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2배부 중수골 유경 혈관 이식과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에 의한 Kienböck 질환의 치료

        서재성(Jae-Sung Seo),손욱진(Oog-Jin Shon),한재형(Jae-Hyeung Han),박삼국(Sam-Kuk Park),고진혁(Jin-Hyuk Ko),정승민(Sung-Min Chu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4

        목적: Kienbock 질환 치료에 있어 월상골의 재혈관화를 위한 유경혈관 이식술은 유용한 치료법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Kienbock 질환 환자에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의 결과와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3년 5월까지 Kienbock 질환으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유합술을 받은 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추시 관찰하였다. 추시 기간은 15개월에서 54개월로 평균 35개월이었고 수술 당시 2명이 Lichtman stage Ⅱ, 6명이 stage Ⅲa, 1명이 stage Ⅲb였으며 모든 환자에서 척골 중립변위였다. 수술은 요골 동맥의 제2배부 중수골 분지와 동반 정맥을 이용한 유경 혈관 이식 및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요측 편위를 제외한 술 후 운동범위와 악력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전의 직업으로 복귀하는데 걸린 시간은 평균 22주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상 경화가 호전되는 소견은 8예에서 보였으나 월상골의 함몰 이 6예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Lichtman의 기준에 의한 평가는 7예에서는 만족, 비교적 고연령인 2예에서는 불만족이었으며 Nakamura 평가법에 의하면 5예에서 양호, 3예에서 보통, 1예에서는 불량이었다. 결론: 척골 중립변위인 Lichtman stage IIIa 이하의 Kienbock 질환 환자에서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술을 동반한 유경 혈관 이식술은 시도할 만한 가치가 있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재혈관화 술식 시 환자의 나이를 고려해야하며 향후 일시적 삼중 주상골 고정의 기간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Revascularization is a useful method for treating Kienbock's disea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 of the second dorsal metacarpal vascular pedicle to treat Kienbock's disease.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carried out on 9 patients who had undergone vascular pedicle graft for Kienbock's disease between 1999 and 2003. The mean follow up period was 35 months. At the time of surgery, 2 patients were graded as stage Ⅱ, 6 as Ⅲa and 1 as Ⅲb. The ulnar variance was neutral in all cases. A vascular pedicle graft using second dorsal metacarpal vessel were performed and temporary scaphotrapeziotrapezoid (STT) fixation were applied for 6 months. Results : Wrist motion except for the radial deviation and grip strength had improved significantly. The patients returned to work after an average of 22 weeks. Resorption of the sclerosis was observed in 7 cases, but lunate collapse was observed in the simple radiograph in 6 cases. According to Lichtman's criteria, 7 cases were satisfactory but 2 cases with a relative old age were unsatisfactory. According to Nakamura's classification, 5 cases were good, 3 cases were fair and 1 case was poor. Conclusion : In Kienbock's disease with neutral ulnar variance, a revascularization procedure of vascular pedicle graft with temporary STT fixation is a good treatment method but the patient's ag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the revascularization procedure. A prospective study will be needed to determine the optimal duration of temporary STT fixation.

      • KCI등재

        주상골 불유합에 대한 세 가지 골 이식술의 비교

        천상진(Sang-Jin Cheon),차승한(Seung-Han Cha),김휘택(Hui-Tae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3

        목적: 주상골 불유합에 대한 수술적 치료로써 골 이식술은 널리 사용되는 술식이며,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에 세 가지 다른 골 이식술인 Matti-Russe술식, Fisk-Fernandez술식, 유강 혈관화 골 이식술을 각각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확정형 수근 주상골 불유합에 대해 세 가지 다른 골 이식술을 시행받고 최소 1년 이상 추시 관찰에 기능했던 환자 20명,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전과 술 후의 동통 정도, Mayo Modified Wrist Score (MMWS), 건측과 환측의 관절 운동 범위를 측정하고 방사선학적 평가로는 골유합, 무혈성 괴사, 후방 개재 분절 불안정성(dorsal intercalated segment instability, DISI) 여부를 평가하였다. 결과: 통증, MMWS, 관절 운동범위는 세 수술군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골유합률 및 DISI 교정각도 차이가 없었다. 골유합까지의 기간에서는 유경 혈관화 골 이식군에서 평균 2.6개월로 나머지 두 수술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빨랐다. 결론: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세 수술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세 수술 방법은 모두 주상골 불유합에서 기능 회복과 골유합을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유경 혈관화골 이식술군에서 유의한 골유합 기간의 단축을 보여 다소 빠른 기능의 회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Bone graft is a widely accepted surgical treatment for scaphoid nonun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the three different bone graft techniques, Matti-Russe technique, Fisk-Fernandez technique and vascularized bone grafting.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volved 20 cases in 20 patients of established scaphoid nonunion who were treated with three different bone graft techniques and followed up for at least 1 year. We measured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ain, Mayo Modified Wrist Score (MMWS) and range of motion of the affected and normal side. For radiological evaluation we assessed bone union, avascular necrosis, and dorsal intercalated segment instability (DISI).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with respect to the pain, MMWS, and range of motion. The union rate and correction of DISI also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time to achieve bone union, which averaged 2.6 month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vascularized bone graft group than in the other two groups. Conclusion: All three methods were proper surgical procedures for treatment of scaphoid nonunion becaus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Among these three methods the vascularized bone grafting had the shortest time to achieve bone union so it could result in the fast functional recovery of the patient.

      • KCI등재후보

        1, 2-구획간 상지대 동맥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과 무두 압박나사 고정술로 치료한 주상골 불유합

        김동현,정양국,신승한,길호진,강진우,조한석 대한수부외과학회 2014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19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s of scaphoid nonunions treated with 1, 2-intercompartment supraretinacular artery (ICSRA) pedicled vascularized bone grafting (VBG) and headless com- pression screw fixation. Methods: Since August 1, 2005, 11 scaphoid nonunions with avascular necrosis or bone marrow edema of proximal fragments were managed with 1, 2-ICSRA pedicled VBG combined with headless compression screw fixation. The mean age was 37.1 years (range, 21-66 years). 8 patients had avascular necrosis (AVN) of proximal fragments and 3 patients had bone marrow edema in proximal frag- ments. Serial radiographic evaluations were performed in every 4-8 weeks for bone union and follow up computed tomography scanning were checked in 8 patients. Results: Bone unions were obtained in all 11 patients at 4.9 months (range, 3-9 months) after operation. At last follow up, the average range of motion was 82.5% and the grip power was 84.1% compared to the contralateral side. The mean New York Orthopaedic Hospital wrist score at last follow up was 83.2 (range, 58.1-93.3). Conclusion: Combined 1, 2-ICSRA pedicled VBG and headless compression screw fixation were reliable methods for managements of scaphoid nonunions even with AVN at proximal fragments. 목적: 1, 2-구획간 상지대 동맥(1, 2-intercompartmental supraretinacular artery) 유경 혈관화 생골 이식술과 무두 압박나사 고정술로 치료한 주상골 불유합 환자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8월 이후 주상골 불유합에 대하여 1, 2-구획간 상지대 동맥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과 무두 압박나사 고정술을 시행한 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기공명영상 검사상 8예에서 근위골편에 무혈성 괴사가 있었고, 3예에서골수 내 부종변화가 있었다. 4-8주 간격으로 단순방사선사진 촬영을 시행하고, 8예에서는 전산화단층촬영을 통해 골유합의 진행을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상, 전예에서 골유합을 얻었으며 유합까지의 평균기간은 4.9개월(범위, 3-9개월)이 소요되었다. 운동범위는 평균 82.5%로 회복되었고, 파악력은 84.1%로 회복되었다. 최종 추시 시 New York Orthopaedic Hospital wrist score는 평균 83.2점(범위, 58-93점)으로 평가되었다. 결론: 1, 2-구획간 상지대 동맥 유경 혈관화 골 이식술과 무두 압박나사 고정술은 주상골 불유합에서 근위골편의 무혈성 괴사를 동반한 경우에도 골유합을 얻을 수 있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