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ommunication-Related and General Locus of Causality of Male Adults Who Stutter

        신문자,이경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2

        배경 및 목적: 말더듬성인은 의사소통에 대해 부정적인 감정과 태도를 보일 수 있으며, 주체성은 이러한 감정과 태도의 주요한 지표일 수 있다. 비록 오리진-폰 분석도구가 주체성을 타당하게 측정한다고는 하지만 말더듬성인의 의사소통과 일반적인 오리진과 폰 사이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과 일반적인 오리진과 폰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오리진-폰 분석도구와 다른 주체성 관련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말더듬성인의 심리적인 특성을 살피고 오리진-폰 분석도구의 타당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12명의 말더듬성인남성이 의사소통 경험과 가장 흥미로웠던 일에 대해 작성한 글을 오리진-폰 분석도구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더불어 관련 평가도구인 주관적 말더듬 선별검사, 행동통제소 척도, 말더듬인식조사 등의 결과와 오리진-폰 분석도구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말더듬성인의 의사소통 관련 폰 점수는 일반적인 폰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오리진 점수와 오리진-폰 점수 비율은 두 상황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의사소통 관련 오리진/폰 점수는 다른 주체성 관련 도구 결과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말더듬성인의 의사소통 관련 부정적인 태도는 오랜 말더듬경험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나타내었다. 또한 오리진-폰 분석도구와 다른 도구와의 상관관계는 오리진-폰 분석도구가 한국말더듬성인의 특성을 타당하게 나타낸다는 점을 시사한다. Objectives: Adults who stutter (AWS) have negative feelings and attitudes toward communication, and agency can be an important indicator in such aspects. Although the Origin and Pawn scales can be a valid indicator of agenc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possible difference between communication-related and general Origin and Pawn scores in AW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mmunication-related and general Origin and Pawn scores in AWS, and to provide validity information on the Origin and Pawn scales for Korean AWS. Methods: Twelve AWS wrote about their communication experiences and the most interesting thing in their lives, and the writing was analyzed to reflect communication-related and general Origin and Pawn scores. In addition, scores of other measures related to agency, such as Subjective Screening of Stuttering, Locus of Control of Behavior, and Perception of Stuttering Inventory, were compared to the Origin and Pawn scores. Results: Communication-related Pawn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eneral topic Pawn score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Origin scores and Origin-Pawn scores ratio between the two writings. In addition,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rigin/Pawn scores and other measures were observed.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negative communication-related attitudes of AWS are the result of natural responses toward their long stuttering history. Moreover, th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Origin/Pawn scores and other measures suggest that the Origin and Pawn scales are a valid indicator of locus of causality in Korean AWS.

      • KCI등재

        한국 말더듬 성인 쓰기 내용의 오리진과 폰 분석

        이경재(Kyungjae Lee),신문자(․,Moonja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말더듬 성인은 자신의 말과 말더듬을 통제하지 못한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으며 외재적 통제소를 보인다. 통제소와 같은 말더듬 성인의 내적 특성을 측정하는 데에는 설문지 형태의 평가 도구가 주로 쓰이나, 이러한 형태의 평가 도구는 제한된 수의 문항으로 이루어져 다양하고 개인적인 말더듬 성인의 특성을 민감하게 나타내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자유로운 발화 또는 쓰기 자료를 대상으로 하는 내용분석은 말더듬 성인의 특성을 민감하게 나타낸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용분석 도구인 󰡔오리진-폰 척도(The Origin and Pawn Scales)󰡕를 이용하여 한국 말더듬 성인의 쓰기 자료를 분석하였다. 방법: 총 10명의 한국 말더듬 성인의 쓰기 자료를 오리진-폰 척도를 이용하여 오리진과 폰 성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 말더듬 성인 역시 영어권 말더듬 성인과 마찬가지로 높은 폰 점수와 낮은 오리진 점수를 보였다. 또한, 독립된 분석자는 연습과정을 통하여 신뢰롭게 오리진-폰 척도를 사용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는 내용분석 도구인 오리진-폰 척도가 한국어 자료에서도 신뢰롭게 사용될 수 있으며 말더듬 성인의 평가도구로 임상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433-443. Background & Objectives: Adults who stutter commonly believe that they cannot control their speech or disfluency, reflecting external locus of control. Questionnaire-type measures have been used to determine intrinsic features of adults who stutter, including locus of control. However, such questionnaire-type measures which include a limited number of items may not be able to sensitively indicate individualized changes in adults who stutter. However, content analysis of freely-spoken or written narratives with object criteria can sensitively and reliably indicate changes in adults who stutter. The current study analyzed the writing samples of Korean adults who stutter using the Origin and Pawn Scales, which is a content analysis scale. Methods: The writing samples of ten Korean adults who stutter were analyzed using the Origin and Pawn Scales. Results: Korean adults who stutter showed high Pawn scores and low Origin scores, a pattern also indicated by English-speaking adults who stutter. Moreover, an independent rater reliably analyzed the writing samples using the Origin and Pawn Scales, after some practice. Discussion & Conclusion: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 that the Origin and Pawn Scales can be reliably applied to Korean adults who stutter for use as an assessment tool.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433-443)

      • KCI등재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Measures for Adolescents Who Stutter : A Preliminary Study

        이경재(Kyung jae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2

        배경 및 목적 : 말더듬청소년은 학업적, 신체적, 정신적 특성 등으로 인하여 치료가 어려울 수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평가도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치료 중 변화를 민감하고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 형식의 인과소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말더듬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인과소를 비롯한 다양한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총 18명의 말더듬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을 대상으로 설문지 형식의 의사소통 인과소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오리진과 폰을 측정하였다. 더불어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와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인과소를 내용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이외에 통제소와 의사소통태도 평가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설문지 형식의 의사소통 인과소 평가 결과, 말더듬청소년은 일반청소년보다 높은 오리진과 폰 점수를 보였다. 더불어 말더듬청소년의 의사소통 관련 폰 점수는 일반청소년보다 높았다. 더불어 설문지 형식의 인과소 평가 결과는 행동통제소, 의사소통태도 평가 결과 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제한된 항목으로 이루어진 의사소통 인과소 평가도구가 타당하고 신뢰롭게 말더듬청소년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더불어 말더듬청소년은 말더듬성인과 유사한 특성을 보이기는 하지만 이들을 대상으로 보다 효율적인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특성을 보다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Objectives : It may be difficult to provide appropriate treatment for adolescents who stutter (AWS) due to their academic, physical, and psychological features. Additionally, there are limited assessment tools for AWS in Korea. Accordingly, the primary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velop questionnaire-type locus of causality measures for AWS and compare locus of causality and other features of AWS and adolescents who do not stutter (AWNS). Methods: A questionnaire type measure of communication related locus of causality measure was developed and conducted for a total of 18 AWS and AWNS individuals. In addition, content analysis of freely written material was conducted to determine communication related and general locus of causality. Moreover, other measures of stuttering, such as communication attitude tests, were conducted, and relationships among these measures were determined. Results: AWS showed higher Origin and Pawn scores than AWNS, as determined by the questionnaire-type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measure. Communication-related Pawn scores of AWS, based on content analysis, were higher than those of AWNS a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questionnaire-type locus of causality measure scores and other stuttering measure score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e questionnaire-type locus of causality measures were reliable and valid indicator of AWS. Even though AWS may show similar characteristics to adults who stutter, clinicians should try to measure various dimensions of the disorder in order to provide appropriate treatment.

      • KCI등재

        사이언스픽션 게임 <배트맨 : 아캄 오리진>의 공간 지각 방식과 강화된 몸의 체험적 차원

        이수진 ( Lee Soo-jin ) 한국기호학회 2016 기호학연구 Vol.49 No.-

        이 글은 최근 문화산업 현장에서 범람하는 히어로 콘텐츠 중에서, 테크놀로지를 매개로 슈퍼히어로가 된 인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아이언맨, 배트맨 등은 기술로 강화된 신체적 역량을 근거로 한다. 사이언스픽션으로 분류될 만한 최근 대작 콘솔 게임에서 점점 더, 유전자 조작 인간, 사이보그, 인공지능 등을 서사 배경 및 주 캐릭터로 설정하는, 나아가 첨단 과학기술과 밀접하게 연관된 작품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테크노 인문학의 사유로 사이언스픽션 게임을 진지하게 이야기하는 경우는 드문 실정이다. 이 글은 < 배트맨 : 아캄 오리진 Batman : Arkham Origins >(2013)을 중심으로 사이언스픽션 게임 연구에 적합한 방법론을 제시하려는 글이다. 미디어 특성에 따른 공간 구성 방식, 모색과 탐험이라는 행위, 공간 지각 방식, 가상의 몸과 내적 초점화, 초점화 양상에 따른 체험 방식 등을 면밀히 관찰하여 게임이 유발할 수 있는 인지적 참여의 측면을 파악하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다. 이상의 연구는 게임만의 고유한 미디어적 특성을 현상학적 차원에서 접근하려는 시도이기도 하며, (다른 미디어에 비해) 증폭되는 몰입의 효과가 사이언스픽션 장르와 조우하면서 테크놀로지로 강화된 몸을 인식하는데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생각해보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Cette etude se focalise sur le jeu video developpe par une societe francophone qui se trouve a Montreal. Il s`agit d`un oeuvre transmedia, intitule Batman : Arkham origins. La transmedialite, ou narration transmedia, est une methode de developpement d`oeuvres de fiction qui se caracterise par l`utilisation combinee de plusieurs medias pour developper des univers narratifs. Chaque media est employe pour developper un contenu different partageant tous des points d`entree dans l`univers transmediatique de l`oeuvre. Par la diversite des contenus et la profondeur narrative de l`univers, la narration transmedia construit un univers vaste et complexe. Batman : Arkham Origins est un jeu video d`action-aventure developpe par Warner Bros. Games Montreal, sorti en 2013. C`est base sur un Open World dans lequel les promenades a coup de grappin et avec les capes de Bat-Suit permettent une libre exploration de l`espace sans quete. La finesse des textures, le realisme des couleurs, la precision de detail, la profondeur de la troisieme dimension, ont evidemment leur importance. De plus la qualite multi sensorielle de l`evenement virtuel est tellement presente que le joueur s`identifie au corps virtuel. Cet article tente une description d`inspiration phenomenologique du type de phenomenalite specifique donnee dans le jeux video. En particulier le phenomene de l`immersion denote un processus psychique complexe comportant une face perceptive, cognitive et interactive. Au fil conducteur de cette description, cette etude est conduite a preciser la relation entre le corps reel et le vecu dans les environnements virtuels. Cette reflexion sera liee a notre perception face au corps augmente par l`intermediaire de la haute technologie.

      • KCI등재

        말더듬성인 남성과 일반성인 남성의 인과소 비교

        신문자,이경재,성진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배경 및 목적: 인과소는 말더듬성인의 내적 특성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나타낼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말더듬성인과 일반성인의 인과소를 직접적으로 비교한 국내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 상황 관련 글자료와 일반적인 상황 관련 글자료를 분석하여 산출한 인과소가 말더듬 유무 집단과 상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말더듬성인 남성 15명과 일반성인 남성 15명의 글자료를 대상으로 오리진 점수, 폰 점수, 오리진-폰 점수 비율이 말더듬 유무와 상황(의사소통 상황과 일반적인 상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행동통제소가 말더듬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인과소와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결과: 말더듬성인의 의사소통 관련 폰 점수가 일반성인의 의사소통 관련 폰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다른 인과소 지표들은 말더듬 유무와 상황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효과크기는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다. 행동통제소 역시 말더듬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인과소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높은 폰 성향이 말더듬는 사람의 주요한 특성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더불어 말더듬는 사람의 의사소통 관련 특성은 오랜 말더듬경험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라는 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말더듬성인의 평가에서는 인과소와 같은 내적 특성을 평가하여야 하며 주체성의 향상을 치료목표에 포함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관학파가 만든 '민족사'에서 우리를 만든 '한국사'로

        李鍾旭(Lee Jong-Wook)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09 한국고대사탐구 Vol.1 No.-

        우리들이 한국고대사탐구학회를 만들어 학술발표회를 갖고 『한국고대사탐구』라는 학술지를 발간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일제시대 관학파 사학자들의 연구방법론을 계승한 후식민사학자들은 해방 후 '민족'과 '실증'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우며 단군을 정통으로 하는 '민족사'를 발명해냈다. 이와 더불어 그들은 『삼국사기』 초기기록을 철저히 부정함으로써 우리나라 역사의 상당 부분을 말살하기까지 하였다. 특히 단군조선을 민족사의 출발점으로 규정한 손진태는 고구려의 역사를 민족사의 영광으로 칭송하였고 당나라를 끌어들여 삼국을 통일한 신라의 역사를 민족사의 수치로 여겼다. 이러한 민족사 서술 경향은 별다른 비판 없이 현행 국사교과서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이어져오고 있다. 그러나 관학파 후식민사학자들이 실증이라는 이름으로 의도적으로 조작해낸 민족사는 '한국사'와는 전혀 다른 개념이며 한국사는 민족사와는 별개로 인식되어야 한다. 관학파가 말하는 민족이란 '민족공조'와는 무관하며 사실상 '種族'에 가까운 개념이다. 그들은 nation 개념이 도입되기 이전 우리 역사상 존재했던 모든 종족을 민족의 범주에 포함시키는 오류를 범하였다. 현대의 한국인이 자신의 근원을 찾고자 한다면 한국인에게 가장 많은 성씨와 문회유산을 물려준 역사 속 국가들을 추적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사는 마땅히 조선→고려→대신라→삼국시대 신라로 거슬러 올라가 역사를 시작한다는 점을 명확히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ㆍ한국인의 오리진은 한국사와 단절된 고조선ㆍ고구려에 있는 것이 아니라 민족사가 철저히 침묵시켜왔던 내물왕 이전의 신라사에 있다. 이제부터 민족사의 한계를 뛰어넘어, 『삼국사기』 내물왕 이전의 역사를 인정하고 재구성하려는 〈모델 3〉의 세상을 활짝 열어나가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There is a reason that we founded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Early Korean History, publishing our academic journal. Following the methodology of national school historians (Gwanhakpa)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ost-colonization historians invented "the national history" arguing for the legitimacy of Tan-gun, based on nationalism and positivism, since the Liberation of 1945. Furthermore, they completely denied the initial records of Samguksagi,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 erasing the substantial portion of Korean history. In particular, Son Jin-tae, who describes Tan-gun Chosun as the beginning of the national history, praised the history of Goguryo with the glory of the national history, denouncing the history of Shilla which unified the Korean peninsula in alliance with T'ang as the disgrace of the national history. This kind of historiography based on Korean nationalism has long been continued without any criticism, and even the Korean official textbook has followed this tendency. The 'national history' fabricated by the post-colonization historians in the name of positivism, however, is totally different from Korean history. In Gwanhakpa's explanation, 'Minjok' does not mean a nation, but rather a 'race' - they fell into an error to categorize all races which have existed in Korean history as 'Korean nation.' If a Korean wants to trace his/her origin, he/she should chase the history of countries which have left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family names and cultural heritages to the Korean society. In this context, we can find the beginning of Korean history from the Shilla at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We should trace the origin of Korea and Korean people, therefore, in the history of Shilla ascending to the reign of King Naemul, which has been forced to remain silent by the national history, not in the history of the Kochosun - Goguryo separated from the Korean history. Now we propose a brand new research model, "Model 3": we aim to reconstruct the early part of Samguksagi arguing for its authenticity, beyond the scope of the national history.

      • KCI등재

        Locus of Causality Comparison of Male Adults Who Do and Do Not Stutter

        Moonja Shin(신문자),Kyungjae Lee(이경재),Jin-ah Sung(성진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인과소는 말더듬성인의 내적 특성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나타낼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말더듬성인과 일반성인의 인과소를 직접적으로 비교한 국내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사소통 상황 관련 글자료와 일반적인 상황 관련 글자료를 분석하여 산출한 인과소가 말더듬 유무 집단과 상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말더듬성인 남성 15명과 일반성인 남성 15명의 글자료를 대상으로 오리진 점수, 폰 점수, 오리진-폰 점수 비율이 말더듬 유무와 상황(의사소통 상황과 일반적인 상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행동통제소가 말더듬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인과소와의 상관관계를 측정하였다. 결과: 말더듬성인의 의사소통 관련 폰 점수가 일반성인의 의사소통 관련 폰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반면 다른 인과소 지표들은 말더듬 유무와 상황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효과크기는 상대적으로 큰 편이었다. 행동통제소 역시 말더듬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인과소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높은 폰 성향이 말더듬는 사람의 주요한 특성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더불어 말더듬는 사람의 의사소통 관련 특성은 오랜 말더듬경험에 대한 정상적인 반응이라는 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말더듬성인의 평가에서는 인과소와 같은 내적 특성을 평가하여야 하며 주체성의 향상을 치료목표에 포함하여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locus of causality (LOC) is suggested to be a reliable and valid indicator of intrinsic features of adults who stutter (AWS).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directly comparing the LOC of Korean AWS and adults who do not stutter (AWN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LOC between AWS and AWNS, and communication-related and general LOC. Methods: The current study analyzed writing samples of 15 AWS and 15 AWNS, and determined whether there would be a difference in the Origin scores, Pawn scores, and Origin-Pawn score ratios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participants (AWS vs. AWNS) and two writing conditions (communication-related vs. general topic wri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OC scores and locus of control of behavior (LCB) scores were determined. Results: Communication-related Pawn scores of AW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AWN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ther LOC indicators between AWS and AWNS.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CB scores between AWS and AWNS, an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LOC and locus of control scores.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 communication-related Pawn scores would be distinctive features of AWS. In addition communication-related attitudes would be the result of natural responses toward the long history of stutter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rinsic features such as LOC should be an important target area for stuttering assessment and enhanced agency should be an important treatment goal.

      • KCI등재

        오리진-폰 분석도구로 측정한 말더듬성인의 개별적인 다면적 변화

        신문자(Moonja Shin),이경재(Kyungjae Lee),성진아(Jin-ah Su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3

        배경 및 목적: 말더듬은 다면적 장애이기에 치료의 진전 지표 역시 다면적이어야 한다. 또한 말더듬 치료는 다양한 내적, 외적 특성의 변화를 목표로 하므로 치료 중 진전은 장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별적인 치료를 받은 말더듬성인이 보이는 다양한 내적, 외적 특성의 변화를 장기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말더듬성인이 보이는 변화를 개별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총 8명의 말더듬성인이 보이는 변화를 6개월 동안 살펴보았다. 참여자는 주 1회의 개별치료를 받았으며, 특히 치료 초기 3개월 동안 나타나는 변화를 2주에 한 번씩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와 일반적인 주제 관련 인과소를 측정하여 살펴보았다. 더불어 치료 초기, 치료 3 개월, 치료 6개월에 인과소 평가와 더불어 파라다이스-유창성 평가-II의 필수과제와 의사소통태도검사, 행동통제소검사, 주관적 말더듬 평가검사를 실시하여 장기간 나타나는 변화를 살펴보았다.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말더듬성인은 의사소통태도검사와 일반적인 주제 관련 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른 내적, 외적 평가도구에서는 전체적으로 바람직한 변화 양상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더불어 각 개인의 변화 양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개별 치료라는 일반적인 형태의 치료를 받는 더듬성인은 치료 중 변화가 매우 개별적이고도 완만하게 나타난다는 점을 본 연구결과는 시사한다. 이에 말더듬성 인의 치료에서는 각 개인에게 적절한 보다 장기적인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Objectives: Indicators of the change processes of adults who stutter (AWS) should be multidimensional as stuttering is a multi-dynamic disorder. In addition change processes need to be long-term, as various overt and covert features need to be targeted in stuttering treatment. The primary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determine long-term change processes in both the overt and covert features of AWS who received individualized stuttering treatment. Moreover individualized change patterns of the participants were also investigated. Methods: The change processes of 8 AWS were determined in the current study. The participants received individualized stuttering treatment once a week. The locus of causality was determined bi-weekly during the first 3 months of treatment. In addition to the locus of causality measure, Paradise-Fluency Assessment-II obligatory tasks and communication attitude test, the Locus of Control of Behavior, and the Subjective Screening of Stuttering-Revised were conducted at the beginning, 3 months and 6 months of treatment.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radise-Fluency AssessmentII communication attitude test and general Pawn scores. However most of the other overt and covert measures showed desirable, but non-significant change patterns.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showed individualized change pattern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 processes of AWS are individualized and slow-tempoed in individualized stuttering treatment. Accordingly, long-term and individualized change plans are required in the treatment of AWS.

      • KCI등재

        Adolescents’ Locus of Causality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s Determined by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Measure

        이경재(Kyung jae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4

        배경 및 목적: 최근 말더듬청소년을 대상으로 인과소를 살펴보기 위한 설문지 형식의 평가도구가 제시되었으나 이를 이용하여 측정한 청소년의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는 치료 중 변화의 지표가 될 수 있기에 본 연구는 말더듬 청소년의 평가와 중재와 관련된 임상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문지 형식으로 된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 평가도구 결과가 연령(중학교와 고등학교)과 성에 따른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불어 내용분석을 이용한 인과소, 행동통제소검사, 의사소통태도검사 등과 같은 다른 평가도구와의 비교를 통하여 설문지 형식의 인과소 평가도구의 타당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는 총 40명의 일반청소년이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형식의 의사소통 인과소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오리진과 폰을 측정하였다. 또한 내용분석을 사용하여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와 일반적인 인과소를 측정하였다. 더불어 행동통제소검사와 파라다이스-유창성 검사-II의 의사소통태도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성별과 연령에 따라 의사소통 인과소 평가도구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효과크기가 중간 정도인 경우가 관찰되었다. 다른 평가도구에서도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중간 정도 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인 경우도 관찰되었다. 더불어 의사소통 인과소 평가도구는 다른 평가도구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의사소통 인과소 평가도구가 타당한 평가도구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한다.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지만 중간 정도 크기의 효과크기가 관찰되었기에 이후 임상에서 말더듬청소년을 대상으로 평가와 중재를 진행할 경우 이와 같은 성과 연령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Objectives: A questionnaire-type measure for communication-related locus of causality of adolescents who stutter has been recently proposed. The primary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apply this proposed measure and determine whether there would b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scor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Moreover,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type measure would be determined by comparison with locus of causality scores based on content analysis, Locus of Control of Behavior (LCB) scores, and communication attitude test scores. Methods: A total of 40 adolescents who do not stutter took part in the current study.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type measure of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measure. In addition, two writing sampl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following content analysis procedures to produce communicationrelated and general locus of causality scores. The LCB and Communication Attitude Test (Paradise-Fluency Assessment-II) were also administered.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scores and other measures’ score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lthough there was a medium-sized effect. There were som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the measur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the Communication Locus of Causality measure has appropriate validity. In addition, possible individualized differences of adolesc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dolescents who stutter.

      • KCI등재

        일반 대학생의 글쓰기 분석을 통한 성별과 주제에 따른 인과소 차이

        이경재(Kyungjae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1

        배경 및 목적: 행동의 변화를 촉진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인과소(locus of causality)이다. 인과소란 행동의 원인이 자신 내부에 있는지 혹은 외부에 있는지에 대한 행위자의 믿음이며, 이를 각각 오리진(Origin)과 폰(Pawn)이라고 한다. 이전 해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주제 혹은 의사소통관련 주제의 글쓰기를 내용분석하여 인과소를 측정하였으며, 국내연구는 주로 말더듬남자성인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인과소와 글의 길이가 성별에 따라, 그리고 글쓰기 주제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에 대한 일반 대학생의 인식을 분석하며, 이후 의사소통 장애를 지닌 사람들과의 비교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방법: 남녀대학생 총 22명이 작성한 두 가지 주제의 글쓰기 자료를 내용분석하여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와 일반적인 성향으로의 인과소를 측정하여, 이러한 인과소가 성별에 따라, 그리고 글쓰기 주제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지 비교하였다. 더불어 인과소 분석의 자료가 되는 글쓰기의 길이가 성별과 주제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지도 살펴보았다. 결과: 글쓰기의 길이는 성별에 따라, 그리고 주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인과소는 성별과 주제에 따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나타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일반 대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인과소는 일반적인 성향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의사소통 관련 인지적 반응의 성 차이는 미묘할수 있으므로 추후 좀 더 통제된 상황에서의, 다수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One important factor for facilitating and maintaining behavioral changes is the locus of causality (LOC). LOC indicates personal perception on whether causes of behaviors are within or outside the agent, which are Origin and Pawn, respectively. Previous studies determined the LOC through analyses of writing samples of general or communication-related topics. In Korea, most studie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speech-related LOC of male adults who stutter. Purposes of the current study are to determine whether the LOC and the length of writing samples of normal university students would differ according to gender and the topics of the writing samples. The current study intends to provide insights on the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 communication, and needed data for comparison with data those with communication disorders. Methods: Each of 22 university students wrote two writing samples, which were analyzed to determine speech-related and general LOC. Differences in LOC and the lengths of the writing samples according to gender and topics were examined. Resul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ngth of writing samples according to gender and writing topic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OC, even though the effect sizes for gender differences were greater than medium-sized. Conclusion: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the speech-related LOC of normal university students ar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n order to clarify subtle gender differences, future studies should incorporate greater numbers of participants and more-controlled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