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산읍성의 공간구조 고찰

        신다연,이정철,안신원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22 고문화 Vol.100 No.-

        Ansan Eupseong Fortress(安山邑城) is a Joseon Dynasty(朝鮮時代) Eupseong Fortress located in the Gyeonggi region(京畿地域) and is a very important relic due to its scarcity. Various remains were identified through seven excavation surveys, and based on this, the Gaeksa(Guesthouse 客舍) and fortress walls were restored. However, in relation to the structure of the castle, the ruins have been damaged in recent years and there are few historical sources, making it difficult to grasp the original form. Therefore, after reviewing the structure of the west coast fortress, which is geographically similar to Ansan-eupseong Fortress,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fortress was confirmed based on the excavation survey data and historical materials of Ansaneupseong Fortress. The internal space structure of the eupseong was different from the estimated structure based on excavation survey data and historical materials. Unlike the records of the excavation survey, Dongheon(Government Office 東軒) and Gaeksa were not arranged in parallel, but Dongheon and Gaeksa were located in the northwest and Gaeksa were located on the southern flatland of Eupseong, and other facilities were likely concentrated as western and southern parts of Eupseong. Other storage facilities were identified on the east side of the Eupseong Fortress, and Mokbinggo(Wooden Ice Storehouse 木氷庫) located on the west side did not show any traces of other facilities, so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Mokbinggo related to Saongwon(司饔院) Ego(魚 所), it seems to have been managed separately from other storage facilities. It is estimated that other facilities such as warehouses were located in the west and south of Eupseong Fortress, which is close to the transportation route favorable to material movement. As such, Ansaneupseong Fortress shows similarities to eupseong fortress in the west coast, but shows different unique structure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fic aspects of the spatial structure in Ansaneupseong Fortress, restoration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should be avoided, and additional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to the unexplored area north of Eupseong Fortres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first. 안산읍성은 조선시대 읍성으로 경기지역에 위치하는 입지적 희소성으로 인해 매우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7차 차례에 걸친 발굴조사를 통해 다양한 유구가 확인되었고, 이를 토대로 현재 객사 및 성벽 복원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성 내 공간구조는 근래까지 유적의 훼손이 이루어졌고 사료도 적어 원형을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안산읍성과 지리적으로 유사한 서해안지역 읍성의 구조와 비교한 후 안산읍성의 발굴조사 자료 및 사료를 바탕으로성 내의 공간 구조를 검토하였다. 읍성의 내부 공간 구조는 발굴조사 자료와 사료를 바탕으로 한 추정 구조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발굴조사 자료를 검토해 볼 때 사료의 기록과는 달리 동헌과 객사는 병렬배치된 것이 아니라 동헌은 북서쪽, 객사는 읍성의 남쪽 평탄지에 입지하여 동헌과 객사는 서로 다른 종축 상에 위치하며 기타시설은 읍성의 서·남편으로 집중되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기타시설 중 저장시설은 읍성 내 동편에서 확인되고, 서편에 위치하고 있는 목빙고는 주변으로 타 시설의 흔적이 확인되지 않고 사옹원 어소와 관련된 목빙고의 중요도를 감안해 볼 때 다른 저장시설과는 달리 별도 관리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밖에 창고 등은 물자이동에 유리한 교통로와 근접하는 읍성의 서쪽과남쪽에 위치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안산읍성은 서해안 지역의 읍성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지만 서로다른 독특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안산읍성 내 공간 구조에 대한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기간 내의 복원은 지양되어야 하며, 읍성 북편의 미조사구역에 대한 추가적인 고고학적인 조사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남해안지역 연해읍성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

        이일갑 ( Il Gab Lee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8 文物硏究 Vol.- No.13

        연해읍성에서 확인되는 평면형태는 조선시대 이전시기의 치소성에 해당하는 마산 회원현성, 부산 당감동성, 울주 화산리성, 동래고읍성 등의 성곽들에서 계승 발전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해읍성의 평면형태는 크게 방형, 원형, 주형, 제형의 4형식으로 나누어진다. 입지유형에 있어서 방형의 경우는 모두 평지성으로 축조되어 있으며, 제형과 원형의 경우에는 평산성으로 축조되어 있고, 주형의 경우에도 역시 대부분 평산성으로 축조되어 있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의 경우 제형의 평면형태로 축조된 읍성의 수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성둘레 역시 내륙읍성 및 여타지역의 읍성에 비해 작다. 오히려 주형이 다수를 차지하며 축조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유는 내륙지역 읍성과 여타지방의 읍성의 경우에는 전시대의 토성 내지 석성을 재수축하여 사용하는 토성→석축화 작업이 진행되면서 기존의 체성부를 확대 및 개축한 것인데 반해 연해읍성의 경우에는 조선의 개국 이후 축조되는 신축읍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때 신축읍성의 경우에는 입지를 고려한 지형조건에 더하여 유교적 신분질서의 확립과 중앙의 지방에 대한 통치권의 확립 및 군사방어체계의 개편에 따른 행정단위의 위계질서에 맞는 읍성 체성부 평면형태를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풍수지리사상에 의한 읍성의 취약한 풍수의 기운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형식의 읍성 평면형태를 적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남해안 연해읍성의 경우는 제형이 가장 빠른 평면형태로 확인되고 아울러 주형 역시 동시기에 축조되고 있으며 조선 전기 후반으로 갈수록 제형과 주형이 혼용되어 축조되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은 상위행정단위에 속하는 읍성의 평면형태가 주형으로 축조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시대 전기에 연해읍성 축조에는 주형이 유행하던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연해읍성 평면형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또 하나는 해당성곽에 입보하여 농성하거나 수용할 수 있는 인력에 따라 성곽의 평면형태가 달라질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연해읍성 가운데 30,000명 이상의 호구수를 가진 군현에 축조된 읍성 평면형태는 주형이 과반수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연해읍성은 평면형태의 비교에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시기의 여타의 다른 지역에 비해서도 단일한 축성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남해안 연해지역이 대왜구 최일선 전략적 거점으로서 그 군사적인 기능으로 인해 국가로부터 엄격한 축성관리를 받으며 일관되게 축성사업이 진행되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울러 지형조건에 따라 읍성 평면형태가 결정되었다기 보다는 규식에 맞는 지형을 심정하여 정해진 읍성형태 가운데서 선택하여 읍성을 축조케한 제식적인 규식이 있었다고 할 수 있다. The flat formation found in the coastal town walls were succeeded and developed afterward and we can see them in Masan hoewonhyeon castle, which was governing castle before Joseon Dynasty period, Busan Danggamdong castle, Ulju whasanri castle, and Dongrae goeup castle. The flat formation in coastal town wall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largely as square, round, ark, and trapezoid shape. As for location, the square shape was built on flat castle, the trapezoid and the round shapes were built on flat with mountain castle, and most of ark shape also was built on flat with mountain castle. In the case of coastal town walls in south coast, the town walls built with flat formation of trapezoid are few and the girth of the walls also smaller than that of land town and the others. Rather most of them had the ark shape. In the case of the land town walls and others, they were added or reconstructed to the precedent castle walls on the way of change working from soil walls to stone ones. However in the case of coastal town walls, most of them were built newly after opening Joseon Dynasty and then they were considered with the idea of establishing Confucian social status system and sovereign power of central government over local province and rank order of administrative unit accordant to reorganizing military defense system as well as their topographic condition. And also the reason that they had the new type of flat formation was to cover their weak energy said by the theory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In the case of south coastal town walls, the trapezoid shape was the earliest flat formation and also the ark shape was made in the same period but their formation became changed by combining both shapes as it went to the age of latter part of earlier Joseon Dynasty. And also in the case of the high governmental status' unit in South coastal town, their walls' flat formation had the ark shape. Therefore the ark shape can be said the popular pattern in coastal town walls in the earlier Joseon Dynasty. Another thing to be considered in the flat formation of coastal town walls is that it could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man who could enter together and its capacity to accommodation. Especially among the coastal town walls, the flat formation built in Gun and Hyeon with over 30,000 houses had the ark shape in majority. Therefore as shown in the comparing flat formations, the coastal town walls had a single construction pattern comparing to the others in the same period and it seemed from its topographic condition. The area was the strategic base in forefront place against Japan so owing to its military function, the walls construction was proceeded with consistency and stern control by the nation. And there was a ritual rule to construct town castle walls by selecting land shapes suitable to the rule among arranged ones rather than determining the flat formation according to the topographic condition.

      • 南海岸 沿海邑城의 垓字考

        李日甲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06 文物硏究 Vol.- No.10

        남해안 연해읍성은 기존에 존재하던 산성이나 고읍성에 비해 그 축조수법 및 부대시설의 설치가 전대와는 다른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그러한 축성양상 가운데 단일성벽으로 이루어진 읍성의 방어를 강화하기 위해 甕城, 敵臺, 女牆, 垓字 등이 설치되게 된다. 이 가운데 읍성의 관점에서 가장 1차적인 방어시설이며 동시에 가장 강력한 守城武器가 해자였다. 垓字는 성벽 주변에 인공적으로 땅을 파서 고랑을 내거나 자연 하천 등의 장애물을 이용하여 성의 방어력을 증진시키는 방어시설의 하나로서 아주 이른 시기부터 동서양을 막론하고 보편적으로 사용되던 방어시설이었다. 우리나라의 문헌에서 ‘해자’와 관련된 용어는 󰡔朝鮮王朝實錄󰡕에서 사용되는 것만도 ‘垓字’, ‘坑坎’, ‘濠池’, ‘塹濠’, ‘隍池’, ‘海子’, ‘池壕’, ‘垓子’, ‘塹’, ‘池濠’, ‘壕’ 등이 사용되고 있고 조선 후기에 편찬된 󰡔增補文獻備考󰡕에는 ‘垓子’ 라고 기록되어 있다. 남해안 연해읍성의 해자는 그 축조양상과 수법이 중앙정부의 관리감독 아래 과거에 비하여 훨씬 통일된 規式과 축조수법을 가지고 축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축조된 연해읍성의 해자는 체성부와 해자와의 간격이 각각의 읍성별로는 차이를 보인다 하여도 문지와 체성부의 해자와의 간격이 1 : 0.5의 간격비율을 유지한다. 이것은 체성부와 해자와의 간격을 기준으로 문지와 해자 사이에서는 체성부와 해자와의 간격에 비해서 반으로 감해져서 축조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남해안 연해읍성의 해자의 축조 시 상하부 너비의 비율이 1 : 1.5 비율을 유지하며 축조되고 있다. 다음으로 연해읍성 해자 내에서 木杙이 설치되어 있는 양상은 3가지 유형으로 파악된다. 첫째, 해자 전면에 목익을 설치하는 것과 둘째, 해자 중심 부분에 집중적으로 설치하는 것과 셋째, 해자의 濠岸石築에 연한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연해읍성 해자에는 읍성 내외 출입을 위한 陸橋施設이 확인된다. 이 陸橋部는 성내로 진입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중요한 구조물이지만 유사시 垓字를 넘어 적이 읍성 내로 진입하기에 좋은 시설임을 감안하여 효과적인 읍성의 방어를 위해서는 육교부의 파괴가 요구되므로 석재를 이용한 견고한 육교시설보다는 나무를 부재로 사용했던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이상의 양상으로 볼 때 남해안 연해읍성의 해자 및 해자 내 목익과 호안석축 및 통행시설인 육교부는 조선 전기 읍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astal Town Castle in the South coast came to show quite a different phase of the construction technique and ancillary facilities compared to existing mountain castles and ancient castle. To reinforce the defence of a eup castle composed of single castle wall among castle construction, a strong fortification, defence stand, defence wall, moat and so on. From the viewpoint of a town castle, the most primary defence facilities and the strongest defence weapon was a moat. A moat as one of defence facilities to enhance the castle grooving the earth and using a hurdle such as a natural river, was defence facilities universally used regardless of the western and Eastern world. The terms related to a moat in our literature were a moat, ganggam, hoji, haeja(垓字), ganggam(坑坎), hoji(濠池)․Pitfall(塹濠), hwangji(隍池), haja(海子), jiho(池壕), heja(垓子), cham(塹), jieho(池濠), ho(壕) in Joseon Dynasty chronicles (󰡔朝鮮王朝實錄󰡕), which is recorded as a moat compi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oat of Coastal Town Castle in the South Coast can be certified that the construction phase and technique was far unified method and technique under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central method compared to the past. The moat of Coastal Twon Castle built up like this shows the interval from the main castle part by each town, maintaining the interval ratio of 1:0.5 in that of a gate and the moat, the main castle part and the moat. This means that it was constructed with the interval of Munji and moat reduced half that of the main castle part and moat based on that of the main castle part and moat. Also in constructing the moat of Coastal Town castle in the South Coast,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upper and the lower part was kept. And the phase of Mokik (木杙) installed in the moat of Coastal Town Castle is understood as 3 types. First, installing Mokik at the front of the moat, Second, installing it intensively at the center of the moat, Third, installing it at the edge of Coastal stone structure. The overpass facilities for entrance to the town is confirmed. This overpass part is an important stricture to enter into the castle, given that it is for entering an enemy castle beyond the moat, and it can be thought to have been a easily-recoverable wood bridge rather than a stone using sturdy overpass facilities. Looking at the above phases, the moat in Coastal Town Castle, Mokik in the moat, Coastal stone structure and overpass part as a passage are expected to be important data in studying on coastal town castle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남해안 연해읍성의 雉城 小考 : 河東邑城의 치성을 중심으로

        李日甲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07 文物硏究 Vol.- No.11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Chisung, 雉城) at a town castle located at a small town along the coast waters of the south sea were representative fortifications, which were built as a set of structures and a town castle's subsidiary facilities along with impregnable protective castle walls, castle gate grounds, moats, and lower defensive and offensive walls built on top of a castle(Yeojang, 女墻)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so those data is reall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s of fortifications at the coastal towns of the south sea at that time. In case of Gyeongsang-do, there existed town castles built in a location where provincial higher administrative units along with Daedohobu(a kind of local administration, 大都護府) and barracks at Gyeongju, Gimhae, and Changwon, and the town castles showed a difference in size from other town castles belonging to the lower administrative units by one point five to two times. These aspects show that the higher level the administrative units, the mor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and besides, at the town castles having barracks and naval barracks, the much larger numbers of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in the town castles were planned and built in comparison with other town castles built at general counties or prefectures. The basic numerical value of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in town castles was divided into 6-site-location and 12-site-locatio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other words, the two types of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were as follows; the 6-site-location consisted of four fully-grown bulls and two right-left symmetrical castle forms at the main gate site ; the 12-site-location consisted of four fully grown bulls with two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respectively at the left and right of main gate site. Therefore, the fact that more than 12 locations of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were built proves that the Joseon people fortified their defensive facilities to protect town castles from the Japanese pirates at that time who frequently committed provocative acts especially at the coastal town castles along the south sea; thus it is presumed that the Joseon people's fortifications project once centered on Hasam-do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turned its most emphasis on the coastal areas of Gyeongsang-do, i.e. coastal town castles along the south sea. Among the coastal town castles, inland town castles and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of Youngjin Castle(營鎭堡城) was the square type ground plan used for building for the longest time and the next was a rectangular-base with narrow flat upper section, and the last was a rectangular form. It is found that in the former times on King Sejong's 15th year ruling period(1433), there had been a lot more frequencies of a rectangular square with almost the same ratio of length over width, which was used either by Naesangseong where barracks and town administration commonly co-existed or by town castles built in the higher level unit towns among the administrative districts. Next, from after the 15th century through the 16th century, the ground plan for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was mainly a regular square and a rectangular; in contrast, rectangular base with narrow flat upper section diminished or extinguished. Likewise, in case of naval forces Youngjin Castle built before and after the 15th century, the regular square had been a main-stream, and such convention was passed through the early-middle Joseon Dynasty periods to the later period of Lee's Dynasty. In addition, in King Sejong's 15th ruling period(1433), rules and forms for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in town castles were applied, and accordingly, rectangular base with narrow flat upper section form castles were built; however a square form and a rectangular form were also continuously used in building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Besides, in case of rectangular formed castles, it is found that it had been longer used than the rectangular base with narrow flat upper section form castles and also the standard for building rectangular base with narrow flat upper section form castles wasn't observed well at that time. Up to this time, it has been presumed that the fact that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had various ground plans with different length and width in the same town castle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measurements and the length of periods for castle construction. However,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were built with difference in length between castles to serve mutually supplementary functions and that's why a square, a rectangular, and a rectangular-base-with-narrow-flat- upper-section form were used together in building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of inland town castles in Youngnam District including coastal town castles along the south sea.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 construction was done with width and length decided by its surrounding geological condition or castle circumference and in case of Youngjin Castle-the higher administrative and military command system, it had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built with a greater length and width. Next, the five-meter length standard[which was the established rules and forms at that time] of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were usually observed and they were built near the coastal town castles along the south sea. In addition, such rules and forms of five-meter are found in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of Youngjin Castle built during King Sungjong and Jungjong periods and the same with the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of later built Dongrae town castle; thus it can be said that the rules and forms of five-meter-long measurement had been observed continuously through the whole periods of Jeosun Dynasty. Therefore, coastal town castle built along the south sea areas, as indicated in case of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used a single construction pattern in their numbers and size of defensive facilities including supplementary defensive castles in comparison with the other districts' during the same periods, which fact proves that the coastal areas along the south sea, due to military function as a strategic stronghold against Japanese pirates invasion, were under strict castle-construction control from the government, thus consistently carrying out with castle-construction project. 남해안 연해읍성의 치성은 읍성에 축조된 대표적인 방어시설로서 甕城門址, 垓字, 女墻과 더불어 조선시대 읍성 부대시설에서 세트로 축조되고 있어 남해안 연해읍성의 방어시설의 구조와 축조수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고 할 수 있다. 경상도의 경우 경주, 김해, 창원 등의 대도호부와 병영이 설치된 상위 행정 단위 및 군대의 상급지휘체계의 지휘관이 위치하는 곳에 축조된 읍성이 하위 행정단위의 읍성에 비해 치성수가 1.5배 내지 2배가량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행정단위가 상위 일수록 치성이 증가하며 또한 병영 및 수영이 설치된 내상성일수록 치성의 숫자가 일반군현에 축조된 읍성 치성에 비해 많은 숫자로 계획되어 축조되고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읍성에 설치되는 치성의 기본적인 수치는 읍성의 4성우와 주요 문지의 좌우 적대를 갖춘 6개소의 형태와 4성우와 각 문지 좌우에 각각 2개소가 설치된 12개소의 두 가지 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처럼 남해안지역의 연해읍성에 12개소 이상의 많은 치성이 설치되는 것은 왜구의 침구로부터 읍성을 보호하기 위한 방어시설의 강화에 따른 것으로 조선 전기의 하삼도에 집중된 읍성 축성사업이 특히 경상도 연해 즉 남해안 연해읍성의 축조에 가장 중점을 두었다고 할 수 있겠다. 남해안지역 연해읍성과 내륙읍성 및 영진보성 치성 가운데 정방형 평면플랜을 가진 치성이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축조 사용되고 있으며 다음으로 방대형이 나타나고 마지막으로 장방형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세종 15년(1433)을 기준으로 그 이전 시기에는 정방형이 훨씬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으며 여기에 해당되는 읍성은 공통적으로 병영과 읍치가 공존하는 내상성이거나 행정구역 단위 가운데 상급단위의 고을에 설치된 읍성들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15세기이후 16세기를 거치면서 치성의 평면플랜은 정방형과 장방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방대형의 형태는 쇠퇴하거나 소멸되고 있다. 또한 15세기 전후에 축조되는 수군 영진보성의 경우에도 정방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조선시대 전기에서 중기를 거쳐 후기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정방형의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세종 15년(1433) 치성 축조 규식의 적용 이후에는 방대형의 치성이 축조되고 있지만 정방형과 장방형의 치성도 계속해서 축조되고 있다. 더구나 장방형 치성의 경우에는 방대형보다 오래기간 지속적으로 축조되는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방대형의 축조를 규식화한 축성방침은 지켜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남해안 연해읍성의 치성을 비롯한 영남 내륙읍성의 치성에서 정방형, 장방형, 방대형의 치성이 혼용되는 이유는 치성 간에 길이의 차이를 두어 상호보완토록 하고자 함이다. 또한 지형적인 조건이나 성 둘레에 따라 너비와 길이가 정해져 축조되는 것과 더불어 상위지휘체계의 영진성 일수록 치성의 길이와 너비가 더 크게 축조되었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남해안 연해읍성의 치성의 길이는 비교적 5m라는 규식이 일정하게 지켜지며 축조되고 있었다고 할 수 있겠다. 아울러 치성 길이 5m의 규식은 성종조와 중종조에 축조되는 영진보성의 치성에서도 일괄적으로 확인되고 있고, 17세기에 축조되는 동래후기읍성의 치성에서도 길이가 5m로 확인되고 있어 남해안 연해읍성의 치성의 길이는 5m로 조선시대 전 기간 내내 계속적으로 지켜지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남해안지역 연해읍성은 치성의 경우에서도 알 수 있는 것처럼 동일한 시기의 여타의 다른 지역에 비해 치성을 비롯한 방어시설의 숫자 및 규모에 있어서도 단일한 축성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것은 남해안 연해지역이 대왜구 최일선 전략적 거점으로서 그 군사적인 기능으로 인해 국가로부터 엄격한 축성 관리를 받으며 일관되게 축성사업이 진행되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거제(巨濟) 고현읍성(古縣邑城)에 대한 연구(硏究)

        이일갑 ( Il Gab Lee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6 石堂論叢 Vol.37 No.-

        巨濟 古縣邑城은 朝鮮前期에 築造된 沿海邑城으로서 그 構造나 築造手法이 朝鮮 前期 에 築造된 城郭의 築城手法을 理解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資料가 되는 것이다. 특히 古縣邑城은 朝鮮 文宗 1年(1451)이라는 築城時期의 絶代年代를 아는 朝鮮 前期의 典型的인 沿海邑城으로서 平地城 및 山城과는 달리 丘陵의 末端部와 平地를 이용하여 築造한 平山城으로 築城新圖 頒布以後에 築造된 城이며 太宗과 世宗朝에 一貫되게 維持되어온 沿海邑城의 築城의 마무리 단계에 築造된 城으로서 朝鮮 前期 沿海邑城의 築城에서 蓄積된 築造技術을 압축해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築城史的 重要性이 있다고 할 수 있다. 古縣邑城은 1991년 東亞大學校博物館에 의해 北壁과 西壁의 一部가 調査되었으며, 또한 2004년에는 東門址와 東壁 垓字의 일부가 조사되었다. 이 조사에서 東門址 甕城과 垓字 및 濠岸石築과 垓字내 木익 그리고 通行施設인 陸橋部가 확인되었다. 또한 여타의 邑城 平面플랜과 달리 船形의 독특한 平面플랜으로 축조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이것은 船形이라는 하나의 築城패턴이 존재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垓字 조사에서는 門址와 體城部의 垓字 간격이 1:0.5의 비율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體城部와 垓字와의 간격이 門址와 垓字 사이에서는 半으로 감해져서 축조되고 있는 것이 일관되게 지켜지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다음으로 고현읍성 해자의 上下部 幅의 比率이 1:1.5 비율로 유지되어 축조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리고 古縣邑城의 垓字에서 확인된 出入施設들은 東萊邑城에서 확인되는 木材橋脚과 더불어 적어도 朝鮮前期에는 木製架橋 내지 釣橋의 형태를 유지하였다가 土石을 이용하여 陸橋部의 형태로 점진적인 변화를 보인 것의 단서로 생각할 수 있겠다. 따라서 南海岸地域 沿海邑城의 하나인 古縣邑城의 垓字의 경우는 通典에 기록된 規式과는 일치하지 않지만 비교적 同一한 規式에 의해 築造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이와 같은 垓字를 設置한 古縣邑城의 築造背景으로는 巨濟島의 경우 南海를 거쳐 서쪽으로 進出하는 海路상의 중요한 길목으로서 일찍부터 認識되어 大倭寇防禦戰線의 戰略的 要衝地로서의 役割을 수행하기 위해 邑城을 築造하였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巨濟島에서는 古縣邑城을 비롯한 沙等城, 烏良城, 玉浦鎭城, 加背梁城 등 各種 城址가 확인되는 것만도 24개소에 이르고 있으며 이와 같은 城址의 配置關係를 통해서도 巨濟島 地域의 戰略的 重要性은 충분히 傍證되는 바이다. 더구나 古縣邑城이 築造되던 時期에 상당수의 城郭들이 이미 築城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자면 이 城郭들의 築造背景 역시 巨濟島 地域이 가지는 軍事的, 戰略的인 價値에 기인하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이와 같은 背景에 의해 築城된 古縣邑城의 築城樣相을 把握하는 것이야말로 朝鮮時代 沿海邑城의 築城에 內包된 軍事戰略 및 當代의 爲政者들의 愛民思想과 統治哲學의 斷面을 把握할 수 있는 하나의 端緖를 提供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硏究가 부족한 朝鮮時代 沿海邑城의 類型分類와 城郭防禦施設의 한 단면을 파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서 축성사적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The Gohyon eup fortress in Geoje was built in the form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so its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is a very important material to underst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fortress of those days.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Gohyon eup fortress, the typical coastal eup fortress, its absolute built date is known to us as the first year of Munjong of the Josoen dynasty (1451), and it is a flat & mountain fortress using the terminal part of hill and flat ground which can be contradict to those of the flat ground fortresses and the mountain fortresses. Also it was built after promulgating the new plan of construction fortress and built at the end of the stage of coastal fortress plan which had been progressed constantly from the age of the king Munjong to Sejong. So it has value in the history of fortress construction as in the respect of reviewing construction skill that had been conserved from constructing fortress work through the form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Gohyon eup fortress was investigated its part of those north wall and west wall by the members of Donga university museum in 1991 and in 2004, the part of east lineage and the moat of east wall were investigated. Through this investigation they identified the east lineage, the moat, the stone sheath, the wooden sticks in moats, and the land bridge the passing facility.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flat plan for Gohyon eup fortress had a trait of special shape of vessels contradict to the other flat plans for eup fortress, and this suggests that there existed a vessel shape as a construction pattern. And also in the investigation of moats it was found that the space of the lineage and the moat of fortress wall has the percentage of 1: 0,5. This suggests that there was a kind of building policy to keep a space between lineage and moat as much as the half of the fortress and moat. And then they identified that in case of the moat of Gohyon eup fortress, the percentage of the width of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had consistency of 1:1.5. The identified entrance facilities in the moat in Gohyon eup fortress give us a clue that they had conserved their shapes as wooden bridge at least until the form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like as the identified wooden bridge in Dongrae eup fortress and changed slowly to the shape of the part of a land bridge using mud and ston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moat of Gohyon eup fortress that is the one of coastal eup fortress in the south part, even though it was not built according to the rule described in Tongjeon, we could say that it was built somewhat with the same rule. As a background of constructing Gohyon eup fortress which has that type of moat, we can suppose that it was from the policy to have it a role of important strategic area as a front defence battle line, because in the case of Geoje island it was perceived as an important way of sea from the south sea to the west. More over, in Geoje island there are at leat 24 found fortresses like as Sadeung fortress, Oryang fortress, Okpo fortress, and Gabaeryang fortress including Gohyon eup fortress and this has sufficient proof of its strategic significance. In addition as viewing the numerous fortresses which had already been built before the presence of the Gohyon eup fortress, we can suppose that those fortresses` background is also from its military and strategic importance of the area. Therefore grasping the construction style of Gohyon eup fortress which has the base of those background is considered to supply a clue to understand military strategy, politician`s love for people, and an aspect of governing philosophy of those days. This study has also a great significance as a material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constructing fortress because it can supply a data for classifying types of coastal eup fortress and grasping an aspect of defence facilities of fortress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still in need of study.

      • KCI등재

        조선전기 남동해안 연해읍성의 유형과 이건배경

        권순강,이호열 한국건축역사학회 2015 건축역사연구 Vol.24 No.4

        Coastal eupseongs, which are mainly built in the period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are essential materials in studying the history of Joseon period eupseong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nect the annexation of local districts with the relocation of local government office, so as to categorize the types of coastal-eupseongs and examine the background of their constructions and relocations. Coastal eupseongs are mainly divided into 'maintenance type' and 'Mergence type' according to the annexation of local districts, and maintenance type is broken down into fortress type and non-fortress type in accordance with the existence of old eupseongs(fortresses). Coastal eupseongs can also be categorized into 'application type' and 'relocation type' depending on whether ex-local government offices were reutilized or relocated. Maintenance type is 'fortress-application type'(Gimhae·Gosung·Old Ulsan-eupseong), 'non-fortress-application type'(New Ulsan-eupseong), 'fortress-relocation type'(Dongrae․Kijang․Geojegohyunseong․ Ulsan(Jwabyeongyoung)-eupseong), 'non-fortress-relocation type'(Sacheon․ Hadong·Jinhae-eupseong·Geojesadeongseong) are differentiated by type. Mergence type is divided into 'Merger of Villages after Castle Relocation Type(Changwon·Namhae·Gonyang-eupseong)', 'Merger of Villages before Castle Relacation Type(Ungcheon-eupseong)'. Coastal-eupseongs are moved to other places in need of more affluent water supply(Gimhae·Gijang-eupseong) and wider usable area(Namhae·Gohyunseong-eupseong). Eupseongs were enlarged owing to the population growth, caused by annexations of local districts.(Ungcheon-eupseong) 'Seonso'(navy yard) is a unique feature which cannot be seen in inland eupseongs. 조선시대 치소는 통일신라 혹은 고려시대의 치소를 수용·발전시켰지만 대부분의 조선의 통치이념과 효율적인 방어를 위해 새로운 치소를 조성·운영하였다. 연구대상에 속한 연해읍성은 고려말 조선초에 축조되는데 이 시기는 내지읍성 축조되기 이전이다. 그래서 조선시대 읍성제도 수용과 발달 연구 중요한 자료지만 이에 대한 연구 성과는 많지 않다. 연구 목적은 연해읍성을 군현의 병합여부와 이건 여부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신축 및 이건 배경이 되는 원인, 선호 입지 등을 규명하는데 있다. 유형분류는 군현의 병합유무에 따라 유지형과 병합형으로 나어 진다. 유지형은 다시 고읍성의 유무에 따서 有城型과 無城型으로 구분되고 또 치소의 활용여부와 이건여부에 따라 활용형과 이건형으로 細分된다. 이것을 종합하면 군현 유지형은 ‘有城 活用形’과 ‘無城 活用形’, ‘有城 移建型’, ‘無城 移建型’ 네 종류로 구분된다. 유성 활용형에는 해당하는 읍성은 김해와 고성이지만 무성 활용형은 연구 대상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유성 이건형에 해당하는 읍성은 울산·동래·기장·진해·고현성이며, 무성 이건형에는 사천과 사등성이다. 병합형은 모두 새로운 장소에 읍성이 이건 되는데 이때 행정구역 병합과 읍성축조선후에 따라 ‘선 병합 후 읍성축조형’과 ‘선 읍성축조 후 병합형’으로 구분된다. 전자의 읍성이 창원·남해·하동·곤양이며 후자는 웅천이다. 연해읍성이 속한 군현의 위상 변화를 보면 김해, 하동, 고성, 거제, 남해는 위계가 강등되는 반면 창원과 곤양은 높아 승격되었다. 나머지 치소의 위계는 고려시대와 동일하였다. 읍성의 둘레는 都護府와 郡에서는 1.64~1.93㎞이고 縣令이 배치된 현에서는 1.3~1.5㎞이고, 縣監이 배치된 현에서는 0.64~1.34㎞이다. 연해읍성의 입지는 평지성, 평산성, 산성 모두 확인되었지만 평지성 50%로 평지를 선호한 것을 알 수 있다. 연해읍성의 이건배경에는 용수확보와 대지의 협소의 이유인데 전자의 읍성은 김해·기장·진해읍성이며 후자는 남해·고현성이다. 웅천읍성은 군현이 병합되어 대지가 협소하여 이건보다는 증축하였다. 연해읍성은 선소(船所)를 경영하고 있었는데 내지읍성의 다른 특징이다.

      • 조선전기 기장읍성의 축조기법에 대한 소고 : 기장읍성 체성부 축조수법을 중심으로

        이일갑 한국성곽학회 2011 한국성곽학보 Vol.19 No.-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 40호로 지정되어 있는 기장읍성은 조선시대의 읍성축조수법이 정형화된 형식으로 정리되기 이전에 축조되어 고려시대 성곽 축조수법과 조선의 읍성축조수법이 혼합되어 성곽축성사에 있어 읍성축조수법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기장읍성에서 확인되는 사직선기단의 축조는 과거 고려시대말까지 계속 축조된 판축토성(版築土城)의 기단부 축조방식을 읍성축조에 적용한 결과로 고려 판축토성에서 조선시대 석축성인 연해읍성의 축조로 이어지는 흐름의 연결고리라고 할 수 있다. 기장읍성 동벽 체성부에서 확인되는 세장방형 외벽면석 축조수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조선시대 읍성의 장대석 입수적 축조수법과는 차별성을 지닌다. 기장읍성 남벽과 동벽 체성부 기저부 축조수법은 김해읍성, 웅천읍성, 동래읍성, 고성읍성 등에서 확인되는 지대석 설치 이전에 바닥에 판석을 이용하여 바닥면의 수평을 맞추어 정리된 구조물은 확인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축조수법이 사용되기 이전 시기에 축조된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장읍성은 사직선기단축조수법, 체성부 세장방형 외벽면석의 사용과 더불어 고려시대의 성곽축조수법과 조선시대 연해읍성 축조수법이 혼용된 과도기적 읍성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Gijang-eup fortress, Busan metropolitan city monument No.40, has a value in that because this fortress was constructed before using the technique of constructing Eup fortress in Chosun dynasty arranged in typical form, change of Eup fortress construction technique can be known with the mixed technique of Goryeo and Chosun dynasty. Construction of platform in slide line identified in Gijang- eup fortress is a result of applying construction technique of platform part for rammed earth fortress. This technique shown in Gijang- eup fortress can be a link between rammed earth fortress in Goryo and Eup seong near sea which was a stone fortress in Chosun.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outer wall stone in narrow rectangle shape identified in wall body part of eastern wall in Gijang- eup fortress is distinguished from construction technique with foundation stone in generally known Eup fortress in Chosun dynasty. The construction technique of lower base of wall body part of southern and eastern walls in Gijang- eup fortress does not show structures arranged making even level using stone slab before constructing foundation stones identified in Gomhae-eup fortress, Woongcheon-eup fortress, Dongnae-eup fortress, Goseong-eup fortress etc. Accordingly, Gijang- eup fortress is the form constructed before using above construction techniques. Through this, it is known that Gijang- eup fortress is the interim Eup fortress with mixed construction techniques of Goryeo and Eup seong in Chosun along with construction technique of platform in slide line, outer wall stone in narrow rectangle shape identified in wall body part of Eup fortress.

      • KCI등재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

        전종한(Jong-Han Jeo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5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1 No.2

        조선시대의 읍성 취락은 중앙 정부가 지방의 각 고을에 계획적으로 건설한 행정 타운으로서 우리나라의 전통도시를 대변한다. 읍성에는 객사, 동헌과 내아, 질청을 비롯한 다양한 행정 및 통치 시설들이 들어서 있었고 일반 백 성들의 민가가 들어서 있는 경우도 많았다. 본 연구는 조선후기 읍성 취락의 주요 경관 요소와 경관 구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그 결과를 지적원도(1913)에 재현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현재적 재현을 위한 복원 대 상 시기를 설정하는 일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조선 읍성 경관의 완성기를 19세기 전반기로 규정하고, 이 시기 전국의 읍성 분포 및 주요 읍성 경관 요소의 전국적 보편성과 지역적 특수성을 파악하였다. 이 작업을 토대로, 태안읍성, 서산읍성, 해미읍성을 사례로 읍성 경관 완성기의 읍성 내 주요 경관 요소와 그들의 위치, 전체적 공간 구성을 1910년대의 지적원도 위에 나타내 보았다. Eupseong (county seat) represents the Korean historic city which had constructed intentionally by central government during Joseon Dynasty. There were variety of government or county offices which named as Gaeksa, Dongheon, Nea, Jilcheong, and so on. Also, there are houses of the people in many Eupseong but not all of them.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landscape elements and its overall construction of Eupseo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on the original land registration map(1913). For this purpose, the author underlines to set-up target period for reconstruction. This study considers the early 19th century in Joseon as completion period of Eupseong landscape, and then researches distribution of Eupseong and major elements of its landscape in national scale. Based on those results, the author tries to reconstruct location of major landscape elements and layout of Eupseong landscape in the early 19th century on the original land registration map in case of Taean Eupseong, Seosan Eupseong, and Haemi Eupseong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 KCI등재

        근현대 서천읍성과 읍치 공간의 변화

        박범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9

        근현대의 변화 시기를 거치면서 조선시대 읍성은 다양한 변화의 과정을 거쳤다. 대도시 혹은 개항장에 위치한 읍성은 거의 원형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훼손되었다. 상대적으로 많은 자료가 남아 있어서 이들 지역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그러나 대도시 혹은 개항장과 거리가 먼 곳에 위치한 읍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다. 다수의 해안 지역에는 읍성이 남아 있었고 이곳에 위치한 읍성도 훼손의 과정을 피할 수는 없었다. 본 연구는 서천읍성의 사례를 통해 농촌 지역의 읍성이 어떠한 과정 속에서 훼손되었고 읍치 공간이 확정되면서 그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천읍성은 읍성 내부 공간이 매우 협소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덜 훼손되었다. 읍성 내부 공간의 역사성은 1960년대 이후 상실되기 시작하였다. 성벽은 1970년대까지 온전하게 남아 있었다. 남문 주변 지역이 훼손되기 시작하면서 식민지 시기를 거쳐 민가들이 들어서게 되었다. 다행히 1970년대까지 도심 개발의 여파는 읍성 내부에 미치지 못하였다. 1980년대 건축물이 늘어나면서 성벽의 훼손이 잦아지게 되었다. 가장 많은 성벽의 훼손은 1980년대 이후라고 볼 수 있다. Through the period of modern and contemporary change, the town castle of the Joseon Dynasty went through various processes of change. Town walls located in large cities or open ports have been damaged to the point where their original form is almost impossible to trace. Because there is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data remaining, research on these areas has progressed relatively actively. However, no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own walls located far from large cities or open ports. Town walls remained in many coastal areas, and the towns located here could not avoid the process of being damaged. Using Seocheoneupseong Walled Town as a case study,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rough what process the eupseong in rural areas was damaged and how the changes occurred as the eupchi space was determined. Seocheoneupseong Walled Town was relatively less damaged because the inner space of the fortress was very small. The historicity of the inner space of the town castle began to be lost after the 1960s. The walls remained intact until the 1970s. As the area around the South Gate began to be damaged, private houses were built during the colonial period. Fortunately, until the 1970s, the impact of urban development did not reach the inner city walls. As the number of buildings increased in the 1980s, damage to the walls became frequent. The most damage to the walls can be seen after the 1980s.

      •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축조수법

        나동욱(Donguck Na)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22 충청학과 충청문화 Vol.33 No.1

        조선시대 경상도 남해안지역에서 시・발굴조사 된 읍성의 체성 내벽을 중심으로 한 변화 과정과 부속 시설물로서 등성계단의 축조수법을살펴보았다. 이 지역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읍성은 조선 태종조에서 연산군조에 걸쳐 축조된 것이다. 세종조를 전후한 시기의 읍성은 세종 20년(1438)에반포된 「축성신도」와 세종 25년(1443) 이보흠의 「축성신도」를 보완한내용과 근사한 것으로 조선시대 읍성과 수군진성의 축조에 기본이 된것으로 이해된다. 이보흠의 「축성신도」의 보완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읍성의 석축화과정에서 도성의 축조기법에 의하여 축조할 것을 건의한 바 있다. 비록세부적인 축성수법에 있어서는 다소간의 차이가 인정되지만 「축성신도」반포 이전인 태종 17년(1417) 축성된 하동읍성이나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의 남벽 조사에서 체성의 면석 내부를 층단식 석축으로 뒤채움 한 것이 조사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남해안지역 읍성의 발굴조사 결과를 통해 보면 조선초부터 도성의 체성 축조기법과 같이 지방 읍성의 체성 내벽도 「축성신도」의 내용처럼 층단식 석축으로 축조하였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세종년간에 축조한 창원 합포성지・거제 사등성지・창원 웅천읍성 등의 발굴조사 결과 축성신도의 규식에 충실한 층단식 석축 뒤채움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사천읍성에서는 축성신도의 보완책에 부합하는 층단식 석축뒤채움 안쪽으로 토사를 경사지게 덮은 성벽도 조사되었다. 그리고 웅천읍성(단종 1년(1453) 증축) 동남벽, 거제 고현읍성(문종 원년(1451))북벽, 울산 언양읍성(연산군 6년(1500)) 북벽 등의 발굴조사를 통하여내벽 안쪽을 토사로 경사 내탁하는 기법은 동일하나 체성의 내벽 뒤채움 구조가 기존 층단식 석축에서 수직상의 석축으로 바뀌었음을 알 수있었다. 이러한 경상도 남해안지역 읍성의 체성 내벽 축조기법은 동래읍성(영조 7년(1731))이나 통영성지(숙종 4년(1678)) 등을 통하여 체성외벽의 지대석이 시공되지 않고 체성 면석 안쪽에 일정한 너비로 잡석을 채우고 토사로 적심을 채우는 기법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에는 체성 축조기법에 큰 변화가 있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하동읍성과 거제 사등성지에서는 부산 천성진성등의 내벽에서 성상부로 연결되는 등성계단이 확인되었다. This thesis deals with construction method of affiliated staircases oftrial-excavated and excavated eupseongs(邑城s, town walls) in southcoastal region of Gyeongsangdo province in Josun dynasty, concentratingon transition process of the inner wall. Most of the eupseongs(邑城s) investigated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of Korea were constructed during Taejong dynasty and Yeonsan-gundynasty in Josun(朝鮮). Fortresses built around Sejong dynasty show theconstruction methods similar to those written in 「Chukseongsindo (築城新圖)」, published in 1438(20th year of King Sejong’s reign) and what LeeBoheum(李甫欽) supplemented in 1443(25th year of King Sejong’s reign),which means these methods became fundamental instruction in buildingeupseongs and jinseongs(鎭城s) in Josun dynasty. As presented in Lee Boheum’s supplement, he proposed applying const-ruction method of the capital walls to stonification of the eupseong walls. Even though some differences could be found in detailed constructionmethod, terraced afterfilling of the surface stone of the wall was found inHadong-eupseong and southern wall of the Barrack of GyeonsangjwadoProvince in Ulsan. Therefore, as shown in excavation results of eupseongs in the southerncoastal region of Gyeongsangdo province, inner walls of the provincialeupseongs are built in terraced stonework system based on 「Chukseong-sindo」 like the capital walls in Early Josun dynasty. Especially, terracedmasonry afterfilling, which fairly reflects the rules and forms of 「Chuk-seongsindo」, is found in excavation of Hap-poseong Site, Ungcheon-eupseong in Changwon, Sadeungseong Site in Geoje, which are bulit in King Sejong’s reign. Moreover, walls to which supplementary measuressuggested in 「Chukseongsindo」 are applied like Sacheon-eupseong havebeen investigated. Finally, it came out that structure of the inner walls arechanged from terraced masonry afterfilling to method in which one side isupright masonry and another is slantly filled soil and stone as shown insome eupseongs like southeast wall of Ungcheon-eupseong, which wasextended in 1453(1st year of King Danjong’s reign), Gohyeon-eupseongbuilt in 1451(1st year of King Munjong’s reign) and Eonyang-eupseong inUlsan built in 1500(6th year of Yeonsan-gun). Meanwhile, staircases arefound in Hadong-eupseong and Sadeungseong. In addition, wooden pillarsinstalled in moats was found in Ungcheon-eupseong and Gohyeonseong. The Masonry method of inner walls of the southern coastal fortresses ofGyeongsangdo province shows large alteration in the late Josun Dynasty:it changes to a method of filling soil and stones to some extent behind the surface stone wall instead of setting up foundation stones on the outer wall, which can be found in Dongnae-eupseong constructed in 1731(7thyear of King Yeongjo’s reign) and Tongyeongseong site constructed in1678(4th year of King Sukjong). Meanwhile, staircase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wall are found in Hadong-eupseong and Geoje Sadeung-seong si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