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외세 지배하의 유고슬라비아에 대한 연구 : 오스만 터키 지배 지역을 중심으로

        김철민(Kim, Chul-Mi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5 동유럽발칸연구 Vol.15 No.1

        15세기 오스만 터키가 발칸유럽을 장악한 이후 유고슬라비아 지역내 남슬라브 민족들은 1878년 독립하기 이전까지 약 400여 년간을 오스만 터키의 지배와 그 영향을 받아야만 했다. 이후로 오스만 터키가 이 지역에 남긴 사회, 문화, 정치, 경제적 여러 잔재들과 유산은 아직까지도 유고슬라비아내 각 민족들에게 잔존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세부터 근대까지 이어지는 외세 지배 시기와 대상 지역중 ‘오스만 터키 지배하의 유고슬라비아 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오스만 터키의 유고슬라비아 지역정복 과정과 그 의미를 소개함과 동시에, 오스만 터키 지배 기간중 이 지역내 남슬라브 민족이 경험해야 했던 주요 사회 체계와 경제, 문화적 특징 그리고 남슬라브족의 정신적 구심체 역할을 하여왔던 종교의 역할과 구전문학을 통한 문화적 특정들을 연구하고자 했다. After that Ottoman Turkey occupied Balkan Europe about 15C, South Slav in Yugoslavia was under the influence and control of Ottoman Turkey for about 400 years. So, social,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remnants of the Ottoman Turkey remains in nations in Yugoslavia to the present. With this view point, in this paper, I analyze about the characteristic and situation of the Yugoslavia which was under Foreign Power, especially with focused on Ottoman Turkey’s territory. In the chapter II, I analyze how Ottoman Turkey conquered Yugoslavia, and what is that’s meaning. In the chapter III, I study main social system of Ottoman Turkey, especially ‘millet’and ‘ devsirme ’. In the chapter IV, I study how effect Religion(Orthodox) in Serbia, and I, at the same time, study cultural characteristic of the phrase literature during that’s period. In the chapter V, I analyze economic system of Ottoman Turkey, especially with focused on ‘timar’ and 'ciftlik’ Finally, in the chapter VI, I summarize once more how much had an effect Ottoman Turkey’s conquer in South Slav in Yugoslavia, and which meaning have this study in study about history of Yugoslavia.

      • KCI등재

        터키의 대외정책 변화 : 아랍의 봄 이후를 중심으로

        박승규(Park, Seung-Kyu),김은비(Kim, Eun-Bee)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 2021 중동문제연구 Vol.20 No.3

        본고는 아랍의 봄 이후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터키의 대외정책 변화를 분석한다. 2003년 에르도안 대통령과 정의개발당의 집권 이후 터키 대외정책의 기조는 친(親)서구적인 경향에서 과거 오스만 제국 세력권에 대한 지향으로 변화했으며, 이는 신 오스만주의(Neo-Ottomanism)라고 불리고 있다. 이에 따라 터키는 중동과 중앙아시아 지역의 여러 사안들에 적극적으로 개입했다. 그런데 아랍의 봄 이후 터키는 주변국에 대한 영향력의 확대를 넘어 지역 패권을 추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는 미어샤이머(Mearsheimer)가 주장한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에서 말하는 ‘생존을 위해 지역 패권을 추구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이에 본고에서는 리비아 내전, 시리아 내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전쟁에서 나타나는 터키의 행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터키가 아랍의 봄 이후 신 오스만주의 기조 아래 공격적으로 팽창하고 있으며, 그 목적이 지역 패권의 달성임을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hift in Turkey’s foreign policy, particularly after the Arab Spring. Since president Erdogan and AKP came to power in 2003, the major message of Turkey s foreign policy has shifted from pro-Western tendency toward the former Ottoman empire’s sphere of influence, which was called ‘Neo-Ottomanism.’ Based on this point, Turkey has been actively involved in issues concerning the Middle East and Central Asia. But since the Arab Spring, Turkey has sought regional hegemony, beyond an expansion of influence. According to Mearsheimer’s offensive realism theory, the great powers have no choice but to seek regional hegemony in order to survive. By analyzing the Libyan Civil War, the Syrian Civil War, and the Armenian-Azerbaijan War, this paper argues that Turkey has been aggressively expanding herself under ‘Neo-Ottomanism’ since the Arab Spring, and its purpose is to achieve regional hegemony.

      • KCI등재

        The Turkish Political Culture since 1923 to 1995

        Lee, Ji-Eun(이지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5 역사문화연구 Vol.23 No.-

        한 국가의 문화적 정체성 또는 근원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역사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23년부터 1995년까지 터키사회를 지배했던 권위주의적 정치문화의 역사적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터키는 1950년 이후 양당체제 채택을 시작으로 더디지만 민주화를 향한 민주주의 공고화 노력을 계속해 오고 있다. 그러나 Juan J. Linz와 Alfred Stepan 이 제시한 민주주의 공고화 조건인 자유로운 시민 사회, 정치 사회의 존재, 법치주의에 의한 통치라는 기준을 적용해 보았을 때 1995년까지 터키 정치 문화는 민주적이라기 보다는 보다는 권위주의에 가까웠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권위주의적인 정치문화를 배태한 역사적 요인들을 분석해 보면 1) 오스만 제국의 유산, 2) 군부의 영향력, 그리고 3) 과두에 의한 정당 정치 등을 들 수 있다. 오스만 제국의 통치는 기본적으로 제국주의와 가부장적 원칙이 혼합된 일부 지배 계층의 권력독점으로 특징 지워 진다. 그러나 중앙과 지방과의 관계는 상대적으로 문화적 자율성이 허용되었다. 사회적으로는 소수의 지배자와 대다수의 피지배자들의 엄격한 간극을 이어줄 중간 계급(예, 시민사회)이 존재하지 않았다. 군부는 표면적으로는 민주주의 수호자임을 자처했으나 3 차례에 걸친 군사 개입은 역설적으로 터키의 민주주의를 후퇴시키고 권위주의적인 군사 정치문화를 강화시켰다고 평가할 수 있다. 비록 군부의 통치는 짧은 기간이었고 이후 평화적인 민정이양이 이루어졌지만 사회 질서와 안정을 앞세운 군부에 의해 권력은 여전히 소수 정치 지도자들에게 세속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소수 정치 엘리트들이 지배하는 정당정치 문화를 낳았으며, 이로 인해 터키 정당의 대중적 기반은 뿌리내릴수가 없었다. 1995년 이후 터키 정부의 정치 문화 민주화 노력으로 인해 이러한 권위주의적인 요소들은 상당히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현대 터키 현대정치가 극복해야 풀어야 할 역사적 유산으로 남아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at the Turkish political culture from 1923 to 1995 was considered as authoritarian and addresses the authoritarian elements found in the Ottoman-Turkish history. How these features have contributed to shaping the authoritarian image of the political culture in Turkey is the main subject of this paper. Since the transition from monoparty authoritarianism to competitive multiparty politics through the 1946 election was occurred, Turkey has waged efforts to democratize her politics. According to Juan J. Linz and Alfred Stepan, however, the necessary conditions- the development of a lively civil society, an autonomous and valued political society, and a rule of law- to consolidate democracy were not fully realized in the Turkish politics between 1923 and 1995. As a result, Turkish political culture was considered as authoritarian rather than democratic. The authoritarian features of Turkish political culture are likely to be divided into three; the strong state tradition inherited from the Ottoman Empire, military influences in politics, and the political parties led by ruling oligarchies. Firstly, a centralist and patrimonial modes of governance in the Ottoman Empire have exercised strong effects on establishing the authoritarian political culture in Turkey. Germane to the political parties, the state-dominated one party system between 1923 and 1946 impeded the competition among political parties. Since 1946, the Turkish political parties have generally displayed combined the features of cartel parties and it eventually led to an increase of dependency on a few powerful political leaders. As a third, with three military interventions, the military status was confirmed in civilian politics and it helped inheriting power to a few political elite. To some extent, these characteristics are still observed in the Turkish political culture and it is the historical legacy for Turkey to overcome for reaching advanced democracy.

      • KCI등재

        유고 지역내 세르비아 소수 민족 형성 배경에 관한 연구

        김철민(Chul-Min,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2 No.1

        20세기말 유고 지역에서 크로아티아 내전과 보스니아 내전이 발발한 이후 이 지역내 세르비아 소수 민족 문제는 발칸유럽의 안정과 평화의 주요 척도로써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현지 학계에서 발표된 크로아티아내 세르비아 소수민족 문제에 대한 연구 및 분석을 국내에 소개하고, 이를 통해 유고 지역내 세르비아 소수 민족 문제 및 그 형성 배경을 크로아티아를 사례로 분석하고자 했다. 본 논문의 구성은 우선 제 2장에서는 유고 지역내 소수민족의 범주를 크게 3가지, 즉 헝가리, 알바니아 그리고 세르비아 소수민족으로 나누어 그 특징과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이중 본 논문에선 3번째 범주인 세르비아 소수 민족을 연구하고자 했으며, 사례 지역으로는 크로아티아를 선택해 그 형성 배경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했다. 이를 기초로, 제3장에선 크로아티아내 세르비아 소수민족이 형성되게 된 배경을 역사적 사건 별로 3가지 배경으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했다. 첫째로는 크로아티아 중세 왕국의 몰락과 1102년 이후 헝가리로의 영토 편입 배경이 훗날 오스만 터키의 유럽 침공과 더불어 세르비아인들의 크로아티아로의 이주 및 크로아티아의 합스부르크 제국으로의 편입을 낳았다고 제시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로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오스만 터키 방어정책이 크로아티아내 세르비아 소수 민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제시하며, 그 의미와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했다. 세 번째로는 합스부르크 제국과 오스만 터키 제국 간에 체결한 스렘스키 카를로브찌(Sremski karlovci) 조약과 보이나 그라니짜(Vojna granica)의 형성을 주요 요인으로 설정해 그 내용을 분석할 것이다. Studies of the formation of Serbs as an ethnic minority group in Croatia has interested both Serbian and Croatian scholars. In particular, the Civil wars in Croatia and Bosnia that took place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have sparked international communities' enduring interest in the Serbian ethnic group in the Balkan. Such an interest reflects the awareness that, though it's been ten years since the Civil wars ended, Serbia ethnic groups still remain a volatile problem that might endanger the peace of the region. That is, Montenegro's form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June 2006, and Kosovo's effort to follow the same route, as which declared independent state in February 2008, can unsettle the Serbian minority of the region who are extremely loyal to their ethnic identity and pride. In this paper,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these events, I will examine the question of the Serbian minority group in Croatia, especially in terms of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behind their formation. At first, I will analyze about the problem and present situation Serbian minority in the area of Yugoslavia. And then, in the chapter two. I will explain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Serbina minority in Croatia in terms of three reasons as this following. The first is the fall of Croatian medieval kingdom and the expansion of Ottoman Turkey in the Balkan. The second is the protective strategy of Habsburg empire on Croatia and Europe. Finally, the third is the treaty of Sremski karlovci and the Vojna granica along the borders between the Ottoman and the Habsburg.

      • KCI등재

        유고 지역내 세르비아 소수 민족 형성 배경에 관한 연구 : 크로아티아를 중심으로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09 동유럽발칸연구 Vol.22 No.1

        Studies of the formation of Serbs as an ethnic minority group in Croatia has interested both Serbian and Croatian scholars. In particular, the Civil wars in Croatia and Bosnia that took place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have sparked international communities' enduring interest in the Serbian ethnic group in the Balkan. Such an interest reflects the awareness that, though it's been ten years since the Civil wars ended, Serbia ethnic groups still remain a volatile problem that might endanger the peace of the region. That is, Montenegro's formal declaration of independence in June 2006, and Kosovo's effort to follow the same route, as which declared independent state in February 2008, can unsettle the Serbian minority of the region who are extremely loyal to their ethnic identity and pride. In this paper, aware of the significance of these events, I will examine the question of the Serbian minority group in Croatia, especially in terms of the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behind their formation. At first, I will analyze about the problem and present situation Serbian minority in the area of Yugoslavia. And then, in the chapter two. I will explain the background of formation of Serbina minority in Croatia in terms of three reasons as this following. The first is the fall of Croatian medieval kingdom and the expansion of Ottoman Turkey in the Balkan. The second is the protective strategy of Habsburg empire on Croatia and Europe. Finally, the third is the treaty of Sremski karlovci and the Vojna granica along the borders between the Ottoman and the Habsburg. 20세기말 유고 지역에서 크로아티아 내전과 보스니아 내전이 발발한 이후 이 지역내 세르비아 소수 민족 문제는 발칸유럽의 안정과 평화의 주요 척도로써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현지 학계에서 발표된 크로아티아내 세르비아 소수민족 문제에 대한 연구 및 분석을 국내에 소개하고, 이를 통해 유고 지역내 세르비아 소수 민족 문제 및 그 형성 배경을 크로아티아를 사례로 분석하고자 했다. 본 논문의 구성은 우선 제 2장에서는 유고 지역내 소수민족의 범주를 크게 3가지, 즉 헝가리, 알바니아 그리고 세르비아 소수민족으로 나누어 그 특징과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이중 본 논문에선 3번째 범주인 세르비아 소수 민족을 연구하고자 했으며, 사례 지역으로는 크로아티아를 선택해 그 형성 배경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했다. 이를 기초로, 제 3장에선 크로아티아내 세르비아 소수민족이 형성되게 된 배경을 역사적 사건 별로 3가지 배경으로 나누어 분석하고자 했다. 첫째로는 크로아티아 중세 왕국의 몰락과 1102년 이후 헝가리로의 영토 편입 배경이 훗날 오스만 터키의 유럽 침공과 더불어 세르비아인들의 크로아티아로의 이주 및 크로아티아의 합스부르크 제국으로의 편입을 낳았다고 제시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로는 합스부르크 제국의 오스만 터키 방어 정책이 크로아티아내 세르비아 소수 민족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점을 제시하며, 그 의미와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했다. 세 번째로는 합스부르크 제국과 오스만 터키 제국 간에 체결한 스렘스키 카를로브찌(Sremski karlovci) 조약과 보이나 그라니짜(Vojna granica)의 형성을 주요 요인으로 설정해 그 내용을 분석할 것이다.

      • 터키 복식 양식 연구

        전혜정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6 여성연구논총 Vol.20 No.-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mprehend the internal meaning and the external form in style of Turkish costume. For these purpose, the documentary studies about Turkish culture, pictorial and literary are preceded as a frame of work of this research, and then Turkish costumes are analyzed by the documentary studies. For the sources, Turkish miniature paintings in 13c-18c are used.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concepts and characters of Turkish costume can be summarized as 1) The shape, fabric, and decoration of clothes indicate the Wearer's rank wealth, and thus give readily visible and identifiable signal about the values and structure of a society. Status symbols were of prime importance. 2) All aspects of turkish costumes were to be involved European-style instead of traditional dress. Changes of fashion were frock coat and trousers of traditional dress, concerning evolution of cut and constructions, the development of fashionable shapes, choice and use of fabric, sewing methods, and alterations. 3) A dominant impress was the importance and value attached to clothes at all stages in a woman's life. As such garments were both expensive and prestigious they were handed down from mother to daughter and indeed evidence of early life cycle rituals in a girl's life would seem to support this.

      • KCI등재

        터키-러시아의 역사적 갈등과 가상적 화해

        이동수 ( Dong Soo Lee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2 韓國 政治 硏究 Vol.31 No.1

        유라시아 지역의 패권을 다투던 오스만제국과 러시아제국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갈등과 충돌로 점철되었다. 17세기까지는 러시아가 오스만에 조공을 바쳤으나, 18세기를 거치면서 러시아가 점차 우세해졌고, 19세기 말에는 기독교 정교-슬라브주의와 이슬람교-투르크주의 대결이 격화되어 학살이 자행되고 이에 따라 국민감정은 악화되었다. 하지만 오늘날 터키공화국과 러시아연방은 과거를 뒤로 하고 협력과 화해의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2000년대 건설된 ‘블루 스트림 파이프라인’을 통한 양국의 에너지 협력은 관계 개선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그러나 양국 관계는 진정한 화해라기보다는 경제적 협력과 지정학적 대립이 공존하는 ‘가상적 화해’ 상태에 있다. 이는 국가이익을 위해 공식적으로는 적대감을 드러내지 않고 상호협력을 중시하지만, 수면 아래에서는 여전히 서로를 두려워하고 불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를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다. 국가는 ‘역사 기억’에 기초한 ‘국민감정’보다 ‘국가이익’을 고려하는 ‘국가이성’에 의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Turkish-Russian relations are intertwined with a lot of conflict and collision in the history. Russia paid a tribute to Ottoman until the 17th century, but attacked on and surpassed Ottoman from the 18th century on. Their wars intensified in the late 19th century because Russia was armed with Pan-Slavism and Ottoman was reinforced with Pan-Turanism. After the collapse of Soviet Communism in 1991, however, their relationship has been changed into a kind of cooperation and reconciliation. Russia and Turkey has become close economic partners, mainly with regard to gas imported via the undersea Blue Stream Pipeline. But their relationship is a so-called ‘virtual rapprochement.’ I mean by it a state of bilateral relations in which public manifestations of state-level adversity and hostility have nearly disappeared, but on the other hand, a hard kernel of mutual fear, mistrust, and suspicion remains. It is not simply negative, but rather realistic in the sense that a state should take the raison d'état for national interest into consideration.

      • 오스트리아의 보스니아 지배(1878-1917) 정책과 역사적 함의

        김철민(Kim, Chul-Mi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2

        15세기 중엽 중세 왕국이 오스만 터키에 의해 무너진 이후, 보스니아는 1878년까지 약 4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오스만 터키의 지배를 받아야 했으며, 이 기간 동안 다양한 이슬람 문화 및 역사적 아픔을 경험해야만 했었다. 이후 1877년 러시아와 터키간의 전쟁 결과, 오랜 동안 유럽내 대표적인 이슬람 지역으로 분류되어 왔던 보스니아는 새로운 지배 제국으로써 가톨릭 국가인 오스트리아를 맞이해야 했으며, 이것은 보스니아 내 민족들에게 이질적이고 새로운 문화적 충격을 안겨주었다고 할 수 있다. 19세기 민족주의 시대를 거치며 등장한 오스트리아의 지배와 지배 정책은 보스니아 민족들로 하여금, 과거 종교에 기초한 ‘문화적 민족주의(Cultural Nationalism)’ 성향을 더욱 더 견고하게 되었고, 종교적 집단의 정치적 집단으로의 변화 속에 새로운 민족 갈등의 양상을 초래하게 하였다. 더불어, 훗날 보스니아가 제 1차 세계대전의 진원지가 되게 되는 역사적 배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오스트리아의 보스니아 지배 과정과 당시 오스트리아에게 있어 보스니아의 전략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함께 오스트리아 지배 하에서의 보스니아의 사회, 문화적 특징 및 이 당시 대두된 민족주의의 다양한 형태들을 소개하고, 오스트리아의 지배 정책이 보스니아 내 민족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당시 오스트리아 지배 기간 동안 보스니아에 파급된 민족주의가 보스니아 내각 민족들에게 어떻게 다가왔으며, 어떻게 투영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Since the era of nationalism in the 19th century in Bosnia, the South Slavs there were compelled to differentiate amongst each other according to religion, which in turn prompted large social changes. For instance, nationalism in Bosnia stimulated the transformation of past ‘religious groups’ into ‘national groups’. As a result, Orthodox and Catholic Christians in Bosnia who had been long suffering under the domination of Ottoman Turkey began to claim Serbian and Croatian nationalist identities. In addition, nationalism in Bosnia, similar to other regions of the Balkans, led to distinctions between ‘We’ and They’ according to cultural and religious preferences. By the 19th century, the South Slavs(Slovenes, Croats) under the Hapsburg Empire (renamed the Austro-Hungarian Dual Empire after 1866) had begun to recognize their national identity through their Catholic faith. The South Slavs under Ottoman Turkey(Serbs, Bulgars, Macedonians, Montenegro...) were abl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their national identity through Orthodoxy. And, Bosnia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both national identities. With these research backgrounds, in the chapter Ⅱ, I analyze the process of Bosnia annexation of Austria and its historical meaning since 1878 which was Bosnia under the control of Austria. In the chapter Ⅲ is devoted to searching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 of Bosnia under Austrian rule, and I explain the ruling policies of Austria in Bosnia and its contents. At the same time, in this chapter, I analyze the making process of Nationalism in Bosnia and that’s influences after the Austria’s annexation 1908. Finally, in the chapter Ⅳ, I summarize how was the Bosnia under the ruling policies of Austria, and why Bosnia is called such as ‘Mosaic of Religion and Culture’.

      • KCI등재

        한국과 터키의 상호 인식 -한국과 터키 사회과 교과서 내 양국에 대한 서술을 중심으로-

        정재윤 ( Jae Yun Jeong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12 지중해지역연구 Vol.14 No.1

        This paper compares the contents of Korean and Turkish social studies textbooks on both countrie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s of two countries on each other are represented in the textbooks. Textbooks are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and power structures of a country. In this sense, textbooks are social narratives. As such, the country narratives about Turkey found in the textbooks of Korea are one of the official ways Korea perceives Turkey and the country narratives about Korea found in the Turkish textbooks play an important role in how Turkey understands Korea. In Korean textbooks, Turkey is introduced as part of the non-Western world in the dualistic world view between the West and the non-West. They describe the history of Turkey from the time of the Seljuk dynasty, to the Ottoman Empire, and to the Republic of Turkey and the current affairs of contemporary Turkish society in detail. However, they do not consider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urkey from a world history perspective. Turkey is an Islamic country with historical and cultural traditions of the Byzantine and Ottoman Empires and is currently being considered to join the European Union. Therefore, being on the border, Turkey has features of both the West and the non-West an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urkey from the perspective of only one-side. On the other hand, the Korean War is the most often mentioned topic about Korea in the Turkish textbooks. In general, they describe the Korean War as an international historical event paying attentions to the cause, the unfolding of the war, and the aftermath. However, they tend to emphasize the Turkish contribution to the Korean War. The Turkish textbooks explain that the Korean War was an attempt to stop the spread of Communism and to keep peace. Therefore, the textbooks explain that Turkey`s participation was not only part of the Turkish history but also an attempt to realize the ideals of the Republic of Turkey. Accordingly, the level of perception found in the textbooks of Korea and Turkey on each other is uneven. This is because textbooks are social products reflecting the understanding of power, politics, social ideas and values of the society. While textbooks reflect the official understanding of the society they continuously reflect the changes of perception at the same time.

      • 19세기 민족주의 시대와 보스니아

        김철민(Kim,Chul-Mi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4 동유럽발칸학 Vol.6 No.2

        19세기 민족주의 시대, 보스니아는 외세의 지배를 벗어나지 못한 채 민족주의의 실질적인 피해자로 전락해야하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19세기 민족주의가 도입된 이후 보스니아는 종교에 기초한‘문화적 민족주의(Cultural Nationalism)’ 성향을 띠게 된다. 이를 기초로 보스니아내에는 이슬람을 믿는 보스니아 무슬림, 세르비아 정교 신자인 세르비아인 그리고 가톨릭을 믿는 크로아티아인들로서로 나뉘어 민족간 대립과 반목이 지속되어 왔으며, 이러한 현상은 20세기말 유럽내 최대의 인종 참극으로 불려졌던 보스니아 내전으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연구 배경을 바탕 으로 19세기 민족주의 시대를 중심으로 당시 보스니아내에 파급된 민족주의가 보스니아내 각 민족들에게 어떻게 다가왔으며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게 될 것이다. Nationalism, which began to spread to the Central and the Balkan Europe from the Western Europe after the 19C, is changed differently from the Wes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he circumstances of the nations in this area. If say Nationalism of the West such as “Political nationalism”, we can say Nationalism in the Central and the Balkan Europe such as “Cultural Nationalism”. With this view point, in this paper, I analyze about the process and the meaning of nationalism in Bosnia during the age of 19C' which has a effect in a ‘Bosnian Civil War(or Bosnian National War)’ in the end of 20C. In the chapter II, I analyze the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 of Bosnia under Ottoman Turk rule during the age of 19C' nationalism, and study which Ottoman Turk's politics had an effect on nations in Bosnia. In the chapter III is devoted to searching the meaning of the historical event 1878, which was Bosnia under the control of Austria, and I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 of Bosnia under Austrian rule during the age of 19C' nationalism. At the same time, in this chapter, I analyze the making process of Nationalism in Bosnia and that's influences after the Austria's annexation 1908. Finally, in the chapter VI, I summarize how effect Nationalism in Bosnia, and why Bosnia is called such as ‘Mosaic of Religion and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