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주체의 이중성으로 본 여성성장의 일면

        崔銀晶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50 No.-

        본고는 츠리(池莉)의 《물과 불의 혼재(水與火的缠绵)》를 대상으로 하여, 여성성장의 일면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 것이다. 《水與火的缠绵》은 청망망(曾芒芒)이라는 한 여성의 연애와 결혼 및 떠남에 관한 서사로, 청년기부터 결혼 이후까지의 여성성장의 노정을 담아내고 있다. 이를 통해 츠리는 여성의 성장에 대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여성의 성장이란 가부장제에서 규범화된 몰((mole)적 존재에서 분자적 존재로 나아가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즉, 가부장제에서 규범화된 여성다움에서 벗어나 개별화된 여성 ‘자신’으로서 정체성을 구성해가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러한 성장 여정에 작용하는 여성주체의 이중성이다. 츠리는 가부장제 여성다움을 내면화한 청망망이라는 여성주체 안에 내포된 두 개의 주체를 발견한다. 작품 제목이 암시하는 ‘水(순응하는 정주적 주체)’와 ‘火(탈주하는 유목적 주체)’가 그것이다. 츠리가 보기에, 여성의 성장은 바로 이 ‘水-정주적 주체’와 ‘火-유목적 주체’가 끊임없이 부딪히고 교차하며 부침(浮沈)하는 과정이다. 중요한 것은 정주적 주체와 유목적 주체가 갈등하면서 어느 하나가 현현(顯現)하는 순간 다른 하나가 완전히 거세되거나 은폐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놓지 못하고 여전히 엉켜있다는 데 있다. 그 결과 한 주체에서 또 다른 주체로 끊임없이 이행과 반전과 전이를 거듭하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츠리가 포착한 여성성장의 곤혹이며 특징일 것이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to examine an aspect of woman s growth through Chi Li s ‘The Lingering of Water and Fire’. ‘The Lingering of Water and Fire’ is an epic story of romance, marriage and separation of a woman named ‘Ceng mang mang(曾芒芒)’. The story describes the courses of female growth from adolescence to post-marriage. With the story, Chi Li points out two regarding female growth as follows. One is the course in which a woman grows from an existence of a normative ‘mole’ under patriarchal system to a molecular existence. In other words, it is a route to compose ‘one’s own’ identify as individualized woman escaping from normative femininity in patriarchy. The other is the duality of female subject that affects the course of female growth. Chi Li finds two subjects in the female subject ‘Ceng mang mang’ whose patriarchal femininity is internalized. They are ‘a residental subject of settlement’ and ‘a nomadic subject of escape’. In Chi Li s opinion, a woman grows through endless conflict, alternation, and integration of the residental subject and the nomadic subject. What is important in the course is that the moment they are integrated to one of them through conflict, the other does not vanish or sealed off, but they still continue carrying on, turning over each other, and metastasizing. It is here where Chi Li captured the confusion and distinction of female growth.

      • KCI등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여성 주체 연구 -「야행」과 「보통 여자」를 중심으로-

        이은영 ( Eun Young Lee ) 한민족어문학회 2012 韓民族語文學 Vol.0 No.62

        본고는 김승옥의 소설 중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 「야행」과「보통 여자」를 분석함으로써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여성 주체의 의미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둔다. 김승옥의 초기 소설에서 여성 인물은 남성 주체가 ‘근대화’라고 하는 큰 상징적 질서에서 적절한 주체가 되기 위한 과정에서, 버려야 할 대상이자 끊임없이 남성 주체의 의식에 균열을 일으키는 타자로서 형상화되었다. 그러나 「야행」과「보통 여자」에서 여성 인물은 자신의 성적 정체성을 자각하는 주체이자, 1960년대의 여성 담론을 내재한 주체로 형상 화되었다. 즉 「야행」에 나타난 여성 주체는 60년대의 성혁명이라 불리던 자유로운 ‘성담론’과 ‘모성의 사회화’라고 하여 여성의 사회적 기여도를 강조하던 ‘모성 담론’이 혼재되어 형상화되었다. 그리고 「보통 여자」에 나타난 여성 주체 또한 ‘성 담론’과 근대화 프로젝트를 통해 가부장적 규범성을 여성들에게 제도화하는 ‘현모양처 담론’이 혼재되어 형상화되었다. 이와 같이 「야행」과「보통 여자」에서 1960년대의 여성 담론을 내재한 여성 주체에 대한 연구는 먼저 김승옥 초기 소설에서 남성의 개인·주체·자아에 대한 관심이 그의 후기소설에서 여성의 개인·주체·자아에 대한 관심으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서 김승옥의 초기 소설에서 남성 주체의 타자였던 여성이 당당히 주체의 자리에 서게 되었다는 점. 그리고 여성 주체가 허위와 위선으로 가득 찬 일상의 현실을 인식하고, 진실한 인간관계와 사회와의 소통을 추구한다는 점 등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개인의 사회에 대한 관심의 확대라는 측면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women subjects by analyzing Streetwalking at Night and Common Woman in which protagonists are women. In Kim Sung-Ok``s early works, women characters were described as should-be-discarded-beings in the course of the symbolic order of ``modernism`` discourse by men subject`s. Besides, they were depicted as others who cause cracks on the men subjects` consciousness constantly. But women characters in Streetwalking at Night and Common Woman are embodied as subjects who realize their own sexual identity. At the same time, they are subjects internalizing women discourse in 1960s. For example, woman subject in Streetwalking at Night is mixed free ``sexual discourse`` with ``maternity discourse``. The former is so called sex revolution in 1960s and the latter emphasizes women`s social contribution. And woman subject in Common Woman is also mixed ``sexual discourse`` with a good wife and wise mother discourse`` which enforces patriarchal norms on women through modernization projec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following three grounds, I concluded women subjects who have woman discourse of 1960s in Streetwalking at Night and Common Woman have a meaning that individuals enlarge their social interests. Finally, I suggest the three points for the above grounds. First, Women subjects in Kim Sung-Ok`s early novels were others of men subjects. However, they really become subjects in Streetwalking at Night and Common Woman. Second, women subjects in the novels find their daily lives full of falsehood and hypocrisy. Third, they try to have a true relationship and communicate with society.

      • KCI등재

        ‘여성 주체’의 관점에서 살펴본 박서원의 시 세계 연구

        박상수 ( Park Sang-su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8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7

        박서원의 시가 90년대 당시, 주목을 받았던 데에는 가부장적 질서에 대항하는 여성적 언어와 문법을 적극 찾고자 노력했던 당대의 시대 분위기 속에서도 기존의 이분법적인 논리로는 쉽사리 해석할 수 없는 대응 양상을 선보였다는 점에 있다. 본고에서는 고통을 현시하는 박서원시의 공간 감각과 고통에 대응하는 양상을 규명해보려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필요한 것이 ‘여성적 정체성’과 ‘여성 주체’를 구분하는 일이다. 상징계에 진입하면서 발행하는 호명에 대한 잠정적인 응답으로 ‘젠더 정체성’을 규정한다면, 상징계가 부여하는 정체성 호명이 좌초하거나 상징적 차원을 초과하는 영역에 ‘주체’가 위치해 있다. 상징계의 작동이 실패하고 어긋나는 지점에 ‘주체’가 생겨난다는 말은 상징계에 의해 정체성을 획득하더라도 주체는 그것으로 완전히 포섭될 수 없으며 늘 그것 이상의 잉여를 발생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닫힌 공간에 갇혀 있는 박서원의 공간 감각은 시에서 갇혀 있는 여성 주체의 모티브로 지속적으로 반복된다. 현실에서 경험한 트라우마는 시적 상황 안에서도 고스란히 재현되어 박서원의 여성 주체는 길을 잃고 폐쇄된 공간으로 내몰린 자로서의 공간감각 속에 존재한다. 이렇듯 닫힌 공간의 폐쇄적 공간 감각을 확인하는 일은 중요하지만 이것을 박서원 시의 성취와 개성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그런 의미에서 주목해 볼 것은 갇힌 공간의 감각을 박서원의 여성 주체가 ‘어떤 방식으로 극복’해나가는지의 여부이다. 박서원의 여성 주체는 망가진 삶 속에서 자신을 좁고, 폐쇄된 공간에 갇힌 존재로 인식하고 있지만 역설적으로 바로 그로 인해 자기 몸에 찾아오는 발작과 고통, 환각의 거대한 밀어닥침을 자기 존재의 힘으로 흡수하여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려는 양상을 선보인다. 고통을 자부심으로 전환하는 이 과정은 고통스러운 희생자이자 억압적이고 가부장적 체제의 일방적인 여성 피해자로 자신의 정체성을 규정하려는 세계의 시선에 맞서 그것을 좌초시키려는 무의식적인 응전의 힘, 의식적인 저항의 노력과 함께 박서원 시의 가장 인상적인 대응 양상을 만들어낸다. 박서원의 개성적인 여성 주체가 탄생하는 대목이 바로 여기이다. 박서원의 여성 주체는 공간을 초월한 존재로 자신을 정립해나간다기 보다는 공간에 위치지어지는 존재로 자신을 인식하되, 바로 그 공간성을 부정하지 않고 오히려 공간 내부를 확대시켜 양가적이고 모순적이며 충돌하는 대상과 가치들을 담아내는 방식으로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나간다. 박서원의 여성 주체는 뒤섞임 상태가 오히려 재탄생을 위한 능동적 가능성의 공간임을 자기 몸에서 현시하며 “모순적 다양성으로 구조화된 다차원적 지리학”을 선보일 수 있었다. 이 ‘모순적 다차원의 지리학’이 가능했던 것은 박서원의 여성 주체가 부여된 여성적 정체성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좌초시키기 위해 노력했으며 끊임없이, 격렬하게, 또한 간절하게 ‘다른 어딘가’를 향해 능동적으로 움직였기 때문이다. 파토스를 더욱 극단으로 몰아붙여 고통의 끝에 닿으려는 박서원의 여성주체는 절제의 시학이 아니라 과잉의 시학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90년대의 한국 시단에는 여성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극복하는 새로운 ‘비-배제적 여성 주체’가 탄생할 수 있었다. In the 1990s, the poetry of Park Seo-won was noticed because she showed a middle-class response that could not be interpreted by the dichotomous logic of the past in an age-old atmosphere in which he tried to find feminine language and grammar against patriarchal order. In this paper, we try to identify the aspects of Park Seo-won 's sense of space and its response to pain. The first thing to do is to distinguish between 'female identity' and 'female subject'. If we define 'gender identity' as a tentative answer to the call to be made when we enter the symbol system, the 'subject' is located in the place where the symbolic name is stranded or exceeds the symbolic dimension. The fact that the symbolic system fails to operate and the 'subject' is created at the point where it is defeated means that even if the symbolic system obtains its identity, the subject can not be completely subsumed by it and always generates surplus. Park's sense of space continues to be repeated with the motif of a female subject trapped in poetry. The trauma experienced in reality is reproduced even in the poetic situation, and the subject of woman in Park is in the sense of space as a person who is lost to the closed space and is put into the closed space. It is important to confirm the closed spatial sense of the closed space, but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the achievement and personality of Park. In this sense, it is whether or not the woman subject of Park Seo-won will "overcome" the sense of confined space. Park's female subject perceives herself as a trapped person in a narrow, closed space in a broken life, but paradoxically, she absorbs a massive push of seizures, pain, hallucinations, To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s. This process of turning pain into pride is against the eyes of the world to define her identity as a painful victim and a one-sided female victim of oppressive and patriarchal regimes. This effort creates the most impressive aspect of Park's poetry with the power of unconscious reaction and conscious resistance. This is the place where Park's unique female subject is born. The subject of Park Seo-won recognizes himself as being positioned in space rather than establishing himself as a transcendent being. She does not deny the very space, but rather enlarges the interior of the space to create a new identity in a way that embraces both quantitative, contradictory, and conflicting objects and values. Park's female subject was able to show the multidimensional geography that is structured with contradictory diversity, manifesting in his body that the state of coalescence is a space of active possibility for rebirth. This 'contradictory multidimensional geography' was possible because her female subjects did not passively accept female identities, but tried to overcome them, and actively moved toward 'somewhere else', constantly, violently, and earnestly. The subject of Park Seo-won who tried to reach the end of suffering by further excommunicating Patos showed an excess of poetry, not a poetry of temperance. As a result, a new 'non - exclusionary female subject' could be created in Korea in the 1990s.

      • KCI등재

        종교적 주체, 평화의 주체로서의 여성

        안연희 한국평화종교학회 2020 평화와 종교 Vol.0 No.10

        이 글은 종교사의 남성중심주의가 여성운동이 궁극적으로 지향해온 ‘평화’에 어떤 문제를 제기하는지 살펴보고,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 회복이 여성평화운동의 흐름에 중요한 전기가 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종교사의 남성중심주의는 종교경전 및 텍스트에서 여성의 목소리와 기록/기억의 결여, 그리고 종교 의례나 지도체제와 같은 종교적 권위의 장에서 여성을 배제함으로써 여성을 차별하고 억압하는 문화의 요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남성중심주의, 젠더위계주의가 두드러졌던 종교사 속에서 발휘되지 못하였던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은 여성의 공적인 말하기, 권위 있는 기록과 기억의 주체되기, 종교적 지도력 발휘를 통해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전 세계 교단과 조직, 신자들을 이끌고 있는 종교지도자이며, 세계평화여성연합의 창설자이기도 한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언설과 리더십은 그러한 여성의 종교적 주체성 회복에 측면에서 주목할 만하다. 종교적 권위의 장에서 말하는 주체, 실천적 주체로서 드러난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리더십과 평화운동은 종교적 주체로서 평화의 주체가 되는 여성의 모습을 종교사에 회복시키는 의미 있는 사례이다. 이를 통해 종교사 속에서 대상화되고 주변화된 여성이 종교적 주체로서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고, 궁극적 실재관 및 종교교리와 상징에서도 양성평등적인 차원을 회복하여 균형을 맞추는 여성 종교지도자의 모습을 볼 수 있다. 한학자 총재의 종교적 언설과 실천이 보여주는 종교적 주체성은 종교사적으로 중요한 일보라고 평가된다. 또한 이는 여성이 이 시대 평화의 주체로서 이상적 미래와 평화문명을 실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여성의 적극적 평화운동을 촉진하는 행보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article examines what issues the androcentrism and gender hierarchy in religious history raises to the “peace” that the women’s movement has ultimately pursued, and discusses that the restoration of female subject in religion can be an turning point in the flow of the women’s peace movement. Androcentrism in religious history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ulture that discriminates against and oppresses women by excluding women from their voices and lack of record/memory in religious scriptures and texts, and from areas of religious authority such as religious rites and leadership systems. come. Therefore, the religious subjectivity of women, which was not exerted in the religious history in which androcentrism and gender hierarchy were prominent, could be restored through women’s public speaking, being the subject of authoritative records and memories, and exerting religious leadership. The religious statements and leadership of co-founder Han Hak-ja, who is currently leading organizations and believers of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FFWPU) all over the world, and the founder of Women’s Federation for World Peace(WFWP), are remarkable in terms of the recovery of such women’s religious subjectivity. The religious leadership and peace movement of Han Hak-ja, revealed as a speaking subject and acting subject in the field of religious authority, is a meaningful example of restoring the image of a woman who becomes the subject of peace as a religious subject in religious history. Through this, we can confirm the image of a female religious leader who makes a positive voice as a religious subject, and restores and balances gender equality in the ultimate view of reality and religious doctrines and symbols, escaping from the position of an objectified and marginalized woman in the history of religion. Religious subjectivity shown by these religious statements and practices of Han Hak-ja is an important trajectory in religious history,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driving force for active peace movements of women who take the lead in realizing an ideal future and a peaceful civilization as the subject of peace.

      • KCI등재

        양명학의 도덕 주체를 통한 여성 주체 형성의 모색

        김세서리아(Kim Seseoria) 한국양명학회 2005 陽明學 Vol.- No.15

        이 글은 전통 유가 철학 및 양명학의 도덕 주체 문제에 주목함으로써 여성 주체의 형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또한 유가 철학이 기본으로 갖는 휴머니즘을 현대 여성주의 안에서 어떻게 재창조할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하는 작업의 일환이기도 하다. 이 같은 문제의식은 논문에서 우선 전통 유가 철학의 도덕 주체에 관한 논의가 지니는 긍정적 함의를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여성주의 주체 설정의 문제에서는 한계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는 작업으로부터 시작한다. 전통 유교 사회에서 여성이 도덕 주체가 될 수 없도록 하였던 유가 철학의 도덕 주체 설정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를 통해 양명학의 도덕 주체되기의 방법과의 차별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양명학의 치양지설, 만물일체설, 몸에 관한 담론 등은 논문에서 여성주체의 형성을 위해 긍정적으로 재해석될 수 있다고 보는 주요 개념이다. 이러한 양명학의 논의들은 여성 주체 형성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외적 조건에 대한 나름대로의 능동적, 주체적 해석의 방식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물론 양명학의 도덕 주체 형성 논의가 여성주의 논의 및 그 운동 방식을 적극적으로 인정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양명학의 도덕 주체에 관한 논의 및 형이상학적 개념에 대한 비판 작업은 여성이 여성 자신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장치, 주체성을 고안하는 장치를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발전할 소지를 지닌다. This paper is organized to grope for formation of female subject through the moral subject of Yang-Ming Studies. And this paper also concerns how we can recreate Confucian humanism in Feminism. First of all, I would like to refer that the moral subject of traditional Confucian philosophy has positive meaning, but I also recognize it has limits. And I would like to show the difference between becoming to the moral subject of Yang-Ming studies and the moral subject of traditional Confucianism. It is very important to realize Innate Good Knowing(致良知), One body of the university(萬物一體) and discourse of body in Yang-Ming Studies, because these concepts will be the main points of this paper and be investigated based on the matter of the formation of the female subject. Of course the discourse of moral subject in Yang-Ming Studieis do not recognize the discourse of Feminism and it's movement style positively. However, they can be developed to make an equipment that women can explain themselves and to make their own subjectivity.

      • KCI등재

        ‘쓰기-주체-되기’의 정치성

        양경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5 여성문학연구 Vol.36 No.-

        This study examines women’s writing, which is part of discursive practice. The writing encompasses all forms of writing activities by those who are not allowed to speak out but struggle to make their voices heard as a subject. Rewriting the words dominated by men’s view, women can pioneer a space for free speech. For this reason, writing activity by women should be encouraged and emphasized in the society dominated by gender inequality. This paper explores outside of academic world in which performativity of the writing subjects is executed, specifically, Shinyeoseong, a Korean magazine in the 1920s. In this magazine, women were hated and belittled by men who became subjects in the modern society. Women, however, did not sit on their hands and stand up against such view by writing articles full of parody and irony. Such confrontations are witnessed on the internet these days. Women’s confession of painful stories on social media, for example, is changed into disclosure to the public, thereby generating discourses on who is to blame for dating abuse and sexual assault. Women’s writing activities on online communities such as Megalia also give women opportunities to contemplate what to do in dealing with gender inequality issues. Thus, the writing-subjects come to be recognized when their voices, which have been mute in history of gender inequality, begin to be heard by writing, and what they can do is as follows: first, the writing-subjects criticize those with greater power in relationship by making use of irony and parody in writing; second, such critiques spark heated discussions, thereby changing the writings into conversations with listeners/readers of the critiques. The change to conversation produced by performativity of writing-subjects, in the end, generates open discourse. 본고는 언어가 ‘불평등한 세상을 공고히 하는 권력의 주체’라는 것을 인식한 여성들이 ‘담론적 실천’으로 펼치는 ‘쓰기 활동’을 살핀다. 이때 주목하는 ‘쓰기’란 자유로운 표현활동이 제한된 위치에 처해있는 이가 저 자신을 스스로 주체화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쓰기 활동을 삼는 상황을 포괄하여 이른다. 여성은 남성의 문자를 다시 쓰는 과정을 거치면서 자신의 말할 장소를 개척하는 ‘쓰기-주체’로 거듭난다. 특히 승인된 학문의 장(場)이나 문학 장이 아닌, 제도의 가장자리에서 ‘쓰기-주체’들은 가부장제와 젠더 관습의 억압적 양태를 교란시키고 새로운 담론 지형을 형성하는 일을 훨씬 더 자유롭게 수행한다. 그와 같은 활동을 탐색하다보면 ‘메갈리아’에서 우세하게 활용되는 ‘미러링 화법’은 메갈리안들이 고안한 최초의 방식이 아님을 발견하게 된다. 이는 ‘쓰기-주체-되기’에 대한 해석을 진행할 때 여성의 역사 역시 다시 쓰일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고가 분석대상으로 삼는 ‘쓰기 주체’의 수행성이 발휘되는 장소는 학문 장 바깥에 있다. 우선 그와 같은 활동을 1920년대 잡지 『신여성』 에서 살폈다. 남성이 근대적인 주체로 거듭나는 과정에서 여성은 혐오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여성을 업신여기는 내용의 글이 잡지에 수록될 때, 여학생들은 가만히 있지 않았다. ‘패러디’와 ‘아이러니’를 활용하여 여성혐오를 일삼는 남성에 맞섰다. 이를 잇는 최근의 활동은 온라인에서 찾아볼 수 있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기 고백적인 서사를 사회적인 현안으로 전환해내는 쓰기 방식은 데이트폭력, 성폭력과 관련한 사안이 ‘누구의 문제인지’를 질문하는 방향으로 담론을 형성한다. 또한, ‘메갈리아’와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뤄지는 여성들의 쓰기 활동은, 여성들이 스스로 젠더관계의 불균형과 관련한 여러 문제 사안에 실천적으로 대면할 수 있도록 한다. 젠더 관계의 불균형적인 힘의 구도 속에서 삭제되어왔던 ‘저항-목소리들’을 역사의 한복판으로 출연시킬 때 확인할 수 있는 ‘쓰기-주체’는 첫째, ‘패러디’ 및 ‘아이러니’를 활용한 화법을 구사함으로써 권력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이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둘째, 그러한 방식을 통해 다른 이들의 격론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말을 듣거나/읽는 이들과 대화적인 전환을 이루어낸다. ‘쓰기-주체’의 수행을 통해 이뤄지는 ‘대화적 전환’은 종국에는 ‘열린 구조’의 담론을 형성하는 정치성을 발휘한다.

      • KCI등재

        신화를 통해 본 여성 주체의 형성

        노성숙(Nho Soung-Suk) 한국여성학회 2005 한국여성학 Vol.21 No.2

        본 논문은 한편으로 포스트모더니티의 사유가 근대적 주체에 대한 비판을 토대로 여성주의에 기여하고 있는 바가 크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오늘날 여성 주체에 대한 좀 더 적극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데에 미흡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그리하여 여성들의 차이에 입각하면서도 본질주의에 빠지지 않고 여성의 주체성을 재구성해야 하는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화에 주목한다. 신화는 다양한 인간 현실의 원형적 모습을 담고 있으며, 특히 한국의 구전신화들은 여성 주체성에 대한 새로운 상징들을 발견할 수 있는 풍부한 자산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바리공주』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서구 근대적 주체의 전복과 여성주체 형성의 이론적 가능성을 탐색한다. 우선적으로 『바리공주』의 ‘비동일적 자아’는 버려진 존재로서 ‘비’-동일성을 인식함과 더불어 자신을 버린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스스로를 버리는 행위, 즉 ‘비-동일성’을 선택하는 행위를 통해 확립된다. 나아가 수많은 고난들을 이겨내는 가운데 『바리공주』가 주체로 형성되는 원리는 ‘자립적 지혜’와 육체적 노동을 통한 ‘자기희생’이며, 그것이 궁극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가치는 상호연관적인 ‘생명’이라는 점을 밝혀 본다. 이와 같이 볼 때, 『바리공주』 는 버려진 한 여성이 자신을 도외시하는 현실을 인식하고 오히려 자신의 정체성을 더욱 적극적으로 찾아 나섬으로써 능동적 주체로 형성되는 과정을 매우 잘 형상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리공주』 는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여성 주체 형성을 위한 대안적인 개념 틀을 제공할 수 있다. Post-modern thinking criticizes a modern subject. We accept that the contribution of post-modernism to feminism is great, but this article starts by questioning post-modern thinking when it does not provide enough alternatives to the subject in general and to female subjects in particular. I am concentrating on a myth in order to find a solution to the difficult problem of a feminism that reconstructs female subjectivity reflected on the differences of women, without falling into essentialism. Myth is an original form about the various realities of life. In particular, Korean oral myths, sung by shamans, are abundant resources in which we can find new symbols for female subjectivity.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theoretical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the female subject and a subversion of the modern Western subject by focusing on an analysis of the Korean oral mythological text Bari Princess. First of all, the Bari princess recognizes her ‘non-identical self' through non-identity as depicted by her state as a deserted daughter. Her ‘non-identical self' is established by her act of choosing ‘non-identity,' namely the act of ‘self-sacrifice,' to rescue her father, who had abandoned her. Furthermore, the Bari princess forms her principles, ‘independent wisdom' and ‘self-sacrifice' in regard to physical labor, in the face of danger during her journey for life-giving water. Her ultimately intended value while practicing these principles is viewed as the interconnected, or interdependent, ‘living.' The mythological text Bari Princess shows very well how a deserted woman recognizes her ignored reality; this character has been created as an active subject so that she may find her identity. Thus, we can propose an alternative conceptual framework for subjectivity from a feminist perspective.

      • KCI등재후보

        손창섭 소설에 나타난 여성 하위주체의 위상

        김홍진(Kim, hongjin) 국어문학회 2014 국어문학 Vol.56 No.-

        손창섭 소설은 소외된 타자들의 우울하고 병적인 삶에 주목한다. 그러나 그의 소설에서 타자들이 겪어야 하는 전쟁의 상처는 남성의 몫으로 의미화된다. 본고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손창섭 소설에 나타나는 여성 하위주체의 위상을 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첫째, 이중억압과 타락한 욕망의 표상 대상으로서 여성 하위주체의 재현 양상을 살폈다. 둘째, 침묵의 강제와 ‘말하기’의 좌절 양상을 분석했다. 셋째, 여성 하위주체들에 대한 남성인물의 ‘말 걸기’의 실패 과정을 살폈다. 손창섭의 소설 속 여성들은 남성인물과 지배 이데올로기, 사회적 통념과 억압에 의해 침묵을 강요당하거나 발화의 공간을 빼앗긴 하위주체로 존재한다. 그런 이유로 스스로 말하기를 포기하고 침묵한다. 발화의 권리와 공간을 박탈당한 여성 하위주체들은 공적인 장에 배제된 채 소외된 타자로서의 이중억압적 성격을 고스란히 담지하고 있다. 손창섭 소설에서 서술자와 작중인물들은 여성 하위주체의 말하기를 박탈당해 침묵할 뿐이다. 또한 긍정적인 남성인물들의 여성 하위주체에 대한 말 걸기도 실패로 끝나고 만다. 남성인물들은 여성 하위주체를 전유하고 또 대변한다. 여성 하위주체의 말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해버림으로써 말하기와 말걸기는 실패로 끝난다. 남성인물들은 여성 하위주체를 구원해야 할 존재로 인식하고, 또 마치 자신의 소유물인양 여기는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윤리적 개별성’이 전제되지 않은 그들의 실패한 내밀한 만남은 여성 하위주체들을 또 다시 침묵하고 만든다. 손창섭의 소설 속 여성 하위주체는 침묵을 강요하는 전후사회의 인습과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그리고 말을 걸어주지만 결국은 외면하고 마는 이들로 인해 다시 무력하기만 한 말할 수 없는 존재론적 의미를 지닌다. Son Chang-seop’s novel pathological marginalized lives hitters eyes. However, the wounds of war in his novel is the role of the male. This paper is based on awareness of is sues such as the phase of the female Gender Subaltern subject. To this end, this paper is the first dual repression as an object of desire, repression and the fallen woman looked aspects of the reproduction of the subject child. Second, the forced silence and "speaking" frustrating aspects of the analysis. Third, women of child actors for the male characters "words hang" looked the failure of the process. Son Chang-seop male figures in the novel and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women are forced to by the silence. In addition, the repressive myths of space taken away by the fire of sub-subjects. That"s why you gave up speaking silent. Deprived of the right to fire women as sub ordinate actors marginalized batter has a dual nature of oppression. They can not tell people. In addition, the principal male figuresforthefemalechildisfailingand ends with the end of dialing. Male figures are subject to the appropriation of women and also represent the child. Male characters are present in women should be sub ordinate to the principal aware of salvation. Also pray thatifthissalvagetheirbelongings. Theydid not deviate from the patriarchal ideology. For this reason, the principal female sub breaks down into silence again. Son Chan-gseop subject of fictional female sub forced tosilenceaftertheconventionsof society and the patriarchal ideology, and eventually talk to the outside, but again due to force one million of the speak able existential meaning.

      • KCI등재후보

        김승옥 각색 시나리오에 내재된 '현대성'과 '여성의 주체구성'연구 -『태양을 훔친 여자』,『강변부인』을 중심으로

        장경실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2 코기토 Vol.- No.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and female self-identity and self-reflection formed in the environment with the concept of 'modernity' through analysis on two texts of <The Woman who stole the sun>(1979) and <Mrs. Kangbyun> (1980) which Kim Seung Ok adapted. Self-reflection is the emotion which can be formed when selection and responsibility of subject are regarded as important and is also the point in which ambivalent reaction or spirit of negation about experience of modernity is revealed and true modernity is expressed. In that sense, the modernity shown in the work of Kim Seung Ok converges to the self-reflection since desire and deviation surrounding the female subject is disclosed. Changes in women were represented by various causes such as downfall, skepticism and despair of men's incompetence and motherhood. These changing factors made a woman as the existence consisting of independence under the reflective self-awareness. In particular, although Kim Seung Ok acknowledged the female character's will of female subjectivity in two adapted texts, he showed female self-discipline and way of subjectification at the same time by setting the boundary in which women's desires were expressed freely in relation to 'motherhood'. In this regard, motherhood discourses of middle-class of Kim Seung Ok had the limitation to establish the women as subjects, but reproduction of this obsessive motherhood can be the mechanism to express the gap with reality and various aspects of desires of female subjects. In this sense, sexuality shown in his adaptation reproduced the course to overcome the mechanism to repress women and the possibilities of resistance and change in the way of constitution of female subjectivity were being expressed metaphorically. In that sense, something connecting to opportunity to introspect women's sexual desir can be interpreted as one way to understand his 'modernity' perception and as a media of subversive reading to read the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본 연구는 김승옥 각색의 <태양을 훔친 여자>(1979), <강변부인>(1980)이라는 두 텍스트 분석을 통해 당대의 사회문화적 환경과 그 속에서 형성된 여성의 자아정체성 혹은 자기성찰성을 '현대성'이라는 개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성찰은 주체의 선택과 책임을 중시할 때 가능한 감정이기도 하며, 그것은 현대성 체험에 대한 양가적 반응이나 부정의 정신을 드러내며 진정한 현대성이 발현되는 지점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김승옥 작품에서 보여준 '현대성'은 여성 주체를 둘러싼 욕망과 일탈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자기성찰로 수렴된다. 각색 <강변부인>의 주인공 민희는 남편 지인의 밀애장면을 목격한 후 그 입막음으로 외도가 시작되었지만 자신 역시 내밀한 욕망을 탐닉하게 된다. 이혼 후 민희는 자신에게 다가온 삶의 변화를 주체적으로 성찰하는 과정을 보이는데, 그 계기는 '모성'을 통해 구현되고 있다. 이에 비하여 <태양을 훔친 여자>의 주인공 정숙에게 모성은 주체적 삶을 선택하는데 갈등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물론 정숙 또한 모성이데올로기를 자발적으로 내면화하고 있지만, 민희가 가정으로 복귀하는 것과 달리 자신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고 선택해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는 여성 주체 의지가 재현되어 있다. 여성의 변화는 전락, 무능력한 남성에 대한 회의와 절망, 모성 등 다양한 원인들로 인해 나타난다. 그 변화 요인들은 여성을 반성적 자기인식 속에서 주체성을 구성하는 존재로 만들었다. 특히 두 각색 텍스트에 나타나는 여성인물에 대해 김승옥은 여성의 주체의지를 인정하면서도 여성의 욕망이 자유롭게 발현되는 것에 대한 경계를 '모성'과의 관계 속에 설정함으로써 여성들의 '자기규율(self-discipline)'과 '주체화방식'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이런 점에서 김승옥의 중산층 모성담론은 주체로서의 여성을 정립시키는 데 한계를 지니지만, 때로는 이러한 강박적 모성 재현이 실제 현실과의 간극과 여성 주체욕망의 다양한 이면을 드러낼 수 있는 기제로도 기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그의 각색에서 보이는 섹슈얼리티는 여성을 억압하는 기제들을 극복하려는 과정이 재현되어 있으며, 여성주체가 구성되는 방식에서 저항과 변화의 가능성도 은유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그가 여성의 성적욕망을 성찰성의 계기와 연결시키는 것은 그의 '현대성' 인식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이 되며 또한 당대의 사회문화적 함의를 읽어낼 수 있는 전복적 읽기의 매개체로 해석된다.

      • KCI등재

        성적 담론의 연행과 젠더화 전략

        김영희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2 No.-

        이 글은 성적(性的) 담론으로 기능하는 구전이야기 연행을 분석하여, 이와 같은 성적 담론의 연행이 성적 표상으로서의 섹슈얼리티를 규제하고 특정 젠더 경계를 자연화․규범화함으로써 특수하게 범주화된 젠더 규범과 질서에 부합하는 젠더화된(gendered) 주체를 생산해내는 효과를 발휘하는 과정에 주목한다. 성적(性的) 담론의 층위는 다양하지만 여기서 성적 담론으로 범주화한 구전이야기는 일반적으로 생물학적 성(性, sex)으로 분류되는 대상 외에, 신체 내 부위를 포괄하는 성적 표상과 성적 행위 및 욕망을 포함하는 섹슈얼리티(sexuality), 그리고 사회적․담론적으로 구성되는 젠더(gender) 권력과 규범을 다루는 영역까지 포괄한다. 성적 담론으로 기능하는 구전이야기를 연행하는 ‘여성’ 주체는 담론의 효과로 구현되는 젠더화 전략에 자발적으로 순응하면서 동시에 이로부터 탈주하는 복종과 불복종의 운동을 반복한다. 따라서 성적 담론을 통해 구성되는 ‘여성’ 주체는 필연적으로 이중적이며 분열적일 수밖에 없다. ‘남성’ 주체의 우울이나 불안, 혹은 그것을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진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일정한 혐의를 자신의 것으로 그대로 답습하는 수행을 반복하면서, 이와 같은 반복을 통해 조금씩 ‘여성’ 주체 스스로의 상실을 애도하는 연행으로 옮겨가기 때문이다. 성적 담론의 연행이 ‘여성’ 섹슈얼리티의 부정과 혐오, 성적 욕망의 부인과 결핍에의 고착을 정체성의 내용으로 반복 수행할 때 젠더 주체는 우울증적 주체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여성’ 주체의 구전이야기 연행에서 성적 담론의 우울증적 효과를 벗어나는 애도의 가능성을 발견하게 된다. ‘여성’ 연행자들만으로 구성된 수평적 연행의 틀 내에서 성적 담론의 연행을 통해 ‘여성적 표상’과 ‘여성의 성적 욕망’, 그리고 ‘성적 욕망의 실현 의지’에 대한 긍정과 적극적 의미 부여가 시도되기 때문이다. 이는 ‘여성’ 주체의 ‘거세 콤플렉스’ 극복을 암시하는 동시에, 젠더화된 주체를 억압하는 젠더 경계와 젠더 규범의 동요를 징후적으로 예고하는 것이기도 하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dealing with the sexual imagination and desi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can ascertain facts that the performance effects producing the gendered subject by naturalizing gender category and gender norm, and regulating the gendered body and sexuality. In this study, the oral narratives categorized as sexual discourse will include not only the narratives dealing with biological sex generally, but also the narratives about the sexuality meaning sexual behaviour and desire, and the narratives covering the gender norms and power to be constructed on social discourse. Female subject who perform the oral-narratives is participating on her own initiative in the gendered strategy to be given body by effect of the discourse and is flighting from it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female subject constructed by the sexual discourse, necessarily, are characterized by duplicity. Because female subject accepting the suspicion of male subject's melancholy and anxiety, or female sexuality to be made for protecting the melancholy and the anxiety, repetitively performs the oral-narratives, and through this repetitiveness moves gradually to the performance of mourning for loss of female subject. The gendered subject can not escape from the subject suffering from the depression, so long as the performance of sexual discourse repeatedly is connected with the negation and the disgust of female sexuality, and denial of sexual desire. But it is possible to detect potential for mourning to escape from the depression in the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