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윤리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간호전문직관및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관련성 연구

        김혜옥,문미영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20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nursing ethics education on ethical values,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nd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students.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December 2, 2017 to December 31, 2017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86 nursing college students at 2 universities. Data were analyzed by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average score for the ethics values was 3.08±0.33 points.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22±0.84. The average score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2.86±0.22. It is necessary to develop case-centered textbooks in order to raise the competence to apply ethics management about biomedical issues in the course program of nursing ethics to improve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간호윤리 교과목 적용 후 간호윤리 교과목의 학습 성과인 간호실무 표준과 법적, 윤리적 기준의 이해와 적용을 평가하기 위해서 윤리적 가치관, 간호전문직관 및 생명의료윤리의식을 파악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12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며 2개 대학의 간호대학생 1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윤리적 가치관의 평균 평점은 3.08±0.33점으로 나타났고, 간호전문직관에 대한 평균 평점은 3.22±0.84점,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평균 평점은 2.86±0.22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윤리적 가치관, 간호전문직관 및 생명의료윤리의식영역 간의 상관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과 윤리적 가치관(r=.489,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간호대학생에게 생명의료 윤리의식을 높이고 직면하는 간호문제를 민감하게 인식하고 판단력 있는 윤리적 행위를 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수준 및 영향요인

        강현희,강복희,원선애 한국의료윤리학회 201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9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level of concern and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ight be influencing or correlated with nursing students’ level of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Participants were 435 nursing students in one nursing college in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 independent t-test, a one way ANOVA, a Scheffé test, a Pearson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concern of bioethics (β=.517, p<.000), followed by teaching methods (β=.129, p=0.02), age (β=.115, p=.004), desire to study ethics (β=.103, p=.011), interesting teaching methods (β=.096, p=.016), effective teaching methods (β=.090, p=.016) and information source (β=.079, p=.026). These factors accounted for 34.9% of the variance in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F=158.279, p=.000).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trategies can be developed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mong nursing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 의식수준 및 그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생명의료윤리 교 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1개 대학 간호 대학생 435명을 대상으로 이루어 졌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서술통계,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é 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생명 윤리관심, 윤리교육방법, 연령, 윤리교육 참석여부, 흥미 있는 학습법, 효과적인 교육방법, 정보 습득처 였다. 이들 요인들은 생명윤리의식에 대해 34.9%의 설명력을 보였다. 간호학생들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은 생명윤리에 대한 관심과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강조함으로써 높일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의 관계

        문미영(Moon, Mi-Young),전미경(Jeon, Mi-Kyung),정애화(Jaung, Ae-Hwa) 한국생명윤리학회 2013 생명윤리 Vol.14 No.1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들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을 파악하고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하부영역과 직무만족도 및 간호수행 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전문직 간호사로서 생명의료윤리 의식의 확립과 직무만족, 간호업무의 적절한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자료수집기간은 2012년 8월 15일부터 8월 30일까지이며 연구대상은 D지역에 소재한 C대학병원과 H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96명을 대상으로 서술적 조사연구를 하였다. 본론 :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평균 평점은 3.01점으로 나타났고, 가장 높은 영역은 신생아의 생명권이었으며 가장 낮은 영역은 안락사로 나타났다. 직무만족에 대한 평균평점은 2.93점으로 나타났고,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은 동료간의 상호작용이었으며, 간호업무수행에 대한 평균 평점은 4.08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직에 대한 인식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직무만족과 간호업무수행에 대한 결과에서는 간호직에 대해 최고의 직업이라고 응답한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이 3.1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간호업무 수행수준과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에서는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1), 직무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 태아의 생명권 외 10개 전체 변수의 33%로 설명하고, 안락사, 임종간호, 간호업무수행이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 임상간호사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의 고취는 전문직이라고 자부하는 높은 직무만족도와 관련이 있으며 높은 직무만족도는 간호업무수행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직무만족도 및 간호업무수행과는 많은 상관변수가 존재하며 효과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하는 방안은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함양이 필수적이다. 이와 더불어 간호사의 업무수행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방안과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영적인 생활이 안정되고 확립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identify of relationship among Biomedical ethics,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in order to examine nurses’ ethical recognition. Methods : The subjects were 196 registered nurses who were working in general hospital over 100 beds in D c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5 to 30, 2012 by using the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The average point were the biomedical ethics 3.01, Job satisfaction 2.93 and nursing performance 4.08. As a result of biomedical ethics,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due to nursing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ubject who answered nursing was the best job was 3.16 in biomedical ethics. The biomedical ethics and nursing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ut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11 factors of job satisfaction explained 33%, and the influence factor of job satisfaction were Euthanasia, Hospice and nursing performance. Conclusion : Nurses made recognised that nursing was the best job in order to improve of job satisfaction and biomedical ethics. The factor among biomedical ethics and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were relationship. Futhermore, it is necessary to take efforts as a whole to increase nurses’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performance with biomedical ethics.

      • KCI등재

        정보통신윤리의식 측정 도구 개발

        조일주 ( Il Ju Cho ),김정겸 ( Jeong Kyoum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09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5 No.4

        본 연구는 중학생의 정보통신윤리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를 토대로 정보통신윤리의식의 기본 요인을 존중, 정의, 예절, 자율, 책임의 다섯 가지로 구성한 후 심리검사 개발 절차에 따라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와 전문가 협의를 통해 정보통신윤리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영역 및 조작적 정의를 기술하였다. 둘째, 이러한 내용들이 정보사회의 중학생들에게 요구되는 윤리적 자세나 태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한지를 검토하여 중학생의 정보통신윤리의식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셋째, 중학생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분석을 통해 문항을 정제하고 전문가 검토를 거쳐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여 중학생들을 위한 정보통신윤리의식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valid and reliable scales which can measure the consciousn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ive basic factors for `the consciousn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re defined as `respect`, `justice`, `etiquette`, `freedom`, and `responsibility` to develop test items in the procedure of developing a psychometric test. The details are as follows. Here, we firstly seek the areas of the ethical indicators an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n the consciousn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through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and review of experts about them. Secondly, we developed test items measuring the consciousness leve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hich were obtained by examining whether these were adequate for measuring the ethical attitude requir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n information society. Lastly, a preliminary survey on middle school students was carried out, and a measurement tool of the consciousnes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completed by refining test items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verifying a validity through review of experts.

      • KCI등재

        학점은행제 간호학과 학습자들의 생명의료윤리 의식

        양선희,이규영 한국윤리학회 2014 倫理硏究 Vol.96 No.1

        Purpose: This wa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gnizance o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mong of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with varying degrees of nurse's clinical experience. Methods: A total of 101 nurses were selected from an institute of industrial studies in Seoul, Korea,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12 to May 2013. A total of 66 questions using a 4-point Likert Scale were administer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the SPSS 20.0 program, with which the frequency, means, ANOVA and correlations. Results: The mean score of participants’ cognizance o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2.98. While scores were highest in the categories regarding “the right to life of fetuses” and “artificial abortion” (3.33 and 3.09, respectively), they were lowest on “brain death” and “euthanasia” (2.63 and 2.72, respectively). In addition, data analyses revealed that the nurses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clinical experience in two areas: the right to life of and euthanasia.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in nurse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according to their clinical experience were influenced by their personal experiences of treating patients. There is a need, therefore, to develop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nurses’ knowledge of biomedical ethic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euthanasia. 이 연구는 서울시 A대학교에서 운영하는 산업교육원 학점은행제 간호학과 101명의 학습자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정도를 알아보고, 생명의료윤리의식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을 포함하여, 태아의 생명권, 인공임신중절, 인공수정, 태아진단, 신생아 생명권, 안락사, 장기이식, 뇌사, 인간생명공학 등 생명윤리의식에 등 총 66문항을 측정하였고, 분석방법은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Scheffe-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학점은행제 학습자인 간호사들의 임상경력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F=.458, p=.634),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하위영역인 신생아의 생명권(F=6.114, p=.003), 안락사(F=3.236, p=.044)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태아의 생명권은 임상경력 5년 이상 된 간호사가 3.5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임상경력이 전혀 없는 간호사가 3.35점, 1년에서 4년 경력을 가진 간호사가 3.06점 순이었다. 또한 안락사에서는 임상경력이 전혀 없는 간호사가 2.74점, 1년에서 4년 된 간호사가 2.79점, 5년 이상의 임상간호사는 2.52점으로 점수가 가장 낮아 임상경력이 5년 이상 된 간호사가 안락사를 반대하는 입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하위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인간생명공학과 태아의 생명권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r=.332, p<.01), 태아진단과 태아의 생명권(r=.362, p<.01), 태아진단과 인공임신중절이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412, p<.01). 또한 신생아의 생명권과 태아의 생명권 간에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391, p<.01). 이상과 같이 학점은행제 간호학과에 수강중인 학습자들의 간호사 임상경력에 따라 태아의 생명권과 안락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으므로 이는 향후 질적연구를 병행한 심도 있는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태아의 생명권과 안락사에 대한 생각은 옳고 그름의 답이 없으므로 지속적인 경향성을 보는 것도 필요하며, 본 연구는 향후 간호윤리 및 생명의료윤리 교과목 개설 혹은 간호사 대상 윤리관련 직무연수 설계 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서울시 소재 일 개 학점은행제 간호학과 학습자를 대상으로 임의 표집 하였으므로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 KCI등재후보

        Self-Esteem and Moral Self-Concepts among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김용석(Yong-Suk Kim)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3 청소년상담학회지 Vol.4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기 후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 도덕적 자아존중감 및 자아개념 정도와 그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한민국의 청소년기 후기 대학생 268명이 최종 참여자로 횡단적 단면연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t-test와 분산분석을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는 2.01±0.20점(4점 척도)이었으며, 도덕적 자아존중감과 자아개념은 각각 2.04±0.45점, 2.17±0.31점으로 중간 정도를 나타내었다. 도덕적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과(r=.596, p<.001),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자아개념과(r=.157, p=.011)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하부영역 중 생식 윤리(r=.124, p=.043), 생존권 윤리(r=.147, p=.016)도 자아개념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연구 제안: 본 연구의 결과로 생명의료윤리교육은 생식, 생존권, 죽음의 윤리를 포함하여 청소년기 후기 대학생의 고민과 갈등이 연계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 of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moral self-concepts and self-esteem among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Methods/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employed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268 late adolescence undergraduate in South Korea. The statistical analyses include descriptive statistics of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and ANOVA by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Findings: The average score for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2.01±0.20 (using a 4-point Likert scale); the scores for self-esteem and moral self-concepts were 2.04±0.45, and 2.17±0.31 respectively. Self-estee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self-concepts (r=.596, p<.001); and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oral self-concepts (r=.157, p=.011). Reproductive ethics (r=.124, p=.043) and the right to life (r=.147, p=.016), which are sub-domains of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lso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moral self-concepts. Improvements/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ducation on biomedical ethics should focus primarily on reproductive ethics, the right to life, and the ethics of death.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간호윤리 교과목 적용 전 윤리적 가치관, 간호전문직관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문미영(Mi-Young Moon)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간호윤리 교과목 적용 전 윤리적 가치관 및 간호전문직관이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올바른 인성함양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연구이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s, 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윤리적가치관, 간호전문직관, 생명의료 윤리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윤리적가치관과 생명의료윤리의식에서 유의한 변수는 없었으며 간호전문직관에서 윤리에 대한 가치관 혼동경험(p=.033)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리적 가치관은 간호전문직관 (r=.197, p=.032)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전문직관은 생명의료윤리의식 (r=.428, p=.000)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명의료윤리의식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변수는 간호전문직관(β=.437, t=5066, p=.000)으로 이들 요인의 설명력은 총 20.1%이었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함양을 위해서는 올바른 윤리적 가치관과 간호전문직관 확립을 위한 정규교과과정과 비정규 교내・외 간호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correct personality development program by identifying ethical valu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before nursing ethics cours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by SPSS 21.0. The result shows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ith ethical values, nursing professionalism,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ethical values and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was no significant variables. Nursing Professionalism was significant (p = .033). The ethical values wer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nursing professionalism(r=.197, p=.032) and nursing professionalism w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r=.428, p=.000). The influence effect of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were nursing professionalism, 20.1%. The results indicate that effective education program in improving of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was provided before clinical pract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per curriculum and an in-school and out-of-school nursing education program to establish ethical values and nursing professionalism in order to nurture the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KCI등재

        기독보건의료계열 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백성희 기독교학문연구회 2014 신앙과 학문 Vol.1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establish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based on desirable Christian worldview by identify and analyze the degree of their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for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who will be in charge of health care field. The subjects were 280 students (health care major) from 2 christian universities in C city. To assess students’ consciousness of biomedical ethics, biomedical ethics measurement survey implicated via 9 categories and 49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 analyzed by real number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degree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nalyz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egree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 analyzed by t-test, ANOVA, and Scheffe test. The mean of biomedical ethics consciousness was 2.93. In each category, the highest score was ethics consciousness for the right to life of fetus was 3.31, and the right to life of newborn baby was 3.29, transplant was 3.05, fetal diagnosis was 3.01, artificial insemination was 2.98, human biotechnology was 2.82, euthanasia was 2.75, artificial abortion was 2.45, and ethics consciousness of brain death was 2.35 which was the lowes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tudents’ major and religious activity showed the differences which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 ethics consciousness than department of EMT, and students who participate religious activities very hard had significantly high ethics consciousness than other students who did not participate ant religious activity. Morality or ethics consciousness is educated and trained, not innate ability. In a Christian university, medical ethics consciousness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is required. 본 연구는 보건의료 분야에서 주역을 담당하게 될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기독교대학에서 학생들의 바람직한 기독교세계관에 입각한 생명의료윤리관 확립을 위한 방안 모색의 기초자료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C지역 소재 2개의 기독교대학에서 보건의료를 전공하는 대학생 280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총 9개의 범주, 49문항으로 구성된 생명의료윤리의식 측정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차이는 t-test, ANOVA로 분석하고, 사후검증은 Scheffe test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의 평균은 2.93점이었다. 범주별로는 태아의 생명권에 대한 윤리의식이 3.3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신생아의 생명권 3.29점, 장기이식 3.05점, 태아진단 3.01점, 인공수정 2.98점, 인간생명공학 2.82점, 안락사 2.75점, 인공임신중절 2.46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뇌사에 대한 윤리의식이 2.3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나타낸 특성으로는 학생들의 전공분야와 종교생활에 참여하는 정도로, 물리치료학과 학생들이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윤리의식을 가졌으며, 종교생활을 아주 열심히 하는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는 학생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윤리의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이나 윤리성은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교육되고 훈련되어지기 때문에 기독교 대학에서는 기독교세계관에 근거한 생명의료윤리교육과 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과 비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과 안락사에 대한 태도

        송효숙,임소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non-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ir attitudes toward euthanasia.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nd analyzed 247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G c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were determined by number, percentage, and χ²-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nd attitude of euthanasia was analyzed by t-test.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biomedical ethics according to the subjects of the study(t=1.55, p=.124), bu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only in the sub-domain artificial abortion(t=2.33, p=.021).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euthanasia according to subjects' major(t=-1.37, p=.171). Conclusions: In order to establish a desirable ethical structure as a society member of the future, university students should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and various programs on euthanasia in addition to the biomedical ethics awareness.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비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안락사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G시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공에 따른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χ²-test로 구하였다. 전공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정도와 안락사의 태도 정도의 차이는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전공에 따라 생명의료윤리의식의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t=1.55, p=.124), 하위영역인 인공임신중절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t=2.33, p=.021). 또한, 대상자의 전공에 따른 안락사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t=-1.37, p=.171). 결론: 대학생은 미래의 사회주역으로 바람직한 윤리관 확립을 위하여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더불어 안락사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및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따른 공감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간의 상관관계 연구

        박미마,송은경 한국비즈니스학회 2023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8 No.6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의 환자의 존엄성을 지키고 환자에게 최상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갈등상황에게 바른 결정을 내리기 위해 생명의료윤리의식,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성향간의 관계를 확인하여 생명의료윤리의식의 긍정적인 확립을 위한 효과적인 교육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G시에 간호학과 2, 3학년에 재학 중인 185명이다. 생명의료윤리의식과 공감능력 및 비판적 사고성향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9월 27일부터 10월 8일(12일간)이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6.0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과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로 구하였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은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생명의료윤리의식,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의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확인하였다. 대상자의 생명의료윤리의식, 공감능력, 비판적 사고성향의 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은 2.86(4점 척도)로 하위영역으로 신생아 생명권이 가장 높고, 태아의 생명권, 안락사가 낮았다. 공감능력은 3.74(7점 척도), 비판적 사고성향 3.54(5점 척도)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생명의료윤리의식은 연령(t=3.71, p= .01), 공감능력은 연령(t=2.93, p= .04), 간호학과 지원동기(F=2.89, p= .02), 전공만족도(F=4.08, p= .01)이었다. 비판적 사고성향은 전공만족도(F=3.40, p= .01)이었다. 생명의료윤리의식과 공감능력(r= .16, p= .03), 생명의료윤리의식과 비판적 사고성향(r= .15, p= .05), 공감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r= .51, p< .01)간의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간호대학생은 생명의료윤리의식에 대한 긍정적인 확립을 위한 간호교육 전략으로 대상자와의 의사소통 및 경청을 통한 공감능력 증진교육과 다양한 영역에서의 윤리적 딜레마 같은 사례를 토대로 비판적 사고성향을 다루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