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인과 일측성 성대마비환자의 읽기 시 호흡특성 비교

        최예린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2

        배경 및 목적: 성대가 마비되면 후두신경의 손상으로 인하여 성대가 불완전하게 폐쇄된 상태에서 발성을 하게 되어 폐에 있는 공기가 비효율적으로 빨리 소모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정상인과 일측성 성대마비환자의 읽기 시 호흡특성을 비교하고 호흡특성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군과 일측성 성대마비군 각각 20명씩 총 40명을대상으로 폐활량, 최대발성지속시간(Maximum Phonation Time: MPT, 이하 MPT), 평균호기류율 및 성문하압, 표준화문단읽기 과제를 통해 1회 호흡당 음절수, 총 흡기 빈도 및 읽기속도,Kay Imaging Process System을 이용한 성문면적파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군과 일측성성대마비군 간 폐활량과 읽기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MPT와 1회 호흡당음절수는 일측성 성대마비군이 정상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거나 적었다. 평균호기류율과 성문하압은 일측성 성대마비군이 정상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표준화 된 최대성문면적은 일측성 성대마비군이 정상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좁았으나, 표준화된 최소성문면적은 오히려 일측성 성대마비군이 정상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넓었다. 문단 읽기 과제에서 1회 호흡당 음절수(음절수/1회 호흡)에 영향을 주는 변수들(MPT, 폐활량, 평균호기류율, 성문하압, 최소성문면적파형)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1회 호흡당 음절수총 변동의 약 65%를 MPT, 폐활량, 평균호기류율, 성문하압, 최소성문면적파형으로 설명할 수있었다. 1회 호흡당 음절수를 가장 잘 예견해주는 변수는 MPT였다. 논의 및 결론: 일측성 성대마비환자의 호흡특성과 1회 호흡당 음절수를 측정함에 있어 성문의 틈과 호흡기능을 객관적으로 측정한 상태에서 1회 호흡당 음절수와 다른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라는 측면에서임상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MPT, 성문면적, 평균호기류율, 성문하압 혹은 읽기과제에서 1회 호흡당 음절수, 흡기 빈도가 일측성 성대마비환자의 치료전후의 호전도를 평가할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Patients with unilateral vocal fold palsy (UVFP) suffer from incomplete glottal closure and irregular vocal fold vibration, which interrupts the airflow needed for efficient voice produ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dult patients with UVFP, compared them to adult controls, and evalu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haracteristics of glottal area waveform and phonation,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glottal area waveform and respiratory and vocal function. Methods: Twenty control subjects and 20 adults with UVFP were studied. Respiratory and aerodynamic analysis and glottal area waveform (GAW) studies were performed.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iratory function between the two groups. Subjects with UVFP had significantly shorter maximum phonation times (MPT) and fewer syllables per breath in a reading passage task than did control subjects. The frequency of inspiration, subglottic pressure (Psub), and mean airflow rate (MFR)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UVFP than in control subjec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umber of syllables per breath and four independent factors: MPT, Psub, MFR, and reading rat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syllables per breath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MPT.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MPT, number of syllables per breath, and frequency of inspiration may be useful parameters in evaluating respiratory function in patients with UVFP.

      • An Algorithm on Predicting Syllable Numbers of English Disylabic Loanwords in Korean

        초미희(Mi-Hui Cho) 한국콘텐츠학회 2007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5 No.1

        본 논문에서는 영어 2음절 차용어가 한국어에 적응될 때 여분의 음절이 더해져서 음절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분석함으로써 음절수를 증가시키는 조건을 밝힐 뿐 만 아니라 음절수 증가 알고리즘을 찾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어 2음절 차용어의 음절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은 1음절 차용어와 마찬가지로 3가지가 있는데, 첫째 단어에 이중 모음이 있으면 음절수가 증가하고, 둘째 특정한 형태의 자음군이 있어도 음절수가 증가한다. 세번째 요인으로는, 단어에서 마지막 자음과 그 앞의 모음의 특성에 따라서 어말모음이 삽입되는 경우에 음절수가 증가한다. When English disyllabic words are adapted to the Korean language, the loanwords tend to have extra syllabl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syllable augmentation conditions in loanword adaptation and further to provide an algorithm to predict the syllable numbers of English disyllabic loanwords. Similarly to the case of monosyllabic loanwords, three syllable augmentation conditions are found as follows: 1) the existence of diphthong, 2) the existence of consonant clusters, and 3) the quality of the final consonant (and the preceding vowel).

      • KCI등재후보

        영어 단음절 차용어의 음절수 예측을 위한 알고리즘

        초미희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5 No.2

        When English monosyllabic words are adapted to the Korean language, the loanwords tend to carry extra syllabl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syllable augmentation conditions in loanword adaptation and further to provide an algorithm to predict the syllable numbers of English monosylabic loanwords. Three syllable augmentation conditions are found as follows: 1) the existence of diphthong, 2) the existence of consonant clusters, and 3) the quality of the final consonant (and the preceding vowel). Based on these three conditions, an algorithm to predict the syllable number of English monosyllabic loanwords are proposed as three rules applied iteratively with ordering. In addition, the applications of the algorithm to data are given. 영어 단음절 차용어가 한국어에 적응될 때 여분의 음절이 더해져서 음절수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절수를 증가시키는 구체적인 조건을 밝힐 뿐만 아니라, 음절수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절수를 증가시키는 요인은 3가지가 있는데, 우선 단어에 이중 모음이나 자음군이 있으면 음절수가 증가한다. 세 번째 요인으로는, 단어에서 마지막 자음의 특성에 따라서 어말 모음이 삽입될 수 있다. 이 세 가지 요인에 근거하여 단음절 차용어의 음절수 예측 알고리즘을 3가지 규칙으로 제시하고 그 구체적인 적용과정을 데이터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혼성어(混成語)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노명희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8

        혼성어는 두 단어에서 각각 일부를 잘라내고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이다. 절단과 합성이라는 두 가지 기제가 관여한다는 점에서 절단어나 합성어와 구별된다. 혼성어(예: 레캉스, 라볶이)는 합성 이전의 두 단어가 갖는 지시 대상의 속성을 모두 갖는다는 점에서 두음절어(예: 노찾사, 개콘)와도 구별된다. 본고는 혼성어를 계열적 혼성어와 통합적 혼성어로 구별하여 살펴보고 혼성어의 음절수 제약에 중점을 두고 혼성어 형성 과정을 고찰하였다. 계열적 혼성어는 혼성되는 두 단어가 동일한 위치에 출현할 수 있어 분포가 같으며 유사한 의미장에 속하는 단어들 사이에서 일어난다(예: 레캉스, 개그운서). 통합적 혼성어는 혼성되는 두 단어가 같이 출현하여 구를 형성할 수 있으며 두 단어는 주로 수식 관계가 될 수 있다(예: 유티즌, 모티켓). 혼성어 형성시 두 단어가 절단되는 부분에 따라 (1) AB+CD→AD형: 개그맨+아나운서→개그운서, (2) AB+CD→ABD형: 김치+할리우드→김치우드, (3) AB+CD→ACD형: 컴퓨터+도사→컴도사, (4) AB+CD→BD형: 아줌마+신데렐라→줌마렐라 등으로 나눠 살펴보았다. (1) AD형과 (4) BD형은 두 단어에서 절단이 일어나 전체 혼성어의 의미가 불투명하다. 또한 후행 단어의 음절수에 기반해서 혼성어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혼성어로 볼 수 있다. (2) ABD형과 (3) ACD형은 한 단어에서만 절단이 일어난 경우이다. (2) ABD형은 혼성어가 처음 형성될 때는 ‘김치우드’처럼 음절수 제약을 지키게 된다. 그러나 후행요소 D가 ‘텔, 파라치’처럼 접사화되면 음절수 제약도 없어지고 파생과 유사해진다. (3) ACD형은 ‘컴도사’와 같이 후행 단어가 절단되지 않으므로 음절수 제약이 없다. 동시에 후행 단어에 기반해서 혼성어가 형성되지 않으며 의미도 어느 정도 투명하여 전형적인 혼성어로 보기 힘들다. 더구나 ‘컴’ 등이 단어의 지위를 얻으면서 혼성어 고유의 특성이 상실되는 경향이 있다.

      • KCI등재

        한국어 폐음절 한자음의 중성에 대응하는 일본어 한자음의 모음 고찰

        허지애(Huh, Jee-Ae)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硏究 Vol.- No.98

        이 연구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한자어 교수방안의 기초자료로서 한국어 폐음절 한자음의 중성에 대응하는 일본어 한자음의 모음에 대해 고찰하였다. 한국어 한자음은 폐음절 구조로 1자 1음절인 데에 반해 일본어 한자음은 개음절 구조로 1자 1음절과 1자 2음절의 두 유형이 있다. 한국어 한자음의 중성은 종성 유무에 따라 일본어 한자음에서는 다른 모음과 대응하였다. 이는 중국어의 운미가 한국어 한자음에서는 종성으로 반영되었으나, 일본어 한자음에서 개음절화하면서 한자음의 최대음절수 유지를 위해 음운의 변화를 일으켰기 때문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어 한자음 ㅐ[ɛ]는 일본어 한자음에서 대체로 [ai]에 대응하나 (원문참조)[ ɛk]은 [a-i-ku]에서 [i]가 탈락된 [a-ku]로 대응한다. (원문참조)[ ɛŋ]은 일본어 한자음에서 [ai-u]→[a-u]→[-ou]로 모음탈락 및 장음화가 일어났다. ㅚ[ø]는 일본어 한자음에서 [ai]에 대응하는데 (원문참조)[øk]은 [ai-ku]→[a-ku]로 모음탈락이 일어났다. 모음 ㅕ[jə]는 대체로 [ei]로 대응하는데 은 (원문참조)[ei-ki]→[e-ki]로, (원문참조)[ jəŋ]은 [ei-i]→[ei]로, (원문참조)[ jəl]은 [ei-ʦu]→[e-ʦu]로 [i]가 탈락되어 음절수가 유지되었다. (원문참조)[ jəm]과 (원문참조)[ jən]은 [ei-N]→[eN]으로 [i]가 탈락되어 음절수가 유지되었다. 모음 ㅛ[jo]는 일본어 한자음에서 대체로 [jou]에 대응하는데 (원문참조)[ joŋ]은 [jou-u]→[jo-u]로 [u]가 탈락되어 음절수가 유지되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한국어 한자음과 일본어 한자음의 대응 관계에서 종성 유무에 따른 중성의 대응 관계를 단순화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basic data of the teaching method of Sino Korean words for Japa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its purpose is to examine the vowels of Japanese-Kanji sound corresponding to the vowel of closed syllables of Sino Korean characters sound. The vowel of Sino Korean characters sound corresponded to different vowels in Japanese-Kanji sound depending on final consonants. This is because the End Consonant of Chinese was reflected as a final sound in Sino Korean characters sound, but it changed the phoneme to maintain the maximum number of syllables in Japanese-Kanji sound in an open-syllable manner.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simplifying the correspondence of vowel depending on final s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ino Korean characters sound and Japanese-Kanji sound.

      • KCI등재

        한국 지명의 구조와 형성

        성희제 한국지명학회 2018 지명학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structures formed by morpheme and syllable of place-name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following work was carried out. Present general structures of Korean place-name, accepts unmarked-morpheme ∅ in the structure of place-nam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place-name. Thus, we were able to achieve the following results. First, Korean place-name has three general structural types as follows. Structure 1 is [basic part], structure 2 is [[modification 1 part][basic part]], structure 3 is [[modification 2 part][[modification 1 part][basic part]]]. Structure 3 type is the maximum structure in Korean place-name. Second, there are no special restrictions on the meaning of the place-name in [modification 1 part] & [[modification 2 part]. Third, accepting ∅ in the structure analysis of place names can compensate for loopholes in the structure analysis of place names with different [basic part]. Fourth, the syllable of the place-name has 3 syllables most, followed by 2 syllables - 4 syllables - 5 syllables - 6 syllables. The formation of syllable structure in Korean place-name is strong in 3 syllable-oriented character Fifth,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place name is compared with general Korean, general Korean has the most 2 syllable vocabulary. However, place-names are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ree syllables are more than twice as many as two syllables Sixth, place-names with major meanings are distributed in overwhelming numbers in 2, 3, and 4 syllables. It means that its the occupancy rate is very high in 2, 3, 4 syllables. These are distributed at the rate of half to five syllables, but they have a very low share in the syllable 6, 7 and 8. 본고는 한국지명의 지명소나 음절이 어떻게 해서 지명의 구조를 형성하게 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하여 한국지명 구조의 형성, 구조상의 무표지명소 ∅ 내재, 지명 음절수의 분포와 지향성, 주요 의미영역의 음절수별 점유 양상 등에 대해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한국지명의 일반적인 구조는 세 가지로서 구조1형 [기본부], 구조2형 [[수식1부][기본부]], 구조3형 [[수식2부][[수식1부][기본부]]]이 있고, 구조3형이 한국지명의 최대 구조이다. 둘째, [수식1부]와 [수식2부]에 오는 지명의 의미영역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셋째, 지명의 구조 분석에서 무표지명소 ∅를 수용하면 [기본부]가 일치하지 않는 지명 구조 분석의 허점을 보완할 수 있다. 넷째, 지명의 음절은 수적으로 봤을 때 3음절이 가장 많이 분포해 있고 그 다음으로는 2음절>4음절>5음절>6음절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한국지명은 음절 구조 형성에 있어서 3음절 지향적인 성격이 강하다. 다섯째, 지명의 음절수 분포는 일반국어와 대비했을 때, 일반국어는 2음절 어휘가 가장 많고 그 수는 3음절 어휘의 수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지만 지명은 3음절이 2음절보다 2배 이상으로 많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여섯째, 모든 의미영역 지명에 대한 주요 의미영역 지명의 음절수별 점유율은 수적 분포와는 달리 2음절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2, 3, 4음절에서 압도적이고 5음절에서 절반으로 나타났지만 6음절부터는 매우 저조한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음절수와 모음 열을 이용한 한국어 연결 숫자 음성인식

        윤재선,홍광석,Youn, Jeh-Seon,Hong, Kwang-Seo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0 No.1

        본 논문에서는 음절수와 모음 열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연속 숫자 인식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연속 숫자 인식기는 첫 단계로 발성된 연속 숫자 음성에서 음절수와 구간을 추출하고, 두 번째 단계로 모음 열을 인식한다. 이와 같이 인식된 모음 열 정보를 이용하여 인식 후보를 줄이게 된다. 인식후보 모델은 조음효과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CV(Consonant Vowel), VCCV, VC단위 HMM(Hidden Markov Model)을 사용하여 연속 숫자 음성인식기를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이 조음효과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연결 숫자 인식에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Korean connected digit recognition based on vowel string and number of syllables. There are two steps to reduce digit candidates. The first one is to determine the number and interval of digit. Once the number and interval of digit are determined, the second is to recognize the vowel string in the digit string. The digit candidates according to vowel string are recognized based on CV (consonant vowel), VCCV and VC unit HMM. The proposed method can cope effectively with the coarticulation effects and recognize the connected digit speech very well.

      • KCI등재

        단어 형성과 음절수

        최형용 국어국문학회 2004 국어국문학 Vol.- No.138

        The study of word formation so far has been focused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Therefore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process of word formation has not been recognized as a matter of great interest. But when the number of syllables attain superiority over the structural similarity of words, it can be considered as a stately mechanism of word formation. Namely the number of syllables can't be dealt with as a sort of constraint simply. We can easily observe the aspect of the number of syllables as a mechanism when substitution and clipping are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word formation. Also we are concerned with nonce words to clarify the word formation competence of speakers. But the tendency to maintain the number of syllables fixedly can be applied in actual words. In this paper we largely confirmed it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But it can be also found in the process of compounding through blending. However we don't extend it to actual words like in derivation. That is not only a weakpoint of this paper but also a further problem awaiting solution to settle the number of syllables as a mechanism resolutely.

      •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유창성 특성 비교

        고영옥,전희숙,권도하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07 再活科學硏究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stutter children on the speech task. The speech task was automatic speech, reading, and monologue. we collect speech sampling during of task. In the study participated seven stuttering children of 7 to 12years old(4 males, 3 females) and seven nonstuttering children(5 males, 2 fe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uttering children and nonstuttering in the articulation rate. On the automatic speech task, 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171.60(SPM) and non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168.34(SPM). On the reading task, 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225.82(SPM) and non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218.09(SPM). On the monologue task, 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195.58(SPM) and nonstuttering children articulation rate was mean 191.95(SPM). Second, In the stutter children, dysfluency syllable number varied on the speech task. Also, stutter children, dysfluency syllable rate varied on the speech task. On the automatic, monologue task, dysfluency syllable number was mean 8.57syllable (SD=9.71), 20.71syllable (SD=13.47). On the automatic, monologue task, dysfluency syllable rate was mean 15.85%(SD=32.98), 29.00%(SD=19.74). 본 연구의 목적은 말더듬 아동이 각기 다른 구어 과업에서 유창하게 말할 때의 구어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7~12세의 말더듬 아동 7명(남자 4명, 여자 3명)과 일반 아동7명(남자 5명, 여자 2명)이었다. 자동구어와 독백 과업을 실시하는 동안 구어샘플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더듬 아동과 일반 아동의 유창한 구어의 속도에는 차이는 없었다. 자동구어 및 독백 과업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과업별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한 음절수는 구어과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비유창한 음절 비율도 구어과업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자동구어, 읽기, 독백과업에서 말더듬 아동의 비유창한 음절수는 평균 8.57음절(SD=9.71), 27.57음절(SD=23.47), 20.71음절(SD=13.47)이었다. 비유창한 음절비율은 자동구어, 독백과업에서 평균 15.85%(SD=32.98), 61.35%(SD=106.08), 29.00%(SD=19.74)이었다.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말토막 억양에 대한 지각 및 산출 연구

        가맹맹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0 한국언어문화학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가 말토막을 구성하는 음절수와 초성의 성질에 따라 어떻게 지각하고 산출하는지, 그리고 지각과 산출의 상관성에 대해 분석하였고, 말토막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말토막 억양 패턴 사이의 음성학적 차이를 구별할 수 있는지가 아니라 각 말토막 억양 패턴을 내재화시킬 수 있는지가 학습자의 산출 정답률과 관련된다. 둘째, 지각과 산출의 관계는 말토막에 포함된 음절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서 지각과 산출의 관계는 단순한 인과관계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초성에 대한 지각 정답률과 산출 정답률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으며, 음절수의 차이는 초성에 대한 지각 정답률과 산출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말토막 억양에 대해 교육할 때 단순한 지각훈련뿐만 아니라 명시적인 교육과 초점 훈련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nese learn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accentual phras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llables composing the accentual phrases and the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ccentual phrase and come up with some implications for teaching accentual phrases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duction accuracy is related to whether learners can internalize the pattern of accentual phrases, instead of whether learners can point out the difference among the patterns of accentual phras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nd production diff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yllables,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relationship is not based on a simple causal system. Third, when it comes to the pitch patterns of the first syllable in an accentual phrase,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accuracy of perception and production, but the difference in syllable numbers does not affect this accuracy. The above results show that while teaching accentual phrases, not only perceptual training but also explicit and focused training is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