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10년 우크라이나 대선 분석: 평가와 전망

        박정호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2

        This paper has two main purposes. The first aim is to explor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2010 ukrainian presidential election.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perspective of new government and political situation. The main result of the 2010 ukrainian presidential election was a defeat of the orange revolution groups and Tymoshenko. Yanukovich became a fifth ukrainian president. As a result two factors seems to have contributed to Yanukovich's victory. Firstly, his substantial gains in the central Ukraine and Western Ukraine. Secondly, lower turn-out in the central Ukraine and Western Ukraine. In this context, the 2010 ukrainian presidential election appeared to indicate that political and economical crisis was most important factor by defeating Tymoshenko. Finally, perspective of new government depends on whether new president Yanukovich successfully will not only control Rada, but also recover ukrainian economy. 2010년 우크라이나 대선은 소연방으로부터 독립 이후 실시되는 다섯 번째의 대통령 선거였다. 이번 선거는 무엇보다도 2004년 시민혁명을 통해 집권에 성공했던 오렌지 혁명세력에 대한 정치적 심판의 무대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선거는 향후 우크라이나의 정치 지형도와 대내외적 정책방향을 판가름할 수 있는 중차대한 시금석이라고도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2010년 결선투표 결과에 따르면, 야누코비치 후보가 48.95%의 지지율을 얻어 45.47%를 득표하는데 그쳤던 티모쉔코를 근소한 차로 앞서면서 우크라이나의 5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그는 2004년 대선에서 유쉔코에게 2,200,000표 차이로 아쉬운 패배를 당했지만, 2010년 대선에서는 오렌지 혁명 세력들을 모두 제압하고 승리를 쟁취할 수 있었다. 2010년 결선투표의 승인과 패인은 사실상 우크라이나 중부 지역에서 결정되었다고 정의할 수 있겠다. 특히 중부 지역에서 야누코비치의 약진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이에 비해, 티모쉔코는 키예프를 포함한 중부 지역에서 최소한 1,700,000표 이상, 오렌지 혁명의 본향이었던 서부 지역에서도 약 1,200,000표를 상실함으로써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게 되었다. 이는 본질상 중부 지역의 경제적 침체, 오렌지 후보들의 갈등과 난립에 따른 서부 지역 유권자들의 표 분산, 키예프 시민들의 정부에 대한 불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던 결과였다. 대선 이후에도 우크라이나 정부 앞에 많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난제들이 산적해 있다. 정치적으로는 새로운 의회를 구성하기 위한 조기 총선의 실시 여부, 연립정부 구성과 안정적 운영, 헌법 개정 등의 문제들이 남아있다. 경제적으로도 경제 위기 극복과 민생 문제 해결 등과 같은 여러 과제들이 놓여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향후 우크라이나 정국은 상당히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할 개연성이 크다고 전망할 수 있다.

      • 우크라이나 선거에 나타난 지역주의 연구

        박정호(Park, Joung-Ho)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0 동유럽발칸학 Vol.12 No.1

        우크라이나의 선거과정에서 나타난 지역주의 문제는 독립이후 국가 건설과정에서 중요한 현안 과제로 부상하였다. 한 국가 내에 존재하는 민족들 혹은 지역들 간의 갈등과 대립은 국가적 통합성과 사회적 안정성 확립에 있어서 중대한 장애 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동부와 서부의 지역주의 현상이 오랜 기간에 걸쳐 형성된 역사적 발전과정의 결과물이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본 사안은 결코 단 기간 안에 해결될 수 없는 문제였다. 동부와 서부를 필두로 하는 우크라이나의 개별 지역들이 고유한 사회 문화적 정체성을 토대로 지역성(locality)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었다는데 주된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지역적 특성에 기초한 유권자들의 투표 성향은 독립이후 현재까지 우크라이나 선거과정에서 거의 예외 없이 발현되었다. 본 논문은 대선 후보자와 정당의 지역별 지지율 분포와 정당의 지역균열지수를 추적함으로써 우크라이나 지역주의 현상의 실제적인 수준을 파악해 보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본다면, 유쉔코 통치 시기 우크라이나에서 ‘지역’과 ‘지역주의’ 요인은 정치과정의 중요한 변동을 초래할 수 있는 핵심 요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2006년과 2007년 총선, 2010년 대선에서 나타난 지역주의 투표성향은 우크라이나의 지역 분할구조와 정치 사회적 현실을 분명하게 반영해 주는 중요한 지표였다. 동부와 서부 지역에 정치적 기반을 둔 정당들과 대선 후보자들은 선거과정에서 지역 대결구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지역 유권자들을 정치적으로 동원하였다. 이 과정에서 동부와 서부 지역 간에 내재되어 있었던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갈등 양상이 투표를 통해 지역주의 현상으로 표출되고야 말았던 것이다. 이는 유쉔코 통치 시기 우크라이나의 정치적 혼란과 사회적 갈등의 주요한 원천이었다. 또한 우크라이나 동부와 서부 지역의 특수성과 입장차이는 단일한 정치 공동체 형성과 대내외 정책의 방향설정에 있어서도 중대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국 우크라이나 선거에서 나타난 지역주의 현상의 핵심적인 동인은 우크라이나의 역사 발전과정에서 형성되었던 지역적, 인종적 분리와 정치문화의 차이에 기초한다고 정의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has two main purposes. The first aim is to explore political implications of ukrainian parliamentary and presidential elections after orange revolution.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effect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alism in ukrainian el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oting results of presidential candidates and main political parties in eastern and western regions of Ukraine. Also this paper evaluates regional cleavage index of main political parties since orange revolution. The analysis on the electoral results in east and west indicated that level of regionalism has been intensifying. This study revealed that determinants of eastern and western regionalism are due to regional divisions, including differences of historical experience, ethnic, economic, religious factors.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that regional cleavages or regionalism in the post-communist Ukraine primarily reflect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legacy and political culture in east and west. Regionalism and regional divisions continue to a major challenge to the political development of independent Ukra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