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8년 위기 예측 가능했나?: 신호접근법 분석

        박원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East Asian Economic Review Vol.15 No.3

        본 연구는 신호접근법을 사용하여 조기경보모형을 구축하고 2008년 우리나라의 위기가 예측 가능했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를 예측하기 위해 구축된 모형의 골격을 바꾸지 않고 2008년 위기를 예측함으로써 우리나라의 1997년 위기와 2008년 위기가 대내외 여건의 비슷한 변화로 인해 발생하였음을 보였다. 또한 2008년 전체를 전반적으로 위기기간으로 간주하는 경우와 실제로 위기가 발생한 2008년 9월 이후로 위기기간을 한정하는 경우에 위기예측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보였다. 분석 결과, 신호접근법 조기경보모형의 예측력은 매우 양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를 앞두고 신호발생 건수가 급증하고, 위기발생 확률도 급격하게 높아지면서 위기를 조기에 경보할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한 지표는 외채/외환보유액 비율과 예금취급기관 해외부채/총부채 비율이었다. 모형의 표본외 예측력도 양호하였다. 우리나라가 위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구축한 조기경보시스템이 잘 작동하기 위해서는 조기경보모형의 신뢰도를 높이고 ‘이번은 다르다 신드롬’에 빠지지 않아야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2008 crisis in Korea was predictable by applying the signal approach. It shows that the early warning model constructed to predict the 1997 crisis in Korea works very well to predict the 2008 crisis, implying the similarity of the two crises. In predicting the 2008 crisis, crisis period is defined two ways. One is to define the whole year of 2008 as the crisis period. The other confines the crisis period to the post September, 2008. The early warning was not sensitive to the crisis period. Both models provide early warning successfully. Well before the crisis period, signals increased rapidly and the conditional probabilities of crisis rose sharply.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were the foreign debt/foreign reserves ratio and the foreign debt/total debt ratio of depository corporations. The models performed well in the out-of-sample period. It seems that Korea did not utilize the early warning systems to be ready for the 2008 crisis, although she had built them after the 1997 crisis to be ready for the another crisis. We must overcome the this-time-is-different syndrome and trust the early warning models to rely on early warning.

      • KCI등재후보

        사례기반추론을 활용한 위기예측에 관한 연구

        金慶洙,宋致榮,徐民洙 한국금융연구원 2003 韓國經濟의 分析 Vol.9 No.3

        외환위기를 경험한 24개국을 대상으로 1970년 1월~1995년 6월 기간의 월별 및 연간자료를 표본기간으로, 1995년 7월~1997년 6월을 표본외 가간으로 각각 설정하여 기존의 신호접근법과 본 연구를 통해 최초로 시도하는 사례기반추론에 따른 회환위기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신호접근 위기예측모형은 동아시아 외환위기가 집중된 표본외 가간에서 오히려 더 높은 예측력을 보이는 성과를 가졌으나 동아시아지역 이외의 국가들에 대해서는 경보가 작동하나 위기는 오지 않는 제2종 오류의 문제를 동반하였다. 이와 같은 기존의 위기예측모형이 가지는 취약성을 보완하는 대안으로서 사례기반추론 기법(CBR)을 이용하였다. 여기서는 잘못된 경보를 줄이고자 하는 2개의 전략과 경보를 추가적으로 발굴하고자 하는 1개의 전략을 적용하여 신호접근법만을 적용한 표본외 예측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세 개의 전략을 적절히 배합하여 적용할 경우 표본외 예측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금리 스프레드의 경제 예측력에 관한 비교 연구: 스프레드 구간과 금융위기 전후 분석을 중심으로

        은희문,백재승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최근 자료를 이용하여 금리 스프레드의 실물경제 및 금융시장 예측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기간스프레드와 신용스프레드가 GDP, KOSPI 및 경기불황 예측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지다양한 구간을 선정하여 시차회귀분석과 프로빗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전체 분석 기간을 금융위기를 중심으로 이전과 이후로 나누어 각 기간별 어떤 분석결과가 나오는지 조사하였다. 실증분석결과, 금리정보가 실물경제에 대한 예측력을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체분석기간을 금융위기 전, 후로 나누어 살펴본결과 GDP, KOSPI의 예측력분석에 있어 기간스프레드의 경우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선행적 예측력이 있는장단기 스프레드 구간이 변화되었다. 신용스프레드의 경우도 회사채와 국고채의 수익률 차이에 대한 설명계수가 GDP, KOSPI에 대해 양(+), 불황 여부와 음(-)의 기울기를 나타내는 등 위기 이전의 상관관계와 다른 모습을보였다. 분석의 기준이 되었던 국고채금리를 이자율스왑금리로 바꾸어 비교한 결과 금융위기 이후에는 국고채금리스프레드 예측력이 기간 및 신용스프레드 모두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자율스왑시장이 금융선진국에서일찍 발달되었던 바 이는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국고채 시장이 좀 더 유동성이나 가격 변동성 면에서 선진국형으로 발전되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d interest rate spreads’ predictive power on the real economy and financial market using recent data from Korea. To this end, various sections were selected to analyze whether the term spread and credit spread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in predicting GDP, KOSPI, and Recession using differential regression analysis and probit model. In addition, the entire analysis period was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period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interest rate information had predictive power for the real economy. As a result of dividing and analyzing the entire analysis period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long-term and short-term spread periods with leading predictive power have changed in the analysis of the predictive power of GDP and KOSPI through the financial crisis. In the case of credit spreads, the explanation coefficient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yields of corporate bonds and government bonds showed a different shape from the pre-crisis correlation, such as the slope of positive (+), recession and negative (-) for GDP and KOSPI.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KTB interest rate, which was the basis of the analysis, with the interest rate swap rate, the predictive power of the KTB yield spread after the financial crisis was superior to both the term and the credit spread. The interest rate swap market was developed early in the developed financial markets, which suggests that the KTB market has developed into an advanced country in terms of liquidity or price volatility as it went through the financial crisis.

      • KCI등재

        재정위기 예방을 위한 기업파산예측모형 적용에 대한 고찰

        배기수 한국정부회계학회 2012 정부회계연구 Vol.10 No.1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서 발전해 온 파산예측모형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정부회계에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재정위기 정부회계 재무지표와 기업회계 재무지표 비교를 비교분석한 결과 건전성은 통합재정수지적자비율, 예산대비 채무비율, 부채비율, 채무상 환비비율, 지방세 징수액 현황, 금고 잔액 현황, 공기업 부채 비율이며, 수익성은 총자산순이익 률, 활동성은 매출채권회전율, 성장성은 자기기자본증가율이 해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식부 기 도입측면에서 기업회계는 정부회계보다 도입 역사도 길고 관련 연구도 풍부하게 진행되어 있어, 기업회계의 재무지표 분석관련 연구를 참조하여 복식부기 정부회계에서 산출되는 재무지 표분석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기업회계에서는 재무지표를 활용하여 두 가지 방향으로 연구 가 진행되고 있었는데, 첫 번째는 파산기업을 예측하는 것이었으며 두 번째는 미래 주식가격을 예측하는데 활용하고 있다. 이 중, 파산기업을 예측하는 기업회계 관련 연구방법론을 정부회계 에 적용한다면 조기에 재정위기 자치단체를 식별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파산기업 예측을 위해 과거에는 주로 판별분석을 하였으나 최근에는 Paired t-test를 토대로 유 의적인 차이가 있는 변수를 대상으로 로짓분석을 하고 있다. 향후 복식부기에 의한 정부회계자 료도 점차 누적됨에 따라 로짓분석과 같은 전문 통계적 분석이 가능해질 것이다. 이에 기업회계 에서 연구되어 온 파산예측모형관련 연구방법론 등을 적극적으로 정부회계에 적용하여 정부회 계정보의 유용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부회계 관련 재무자료 가 누적됨에 따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파산예측을 객관적인 모형에 의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정부회계 이해관계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resent study aimed, through its preliminary investigation on the situational conditions regarding the reformed government's accounting practices, at assessing problematic matters that had been neglected in the course of introducing the accrual basis accounting system especially by the local governments. Furthermore, it attempted to provide the troubleshooting way in a manner that satisfies the demands of information users by accessing the accounting system which is now reorganized to incorporate the central governmental accounting system with the systems operated by each local governmental. The researches are insufficient how efficient are the indexes calculated by such accounting system and how efficient these performance indexes are communicated and inflected to the interested parties. So, this research is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public sector Through the performance indexes calculated by accrual basis accounting system and helping interested parties's decision as making form and indexes that are able to convey the such performance to the interested parties. The expected effect can be got through this research as follows. First, improve bankrupt prediction program of the financial accounting indexes suggested thr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objectively useful and valuable information about government financial data, benefit and management issues. Second, it is expected for the variety range of data about accrual financial accounting system and improve program to offer information and way to manage asset and dept as the government financial sources constantly and reliable.

      • KCI등재

        우리나라 위기 예측과 지역모형의 사용 -신호접근법 분석-

        박원암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17 금융지식연구 Vol.15 No.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iciency of the regional model to predict Korea's financial crisis, using the signal approach. We adopted the widely recognized model of Goldstein, Kaminsky, and Reinhart(2000) that includes 15 leading indicators in 24 countries around the world during 1990.Jan-2009.Dec. and found the implications as follows. It was not helpful to include other regions than the East Asia to predict Korea's crisis. Within the East Asia, the optimal cluster for Korea was Korea and Indonesia according to within and out of sample forecasts. However, the crisis predictability of the Korea and Indonesia clust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dividual Korea model. 국가위기 사례는 많지 않으므로 개별 국가별로 위기를 예측하기 보다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포함한 패널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견해가 있다.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의 위기 예측을 위하여 동아시아 국가 및 여타지역의 국가들을 포함한 지역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신호접근법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대표적 신호접근법 모형인 Goldstein, Kaminsky, and Reinhart(2000)를 원용하여 4개 지역 24개국의 1990-2009년 중 15개 선행지표에 대한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내 및 표본외 예측을 하였다. 그 결과 동아시아 국가이외에 다른 지역의 국가들을 포함하는 것이 한국의 금융위기 예측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또한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한국과 인도네시아 두 국가로 구성한 클러스터의 예측력이 전반적으로 우수하였다. 그러나 이 클러스터의 표본내 및 표본외 예측력도 한국 자료만을 사용한 한국모형의 예측력과 유의하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 KCI등재

        코로나-19 등 국가적 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최고감사기구의 역할

        이진수 ( Rhee Jeansoo ) 영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영남법학 Vol.- No.53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의 장기화가 가져온 경제적 위기 상황은 정부의 신속·정확하고도 효율적인 대응을 요구한다. 코로나-19 상황에서 ‘민첩한 정부’(Agile Government)가 가장 이상적인 정부형태로 논의된다. 위기 상황에 대응하는 정부는 위기 상황과 그 이후의 상황에 대한 예측능력을 또한 갖추어야 한다. ‘예측하는 정부’(Anticipatory Government)는 미래예측과 예견을 통하여 위험을 줄이고 효과적인 방법을 발전시킬 수 있는 과정과 제도를 가지고 있으면서 이를 계속하여 만들어가는 정부를 말한다. ‘예측하는 민첩한 정부’가 되기 위해서 우리 감사원과 감사제도에 보완할 사항이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코로나-19와 같은 국가적 위기 상황과 그에 대한 대응을 통하여 ‘예측하는 민첩한 정부’의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적 위기 상황에 대한 대표적인 대응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의 뉴딜정책을 1차적 소재로 하여 살펴보고, 우리의 한국판 뉴딜정책과 연결하여 시사점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한국판 뉴딜정책, 그중에서도 디지털 분야와 환경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은 신기술과 깊이 관련되어 있고, 장기간에 걸쳐 여러 부처가 많은 예산을 사용한다는 정책프로그램의 특성상 정책종결 이전 단계에서부터 정책 과정의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모니터링은 전체적 시각이 필요하고 특히 변화하는 미래 상황에 대한 예측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감사원을 중심으로 하면서 관계부처 공무원, 학계, 시민사회, 언론 등 광범위한 인적 자원의 참여가 가능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미래의 불확실성과 싸우면서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하여야 하는 상황에 처한 행정부의 공무원들에게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지원하는 것도 최고감사기구가 앞으로 지향하여야 하는 새로운 역할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서 이에 대응하는 정책을 결정하는 공무원의 입장에서는 불확실성으로 인한 정책결정 또는 미흡을 사후에 불확실성이 해소된 이후에 그 시기의 잣대로 재단하고 감사하고 책임을 지도록 한다면 누구도 스스로 앞장서서 정책결정과정에 참여하려 하지 않을 것임은 쉽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최고감사기구가 정책 사이클 전반에 참여하는 것은, 특히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장기간에 걸쳐 대응하여야 하는 불확실성이 큰 정책 영역에서는 적극행정 면책조항 이상으로 공무원들에게 적극적인 정책참여를 유인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도 그 필요성이 인정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economic crisis brought on by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requires the government to respond quickly, accurately and efficiently. In the context of COVID-19, ‘agile government’ is discussed as the most ideal form of government. Governments responding to crises must also have the ability to anticipate crises and their aftermath. Anticipatory government refers to a government that values proactive prevention rather than ex post treatment. Anticipatory government refers to the government that has and continues to create processes and systems that can reduce risks and develop effective methods through forecasting and foresigh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is something to be supplemented with our audit and audit system in order to become a ‘predictable and agile government’. We would like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predictable and agile government’ through national crisis situations such as COVID-19 and responses to them. To this end, we tried to examine the US New Deal policy, which can be said to be the most well-known policy for responding to a national crisis, as the primary material, and to draw implications in connection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New Deal policy. The Korean New Deal policy, especially in the digital and environmental sectors, is deeply related to new technologies and is considered very important to monitor the policy cycle from the pre-closing stage. This monitoring requires an overall perspective and is based on foresigh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need for a monitoring system that enables the participation of a wide range of human resources such as public officials, academia, civil society, and the media from related ministries, focusing on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In addition, providing and suppor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eliminate uncertainty to public officials in the administration in a situation where they have to decide and implement policies while fighting future uncertainties can be a new role model for the Supreme Audit Organization. In particular, it is easy to predict that no one will take the lead in the policy-making process if public officials decide on policies to respond to COVID-19 are judged, audited, and held accountable after uncertainties are resolved. I think the need for the Supreme Audit Organization to participate in the policy cycle can be recognized in that it can be a way to induce active policy participation among public officials beyond active administrative immunity.

      • KCI등재

        우리나라 위기예측을 위한 패널자료의 선택: 합동성 검정과 표본내 예측력 비교

        박원암 ( Won Am Park ) 한국국제경제학회 2016 국제경제연구 Vol.22 No.3

        우리나라는 1998년과 2008년에 두 번의 위기를 겪었으므로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위기사례를 늘리려 한다. 그러나 패널자료를 이용하려면 동일한 변수들이 각국의 위기를 설명하며, 계수의 크기도 이질성 부분을 제외하면 같다는 합동성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2008년의 글로벌 금융위기를 포함할 수 있도록 표본기간을 2009년 이후로 확대하고, 24개국에 대하여 패널자료 선택을 위한 합동성 검정을 시행하였다. 우선, 반복적인 우도비 검정으로 적절한 클러스터를 탐색하였으나 찾을 수 없었다. 다음으로,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5개국의 모든 조합에 대하여 Roy-Zellner 검정을 하였으나 모두 기각되었다. 합동성 검정이 기각되는 경우 지역모형과 개별국가모형의 예측력을 비교하였으나 개별국가모형의 예측력이 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had experienced the currency crises two times. Korean researchers tend to use the panel data to increase the useful observations. In order to use the panel data, however, the poolability assumption that the same factors explain the crises and the coefficient are homogeneous should be tested. This paper implemented the poolability test on the sample of 24 countries extending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9. We searched after the optimal cluster by the iterative LR test, but we failed to find it. Then the Roy-Zellner test was implemented on all the clusters of East Asian 5 countries including Korea, but it rejected the poolability assumption. When the country data cannot be pooled, we compared the predictability of the regional model and the individual country model. We found that the former was worse than the latter in terms of the Quadratic Probability Score and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 KCI등재

        금융위기를 전후한 회계정보 질적 속성의 추세적 변화 : 이익구성요소의 예측관련성, 지속성 및 가치관련성

        최종서 韓國公認會計士會 2007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45 No.-

        지금까지 금융위기 이후의 회계제도 개혁에 따른 회계정보의 질적 속성 변화를 검증하려는 다수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기존연구는 단편적인 질적 속성의 척도를 이용하거나 논리적 연관성이 부족한 복수개의 척도를 나열식으로 이용함으로써 일관되고 일반화된 결론을 제시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익구성요소의 가치관련성, 지속성 및 예측관련성을 Ohlson(1999)의 구조에 기반을 둔 연립방정식 접근법에 의해 동시에 추정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속성의 척도를 기초로 한 질적 속성 변화의 진단을 시도하였다. 1982년부터 2004년까지의 국내 표본자료를 실증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발생액과 영업현금흐름은 미래초과이익을 예측하거나 당기지분의 시장가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예측정보능력과 가치관련성을 지닌다. 둘째, 금융위기 이전기간에 비하여 금융위기 이후기간에는 발생액과 영업현금흐름의 예측관련성, 가치관련성 및 지속성이 체계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확인된다. 셋째, Ohlson(1999)에 의한 제약조건을 부과하여 연립방정식을 추정하여도 위의 결과는 유지된다. 표본을 High-Tech 산업과 Low-Tech 산업으로 양분하여 분석할 경우 산업의 유형에 따라 결과는 달리 나타난다. 발생액을 분해할 경우 비재량적 발생액에 비해 재량적 발생액의 예측관련성과 가치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 기간 사이에 이익구성요소의 질적 속성에 구조적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제시하며 특히 2000년대 들어와서 대폭적으로 추진된 회계제도 개혁의 성과가 중요한 배경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in Korea is considered to form a watershed in Korean accounting history, in the sense that the national accounting system and the overall practice have advanced a step toward a paradigm grounded upon transparency. The large scale accounting system reforms undertaken by the Korean government and Korea Accounting Institute, in particular, subsequent to the crisis and still ongoing, are presumed to have played a major role behind the paradigm shift.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mprehensive test on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qualities of earnings components between the pre-crisis and the post-crisis periods, using seemingly unrelated regression techniques, which enables simultaneous estimations of several related quality equations. Generalized version of Ohlson(1999) model as suggested by Barth et al.(1999) is employed as a basic research tool, which is augmented to accommodate the tests of structural changes. Major findings of the analyses include the followings. First, accrual and operating cash flow components of earnings aid in forecasting future abnormal earnings incremental to abnormal earnings and equity book value. Accruals and cash flows provide explanatory power for equity market value incremental to equity book value and abnormal earnings. Second, forecast and valuation relevancies of accruals and cash flows have experienced structural changes after financial crisis, toward enhanced qualities relative to pre-crisis period. The forecast, valuation, and persistence coefficients all exhibit increased absolute values during the post-crisis period. Third, the above results are sustained across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models. Presence of industry effects and the relevance of discretionary component of accrual are suggested in additional tests.

      • KCI등재

        한국 外換危機의 예측 모형

        朴元巖 한국금융연구원 2001 韓國經濟의 分析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신호접근모형과 프로빗 모형에 의해 한국 외환위기의 예측모형을 구축하고 표본내 및 표본외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신호접근법은 비모수적 방법이므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감안할 수 없는 반면, 프로빗 접근법은 모수적 방법으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직접적으로 고려하므로 유의한 설명변수의 수가 크게 줄어든다. 양 모형의 표본내 예측력은 뚜렷하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표본외 예측력은 프로빗 모형이 신호접근모형에 비하여 크게 떨어졌다. 또한 프로빗모형에서 설명변수를 분절선형화하여 예측력을 높이려하였으나 분절선형화된 설명변수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두 모형은 방법상의 차이로 서로 통합하기가 어려운 만큼 두 모형을 모두 조기경보모형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신호접근법의 예측력이 안정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므로 신호접근모형의 유지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구논문 :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외환위기 조기경보 시스템의 성과

        김경수 ( Kyung Soo Kim ),송치영 ( Chi Young Song ) 한국금융학회 2006 金融學會誌 Vol.11 No.2

        본 연구에서는 사례기반추론(case based reasoning, CBR) 접근방법을 이용하여 신호접근모형(signaling extraction model)에 비해 효율적인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먼저, 외환위기를 경험한 24개국에 대하여 1970년 1월~1995년 6월의 월별자료를 표본기간으로 신호접근모형을 구축한 후 1995년 7월~1997년 6월의 기간에 대하여 표본 외 예측을 시행하였다. 다음으로, 신호접근법 모형에 의해 발생한 위기경보 가운데 잘못된 경보의 수를 줄이고자 사례기반추론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절단확률을 활용한 신호접근법에 비해 사례기반추론 접근법이 상대적으로 올바른 경보의 큰 희생 없이 잘못된 경보의 수를 줄일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사례기반추론 접근법이 제1종 오류와 제2종 오류 간 상충관계를 완화하여 위기예측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표본 외 예측기간을 동아시아 외환위기 이후로 연장한 분석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Applying case based reasoning (CBR) this paper proposes an early warning system of currency crises which is more efficient than the signal extraction model (SEM). We have built SEM using monthly panel data covering 24 countries over January 1970 to June 1995 and set the out-of-sample period from July 1995 to June 1997, the period of which led to East Asian crisis. Using the same information set we have applied CBR in order to reduce false alarms. The paper demonstrates that CBR can make significant efficiency gains. Compared to SEM with cut-off probabilities, it can reduce false alarms without missing less correct calls. The trade-off between type I and type II errors in CBR is much smoother than SEM. We confirm this result when the out-sample forecast is extended to post East Asian crisis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