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과 우리나라의 정보보안관리 활동 비교연구

        김소정,Kim So-Je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3 No.1

        미국 연방정부는 정부의 정보 및 정보시스템에 대한 연방정보보안관리법을 적용하여 각 기관의 정보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시했다. 동 법에 따라 NIST 주관으로 연방정보보안관리법 실행 프로젝트를 실행하여 미국 연방정부의 정보 및 정보시스템을 보호해 안전한 미국연방정부 설립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연방기관의 정보보안강화를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 관리예산처 및 인반회계감사원 등 이를 관리 감독할 수 있는 체계를 구성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을 통해 국가차원의 사이버안전 관리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국가사이버안전매뉴얼에서는 각급기관이 평시에 자신의 정보시스템에 대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평시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를 만들었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의 연방정보보안관리법에 따른 보안관리체계를 분석해 우리나라의 사이버안전 관리체계 강화 시 참고하고자 한다. USA is strengthening the information sanity by managing federal agency'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ystem systematically. For this purpose, US government put the Feder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ct into the E-Government Act of 2002. According to the FISMA, it is required to have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plan for ail federal agencies. In addition that, Inspector Generals of these agencies should assess the status of their agency and report the result to the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Collecting all the reports from each agency, OMB should report to GAO on general status of information security of federal agency. It is helpful to provoke the information security as a necessary activity to realize the E-government. Comparing these efforts with our system will give us good implications to get more idea to secure our information system.

      • KCI등재

        독일의 사이버 보안법- 정책ㆍ거버넌스ㆍ법률 -

        양천수,김중길 한국법제연구원 2019 법제연구 Vol.- No.56

        As modern society is being transformed into a ‘hyper-connected society’, new legal problems are emerging. Cyber secur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xamples. As for cyber security, the following problems are arising: Is a new integrated legal regulation for cyber security necessary, how to build a governance system for cyber security, how to strengthen information sharing on cyber security, and how to prepare preventive measures for cyber security?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on those problems, but still fail to find a satisfactory solution.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looks at what kind of law policy is being pursued by Germany, which has had a great impact on our legal system. At this point, this article focuses on policy, governance and law. First, this article examines the cyber security strategies in Germany (II), and next, analyzes the major organizations related to cyber security (III). The ‘Bundesamt für Sicherheit in der Informationstechnik’ and ‘Bundesnetzagentur’ are the main subjects of the analyzing. Then, this article analyzes the current status of Cyber Security Act in Germany (IV): “Gesetz zur Erhöhung der Sicherheit informationstechnischer Systeme” (IT-Sicherheitsgesetz), “Directive on Network and Information Security” (NIS Directive), “Gesetz zur Stärkung der Sicherheit in der Informationstechnik des Bundes”, “Gesetz über das Bundesamt für Sicherheit in der Informationstechnik”, “Telekommunikationsgesetz” and “Telemediengesetz” are analyzed here. From these discussions, finally, this article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our cyber security law policy (V). This article draw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Germany has its own governance system dedicated to cyber security. This is the ‘Bundesamt für Sicherheit in der Informationstechnik’. Second, Germany gives ‘Bundesamt für Sicherheit in der Informationstechnik’ strong authority on cyber security. Third, Germany intensifies interactive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for cyber security. Fourth, ‘information sharing’ and ‘technical and managerial measures’ are being strengthened for cyber security. 현대사회가 초연결사회로 접어들면서 새로운 법적 문제가 등장하고 있다. 사이버 보안에관한 문제가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사이버 보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제기된다. 사이버 보안에 관한 통합법제가 필요한가, 사이버 보안에 관한 거버넌스를 어떻게 구축해야 하는가, 사이버 보안에 관한 정보공유를 어떻게 강화할 것인가, 사이버 보안을 위한 예방적 조치를 어떻게 마련할 것인가 등의 문제가 그것이다. 이에 관해서는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만족할 만한 해결책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글은 우리 법에 많은 영향을 미친 독일이 사이버 보안에 관해 어떤 법정책을 추진하고 있는지살펴본다. 이때 정책, 거버넌스, 법률에 중점을 둔다. 먼저 독일의 사이버 보안 전략을 살펴보고(II), 다음으로 사이버 보안에 관한 주요 조직을 분석한다(III). 여기서는 연방정보기술보안청과 연방망관리청이 주된 분석대상이 된다. 이어서 사이버 보안에 관한 법률의 최근 현황을 분석한다(IV). 여기서는 IT 보안법, NIS지침, 연방정보기술보안청법, 통신법, 텔레미디어법이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에서 우리의 사이버 보안 법정책에 관해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한다(V). 이 글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한다. 첫째, 독일은 사이버보안을 전담하는 독자적인 거버넌스를 갖추고 있다. 연방정보기술보안청이 바로 그것이다. 둘째, 독일은 연방정보기술보안청에 사이버 보안에 관한 강력한 권한을 부여한다. 셋째, 독일은 사이버 보안을 위해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상호협력을 강화한다. 넷째, 사이버 보안을 위해 정보공유와 기술적ㆍ관리적 조치를 강화하고 있다.

      • KCI등재

        정보보안 법제의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박완규(Pak Wan Q) 행정법이론실무학회 2008 행정법연구 Vol.- No.22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Korean information security laws with the focus on the regulatory drawbacks of the Feder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ct and their implications.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regulatory drawbacks of the Federa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Act which have been exposed in the process of its enforcement for the past five years since the Act was passed in 2002. The apparent problems in relation to the enforcement of the Act are involved with the sluggish response and inefficient response on the part of the federal agencies to the compliance requirements of the Act, and with the inaccurate representations by the evaluations for the Act of the actual information security of federal agencies. The regulatory drawbacks causing such problems in regard to compliance of the Act include but not limited to the lack of additional funding for the compliance of the Act, the lack of public interest in the Act, the lack of bureaucrats' unwillingness to perform their duty under the Act, and finally the inability for OMB to use the authority due to the political and practical difficulties they may face to control and oversee the agencies compliance with the Act. There is also inefficiency due to the lack of mechanism to resolve ambiguity under the Act, and the evaluation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agencies' actual ability, willingness, and readiness to protect the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ystem. In Korean information security laws context,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re be adequate funding for the compliance of the Act, provide financial incentives to those bureaucrat to motivate, to give more power to the overseeing government agencies, and promot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in public and educate the general public to bring more attention and interest in the security l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