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계학책 번역서 네 권에 대한 비평

        조재근 한국통계학회 2004 응용통계연구 Vol.17 No.3

        최근 국내에서 통계학 전공자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도 읽을 수 있는 통계학 책이 많이 출판되는 현상은 대단히 반가운 일이다. 그 책들 가운데에는 국내 저자가 쓴 것보다는 번역서가 더 많은데, 번역도서의 양적인 팽창은 한편으로 그 책들이 번역되어야할 이유가 과연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비롯해서 번역의 질적인 면을 검토할 필요성도 제기한다. 이 글에서는 지난 2003년에 나온 번역서 네 권을 대상으로 그 책들에 담긴 색인과 참고문헌, 통계학 이론과 통계학 용어, 그리고 통계학의 역사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그 책들을 소개하는 일간신문의 신간소개나 서평 기사들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글의 진단은 번역서들에서 보게 되는 많은 문제점들이 통계학과 거리가 먼 번역자들이 그 책을 옮겼기 때문에 생긴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내의 통계학 전문가들이 일반 대중을 위한 통계학 책의 필요성, 번역 작업이 갖는 의미, 번역할 책의 선택에 대해 좀더 활발하게 토론하고 무엇보다 직접 번역 작업에 참여할 필요가 있겠고, 나아가 일반 한국 사람을 대상으로 한국어로 된 훌륭한 통계학 책을 쓰는 작업에도 더 적극적일 필요가 있겠다. Four statistics books, one translated by statisticians and three by non-statisticians, are reviewed. They are reviewed in terms of indices and bibliographies, statistical theory and terms, and the history of statistics. In addition, book review articles appeared in daily newspapers are considered. Unfortunately, we can find many(some of them trivial, and some others serious) problems in the translations. Many problems could have been got around if the books had been translated by statisticians. So, conclusion suggested in this article is very simple: Translation of statistics books, especially books for the laymen, is a job that Korean statisticians should not shift to others. Titles of the books review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1. Rao, C. Radhakrishna(1997). Statistics and Truth : Putting Chance to Work, Second edition, World Scientific. 2. Best, Joel (2001). Damnel lies and Statistics : Understanding Numbers from the Media, Politicians, and Activist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3. Bennett, Deborah J. (1998). Randomness, Harvard University Press; 4. Salsburg, David (2001). The Lady Tasting Tea : How Statistics Revolutionized Science in the Twentieth Century, W. H. Freeman.

      • KCI우수등재

        한국사 연구와 디지털역사학 연구방법론 -양적분석을 중심으로-

        이상국 한국사연구회 2022 한국사연구 Vol.- No.197

        역사학계는 디지털시대 한국사 빅데이터의 등장으로 인해 그에 걸맞은 연구방법론의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것에 동의하든 그렇지 않든 간에 그 변화의 방향성과 방법론을 모색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본 논문의 목적은 빅데이터와 디지털시대에 한국사 연구가 직면한 도전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그 일환으로 필자는 한국사 연구에서 기존의 질적연구의 가치를 유지하면서 디지털 기술을 융합하는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그것을 '디지털역사학'으로 명명하였다. 그 과정에서 양적 데이터로의 전환과 한국사 데이터에 최적화된 분석방법론의 모색이 디지털역사학의 핵심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Since around 2000 years, plenty of historical materials have been digitized in various formats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Due to the structural transition from the era with limited access to an era of infinite information acces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challenges in many way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a way to actively cope with the challenges Korean history research faces in the big data and the digital era. It is intended to present a new research paradigm that converges digital technology while maintaining the value of existing qualitative research in Korean history research. This paper presents the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based on digital history that the AIRG(Ajou Interdisciplinary Research Group) has tried so far as called it ‘digital history'.

      • KCI등재

        20세기 전반기 통계학사에 대한 연구 : 통계적 검정과 심리학을 중심으로

        조재근,Jo, Jae Keun 한국수학사학회 2013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6 No.4

        It was not until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at statistics emerged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The developments of statistical theory and methods would not have been possible without heated controversies among founding fathers. One of them, controversy on the statistical test between R. A. Fisher and J. Neyman, E. S. Pearson had been very fierce and long-lasting. On the other hand it wa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at psychologists began to utilize statistical test which was a hybrid of tests developed by Fisher and Neyman-Pearson. By considering the history of fields such as psychology, we can se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specific to the history of statistics.

      • KCI등재

        19세기 중반 오차와 정규분포의 역사

        조재근,Jo, Jae-Keun 한국통계학회 2008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15 No.5

        오차에 대한 분석은 18세기 천문학과 측지학에서 시작된 뒤, 19세기 초 가우스와 라플라스에 의해 정규분포 및 최소제곱법과 결합되면서 오차이론이라고 불리기 시작하였다. 19세기 중엽 벨기에의 케틀레는 자연과학의 관측결과를 분석하는데 쓰이던 오차이론을 사회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사회 연구를 보다 더 과학적인 연구로 만들어보려 하였다. 그는 사회데이터에서 개인의 특수성을 배제하고 집단의 보편적인 사실만을 나타내는 '평균적인 사람'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 또 그는 비슷한 조건에 있는 여러 사람을 측정한 결과는 단일한 대상을 반복측정한 결과와 마찬가지라고 보고, 천문학의 오차이론을 사회데이터에 적용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오차와 정규분포가 사회 연구에 도입되면서 새로이 나타난 개인과 집단의 관계를 비롯하여 오차이론에 대한 반대 의견들, 오차를 대신하여 나타난 용어 등을 중심으로 19세기 중반에 통계학의 영역이 확대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About 1800, mathematicians combined analysis of error and probability theory into error theory. After developed by Gauss and Laplace, error theory was widely used in branches of natural science. Motivated by the successful applications of error theory in natural sciences, scientists like Adolph Quetelet tried to incorporate social statistics with error theory. But there were not a few differences between social science and natural science. In this paper we discussed topics raised then. The problems considered are as follows: the interpretation of individual man in society; the arguments against statistical methods; history of the measures for diversity. From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the $19^{th}$ century social statisticians, we can see how statistics became a science that is essential to both natural and social sciences. And we can see that those problems, which were not easy to solve for the $19^{th}$ century social statisticians, matter today to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