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의료인문학(들)과 한국 의료인문학의 자리

        최은경 한국의철학회 2023 의철학연구 Vol.36 No.-

        한국 사회에서 의료인문학은 무엇이었고, 무엇이어야 할까? 본 글은 전 세계적 의료인문학의 역사와 부흥의 맥락 속에서 한국의 의료인문학의 역할과 위상을 점검한다. 한국의 의료인문학은 한국 의료가 새롭게 갱신되어야 한다는 부름에 따라 과거의 것이 복원되고 유입되었다. 그것은 크게는 전세계적으로 질병 패턴의 변화, 새로운 질병의 등장, 의료 서비스 주체의 다변화, 유전자 시대의 돌입 등에 따라 의생명과학 패러다임이 전환되기 시작한 것과 흐름을 같이 한다. 그러나 전세계적 의생명과학의 전환과 한국 의료의 위기가 같지 않으며, 전 세계적 차원의 의료인문학 테제가 한국의 그것과 꼭 같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의료인문학의 맥락과 갈래 속에서 한국 의료인문학의 역할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정학적 차원의 이해와 로컬의 이해를 풍부하게 다듬는 속에서 한국 의료인문학의 테제 역시 다듬을 필요가 있다. 본 글은 우선 ‘인문학으로서의 의학’, 의료인문학이 의과대학에서 하나의 학제로 형성되어 온 과정을 추적한다. 특히 전인적 인간 형성을 목표로 하는 인문학 공부가 타인에 대한 연민과 공감 등을 요청하는 의과학 반성의 요구와 맞닿으면서 의학교육에 강조되었는지를 살펴 본다. 이후 1990년대 이후 국내에 급부상한 의료인문학 도입 배경으로서 의학교육의 글로벌라이제이션을 살피고, 이를 의학을 둘러싼 인문학적 요청이라는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의료인문학의 위상과 역할을 ‘전문직업성’과 ‘돌봄’이라는 영역을 예로 들며 제언하고자 한다. What has been, and what should be, the medical humanities in South Korea? This article examines the role and status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Korea with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and revival of the medical humanities globally. Medical humanities in South Korea has been a restoration and introduction of the past in response to the call for the renovation of Korean healthcare. This is largely in line with the paradigm shift in biomedical sciences that has begun globally in response to changing disease patterns, the emergence of new diseases, the diversification of healthcare providers, and the onset of the genetic era. However, the global transition in biomedical sciences and the crisis in Korean healthcare are not the same, and the themes of medical humanities at the global level may not necessarily be the same as those in South Korea.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role of Korean medical humanities in various medical humanities contexts and branches. It is also necessary to refine the themes of Korean medical humanities while enriching geopolitical and local understandings. At first, this article traces the process of 'medicine as humanities' and the formation of medical humanities as a discipline in medical schools. In particular, it examines how the study of humanities, which aims to form a holistic human being, has been emphasized in medical education as it can embraces the call for reflection in medical science, which asks for compassion and empathy for patients and others. Then, it examines the globalization of medical education as a background for the introduction of medical humanities in South Korea since the 1990s, and critically examines it und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ll for humanities in medicine. Finally, it proposes the status and role of medical humanities in South Korea using the domains of ‘professionalism’ and ‘cure and care’ as examples.

      • KCI등재

        의료인문학의 지평 확대: 인문학을 기반한 의료인문학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공혜정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titled Medical Humanities. This program was supported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Korea University. Korea University’s medical humanities program is the first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program designed and developed by the College of Liberal Arts in Korea. By drawing upon the specific experiences of the development of a humanities-based medical humanities inter disciplinary program, this paper aim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humanities-centered medical humanities. This paper consists of two chapters. Chapter 1 deals with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interdisciplinary medical humanities program in a non-medical education setting. Chapter 2 covers the specific courses and curricula offered in the medical humanities program. 본 연구는 교육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의 일환으로 고려대학교에서 의과대학이 주체가 아닌 문과대학을 기반으로 의료인문학(medical humanities) 융합전공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대학원이 아닌 비(非)의과대학의 학부과정에서 문(文), 사(史), 철(哲) 등의 인문학을 포괄하는 의료인문학을 정식 프로그램으로 개설한 곳은 없었다. 또 비의과대학에서의 의료인문학의 위상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한 연구도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의과대학의 경계 밖에서 국내 최초로 인문학 기반으로 의료인문학 융․복합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는 인문학 분야뿐만 아니라 의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2장으로 구성되어있다. 1장에서는 비의과대학 학부과정에서 의료인문학 융합전공을 개설하는 준비과정을, 그리고 2장에서는 의료인문학 융합전공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소개 및 교과목 운영 현황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 KCI등재

        의료인문학 연구동향 분석 : 토픽모델링(LDA)을 중심으로

        장현정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4

        이 연구는 의료 인문학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의료 인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고 교육적 접근의 발전 방향을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0 년부터 2024년까지 발표된 의료인문학 관련 논문 63편의 초록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환자중심의료’, ‘의료 시스템 및 인문학 도입’, ‘의료윤리와 서사적 접근’, ‘질병 경험과 서사적 접근’, ‘학습과 토론’, ‘의사소통과 통합 교육’의 여섯 개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의료인문학 교육과 연구에서 인문학적 요소를 강화하고, 융합적 관점에서 의료인문학의 이론과 실천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전인적 돌봄의기반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의료인문학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실질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의 확장에 토대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medical humanities, explore new directions for medical humanities research, and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pproaches. To achieve this, the abstracts of 63 medical humanities-related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24 were analyzed using the topic modeling method,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he analysis yielded six major topics: ‘patient-centered care’, ‘introduction of medical systems and humanities’, ‘medical ethics and narrative approach’, ‘disease experience and narrative approach’, ‘learning and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hancing the humanities elements in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and research, and applying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medical humanities in an integrative manner, is essential to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holistic care that improves patients’ quality of life.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medical humanities is increasingly emphasized,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expansion of research.

      • KCI등재

        종교학과 의료인문학 -의학교육을 위한 종교학의 역할 모색-

        김재명 한국종교학회 2019 宗敎硏究 Vol.79 No.3

        Though Religious Studies have the ability to expend to education of Liberal Arts, it has had limits of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theories. It is a recent phenomenon that field of Medical Education is willing to accept Liberal Arts in the name of Medical Humanities. It is a very positive phenomenon because Religious Studies could contribute to Medical Studies as both studies have had a long perennial intersectional relationship in history. In the First Wave of the early period of Medical Humanities, it had worked as an assistant role for Medical Studies as it had tendency of dehumanization and lacked ability in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ofessionals and patients. The Second Wave of the Critical Medical Humanities has begun through overcoming the limits in the First Wave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the Second Wave of the Critical Medical Humanities, not only individual aspects in Humanity but also public and communal aspects in Humanity have been emphasized. Paying attention to the entanglement in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Studies, the Critical Medical Humanities has suggested that Medical Education should go forward to a democratic Medical system and reflection to Medical Studies itself through finding out the merits in differences rather than integration. It is very positive for both Religious Studies and Medical Studies as Religious Studies could participate in Medical Education and contribute important values in Liberal Arts to Medical Studies. For example, Death Education, Spirituality in medical treatment, and Multi-cultural ability in Global Society etc. could be implemented in Medical Studies from perspectives of Religious Studies. Moreover, scholars in Religious Studies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studies of medical history through religions, analyses on the various concepts in medicine and religions, biomedical ethics, finding meanings in the various initiations in becoming health care professionals etc. It is undeniable true there are still many obstacles. But it is expected Religious Studies could establish and expand the significant roles 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of Medicine’. 종교학은 다루는 주제 범위가 넓어 교양교육 차원에서의 확장성이 높은 학문이지만, 지금까지 그 적용분야가 제한적이었다. 최근 의학교육계에서 ‘의료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인문사회과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흐름 이 있다. 종교와 의료는 그 만남의 역사가 긴 만큼 종교학이 이와 관련하여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여지가 적지 않다. 의료인문학이 처음 의학교육에 등장했을 때는 의학의 비인간화와 의료진 의 의사소통능력 부족을 보충하려는 보조적인 수단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1차 물결이 갖는 한계들이 지적되면서 2차 물결이 등장하였다. 비판적 의료 인문학에서는 개인뿐만 아니라 공적 영역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의학 이 갖는 얽힘의 속성에 주목하면서, 통합보다는 차이의 발견을 통해 의학 자체에 대한 성찰과 의료시스템의 민주화로 나아갈 것을 제안한다. 종교학은 이러한 의료인문학을 매개로 의학교육에 참여할 수 있다. 예컨 대 죽음교육, 의료에서의 영성의 문제, 지구화 시대의 다문화역량 등은 종 교학적 관점을 의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주제들이다. 또한 종교를 통한 의학의 역사 탐구, 종교와 의료에 관한 여러 개념 분석, 생명의료윤리, 의료 인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입문식과 통과의례의 의미를 찾는 일 등도 종교학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주제들이다. 아직은 여 러 걸림돌이 있지만, ‘의료종교학’이라는 장(場)을 통해 종교학이 의학교육 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의료 인문학의 성격과 전망

        권상옥(Sang-Ok Kwon) 한국의철학회 2008 의철학연구 Vol.5 No.-

        과학적 의학은 1960년대에 이르러 생명 의료 기술의 발전과 병원의 대형화 추세로 의료의 비인간화 및 질병으로부터 환자의 소외 현상을 낳게 되었다. 더욱이 관리 의료와 기업 의료의 출현은 의사의 전문직업성을 위협하여, 의사가 환자와 사회로부터 신뢰와 권위를 잃게 만들었다. 이처럼 의학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면서 의학계는 의학에 대한 반성과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들은 의학이 과학적 의학을 지향하면서 환자보다 질병에만 관심을 기울여 의학의 인간적인 측면을 등한시한 것이 문제였다고 판단하고 이를 보강하여 인간적인 의학(humane medicine)을 만들고자 하였다. 의학에서 의술의 중요성이 다시 제기되었고, 의학 교육에 의료 인문학 교육이 도입되었다. 영국의 의료 인문학 협회는 의료 인문학이란 의료의 인간적인 측면 그리고 환자와 의사 관계를 포함하여 환자와 의사가 겪는 의료 경험을 의료, 교육 그리고 연구의 측면에서 학제간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하였다. 학제간 접근 주제로서 관심을 끄는 예로는 질환과 질병(illness and disease), 고통(suffering), 몸, 건강, 죽음과 죽어감(death and dying), 의사됨(doctoring)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주제는 생물학적 사실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혹은 철학 적인 의미를 함께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의료 인문학은 인간적인 의사(humane doctor) 혹은 배려가 깊고 환자와 마음이 통하는 의사(compassionate and communicative doctor)의 양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인간 적인 의사란 환자를 깊이 이해할 뿐만 아니라 개성이나 가치관의 차이를 인정하고,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의료 경험이나 지식을 비판할 수 있는 의사를 말한다. 의학이 과학과 의술이라는 두 축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금은 과학을 강조하던 의학에서 의술을 강조하는 의학으로 돌아가고 있는 상태이다. 그 동안 의학이 과학을 강조한 것에 대한 일종의 반동 현상으로 의학이 균형을 잡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도 의학은 의술과 과학 사이를 시계추처럼 움직이면서 시대정신에 맞추어 끊임없이 중심을 잡으리라 생각한다. Recent technologic advances and improvements have had an overwhelming effect on the practice of medicine. physicians literally can treat patients without seeing them. Western science has devised technologies in which a computer can make the diagnosis without human “interference”. However, since the 1960s the assumptions underlying the authority of modern scientific medicine have themselves begun to be questioned. At the same time, an alternative current to reassert humanistic values in medicine has emerged as medical ethics in the 1960s and medical humanities in the 1970s. The medical humanities is a broad area of study and practice encompassing all nontechnical or ‘human’ aspects of medicine. The medical humanities serve three main goals: the study of the human aspects of medicine from within traditional arts disciplines of history, philosophy, sociology and literature, the intersection of medicine and the literature appreciating the many excellent works of physician writers, the movies and the training of more insightful and compassionate doctors. Here the medical humanities allow us to probe the delicate balance between scientific empiricism and critical thinking. Historically the first and most obvious feature of this inquiry was the modern exploration of medical ethics. “The medical humanities” is the name of a more inclusive inquiry, though one that embraces ethics. One of the aims of recent curriculum reform has been to release medical education from its scientific straitjacket and to reintroduce a more liberal, expansive curriculum that pays attention to both the cognitive and affective elements of clinical practice. I am convinced that we can stress the humane aspects of our profession without depreciating or neglecting the role of technology. In doing so we will offer to our patients a reassuring blend of humanity and modern medical technology.

      • KCI등재

        「철학상담을 통해서 본 인문치료」에 관하여

        최현덕 대동철학회 2010 大同哲學 Vol.53 No.-

        이 글은, 강원대학교 인문과학 연구소가 한국 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인문한국 사업의 일환으로서 수행하고 있는 “인문학 진홍을 위한 인문치료” 라는 아젠다의 핵심적인 개념인 ‘인문치료’를 소개하고 있는 최희봉의 논문에 대한 논평문이다. 인문한국 사업은 현 한국 연구재단의 전신인 한국 학술진흥재단이 ‘인문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한 가지 정책으로 도입한 지원 사업으로서, 2010년 대동철학회는 이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인문학 관련 연구소 다섯 곳을 추계 학술대회에 초청해 함께 인문학에 대해 성찰할 기회를 마련했다. 이 글에서는, 그간에 진행된 인문학 및 인문학 위기 담론을 염두에 두면서, 최희봉의 발제문에 담긴 다음과 같은 논점에 대해 토론하면서 논의의 심화를 위한 질문을 던진다. 첫째, 인문치료 사업 역시 ‘인문학의 위기’에 대응하는 한 가지 기획으로서, 현실에 개입하고자 하는 의지에 의해 진행된다면, 인문치료 사업은 인문학을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게 될지 그리고 그 변화는, 현재 “인문학의 위기”라 부르는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얼마만큼의 해결이 될 수 있는가? 둘째, 인문학을 기반 학문으로 하고 있는 ‘인문치료’가, 의학을 기반으로 하고 태동한 ‘의료인문학’보다 더 인문학적이라고 할 수 있는 지점은 무엇인가? 셋째, 이론적 학술활동을 전제로 하고 있는 인문학의 사업으로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고 있으면서 실천적 활동이 핵심이 되는 사업을 수행해가는데 있어서 생길 수 있는 제약, 연구재단의 평가체제에 대한 대책이 있는가? 넷째, ‘병’과 ‘치료’의 개념이 전제로 하고 있는 사고방식의 체계, 심신이원론적 인간관은 서구의 주류의학계에서 통용되는 것과 많이 달라 보이지 않는데, 여기에 관한 인문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하는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지 않을까? 다섯째,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려는 ‘인문치료’의 노력이 심리치료와 다른 점이 무엇일까, 즉 모두가 인간의 마음을 치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고 인문학적 지식이 그 과정에서 원용된다고 했을 때, ‘인문치료’에 있어서 보다 더 인문학적 색채는 어디에서 어떻게 주장될 수 있는가? 이러한 질문들이 ‘인문학의 위기’가 거론되는 맥락에서 인문치료 사업이라는 실례를 통하여 인문학의 성격 및 의의를 보다 더 규명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Thesis is to discuss the article of Heebong Choi introducing the concept of 'Humanities Therapy' as the core concept of the research project of the Institute for Humanities & Sciences at the Kwangwon National Unviersity in the framework of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was introduces as a counter-policy of the above foundation to meet with the situation defined as the 'crisis of humanities'. In October 2010 the Daedong Philosophical Associaltion invited five humanities institutes performing the research projects of the Humanities Korea Program to hold a symposium to reflect on the problems of humanities today. In this article I discuss several issues contained in the paper of Heebong Choi, being conscious of the context of the discourses on the humanities and the crisis of the humanities developped in the last twenty yea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discussions I raise the following five questions: (1) If the project of the 'Humanities Therapy' was launched as a counter-measure responding the 'crisis of humanities', in what extend or in what aspect it could offer a solution? Could it provoke a change of humanities itself? In which direction? (2) In comparison to the 'Medical Humanities' which has the medical sciences as its scientifical basis, does the humanities play more essential role in the 'Humanities Therapy'? In what sense? (3) The humanities project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has the assumption of the humanities as theoretical activity. However, the 'Humanities Therapy' has its place in the 'praxis'. Is there a counter-measure for a possible conflict caused by the different notions of the activities of humanities. Could it cause an excessive burden to the staff due to the competitive evaluation system of the research foundation? (4) The system of the conception presupposed in the concepts of 'disease' and 'therapy', especially the view of the human beings based on the mind-body-dichotomy seems not so much different as that of the Western orthodox medicine. Isn't it necessary to develop an alternative based on humanistic reflections? (5)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ities Therapy' and the psychotherapy? Where can we find the aspects more rooted in the humanities in the 'Humanities Therapy'? These questions are intended to deepen the discussion on the humanities in the face of the situation of the 'crisis of humanities'.

      • KCI등재

        한국 의학 드라마 연구 현황과 전망 - 대중문화를 통한 의료문학의 가능성 -

        최성민 ( Choi Sung-mi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2

        의료는 그 어떤 분야보다 전문적이고 고급의 지식 정보가 필요한 분야다. 의료에 대해 일반 대중들이 접근하기 쉬운 대표적인 통로가 바로 ‘대중문화’ 콘텐츠들, 그 중에서도 TV 드라마일 것이다. TV 드라마에서 의료와 질병을 소재로 삼는 것은 장점과 단점을 두루 가지고 있다. 병원이라는 배경과 질병이라는 사건은 딜레마적 상황을 표현하거나 긴장감을 주기에 적절하다. 시청자들의 감정이입과 몰입을 이끌어내기에도 좋다. 하지만 전문적이고 난해한 용어들과 의학적 지식, 제한적인 촬영 공간은 단점으로 작용한다. 의학 드라마는 의사 인물들의 성격에 따라 인물 유형을 제시하며 시청자의 호응을 유도하거나, 폐쇄적인 병원 내 인물과 조직 사이의 치열한 갈등을 표면화하는 방식으로 그려진다. 질병 서사 드라마는 질병의 진단과 투병 과정을 가슴 아프게 보여주거나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에서의 사랑과 배려, 화해의 서사가 전개되곤 한다. 때때로 이러한 드라마들은 우리 사회의 이슈를 논쟁적으로 다루거나, 새로운 아젠다를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의료 관련 드라마에 대한 연구는 문학과 대중문화 영역에서 인물 및 서사를 분석하는 경우와 의학의 영역에서 의학 교육에 활용될 가능성 및 효과를 검토하는 경우로 나뉜다. 각각의 연구들과 더불어 의료 관련 드라마들도 발전해왔다. 드라마 제작진과 연구자 모두에게 의료인과 조직의 윤리, 환자와 의료인 간의 의료 서사에 대한 관심이 좀 더 필요한 시점이다. 드라마를 비롯한 대중문화 콘텐츠를 통해, 인간 중심 의료를 지향하는 의료인문학이 더욱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Medical care is the area that needs the most specialized knowledge information. ‘Popular culture’ contents are a way to reach medical care tha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he most accessible passage for the general public on medical care is “pop culture” content, especially TV dramas. Medical and disease as subjects in TV dramas hav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context of a hospital and the event of a disease are appropriate to express dilemma situations or to give tension. It is also good for encouraging viewers to empathize and immerse themselves. However, technical and difficult terms, medical knowledge, and limited space are disadvantages. Medical drama suggests the type of doctor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haracters. Viewers respond to one type of intention. And he sees the fierce conflict between the people and the organizations in the hospital. Disease narrative dramas show the pain of diagnosing and fighting disease. Or the story of love and reconciliation unfold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disease. Sometimes these dramas play a role in controversial issues or suggest new agendas. The study of medical dramas has two aspects. One is the case of analyzing characters and narratives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nd popular culture.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nd effects of medical education in the area of medicine. Along with each study, medical dramas have also developed. However, interest in medical ethics and organizational ethics, and medical narratives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practitioners, is a necessary time for both drama producers and researchers. Through popular culture contents including dramas, medical humanities aiming at human-centered medical care will be further spread.

      • KCI등재

        의료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미술교육: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의 지역연계 프로그램 사례 연구

        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49

        This study has focused on ‘Opening Doors’ program for healthcareprofessionals run by Tate Liverpool, one of the national galleries of art in U.K. The aim of the study is to show main contents and outcomes of the program andto examine how art education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patient-centeredcommunication that contemporary healthcare service seeks. The program has beenstructured upon ‘Five Ways to Well-bing’ promoted by the New EconomicsFoundation(NEF) and composed of creative and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with the focu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works. As a result, the programhas empowered healthcare professionals to improve their personal well-being aswell as communication with their patients or service users by developing theirmultiple perspectives, sensitive awareness of others’ needs, active and openrelationships, reflective thinking skills, and decision-making skills. These majoroutcomes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 service. Firstly, educational programs specific to healthcare professionals is to be developedthrough integrating healthcare communication and visual arts. Secondly, integrativeand experiential approach to healthcare communication education is to developedthrough partnerships with art museums or cultural institutions in communities. Thirdly,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humanities, researches on the outcomes ofintegrating healthcare and visual arts are to be activated. Therefore, the study haspushed the boundaries of art education by showing its contribution to improvinghealthcare communication. The study also can be valued as an interdisciplinaryinquiry between healthcare and visual arts. 이 연구는 영국의 국립미술관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이 의료·보건 전문인 대상으로운영해온 ‘오프닝 도어스(Opening Doors)’ 프로그램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프닝 도어스’의 주요 내용과 성과를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이 현대 의료․보건 서비스가 추구하는 환자 중심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오프닝 도어스’ 프로그램은 영국의 신(新)경제재단(NEF)이 제시한 ‘웰빙의 5가지 비결(Five Ways to Well-being)’에 기초하여 근‧현대 미술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교육 활동들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이 프로그램은 의료․보건 분야 전문인들에게 자신의 정신적·신체적 웰빙을 증진할 뿐 아니라, 의료․보건 실무에 필요한 다중적 관점, 타인의 필요에 대한 민감성, 능동적․개방적인 인간관계 능력, 반성적 사고, 의사결정 능력 등을 향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요 성과들은 국내 의학교육과 의료 서비스에 몇 가지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의료 커뮤니케이션과 시각예술 분야의 협업을 통해 의료·보건 전문인을 위한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수진을 양성해야한다. 둘째, 지역 미술관이나문화예술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통합적, 체험적인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법을 시도해야 한다. 셋째, 의료인문학의 관점에서 의료와 시각예술 분야 간의 융합적 성과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 연구는 미술교육을 통해 의료․보건 전문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하고, 그들의 업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의 지평을 넓혔으며, 의료 분야와 시각예술 분야 간의 학제적 탐구로서도 가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의과대학 교수의 국제진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의 적용 가능성

        김유라,박혜진,김병희 한국국제교육교류학회 2021 국제교류와 융합교육 Vol.1 No.1

        본 연구는 외국인 환자의 국제 진료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를 통한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의 의료시스템과 수준은 세계적인 수준이며, 환자 진료를 위한 지식과 술기가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것은 한국의 의사상에서 강조하는 환자 진료에 대한 역량이 충분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의사상의 사회적 책무성 측면에서 봉사활동의 중요성과 의과대학 교육부터 체득화되고, 또한 다양한 문화권의 의료 현장 경험을 통하여 봉사활동은 의사로서 평생 할 수 있는 일로 이어지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전문직업성 영역에서는 의사로서 프로페셔널리즘을 발현할 수 있었고, 모든 과정에서 의료진들은 환자의 아픔을 이해하고, 공감하여 환자에게도 진심이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전문직업성은 최근 더욱 강조되고 있는 영역으로 의과대학 교육뿐만 아니라, 의사들에게도 전문직업성에 대한 교육적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국제 진료 경험은 의과대학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에 적용가능하며, 6년 교육과정 전체에 조화와 통합된 의료인문학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the medical humanities curriculum through a narrative study on international treatment of foreign patients. Korea's medical system and standards are world-class, and it can be seen that the knowledge and skills for patient care are sufficient, which shows that the competence for patient care emphasized by Korean doctors is sufficient. In terms of social responsibility for doctors in Korea, the importance of volunteering is learned from medical school education, and through medical field experiences in various cultures, it can be seen that volunteering is important to lead to lifelong work as a doctor. In the field of professionalism, professionalism could be expressed as a doctor, and in all processes, the medical staff understood and empathized with the pain of the pati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sincerity was conveyed to the patient. Professionalism is an area that is being emphasized more recently,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ism to doctors as well as medical school education. This international medical experience can be applied to the medical humanities curriculum of the medical school, and a harmonized and integrated medical humanities curriculum can be operated throughout the six-year curriculum

      • KCI등재

        의료화의 역사에 대한 법사회학적 반성 : 새로운 의료법 패러다임의 구상

        정채연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集 Vol.17 No.3

        현대사회에서 의료 개념의 외연은 ‘질병이 없는 상태’와 같이 소극적인 의미를 넘어서, 아름다움, 행복, 웰빙, 삶의 질을 포함하는 적극적인 의미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의료는 의료서비스의 상품화와 비인간화, 환자의 소외 등과 같은 ‘현대 의학의 위기’를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의료, 건강, 질병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을 증대시키며, 이에 따라 의료사회학과 같은 학제 간 연구가 증대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법학에서 아직 충분히 소개되지 않은 개념인 ‘의료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의료법과 보건의료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구상해보고자 한다. 의료화는 이전에 의료의 문제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문제들이 질병 내지 장애로 인식되고, 정의되고, 다루어지기 시작하면서, 이전에 의료 영역 밖의 일상적 삶의 차원에 놓여있었던 행위와 상태가 의료적인 문제로 설명되는 현상 및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의료화의 역사적 전개를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다시 말해, 의료화는 i)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의료화; ii) 현대사회에서 권력(보건의료행정)과 자본(의료산업)에 의해 추진되는 의료화; iii) 의료화에서 생명의료화로의 역사적 이행이라는 세 가지 역사적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의료화의 역사적 지평에 대한 법사회학적 반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새로운 의료법패러다임의 방향성은 의료화와 탈의료화의 변증으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증의 가능성을 의료인류학과 의료다원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특히 의료다원주의적 관점은 표준화된 의료행위의 한계를 교정하고 의료문화의 가치를 회복하는데 중요한 시사점, 특히 현행 무면허의료행위 규제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근대 의학과 전통 한의학, 그리고 제도권 의료에 담겨지지 않은 비공식적인 보완대체의료의 다원주의적 협업에 대한 법정책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looks into the history of medicalization, the concept, which has been mainly discussed in sociology, but has not been fully introduced in jurisprudence yet. This essay discusses three phases of historical evolution of medicalization. First, medicalization has been developed through overall modernization process. Through the entangled process between modernization and medicalization, modern medicine, medical scientific knowledge and medical profession have increased their power as active agency of social control. Furthermore, in post-industrial society, medicalization process is propelled by Power(health care administration) and Money(medical industries). Lastly, our contemporary society moves forward into the third historical phase of medicalization,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shift from medicalization to biomedicalization. There are numerous criticisms on medicalization process. To resolve the tension between medicalization and demedicalization, I suggest a medical-legal pluralistic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medical anthropology and medical pluralism. This perspective may provide us a new reflection on the current regulation of unlicensed medical practice, the culturality of medicine, therapeutic dialogue, and the cooperation between physicians and non-physicia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providers. The cultural aspects of medicine request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as medical humanities. This integrated understanding going beyond the boundary of discipline is integral especially in the area of medical law and health care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