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의료인문학(들)과 한국 의료인문학의 자리

        최은경 한국의철학회 2023 의철학연구 Vol.36 No.-

        한국 사회에서 의료인문학은 무엇이었고, 무엇이어야 할까? 본 글은 전 세계적 의료인문학의 역사와 부흥의 맥락 속에서 한국의 의료인문학의 역할과 위상을 점검한다. 한국의 의료인문학은 한국 의료가 새롭게 갱신되어야 한다는 부름에 따라 과거의 것이 복원되고 유입되었다. 그것은 크게는 전세계적으로 질병 패턴의 변화, 새로운 질병의 등장, 의료 서비스 주체의 다변화, 유전자 시대의 돌입 등에 따라 의생명과학 패러다임이 전환되기 시작한 것과 흐름을 같이 한다. 그러나 전세계적 의생명과학의 전환과 한국 의료의 위기가 같지 않으며, 전 세계적 차원의 의료인문학 테제가 한국의 그것과 꼭 같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의료인문학의 맥락과 갈래 속에서 한국 의료인문학의 역할을 탐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정학적 차원의 이해와 로컬의 이해를 풍부하게 다듬는 속에서 한국 의료인문학의 테제 역시 다듬을 필요가 있다. 본 글은 우선 ‘인문학으로서의 의학’, 의료인문학이 의과대학에서 하나의 학제로 형성되어 온 과정을 추적한다. 특히 전인적 인간 형성을 목표로 하는 인문학 공부가 타인에 대한 연민과 공감 등을 요청하는 의과학 반성의 요구와 맞닿으면서 의학교육에 강조되었는지를 살펴 본다. 이후 1990년대 이후 국내에 급부상한 의료인문학 도입 배경으로서 의학교육의 글로벌라이제이션을 살피고, 이를 의학을 둘러싼 인문학적 요청이라는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한국 의료인문학의 위상과 역할을 ‘전문직업성’과 ‘돌봄’이라는 영역을 예로 들며 제언하고자 한다. What has been, and what should be, the medical humanities in South Korea? This article examines the role and status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Korea with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and revival of the medical humanities globally. Medical humanities in South Korea has been a restoration and introduction of the past in response to the call for the renovation of Korean healthcare. This is largely in line with the paradigm shift in biomedical sciences that has begun globally in response to changing disease patterns, the emergence of new diseases, the diversification of healthcare providers, and the onset of the genetic era. However, the global transition in biomedical sciences and the crisis in Korean healthcare are not the same, and the themes of medical humanities at the global level may not necessarily be the same as those in South Korea.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explore the role of Korean medical humanities in various medical humanities contexts and branches. It is also necessary to refine the themes of Korean medical humanities while enriching geopolitical and local understandings. At first, this article traces the process of 'medicine as humanities' and the formation of medical humanities as a discipline in medical schools. In particular, it examines how the study of humanities, which aims to form a holistic human being, has been emphasized in medical education as it can embraces the call for reflection in medical science, which asks for compassion and empathy for patients and others. Then, it examines the globalization of medical education as a background for the introduction of medical humanities in South Korea since the 1990s, and critically examines it und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ll for humanities in medicine. Finally, it proposes the status and role of medical humanities in South Korea using the domains of ‘professionalism’ and ‘cure and care’ as examples.

      • KCI등재

        의료인문학의 지평 확대: 인문학을 기반한 의료인문학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사례

        공혜정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인문학연구 Vol.0 No.38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n interdisciplinary program titled Medical Humanities. This program was supported by the Korean Research Foundation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at Korea University. Korea University’s medical humanities program is the first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program designed and developed by the College of Liberal Arts in Korea. By drawing upon the specific experiences of the development of a humanities-based medical humanities inter disciplinary program, this paper aim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humanities-centered medical humanities. This paper consists of two chapters. Chapter 1 deals with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interdisciplinary medical humanities program in a non-medical education setting. Chapter 2 covers the specific courses and curricula offered in the medical humanities program. 본 연구는 교육부 산하 한국연구재단의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CORE: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의 일환으로 고려대학교에서 의과대학이 주체가 아닌 문과대학을 기반으로 의료인문학(medical humanities) 융합전공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를 소개하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아직 대학원이 아닌 비(非)의과대학의 학부과정에서 문(文), 사(史), 철(哲) 등의 인문학을 포괄하는 의료인문학을 정식 프로그램으로 개설한 곳은 없었다. 또 비의과대학에서의 의료인문학의 위상과 발전 가능성에 대해서 논의한 연구도 없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 소개하는 의과대학의 경계 밖에서 국내 최초로 인문학 기반으로 의료인문학 융․복합 프로그램을 개발한 사례는 인문학 분야뿐만 아니라 의학 분야에서도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2장으로 구성되어있다. 1장에서는 비의과대학 학부과정에서 의료인문학 융합전공을 개설하는 준비과정을, 그리고 2장에서는 의료인문학 융합전공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소개 및 교과목 운영 현황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 KCI등재

        의료보건 전공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자기 탐색의 글쓰기 수업 연구 -의료인문학에 기반 한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김준희 ( Kim Jun-hee ) 겨레어문학회 2022 겨레어문학 Vol.68 No.-

        의료인문학은 의료보건인 되기 과정에서 직면하는 여러 가지 문제 상황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러한 관점은 의료 현장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과학적이면서 동시에 사회문화적인 관점에서 인지하며 사람 중심이라는 의료의 본질과 목표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의료인문학적 역량을 높여서 자신에 대한 성찰과 타인에 대한 이해의 힘을 기르고 의료의 본질과 목표에 대한 윤리 의식을 지닌 의료인으로 성장해야 한다. 이 연구는 의료인문학의 관점에서 의료보건 전공자에게 필요한 역량은 언어감수성과 공감능력, 서사적 역량임을 이해하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자기 탐색의 글쓰기 학습의 필요성을 제고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의료인문학의 개념과 의료인문학에 기반 한 핵심 역량을 파악하고 의료보건 전공자의 역량 강화를 위한 자기 탐색의 글쓰기 과정을 4단계로 설계하였다. 자기 탐색의 글쓰기 학습은 단계 별 활동의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자신에 대한 객관적인 이해로 주체성을 확립하고 타인에 대한 폭 넓은 이해와 의료보건 현장에서 요구되는 윤리 의식을 함양하는 데 유의미한 과정이다. 따라서 의료보건 전공자는 자기 탐색의 글쓰기 과정을 통해 인문학적 역량을 점검하고 의학의 본질과 목표를 가치 있게 성찰하는 주체로 성장하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at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medical health majors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humanities are language sensitivity, empathy, and narrative competencies, and to enhance the need for self-exploration writing learning to strengthen them. To this end, the concept of medical humanities and core competencies based on medical humanities were identified, and the writing process of self-exploration was designed in four stages to strengthen the competencies of medical health majors. Medical humanities presents a perspective that can understand the various problem situations fac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medical health worker in various ways. Such a perspective enables critical reflection on the nature and goals of health care, recognizing problems in the medical field from a scientific and sociocultural perspective at the same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ower to reflect on oneself and understand others by increasing medical humanities capabilities, and to grow into a medical person with an ethical sense of the nature and goals of medical care. Writing of self-exploration is a meaningful process in establishing subjectivity with an objective understanding of oneself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results of step-by-step activities, and cultivating a wide understanding of others and ethical awareness required in the medical health field. Therefore, medical health majors will grow into subjects that examine humanities capabilities and value the nature and goals of medicine through the writing process of self-exploration.

      • KCI등재

        종교학과 의료인문학 -의학교육을 위한 종교학의 역할 모색-

        김재명 한국종교학회 2019 宗敎硏究 Vol.79 No.3

        Though Religious Studies have the ability to expend to education of Liberal Arts, it has had limits of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theories. It is a recent phenomenon that field of Medical Education is willing to accept Liberal Arts in the name of Medical Humanities. It is a very positive phenomenon because Religious Studies could contribute to Medical Studies as both studies have had a long perennial intersectional relationship in history. In the First Wave of the early period of Medical Humanities, it had worked as an assistant role for Medical Studies as it had tendency of dehumanization and lacked ability in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ofessionals and patients. The Second Wave of the Critical Medical Humanities has begun through overcoming the limits in the First Wave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the Second Wave of the Critical Medical Humanities, not only individual aspects in Humanity but also public and communal aspects in Humanity have been emphasized. Paying attention to the entanglement in the characteristics of Medical Studies, the Critical Medical Humanities has suggested that Medical Education should go forward to a democratic Medical system and reflection to Medical Studies itself through finding out the merits in differences rather than integration. It is very positive for both Religious Studies and Medical Studies as Religious Studies could participate in Medical Education and contribute important values in Liberal Arts to Medical Studies. For example, Death Education, Spirituality in medical treatment, and Multi-cultural ability in Global Society etc. could be implemented in Medical Studies from perspectives of Religious Studies. Moreover, scholars in Religious Studies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studies of medical history through religions, analyses on the various concepts in medicine and religions, biomedical ethics, finding meanings in the various initiations in becoming health care professionals etc. It is undeniable true there are still many obstacles. But it is expected Religious Studies could establish and expand the significant roles in the field of ‘Religious Studies of Medicine’. 종교학은 다루는 주제 범위가 넓어 교양교육 차원에서의 확장성이 높은 학문이지만, 지금까지 그 적용분야가 제한적이었다. 최근 의학교육계에서 ‘의료인문학’이라는 이름으로 인문사회과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흐름 이 있다. 종교와 의료는 그 만남의 역사가 긴 만큼 종교학이 이와 관련하여 적극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여지가 적지 않다. 의료인문학이 처음 의학교육에 등장했을 때는 의학의 비인간화와 의료진 의 의사소통능력 부족을 보충하려는 보조적인 수단이었다. 그런데 이러한 1차 물결이 갖는 한계들이 지적되면서 2차 물결이 등장하였다. 비판적 의료 인문학에서는 개인뿐만 아니라 공적 영역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의학 이 갖는 얽힘의 속성에 주목하면서, 통합보다는 차이의 발견을 통해 의학 자체에 대한 성찰과 의료시스템의 민주화로 나아갈 것을 제안한다. 종교학은 이러한 의료인문학을 매개로 의학교육에 참여할 수 있다. 예컨 대 죽음교육, 의료에서의 영성의 문제, 지구화 시대의 다문화역량 등은 종 교학적 관점을 의학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주제들이다. 또한 종교를 통한 의학의 역사 탐구, 종교와 의료에 관한 여러 개념 분석, 생명의료윤리, 의료 인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입문식과 통과의례의 의미를 찾는 일 등도 종교학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주제들이다. 아직은 여 러 걸림돌이 있지만, ‘의료종교학’이라는 장(場)을 통해 종교학이 의학교육 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의료 인문학의 성격과 전망

        권상옥(Sang-Ok Kwon) 한국의철학회 2008 의철학연구 Vol.5 No.-

        과학적 의학은 1960년대에 이르러 생명 의료 기술의 발전과 병원의 대형화 추세로 의료의 비인간화 및 질병으로부터 환자의 소외 현상을 낳게 되었다. 더욱이 관리 의료와 기업 의료의 출현은 의사의 전문직업성을 위협하여, 의사가 환자와 사회로부터 신뢰와 권위를 잃게 만들었다. 이처럼 의학의 위상이 크게 흔들리면서 의학계는 의학에 대한 반성과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게 되었다. 이들은 의학이 과학적 의학을 지향하면서 환자보다 질병에만 관심을 기울여 의학의 인간적인 측면을 등한시한 것이 문제였다고 판단하고 이를 보강하여 인간적인 의학(humane medicine)을 만들고자 하였다. 의학에서 의술의 중요성이 다시 제기되었고, 의학 교육에 의료 인문학 교육이 도입되었다. 영국의 의료 인문학 협회는 의료 인문학이란 의료의 인간적인 측면 그리고 환자와 의사 관계를 포함하여 환자와 의사가 겪는 의료 경험을 의료, 교육 그리고 연구의 측면에서 학제간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하였다. 학제간 접근 주제로서 관심을 끄는 예로는 질환과 질병(illness and disease), 고통(suffering), 몸, 건강, 죽음과 죽어감(death and dying), 의사됨(doctoring)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주제는 생물학적 사실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문화적, 사회적 혹은 철학 적인 의미를 함께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의료 인문학은 인간적인 의사(humane doctor) 혹은 배려가 깊고 환자와 마음이 통하는 의사(compassionate and communicative doctor)의 양성을 교육 목표로 삼고 있다. 인간 적인 의사란 환자를 깊이 이해할 뿐만 아니라 개성이나 가치관의 차이를 인정하고, 윤리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의료 경험이나 지식을 비판할 수 있는 의사를 말한다. 의학이 과학과 의술이라는 두 축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금은 과학을 강조하던 의학에서 의술을 강조하는 의학으로 돌아가고 있는 상태이다. 그 동안 의학이 과학을 강조한 것에 대한 일종의 반동 현상으로 의학이 균형을 잡아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도 의학은 의술과 과학 사이를 시계추처럼 움직이면서 시대정신에 맞추어 끊임없이 중심을 잡으리라 생각한다. Recent technologic advances and improvements have had an overwhelming effect on the practice of medicine. physicians literally can treat patients without seeing them. Western science has devised technologies in which a computer can make the diagnosis without human “interference”. However, since the 1960s the assumptions underlying the authority of modern scientific medicine have themselves begun to be questioned. At the same time, an alternative current to reassert humanistic values in medicine has emerged as medical ethics in the 1960s and medical humanities in the 1970s. The medical humanities is a broad area of study and practice encompassing all nontechnical or ‘human’ aspects of medicine. The medical humanities serve three main goals: the study of the human aspects of medicine from within traditional arts disciplines of history, philosophy, sociology and literature, the intersection of medicine and the literature appreciating the many excellent works of physician writers, the movies and the training of more insightful and compassionate doctors. Here the medical humanities allow us to probe the delicate balance between scientific empiricism and critical thinking. Historically the first and most obvious feature of this inquiry was the modern exploration of medical ethics. “The medical humanities” is the name of a more inclusive inquiry, though one that embraces ethics. One of the aims of recent curriculum reform has been to release medical education from its scientific straitjacket and to reintroduce a more liberal, expansive curriculum that pays attention to both the cognitive and affective elements of clinical practice. I am convinced that we can stress the humane aspects of our profession without depreciating or neglecting the role of technology. In doing so we will offer to our patients a reassuring blend of humanity and modern medical technology.

      • KCI등재

        의료인문학 분야의 다큐멘터리 연극 활용 가능성에 대한 시론 -리미니프로토콜, Rimini Protokoll을 중심으로

        김정숙 ( Jeong Suk Kim ) 한국연극학회 2015 한국연극학 Vol.1 No.56

        본 연구의 단초는 근대 이후의 생의학적 방법론에 기인한 기계주의적이며 상업적인 의료문화를 비판하고, 의사와 환자 간의 떨어진 신뢰를 회복하며, 그들이 진정하게 소통하는 인간 중심의 의료환경을 조성하는데, 연극적 담론은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본고의 핵심적 내용은 의료인문학적 분야에서의 다큐멘터리적 연극의 활용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의학과 연극이 융합 될 수있는 지점은 다양 할 수 있지만, 그 한 방법론으로 필자는 리미니 프로토콜의 민속지학적 캐스팅 방법, 상호대화적 텍스트구성방식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수행적 실천의 결과로서의 연극공연은 의료인문학이 지향하는 다양한 관점을 잘 담아 낼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필자는 다양한 의료인문학적 주제 중에서도 질병체험의 서사나 의사와 환자와의 보다 나은 소통관계를 위한 일상의 전무가인 의사나 환자가 수행하는 서사의 복원의 문제, 상호경청의 수행성을 밝히고 있다. 즉 의료인문학분야에서의 다큐멘터리연극의 활용가능성의 방법론으로서 필자는 민속지학적 수행성이 지니는 의료인문학적 문화연구의 관점을 제시한다. The beginning of the study is the question, how and in which perspective theatre(discourse) oppose that today``s medical culture based on biomedical theories of modern times become rigid and inhuman, and that trust relationship between medicine doctor and patient have been weak. In this study is invested the possibility of utilization of documentary theatre of Rimini protocol for medical Humanities. Consequently is my these as follow: firs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documentary theatre of Rimini Protokoll and demand of medical humanities based on the ethnographic performativty of workingprocess and the perspective of Cultural Studies, which much problematic of medical culture reflect and criticize.

      • KCI등재

        한국 의학 드라마 연구 현황과 전망 - 대중문화를 통한 의료문학의 가능성 -

        최성민 ( Choi Sung-mi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2

        의료는 그 어떤 분야보다 전문적이고 고급의 지식 정보가 필요한 분야다. 의료에 대해 일반 대중들이 접근하기 쉬운 대표적인 통로가 바로 ‘대중문화’ 콘텐츠들, 그 중에서도 TV 드라마일 것이다. TV 드라마에서 의료와 질병을 소재로 삼는 것은 장점과 단점을 두루 가지고 있다. 병원이라는 배경과 질병이라는 사건은 딜레마적 상황을 표현하거나 긴장감을 주기에 적절하다. 시청자들의 감정이입과 몰입을 이끌어내기에도 좋다. 하지만 전문적이고 난해한 용어들과 의학적 지식, 제한적인 촬영 공간은 단점으로 작용한다. 의학 드라마는 의사 인물들의 성격에 따라 인물 유형을 제시하며 시청자의 호응을 유도하거나, 폐쇄적인 병원 내 인물과 조직 사이의 치열한 갈등을 표면화하는 방식으로 그려진다. 질병 서사 드라마는 질병의 진단과 투병 과정을 가슴 아프게 보여주거나 그것을 극복하는 과정에서의 사랑과 배려, 화해의 서사가 전개되곤 한다. 때때로 이러한 드라마들은 우리 사회의 이슈를 논쟁적으로 다루거나, 새로운 아젠다를 제시하는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의료 관련 드라마에 대한 연구는 문학과 대중문화 영역에서 인물 및 서사를 분석하는 경우와 의학의 영역에서 의학 교육에 활용될 가능성 및 효과를 검토하는 경우로 나뉜다. 각각의 연구들과 더불어 의료 관련 드라마들도 발전해왔다. 드라마 제작진과 연구자 모두에게 의료인과 조직의 윤리, 환자와 의료인 간의 의료 서사에 대한 관심이 좀 더 필요한 시점이다. 드라마를 비롯한 대중문화 콘텐츠를 통해, 인간 중심 의료를 지향하는 의료인문학이 더욱 확산될 수 있을 것이다. Medical care is the area that needs the most specialized knowledge information. ‘Popular culture’ contents are a way to reach medical care tha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ublic to understand. The most accessible passage for the general public on medical care is “pop culture” content, especially TV dramas. Medical and disease as subjects in TV dramas have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The context of a hospital and the event of a disease are appropriate to express dilemma situations or to give tension. It is also good for encouraging viewers to empathize and immerse themselves. However, technical and difficult terms, medical knowledge, and limited space are disadvantages. Medical drama suggests the type of doctor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characters. Viewers respond to one type of intention. And he sees the fierce conflict between the people and the organizations in the hospital. Disease narrative dramas show the pain of diagnosing and fighting disease. Or the story of love and reconciliation unfolds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disease. Sometimes these dramas play a role in controversial issues or suggest new agendas. The study of medical dramas has two aspects. One is the case of analyzing characters and narratives in the fields of literature and popular culture. The second i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nd effects of medical education in the area of medicine. Along with each study, medical dramas have also developed. However, interest in medical ethics and organizational ethics, and medical narratives between patients and medical practitioners, is a necessary time for both drama producers and researchers. Through popular culture contents including dramas, medical humanities aiming at human-centered medical care will be further spread.

      • KCI등재

        의료화의 역사에 대한 법사회학적 반성 : 새로운 의료법 패러다임의 구상

        정채연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集 Vol.17 No.3

        현대사회에서 의료 개념의 외연은 ‘질병이 없는 상태’와 같이 소극적인 의미를 넘어서, 아름다움, 행복, 웰빙, 삶의 질을 포함하는 적극적인 의미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의료는 의료서비스의 상품화와 비인간화, 환자의 소외 등과 같은 ‘현대 의학의 위기’를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의료, 건강, 질병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논의되어야 할 필요성을 증대시키며, 이에 따라 의료사회학과 같은 학제 간 연구가 증대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특히 법학에서 아직 충분히 소개되지 않은 개념인 ‘의료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의료법과 보건의료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구상해보고자 한다. 의료화는 이전에 의료의 문제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던 문제들이 질병 내지 장애로 인식되고, 정의되고, 다루어지기 시작하면서, 이전에 의료 영역 밖의 일상적 삶의 차원에 놓여있었던 행위와 상태가 의료적인 문제로 설명되는 현상 및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의료화의 역사적 전개를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다시 말해, 의료화는 i) 근대화의 과정 속에서 의료화; ii) 현대사회에서 권력(보건의료행정)과 자본(의료산업)에 의해 추진되는 의료화; iii) 의료화에서 생명의료화로의 역사적 이행이라는 세 가지 역사적 맥락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의료화의 역사적 지평에 대한 법사회학적 반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새로운 의료법패러다임의 방향성은 의료화와 탈의료화의 변증으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변증의 가능성을 의료인류학과 의료다원주의적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한다. 특히 의료다원주의적 관점은 표준화된 의료행위의 한계를 교정하고 의료문화의 가치를 회복하는데 중요한 시사점, 특히 현행 무면허의료행위 규제에 대한 새로운 성찰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근대 의학과 전통 한의학, 그리고 제도권 의료에 담겨지지 않은 비공식적인 보완대체의료의 다원주의적 협업에 대한 법정책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looks into the history of medicalization, the concept, which has been mainly discussed in sociology, but has not been fully introduced in jurisprudence yet. This essay discusses three phases of historical evolution of medicalization. First, medicalization has been developed through overall modernization process. Through the entangled process between modernization and medicalization, modern medicine, medical scientific knowledge and medical profession have increased their power as active agency of social control. Furthermore, in post-industrial society, medicalization process is propelled by Power(health care administration) and Money(medical industries). Lastly, our contemporary society moves forward into the third historical phase of medicalization,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shift from medicalization to biomedicalization. There are numerous criticisms on medicalization process. To resolve the tension between medicalization and demedicalization, I suggest a medical-legal pluralistic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medical anthropology and medical pluralism. This perspective may provide us a new reflection on the current regulation of unlicensed medical practice, the culturality of medicine, therapeutic dialogue, and the cooperation between physicians and non-physician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providers. The cultural aspects of medicine request interdisciplinary research such as medical humanities. This integrated understanding going beyond the boundary of discipline is integral especially in the area of medical law and health care policy.

      • KCI등재

        예술과 의학의 융합 가능성 - 시각예술 중심의 의료인문학 연구 -

        안혜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33 No.-

        Today, many academic disciplines have been actively interconnected and penetrated each other. To highlight the recent phenomena, the word,‘convergence’ as a key term, has been frequently used. Especially, It is believed that convergence between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s can generate an innovative and creative knowledge to solve current problems of today’s society by providing insight. Based on this belief, the field of medical humanities have led an active discussion on the convergence of arts and medicine as an alternative to dehumanizing phenomena of modern medicine and medical practices. However, this topic has mostly focused on medicine and medical education and it has been on its beginning stage. The first integration of arts and medicine was found in religious and shamanistic origin in the ancient society. With modern scientific revolution, as modern scientific medicine developed, arts and medicine had been separated. The two fields have been reunited since modern medicine has become to pursue holistic medicine, and active communication and empathetic interaction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Especially, visual arts and medicine have contributed to each other through its imagination and representation. This study examines cases of convergence of visual arts and medicine: visual arts in medicine and medicine in visual arts. These cases will be suggested as a foundation to medical humanities program focusing on visual arts. 오늘 날 학문 분과 간 결합과 상호 침투가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현상을 가리키는 ‘융합(convergence)’이 대표적인 키워드로 자리 잡으면서 융합 담론이 지배적이다. 특히 인문학과 자연과학의 융합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전체적인 통찰을 제공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당면 문제 해결에 필요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지식을 생성할 수 있다는 신념이 팽배하게 되었다. 이러한 신념을 토대로, 최근 의료인문학 분야는 현대 의학과 의료현장의 비인간화 현상에 대한 대안으로서 ‘예술과 의학의 만남’에 관한 논의를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예술과 의학의 첫 만남은 고대사회의 종교적,주술적 기원에서 찾을 수 있으나, 근대에 와서 과학적 의학이 발전하면서 두 분야는결별하게 되었다가 현대의학이 전인적 의료, 의사와 환자와의 소통과 공감을 지향함에따라 의료인문학 안에서 재결합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시각예술과 의학은 상상력과재현력을 매개로 서로의 영역에 공헌하였다. 이 논문은 시각예술과 의학의 역사 속에서 두 분야가 결합되었던 접점들과 그 융합 가능성을 다음의 두 가지 형태로 고찰해 봄으로써 시각예술 중심의 의료인문학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의학 안의 시각예술’은미술가와 의사들의 협업에 의한 해부도의 변천과 의료정보 애니메이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시각예술 안의 의학’은 의사의 의료 행위를 작품의 소재와주제로 다루거나 의학 기술을 직접적으로 사용한 미술작품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같은 시각예술과 의학의 융합 사례들을 의료인문학의 내용으로 제안함으로써 이 연구는 시각예술 중심의 의료인문학의 기초 연구로서 가치를 지닌다.

      • KCI등재

        의료 커뮤니케이션 개선을 위한 미술교육: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의 지역연계 프로그램 사례 연구

        안혜리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49

        This study has focused on ‘Opening Doors’ program for healthcareprofessionals run by Tate Liverpool, one of the national galleries of art in U.K. The aim of the study is to show main contents and outcomes of the program andto examine how art education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patient-centeredcommunication that contemporary healthcare service seeks. The program has beenstructured upon ‘Five Ways to Well-bing’ promoted by the New EconomicsFoundation(NEF) and composed of creative and integrated educational activitieswith the focus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works. As a result, the programhas empowered healthcare professionals to improve their personal well-being aswell as communication with their patients or service users by developing theirmultiple perspectives, sensitive awareness of others’ needs, active and openrelationships, reflective thinking skills, and decision-making skills. These majoroutcomes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medical education and healthcare service. Firstly, educational programs specific to healthcare professionals is to be developedthrough integrating healthcare communication and visual arts. Secondly, integrativeand experiential approach to healthcare communication education is to developedthrough partnerships with art museums or cultural institutions in communities. Thirdly,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humanities, researches on the outcomes ofintegrating healthcare and visual arts are to be activated. Therefore, the study haspushed the boundaries of art education by showing its contribution to improvinghealthcare communication. The study also can be valued as an interdisciplinaryinquiry between healthcare and visual arts. 이 연구는 영국의 국립미술관 테이트 리버풀(Tate Liverpool)이 의료·보건 전문인 대상으로운영해온 ‘오프닝 도어스(Opening Doors)’ 프로그램을 살펴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오프닝 도어스’의 주요 내용과 성과를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이 현대 의료․보건 서비스가 추구하는 환자 중심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고찰하는 것이다. ‘오프닝 도어스’ 프로그램은 영국의 신(新)경제재단(NEF)이 제시한 ‘웰빙의 5가지 비결(Five Ways to Well-being)’에 기초하여 근‧현대 미술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교육 활동들을 제공하였다. 그 결과, 이 프로그램은 의료․보건 분야 전문인들에게 자신의 정신적·신체적 웰빙을 증진할 뿐 아니라, 의료․보건 실무에 필요한 다중적 관점, 타인의 필요에 대한 민감성, 능동적․개방적인 인간관계 능력, 반성적 사고, 의사결정 능력 등을 향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요 성과들은 국내 의학교육과 의료 서비스에 몇 가지시사점을 지닌다. 첫째, 의료 커뮤니케이션과 시각예술 분야의 협업을 통해 의료·보건 전문인을 위한 특화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수진을 양성해야한다. 둘째, 지역 미술관이나문화예술 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통합적, 체험적인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법을 시도해야 한다. 셋째, 의료인문학의 관점에서 의료와 시각예술 분야 간의 융합적 성과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해야 한다. 이 연구는 미술교육을 통해 의료․보건 전문인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향상하고, 그들의 업무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음을 제시함으로써 미술교육의 지평을 넓혔으며, 의료 분야와 시각예술 분야 간의 학제적 탐구로서도 가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