated through communications, facilitating subsequent communications. The thesis of circular relations can explain the generation of and variation among communication, semantics, and functional systems. Luhmann`s analysis of modernity proposes that differentiated modes of communication and differentiated specific semantics and functional systems act together synergistically to complete the structural changes necessary to establish a “functionally differentiated world society”. Luhmann`s analysis of semantics, which has been influenced by the conceptual history studies of Reinhart Koselleck, and addresses a similar set of problems, can now contribute som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ssistance to the study of history. Whereas the study of conceptual history limits itself to the historic and political dimensions, the study of semantics is applicable to almost all societal spheres. A perspective dependent on historicism is replaced by one in which historicism is mediated by functionalism, and a singular history of concepts gives way to plural semantics. A sociology of knowledge in the materialist tradition, in which knowledge is bounded by existence and this influences human actions, is replaced by a system-theoretical sociology of knowledge, in which semantics can be actualized only through communication. Thus, Luhmann`s analysis of semantics, which is built up from events, can be adapted to study historical processes transpiring in a short space of time as well as those occurring over a longer period.

      • KCI등재

        은유에 대한 의미론적 접근 비판

        강선아 ( Sun Ah Kang ) 한국미학회 2011 美學 Vol.66 No.-

        단지 언어의 장식적인 사용일 뿐이라는 전통적인 비난으로부터 은유를 구제하기 위한 최근 시도들은 은유의 인지적 역할을 강조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연구들 중 은유의 의미 전달 측면을 강조하여 은유를 의미론적 현상으로 보려는 이론의 타당성을 검토한다. 진리조건 의미론의 전개 과정에서 은유적 의미가 의미론에 적합하지 않다고 간주된 이유를 각각 데이비슨의 외연적 의미론과 프레게의 내포적 의미론의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은유가 외연적 의미론과 내포적 의미론 중 어디에도 포함될 수 없는 주된 이유는 은유가 맥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맥락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현상은 지시사와 같은 언어 표현에도 나타나며 카플란의 특성(character)과 내용(content) 구분은 지시사의 맥락 의존성을 의미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카플란의 Dthat개념은 일상적 표현이 지시적으로 사용되는 현상 역시 의미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스턴의 Mthat 이론은 이러한 카플란의 Dthat 이론을 은유 이론에 적용한 것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Mthat은 Dthat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표현을 맥락 의존적 표현으로 만들지만 내용으로 대상을 산출하는 Dthat과는 달리 Mthat은 속성들의 집합을 산출한다. Mthat은 은유를 정당하게 의미론에 포함시키면서도 맥락에 따라 다양한 은유적 해석이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된다. 그러나 Mthat의 도입은 우리의 언어적 직관에 맞지 않으며 언어의 형식 체계를 지나치게 복잡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논의로부터 이 글에서는 은유에 대한 의미론적 접근은 은유의 인지적 역할을 주장하기 위한 적절한 방식이 아니라고 결론 내린다. Metaphor has been blamed for its emotive feature and for its dubious cognitive role. Recently, many theorists who attempt to defend metaphor from these blames emphasize the cognitive aspects of metaphor by means of metaphorical meaning. In this paper, I shall exam the semantic approaches to metaphor and show the reason why metaphorical meaning is not appropriate for truth-conditional semantics, neither extensional nor intensional. The main obstacle to the semantics of metaphor is that the meaning of metaphorical expressions varies depending on the context. Stem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with Mthat operator which has similar but distinct function from Kaplan`s Dthat. Both Dthat and Mthat make stable character into unstable, but unlike the character of Dthat, which yields an individual as its content, the character of Mthat expression yields sets of properties. On this base, Stem argues that metaphors are semantic clements. However, our linguistic intuition doesn`t support the existence of Mthat operator with regard to metaphor interpretation. Moreover, Mthat operator makes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language too complicated. The failure of the semantics of metaphor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semantics is not an appropriate method to show the cognitive aspects of metaphor.

      • KCI등재

        퍼지 논리 IMTL을 위한 대수적 루트리-마이어형 의미론

        양은석 ( Eunsuk Yang ) 한국논리학회 2020 論理硏究 Vol.23 No.3

        대수적 루트리-마이어형 의미론이라고 불리는 루트리-마이어형 의미론이 퍼지 논리 체계 MTL을 위하여 연구되었다. 우리는 이연구를 누승적 체계들로 확장한다. 이의 한 예로 이 글에서 우리는 퍼지 논리 체계 IMTL을 위한 대수적 루트리-마이어형 의미론론을 연구한다. 먼저 퍼지 논리 체계 IMTL과 대수적 의미론을 소개한다. 다음으로 이 체계를 위한 대수적 루트리-마이어형 의미론을 제공한 후, 이를 대수적 의미론과 연관 짓는다. Routley-Meyer-style semantics, called algebraic Routley-Meyer-style semantics, was investigated for the fuzzy logic system MTL. This paper extends this investigation to involutive systems. More precisely, as an example, we consider such semantics for the fuzzy logic system IMTL. First, we recall the involutive monoidal t-norm logic IMTL and its algebraic semantics. We next introduce algebraic Routley-Meyer-style semantics for it and then connect this semantics with algebraic semantics.

      • KCI등재

        논리교육의 토대로서 내포와 외연

        은은숙 새한철학회 2024 哲學論叢 Vol.116 No.2

        본 연구는 상호 보완적인 두 가지 목표를 가진다. 우선 하나는 필자를 포함해서 논리교육을 강의하는 일선의 교사들이 최소한 이해하고 있어야 하는 논리 및 논리교육의 본질인 내포와 외연 사이의 복잡한 구조를 소개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의미론의 입장에서 필자 자신이 지지하는 구조-구성주의 의미론을 정당화하는 것이다. 논리학의 최종 대상은 진리이다. 그런데 표현의 진리 조건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표현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이해해야 한다. 표현의 의미는 무엇인가? 여기서 등장한 것이 기호, 개념(내포), 그리고 대상(외연) 사이에 성립하는 기호학적 삼각형 구조이다. 그런데 역사적으로 표현의 의미를 경험론적 전통을 따라 외적 대상으로 환원시키는 외연주의와 정신 내적 관점으로 환원시키는 합리론적 내포주의 사이의 긴 논쟁은 현재 진행형이다. 인지의미론이 전자의 한 유파라며, 플라톤주의에서 출발하여 논리주의를 경유한 진리-조건 의미론은 후자에 속한다. 그러나 필자는 구조-구성주의 의미론의 입장에서 양자를 발전적으로 융합하려고 시도한다. 궁극적으로 필자의 입장에서 의미는 공시론적 차원과 통시론적 차원에서 매우 복잡하게 구성된 구조의 산물이다. 말하자면, 복잡한 인지구조는 선험적인 것이 아니라, 실체와 개념, 개념과 판단, 판단과 추론 사이의 상호의존성과 순환성을 통해 점진적으로 구성된 결과이다. 결국 우리의 인식을 구성하는 근본 토대인 구조 그 자체 점진적 구성의 결과이다. 이런 맥락에서 구조-구성주의 의미론 및 이 의미론의 논리 교육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This study has two complementary goals. First of all, one is to introduce the complex structure between intension and extension,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core of the historical debate surrounding the nature of logic, which teachers who teach logic education, including the author, must at least understand, and the other is to justify the structure-constructivist semantics that the author himself supports. The important object of logic is truth. However, in order to discuss the truth conditions of an expression, we must first understand what the meaning of the expression is. What does the expression mean? What emerged here is a semiotic triangular structure established between a sign, concept (intension), and object (extension). However, historically, a long debate is currently ongoing between extensionalism, which reduces the meaning of expressions to external objects following the empiricist tradition, and rationalistic intensionalism, which reduces the meaning of expressions to an internal mental perspective. Cognitive semantics is one of the former schools, and truth-conditional semantics, which started from Platonism and went through logicism, belongs to the latter. However, the author attempts to integrate the two progressively from the standpoint of structural-constructivist semantics. Ultimately, from the author's perspective, meaning is the product of a very complex structure constructed simultaneously at the synchronic and diachronic levels. Such a complex structure is the result of being gradually constructed through the interdependence and circularity between entities and concepts, concepts and judgments, judgments and reasoning.

      • KCI등재

        이명호 작업에서의 ‘텍스트 범주화’가 함유한 의미론

        김성호(Kim, Sung-H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3

        사진작가 이명호는 사진이라는 매체와 사진-행위라고 하는 퍼포먼스적 설치를 통해서 사진미학을 실험하는 작가이다. 본고는 사진-행위 프로젝트(Photography-Act Project)》라고 통칭되는 그의 작업을 ‘텍스트를 통한 명명’과 ‘텍스트 범주화’라는 주제를 통해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서 그가 나눈 3개의 범주를 연구한다. ➀‘재현(再現, Re-presentation)-현실(現實)’, ➁‘재연(再演, Re-production)-비현실(非現實)’, ➂‘사이(間, Between) 혹은 너머(超, Beyond)-간현실(間現實) 혹은 초현실(超現實)’ 그리고 이 범주들 안에 포함되는 다양한 이름의 연작들을 분석한다. 본고는 그의 프로젝트명과 작품명에서 드러난 하이픈(-)을 통해 그의 ‘사진’과 ‘행위’를 잇거나 분리하는 작업에 주목한다. 우리는 그것을 하이픈(-)을 통한 명명으로 해설하고 그의 연작들을 분석한다. 그의 작업은 언어기호학적 의미론은 물론이고 텍스트의 시각기호학적 장치를 통해서 전 작품에 담긴 의미론을 시각화한다. 더불어 그는 ‘사진’과 ‘사진-이전의 행위’ 그리고 ‘사진-이후의 행위’를 숙고하면서 다양한 사진 실험을 거듭한다. 텍스트 안에 담긴 의미론과 텍스트를 통해서 이미지에 함유한 의미론을 탐구하는 본 연구는 그의 작업 세계를 전반적으로 이해하는데 있어 기초적 연구가 될 것이다. Photographer Myungho Lee is an artist who experiments aesthetics of photography with photography and performance installation. This paper analyzes his work, collectively called “Photography-Act Project”, through the theme of ‘Text Naming’ and ‘Text Categorization’. To this end, we study the three categories he divided. ➀ Re-presentation-Reality , ➁ Re-production-Non-reality , ➂ Between or Beyond-inter-real or sur-real. Also, This paper focuses on the work that connects or separates his ‘photography’ and ‘act’ with a hyphen (-) in his project name and work name. We explain it with Naming through a hyphen (-) and analyze his series. His work visualizes the semantics contained in all his works through semiotic semantics as well as visual semiotic devices of texts. In addition, while contemplating photography , action before photography and action after photography , he repeats various photography experiments. This study, which explores the semantics contained in texts as well as the semantics contained in images through texts, will be a basic study in understanding his world of work as a whole.

      • KCI등재

        틀 의미론을 적용한 시어의 의미 탐구 가능성

        이원영(Lee Won young),김효연(Kim Hyo yeon),김다슬(Kim Da seul),김주식(Kim Ju sik),김규훈(Kim Kyoo ho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7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1 No.2

        이 연구는 틀 의미론을 적용한 어휘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해, 개념적 은유의 관점에서 틀 의미론을 적용한 시어의 의미 탐구 학습을 설계하고 그 실제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연구는 틀 의미론이 학습자로 하여금 어휘의 의미 현상을 삶의 경험과 맥락 속에서 풍부하게 이해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러한 틀 의미론을 은유 표상의 성격을 지닌 어휘인 시어의 의미탐구 학습의 방법으로 적용함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삶의 맥락을 동원하여 주체적으로 의미를 이해하고 풍성하게 탐구할 수 있음을 전제한다. 이는 은유를 대상에 대한 이해를 드러내는 사고이자 현상으로 바라보는 개념적 은유의 관점에서, 시어가 시 은유 현상을 표상하고 있으며, 시어의 의미 탐구가 결국 시가 지향하는 의미의 탐구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를 논증하기 위해 먼저 틀 의미론의 특성을 파악하여, 틀 의미론이 시어의 의미 탐구에 맥락성을 부여하여 의미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다음으로는 개념적 은유의 관점에서 은유와 틀의 관계를 살핀 뒤, 시 은유의 표상으로서 시어의 틀을 통한 의미탐구가 시의 은유 현상을 이해하는 방법임을 규명했다. 마지막으로는 틀을 활용한 시어의 의미 탐구 학습의 실제를 설계하여 이를 실행하고, 수업 비평을 통해 환원하면서 정교화했다. This study aims at designing and practicing an inquiry leaning of poetic words’ meaning using frame semantics on a perspective of conceptual metaphor, for finding possibilities of lexical education using frame semantics. It focuses on frame semantics which could provide methods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lexical meanings in their experiences and contexts. It applies frame semantics for a method of inquiry learning of poetic words as a presentation of metaphors, so it premises that learners could understand and inquiry meaning plentifully with their contexts of life. This is a perspective of conceptual meaning as a thought and phenomenon revealed deep understanding of objects. By this perspective, poetic words imply a metaphorical phenomenon of poetry, eventually an inquiry of poetic words’ meaning could be connected to grasp meanings of poetry. For these argumentation, this study gets features of frame semantics and find out that frame semantics could provide a rich understanding of poetic words’ meaning due to a contextuality of the meaning. And then, after examining a relation between the metaphor and the frame on a perspective of conceptual meaning, it establishes that the meaning inquiry through frames of poetic words as a presentation of poetic metaphor is a method to understand phenomenons of metaphor in poetry. Finally, it designs a class practice of an inquiry learning of poetic words’ meaning using the frame, and the class practice was implied and elaborated by the class criticism.

      • KCI등재

        준구조 퍼지 논리를 위한 대수적 크립키형 의미론

        양은석 ( Eunsuk Yang ) 한국논리학회 2016 論理硏究 Vol.19 No.2

        이 글에서 우리는 유니놈에 기반한 퍼지 논리를 위한 대수적 크립키형 의미론을 다룬다. 이를 위하여 먼저 유니놈에 기반한 논리체계들을 위한 대수적 의미론을 재고한다. 다음으로 유니놈에 기반한 체계들의 일반적 구조에서 다양한 종류의 일반적 대수적 크립키형 의미론을 소개하고 그것들을 대수적 의미론과 연관 짓는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유사하게 특수한 대수적 의미론을 소개하고 이를 또한 대수적 의미론과 연관 짓는다. This paper deals with Kripke-style semantics, which will be calledalgebraic Kripke-style semantics, for fuzzy logics based on uninorms (socalled uninorm-based logics). First, we recall algebraic semantics foruninorm-based logics. In the general framework of uninorm-based logics, wenext introduce various types of general algebraic Kripke-style semantics, andconnect them with algebraic semantics. Finally, we analogously considerparticular algebraic Kripke-style semantics, and also connect them withalgebraic semantics

      • KCI등재

        사회의 진화과정으로 본 스포츠 의미론의 변화: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적 체계이론을 중심으로

        이주화 한국체육철학회 2023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 more advanced academic discussion as a basic research on the ‘change of sports semantics as an evolutionary process of society’ by using Niklas Luhmann’s social system theory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academic discussion on the ‘change of sports semantics according to the evolution process of society,’ which is used as a theme in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and purpose in examining the changed sports semantics through the constructivist cognitive theory rather than the traditional ontology. First, as a result of the observer's self-reference sports semantics, it continuously creates changed meanings and semantics at the situational level and it re-enters the situational level of the self and others. Secondly, This study found that the sports semantics generated from different observation systems were continuously communicated with each system at the same time as the internal and external semantic horizons were opened at the social level. Lastly, in the temporal dimension, this study observed that sports semantics is engraved from the connections through the currentization and latentization of the past meaning horizon and the future meaning horizon. 본 연구는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적 체계이론을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하여 ‘사회의 진화과정으로 본 스포츠 의미론의 변화’에 대한 기초 연구로써 보다 진일보한 학문적 논의를 이끌어내기 위해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주제로 사용되는 ‘사회의 진화과정에 따른 스포츠 의미론의 변화’에 대한 학문적 논의는 전통적인 존재론에 연연하지 않고 구성주의 인지이론을 통해 변화된 스포츠 의미론을 살펴보는 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논의 결과. 첫째, 스포츠 의미론은 관찰자의 자기준거 결과물로써 사태적 차원에서 변화된 의미와 의미론들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면서 또다시 사태적 차원인 자아와 타자로 재진입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둘째, 서로 다른 관찰체계들로부터 생성된 스포츠 의미론은 사회적 차원에서 내부와 외부의 의미지평이 열리는 동시에 각각의 체계들과 지속적으로 후속 소통되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셋째, 시간적 차원에서 스포츠 의미론은 과거의 의미지평과 미래의 의미지평이라는 현행화와 잠재화를 통한 연결지음들로부터 아로새겨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