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인환의 ‘나의 아름다운 빨래방 사루비아’ 작품에 나타난 관객참여와 정체성에 관한 연구

        박영택 ( Youngtaik Park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오인환의 2002년도 설치작업 ‘나의 아름다운 빨래방’ 은 영국의 스티븐 프리어스 감독의 ‘나의 아름다운 세탁소’에서 따온 제목이다. 전시장 안에는 판자로 지은 빨래방이 설치되었고 이곳에서 작가는 사전에 빨래를 예약 신청한 남자 관객의 옷을 빨래하고 다림질 하면서 일정한 시간 동안 대화를 나눈다. 빨래를 의뢰한 남자들의 흔적은 빨래방 바깥 벽면에 붙여놓은 사진으로 대체된다. 이 작업은 서로 다른 사람들이 제한된 공간 속에서 소통하는 순간을 형상화했다. 작가와 관람객은 세탁이 진행되는 동안 한국에서 남성으로 산다는 것에 대해, 동성애와 이성애간의 삶에 대해, 일반인과 예술가의 생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은 사람들 간의 다름을 보여주는 동시에 소통을 위한 매개체로 기능한다. 오인환의 설치미술 작업에서는 미술관 방문객의 빨래를 해 주는 ‘과정’ 자체가 예술작품이 된다. 오인환은 미술과 공연예술 사이의 인터아트를 통해 사전에 계획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관객과의 소통 그 자체를 예술작품으로 승화시켰다. 본 연구를 통해 오인환의 작업이 1970년대 한국 실험미술에서 행해진 해프닝과 이후 여러 관객참여형 작업들과 연관되어 있는 동시에 앞선 작업들과는 달리 참여자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부여하고 있으며 그로인해 작품을 궁극적으로 완성해내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작업을 통해 불특정한 관객과의 소통을 적극 추구하고 아울러 성정체성, 타자, 수행성 등 동시대의 여러 중요한 이슈를 적극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는 작품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동시대 한국현대미술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관객참여형 작업들에 주는 시사점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My Beautiful Laundrette,” an installation art produced by Oh In-Hwan in 2002, is a title borrowed from “My Beautiful Laundrette” by an American film director Stephen Frears. In the exhibition, a laundrette made out of panels is installed and the artist washes, irons the clothes of male audience who made a reservation, and talks with them for certain amount of time. Later, the traces of these men are replaced by photos attached on the exterior wall. This artwork embodies the moment of communication with other people in a limited space. During the laundry, the artist and the viewers share talks about living as men in Korea. The conversations include talks about the lives of homosexuals and heterosexuals, and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artists. Various types of clothes serve as a medium for showing the difference among people and communication. In Oh In- Hwan's installation artwork, 'the process' of laundry for gallery visitors becomes an artwork. Thus, it is an installation art, yet it can also be a theatrical installation art approaching theater or performing art. Oh In-Hwan developed the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as an artwork, not deliver the planned message through interart between art and performing art. This is connected with happening many audience-participating artworks conducted in the Korean experimental arts in the 1970s, and has a significant implication in that it actively reflects several important issues such as more active role than other participants, communication, sexual identity, others, and performativity contrary to earlier artworks at the same time.

      • KCI등재

        한국 동시대미술 속 군대 표상에서 드러나는 정치성 - 푸코의 권력이론을 통한 박경근, 서도호, 오인환의 작품 분석

        김영인(Youngin Arial Kim)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20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0 No.-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미술사에서 군대 표상에 관한 연구는 한국전쟁기(1950-1953) 혹은 1960-1970년대 군사정권시기에 제작된 작품을 집중적으로 다뤄왔다. 한국전쟁기의 군대를 묘사하는 작품은 주로 전장의 상황이나 전쟁의 참상을 재현하며, 기록적 성격을 띤다. 나아가 박정희 정부(1961-1979)의 주도로 만들어진 기념 동상이나 민족기록화 속의 군대 이미지는 해당 정권이 내세운 국가건설과 민족문화진흥이라는 테제를 반영한다. 위 두 시기의 작품에 대한 미술사적 서술은 비교적 축적되어 온 반면, 군 표상을 다룬 한국 동시대미술 작품에 대한 종합적 연구는 흔치 않다. 이 논문은 한국 동시대미술에서 발견되는 군대 표상의 정치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탈냉전 시대에도 여전히 휴전 중인 분단국가로서, 헌법에 국방의 의무를 명시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 남성 국민은 병역의 의무를 수행해야 한다. 이와 같은 특수한 정치적 조건을 목도하거나 직접 경험한 동시대 미술가들은 다양한 형식의 미술실천을 통해 군대 표상을 다루어 왔다. 본고는 특히 박경근(1978- ), 서도호(1962- ), 오인환( 1965- )의 2000년대 이후 작품에서 군인, 군 조직, 병영문화, 군대문화 등 군대를 상징하는 이미지를 분석한다. 세 작가의 작품을 연구하는 데 있어 본고는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 (Michel Foucault, 1926-1984)의 권력이론을 개념적 틀로 사용한다. 푸코는 권력이 사회제도와 결합하여 개인의 삶에 영향을 끼치는 방식에 천착했다. 본 연구는 푸코의 권력이론 중에서도 특히 그가 저서 『감시와 처벌(Surveiller et punir)』(1975)에서 논구한 규율권력 개념을 통해 박경근, 서도호, 오인환의 작품 속 군대 표상을 분석하고, 규율권력의 정치적 특성이 드러나는 부분을 규명한다. 정치철학 담론을 미술사 연구에 적용하고자 시도한 본 연구가 한국 동시대미술 작품 속 군대 표상에 대한 담론을 보다 확장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delves into military images in Korean contemporary artworks, applying the theory of disciplinary power by French theorist Michel Foucault (1926-1984). It summarizes the history and various characteristics of disciplinary power and refers to them to analyze military images in the works of Kyung Kun Park (1978- ), Do Ho Suh (1962- ), and Inhwan Oh (1965- ). Identifying how they reflect the politics of disciplinary power, this paper also compares the artists’ varying perspectives regarding the disciplinary power in the army: ambivalent or critical.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zation (1910-1945), research on military images in Korean art has mostly focused on the two historical periods: the Korean War period (1950-1953) and the military regime in the 1960s and the 70s. Military images from the former period are mostly limited to those of soldiers and troops fighting in the battlefields. Public monuments and the National Documentary Paintings promoted by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1961-1979) consist of military images from the latter period. Heroic soldiers and battles won were frequently portrayed, reflecting the regime’s agenda of nation-building and the promotion of national culture. While research on the military images from these two periods has been accumulated, few are available on those in Korean contemporary art. This paper investigates this so far overlooked topic. As the Korean War has not officially ended since the ceasefire in 1953, all males over the age of eighteen in South Korea are required to complete their military obligation. Korean contemporary artists affected or inspired by these circumstances have incorporated military images representing soldiers, military organization, and military culture in their artworks. This paper examines the examples in the contemporary works of Kyung Kun Park, Do Ho Suh, and Inhwan Oh since the 2000s. Employing the political theory of power to interpret their artworks, it aims to expand the academic discussion on military images in Korean contemporary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