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녀 연구자에 대한 정부연구비 지원 규모와 연구업적의 차이 비교

        장덕희,양정모,최윤영 한국행정연구원 2009 韓國行政硏究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남녀 연구자 간의 연구비 지원규모와 연구업적에 있어서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독립표본 T-검정에 의한 차이분석과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한 차이분석 방법을 수행하였다. 성별에 따른 연구업적 차이에 대해 실증분석 방법을 적용하는 국내·외 선행연구들이 다수 존재하지만,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4년제 대학교수 연구자를 전 학문분야에 걸쳐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미가 있으며, 또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향후 연구지원 정책 수립에 있어 필요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연구비 지원규모 측면에서는 학문영역 간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남성 연구자에게 지원된 연구비 지원규모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구업적을 KCI급 연구업적과 SCI급 연구업적으로 구분해 비교해본 결과 KCI급 연구업적의 경우 여성연구자가 더 높은 연구업적을 내는 경우가 많으며, SCI급 연구업적의 경우 남성연구자가 더 높은 연구업적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남성에게 더 많은 정부연구비가 지원되는 것이 남성이 SCI 급 연구업적이 더 많기 때문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3년간 SCI 급 연구업적이 없는 연구자 대상 차이분석 결과, 정부연구비의 경우 남성연구자가, KCI급 연구업적의 경우 여성연구자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학술 활동 건전성 제고를 위한 연구업적평가 개선에 관한 연구

        노영희,강지혜,김용환,양정모,이종욱 한국비블리아학회 202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3 No.4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ways to improve the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 sound research culture. For the study, we analyzed the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and a survey and an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faculty and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officials, respectively. In the study,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the principle of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the method of categorizing the type of research performance, the method and procedure of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and necessary documents were proposed. First, eight principles were suggested to be considered in evaluating research achievements to ensure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transparency of the evaluation while supplementing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evaluation. Second, the main types of research achievements were categorized into journal articles, books, and presentations at academic conferences. Third, as a research achievement evaluation method, a hybrid evaluation us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d multiple measurement indicators was proposed. Fourth, a total of 11 steps (required 7 steps) were presented as a procedure for research achievement evaluation. Fifth, publications, evaluation documents, and committee chair’s reports were proposed as major documents for research achievement evaluation. The research achievement evaluation improvement plan presented in this study should be flexibly applied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and research fields and universities. 본 연구는 올바른 연구문화 정착지원을 위한 대학의 연구업적평가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업적평가와 관련한 사례를 조사․분석하고, 대학 교원과 연구업적평가 관계자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업적평가 원칙 수립 방향, 연구업적물 유형의 범주화 방안, 연구업적평가 방식과 절차, 필요 서류 등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정량평가의 한계점을 보완하면서 평가의 타당성과 신뢰성,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업적평가 시 고려해야 하는 8가지 원칙을 제시하였다. 둘째, 연구업적물의 주요 유형을 학술논문, 저서, 학술대회 발표로 범주화하였다. 셋째, 연구업적평가 방식으로는 정량 및 정성, 복수의 계량지표를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평가를 제안하였다. 넷째, 연구업적평가의 절차로 총 11단계(필수 7단계)를 제시하였다. 다섯째, 연구업적 평가를 위한 주요 서류로 출판물, 평가서, 위원장 보고서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업적평가 개선방안은 학문 및 연구 분야와 대학의 특성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재무와 회계 분야 연구업적의 특징 분석

        이의경 ( Eui-kyung Lee ) 한국재무관리학회 2022 財務管理硏究 Vol.39 No.3

        본 연구는 재무와 회계 분야의 연구업적이 갖는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을 위해서 연구업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학교요인과 교수요인, 두 가지 범주로 구분했다. 학교요인으로는 연구자의 소속 대학과 관련된 네 가지 설명변수(설립유형, 지리적 위치, 보상체계, 학과규모)를 사용했다. 교수요인으로는 학업경로와 관련된 세 가지 변수(동(同)대학원, 미국박사, 전공)와 근무기간을 사용하였다. 피설명변수는 전체 업적을 먼저 분석한 후 국제논문, 국내논문, 저서, 세 가지 유형으로 세분해서 분석을 수행하였다. 학교요인을 분석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공립대는 사립대에 비해서 연구업적이 낮은 편이다. 둘째, 서울소재 대학은 국제논문의 연구업적이 높고 서울외 소재 대학은 국내논문의 연구업적이 높은 편이다. 셋째, 보상체계는 유의성이 높게 나타나서 성과급적인 연구비가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넷째, 학과규모는 국내논문에서만 유의적인 정(+)의 관계를 보이고 국제논문에서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대학원 변수는 국내논문에서 유의한 부(-)의 관계를 보여 이종교배의 연구력을 확인시켜주었다. 둘째, 미국박사 변수는 일반적인 기대와는 반대로 국제논문과 국내논문에서 모두 낮은 업적을 보였다. 셋째, 재무전공은 국내논문에서 부(-)의 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재무분야가 회계분야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논문발표기회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근무기간은 저서업적에서만 유의적으로 정(+)의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학문적 성격이 유사한 재무와 회계 분야를 대상으로 하면서 연구업적의 특징을 유형별로 구분해서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연구업적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이고 유효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chievements in finance and accounting. Factors affecting achievement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university factors and personal factors. As university factors, four explanatory variables(type, location, compensation, size) were used. As personal factors, four variables(graduate, US doc., major, working period) were used. For dependent variables, the total achievements were analyzed first, and they were analyzed into three types: international papers, domestic papers, and books. The results by university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s of public universities are lower than those of private universities. Second,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have high achievements in international paper, and universities outside Seoul have high achievements in domestic paper. Third, compensation systems showed high significance. Fourth, department size showed a significant (+) relationship in domestic papers. The results by personal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the graduate school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 relationship in domestic papers. Second, the US doctoral variable showed a significant (-) relationship in both international and domestic papers, which is contrary to the general expectation. Third, the finance major showed a (-) relationship in domestic thesis. Fourth, working period showed a significant (+) relationship only in book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achievements by type while targeting finance and accounting fields.

      • KCI등재

        외국대학 사례 조사를 통한 교수 연구업적평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강지혜,이종욱,김용환,노영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4

        Re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has been based heavily on quantitative criteria. Various limitations however were revealed and the demand for excellence in research quality was growing and the importance of qualitative evaluation factors was increasing as well. The study investigates and introduces cases for improving research evaluation that have appeared around the world since 2010. To extract qualitative factors that can be introduced in research achievement evaluation in Korea this study investigated and organiz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cases of foreign universities and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the evaluation method in Korea. Qualitative evaluation factor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achievement evaluation documents evaluation procedures and evaluation standards of top 10 universities around the world. As a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use of various performance evaluation documents mulch-faceted evaluation and multi-level performance evaluation process and various qualitative performance evaluation standards. In traditional bibliometrics, while the degree of citation was measured when generating research evaluation indicators, future indicators may reflect recommendation scores as indicators, or include industrial connectivity and utilization in education/industry. It is hoped that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will be balanced through this paper and ultimately the professor’s research achievement evaluation will be a process that can help individuals grow into excellent researchers and develop the research environment. 연구업적평가는 계량서지학을 중심으로 활용하여 정량적인 기준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정량평가만을 활용한 평가에 여러 한계점이 드러나고 연구품질의 우수성 평가에 대한 요구가 커지며 정성적인 평가 요소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전 세계에서 나타난 연구 평가 개선을 위한 사례를 조사하여 소개하고, 연구업적평가에 도입 가능한 정성적인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외국대학의 업적평가 사례를 조사․정리하여 국내 도입을 제안하였다. 전 세계 상위 10개 대학의 업적평가 서류, 평가 절차, 심사기준 등을 분석하여 정성적 평가 요소를 추출하였다. 결과로 본 연구는 업적평가 문서의 다각화, 다면 평가와 다단계 업적평가 과정, 다양한 질적 업적평가 기준에 대해 국내 도입을 제안한다. 전통적인 계량서지학에서 연구 평가 지표 생성 시 인용도를 측정하였다면, 미래 지표에서는 추천 점수를 지표로 반영하거나, 산업 연계성, 교육/산업에서의 활용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을 통해 업적평가 방식이 균형을 이루고, 교수의 연구업적평가가 개인이 우수한 연구자로 성장하여 연구 환경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과정으로 기능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평생교육법 개정 이후 평생교육사에 대한 연구동향 분석

        김인록,허정무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1

        The research on lifelong educator history has been mostly concerned with the identification of professional expertise,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ization, and the qualifications system and the training process, but lack of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professional identity recognized by individual lifelong educato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lifelong educator after the revision of Lifelong Education Act. The research articles are 77 papers related to the lifelong educator history published in the doctoral dissertation thesis from 2000 to 201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per year. For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lifelong educator, research methods and measurement tools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As a result, research on lifelong educator was mainly conducted using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themes were in order of job experience, job satisfaction, learning experience, policy and institution. The research on the professional identity mainly used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and the measurement tool mainly used the professional identity sca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researches on lifelong educator should be expanded and that researches on various subjects should be expanded. 그동안 평생교육사에 대한 연구는 직업적 전문성 규명 및 전문직화 형성과정 그리고 자격제도 및 양성과정에 관련된 연구들이 대부분이었지만, 평생교육사 개인이 인식하는 전문직업적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했다. 이 연구는 평생교육법 개정 이후 평생교육사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 논문은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석․박사 학위논문에 발표된 평생교육사와 관련된 77편의 논문이다. 자료분석은 연도별 연구방법, 연구주제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평생교육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대해서는 연구방법과 측정도구를 빈도와 백분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평생교육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연구되었고, 연구주제는 직무경험 및 직무만족, 학습경험 등, 정책 및 제도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양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평생교육사 대상 연구가 확대되어야 하며 다양한 주제에 의한 연구가 확대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 분야 교수의 연구업적물 평가에 관한 연구

        정연경,최윤경,Chung, Yeon-Kyoung,Choi, Yoon-Kyun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과학기술정보센터 2011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42 No.3

        본 연구는 교수의 연구 성과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 인문 사회과학 분야 연구업적물의 다양한 유형을 파악하고, 현행 평가방법을 국내외 대학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에 평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문헌연구 및 관련규정 분석을 바탕으로 연구업적물의 개념과 유형, 평가 방식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국내 26개의 종합대학을 중심으로 평가 현황을 조사하고 국외 대학에 재직 중인 한국인 교수들에게 연구업적물 평가 방식에 대한 자문을 받은 후, 평가에 있어서 기본 원칙과 함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대학에서 인문 사회과학 분야 연구자의 연구업적을 합리적으로 평가하여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을 진작시키고 질적 수준을 제고하여 대학의 발전과 내실은 물론 국가 연구경쟁력을 증진시키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key elements of evaluating research achievement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t universities in Korea. Literature reviews and analysis of policies for faculty evalu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were carried to define concepts and types of research achievements. Questionnaire surveys and case studies were performed to find measures, criteria and requirements of research achievements assessment in 26 domestic universities and several foreign universities. As a result, basic principles and key elements of evaluation in research achievements that reflected quantity and quality of research were proposed.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stimulate research activities and promote the national research competitiveness with ensuring internal stabilities in universities.

      • KCI등재

        교수연구업적 평가법의 계량적 분석: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연구업적을 중심으로

        이종욱,Yang, Kiduk 한국정보관리학회 2011 정보관리학회지 Vol.28 No.4

        Effective assessment of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should involve considerations of both quality and quantity of faculty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methods for evaluating faculty research output by comparing the ranking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faculty by publication counts, citation counts, and research performance assessment guidelines employed by Korean universities.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faculty rankings based on publication counts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based on citation counts. Additionally, faculty rankings measured by university guidelines showed bigger correlations with rankings based on publication counts than rankings by citation counts, while differences in universities guidelin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faculty ranking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bibliometric indicators that reflect the quality as well as the quantity of research output. 교수연구업적을 보다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연구의 정량 및 정성적 측면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양적 측면을 보여주는 논문 수와 질적 측면을 반영하는 피인용 수에 의한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의 연구업적 평가순위를 국내 대학에서 사용되는 연구업적 평가규정을 적용한 순위와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논문 수에 의한 교수별 순위가 피인용 수에 의한 순위와 차이가 있으며, 대학별 교수 업적평가는 피인용 수보다는 논문 수에 의한 평가와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별 상이한 논문 배점기준은 교수업적평가 결과에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의 양적 및 질적 수준을 보다 잘 반영하는 계량서지학적 지표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송방송의 고대음악사 이론 분야 연구 업적

        김성혜 한국음악사학회 2022 한국음악사학보 Vol.69 No.-

        이 글은 송방송의 한국음악사 연구 중에서 고대음악사의 이론 분야를 중심으로 그의 연구 업적을 고찰한 것이다. 그의 고대음악사 관련 연구서는 『한국고대음악사연구』가 유일하고 대표적이다. 그가 발표한 고대음악사 관련 글은 약 30편에 달했으며, 이것은 60년 동안 그가 연구한 전체 분량에서 약 14%의 비중이다. 그가 고대음악사 분야를 연구하기 시작한 시기는 1980년 말~1981년 1월로 파악되며, 연구 동기는 자신의 학문 목표인 『한국음악사』 개설서를 편찬하기 위해서였다. 연구 기간은 1980년부터 2016년까지 대략 36년이었으나, 연구에 집중한 시기는 1980~1989년까지 약 10년으로 볼 수 있다. 그의 연구 성과를 고대음악사의 시대별로 구분하여 검토한 결과 고구려와 백제 및 남북국시대 음악에 관해서는 다양한 주제로 성과를 올렸으나, 상고시대와 고신라 및 가야 음악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그가 이룬 고대음악사 분야의 연구 업적은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사료 비판적 연구를 음악학계에서 처음으로 시도한 점이다. 둘째, 발해음악에 관한 연구를 처음 시도했고, 한국음악사 영역에 발해악을 포함시킴으로써 고대음악사의 영역을 확장시켰다. 이것은 그의 연구 업적 중에서 가장 탁월한 업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셋째, 고대음악사 관련 새로운 문헌과 새로운 고고학 자료를 발견하고 이를 음악학계에 소개하고 연구한 점이다. 넷째, 통일신라음악에서 ‘악조(樂調)’ 부분과 ‘주변국 악기의 수용’ 문제를 연구하여 고대음악의 내용을 심화시킨 점이다. 일해 송방송은 고대음악사 분야에 있어 다양한 주제의 연구 논문을 학계에 발표함으로써 학문의 기반을 다졌고, 여러 가지 새로운 분야의 연구를 단행하여 고대음악사 영역을 학문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노력하였기에 이 모든 것을 그의 연구 업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수도권과 비수도권 교수연구자의 연구업적 비교

        장덕희(Duck Hee Jang),한동성(Dong Seong Han) 한국공공관리학회 2009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3 No.2

        본 연구는 다분히 기술적 성격의 연구로, 수도권과 비수도권 교수 연구자의 연구업적의 차이를 상대적 비교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대적 비교 관점에서 수행한 본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업적 차이분석 결과 KCI급과 SCI급 모두에서 수도권 연구자의 연구업적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한 분석결과 학문영역 간 차이가 존재하지만 대체로 수도권 연구자의 연구업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가적으로 연구비 지원규모와 보조 연구 인력의 성격에 대한 차이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비 지원규모 면에서는 수도권 연구자에게 지원된 것이 일관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보조연구원 측면에서 비수도권 연구자는 주로 많은 학부생을 연구보조 인력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된 반면, 박사과정과 포닥 연구원(post-doc)의 경우 수도권 연구자가 더 많이 운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mainly technical research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ofessors’ research achievements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local region with a comparative method.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research achievements by KCI and SCI publications, professors in the Metropolitan Area outperform researchers in the local region. Second,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even though there are differences among study areas, professors in the Metropolitan Area lead to higher accomplishments. In addition, the differential analysis of characteristics for research funding and research assistants between two areas present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funds for professors in the Metropolitan area also larger than local region. Second, professors in local region mainly hire undergraduate students as research assistants, however, in the Metropolitan area, usually Ph.D. students and Post-Doc researchers are usually hired.

      • KCI등재

        한국연구재단 지원 사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한 제언

        신희영(Hee Young Shin)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3

        이 글은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고 있는 각종 연구 지원 사업들을 비판적으로 개관한 후, 특히 연구재단이 개인 및 공동 연구 지원 사업의 신청 자격 요건과 선행 연구 업적을 평가 산정하는 방식이 지닌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서 쓰인다. 현행 신청 자격 요건은 합리적인 근거를 갖추지 않은 채 연구 지원 사업에 대한 신청 자격을 자의적으로 제한하고 있고, 학술 저서와 역서 등 기존의 연구 업적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도 불합리한 규정이 있다. 이 글에서 필자는 선행 연구 업적을 산정하는 기간을 대폭 연장하거나 아예 폐지할 것을 주장하고,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는 행위와 구별되는 독립적인 저서의 출간이나 역서의 발행에 대해서 제대로 된 평가 기준을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various research-supporting activities done by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KRF), especially focusing on its highly restrictive evaluating practice for a researcher-applicant’s prior research achievements and its unreasonable criteria for converting the applicant’s independent book publication and translation activities into an academic qualification index. In this paper, the author argues that the current KRF’s prior research qualification requirements deprives many researchers-applicants of the opportunity to apply for financial supports for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research programs. In addition, the current KRF’s research supports has been biased toward underestimating the academic efforts and quality of the applicant’s independent (non-journal) book publication and translation activities. The author argues that the KRF should relax the current arbitrary qualification restrictions either by lengthening the time-period for evaluating the applicant’s prior research activities or abolishing such restrictions altogether. It is also recommended that the non-journal academic activities such as the book publication and/or translation activities should be reevaluat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ir academic quality and efforts, when the KRF determines applicants’ prior research achievements and their qualif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