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여성작가의 섹슈얼리티 재현방식 연구 – 은희경과 전경린의 초기소설을 중심으로

        김예니 한국여성문학학회 2022 여성문학연구 Vol.56 No.-

        Eun Hee-Kyung is a key writer for discussing how women’s sexuality was reproduced and the meaning of reproduction in literature in the 1990s. By examining her early work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aning of playful attitudes toward the sexuality of female characters in her works in the context of the growing influence of the discourse of sexual liberation. Sexuality, which takes place inside and outside the category of “love,” reveals more clearly what kind of power relationship love is based on.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to reconstruct women’s sexual pleasures and satisfaction from a feminist perspective beyond acknowledging women’s sexual desire in situations where women’s sexuality is sexless or exists only as men. Therefore, women’s literature should be described with literary imagination to show how to reproduce women’s sexuality, which has not been meaningful or experienced so far. Moreover, the 1990s was a period during which artistic experiments for it began in earnest. She showed that the irrationality of normative femininity, which is based on the dominant atmosphere and patriarchal ideology of society, can make a woman unhappy. For this reason, pursuing women’s sexuality is, in the end, challenges taboo and is a process of overcoming it. This challenge to taboo led to another challenge: sex for pleasure and loveless marriages are possible when refusing to fantasize about the marriage system and romantic love. Her early novels raise provocative questions about women’s sexuality by challenging taboos, skepticism over romantic love, and sex for the simple pursuit of pleasure. She attempts to embody women’s sexuality in her writings and imbue it with a meaning that is different from the discourse of sexual intercourse from the previous period. It reproduced women’s sexuality in a way that was much closer to reality, even if the meaning was less resistant. It shows how violent and life-threatening patriarchal society is for women because women choose to survive without being hurt by satisfying men, not focusing on relationships and sex, and not giving meaning to the relationship. When only the “freedom to have sex” is emphasized, sex is like a joke, and female characters seem to have little to do with this playful attitude. However, there is significance in Eun Hee-Kyung’s works. 1990년대 문학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는지, 그 재현의의미가 무엇인지 논의하는 과정에서 은희경과 전경린은 반드시 거쳐야 하는 작가이다. 은희경과 전경린의 초기 작품을 통해 1990년대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면서 특히,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지점으로 당시 성해방 담론의 영향력이 커가던 상황에서 그녀들의 작품 속 여성 인물이 취하는 섹슈얼리티가 재현되는 방식과 이것이 갖는 문학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겠다. ‘사랑’이라는 범주 안팎에서 이뤄지는 섹슈얼리티는 사랑이나 연애가 어떤권력 관계에 기초하는지 더욱 극명하게 보여준다. 특히,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무성적이거나 남성의 대상으로서만 존재했던 상황에서 여성의 성욕을 인정하는 것을 넘어 여성의 성적 쾌락과 만족이 무엇인지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재구성하기란 쉽지 않은 문제이다. 그래서 여성 문학은 지금까지 의미화하지 못했거나 경험하지 못했던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어떻게 재현할 것인가 문학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서술해야 했고 1990년대에는 이에 대한 예술적 실험이 본격화된 시기라 할수 있다. 은희경은 『새의 선물』을 통해 사회의 지배적 정서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에 기반한 규범적 여성성이 가진 불합리함이 여성으로서의 삶을 불행하게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런 이유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추구하는 것은결국, 금기에 대한 도전이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이라고 말한다. 이런 금기에 대한도전은 결혼제도와 낭만적 사랑에 대한 환상을 거부하면서 쾌락 추구를 위한 섹스, 사랑 없는 결혼도 가능하다는 도전으로 이어진다. 은희경의 초기소설은 금기에 대한 도전과 낭만적 사랑에 대한 회의, 그리고 단순한 쾌락추구를 위한 섹스 등을 통해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해 도발적인 문제제기를 한다. 그리고 전경린은 가부장제와 규범적 섹슈얼리티를 위반하는 정념의 분출을통해 기꺼이 파탄을 향해 몸을 던지는 방식으로 여성 섹슈얼리티를 탐색한다. 전경린은 철저하게 불행하기를 감수하면서 온전한 자신으로 살기 위해 내면의 욕망에 충실하고자 심연의 저편을 향한 실천을 모색한다. 전경린은 규범적 세상에서는 죄가 될 수 있는 사랑을 하는데 죄책감이 없다. 그리고 현실의 파탄을 우회하지 않고 여성 섹슈얼리티를 추구하는데, 이는 여전히 모호하고 애매하지만 비유와 상징을 통해 전복적 상상력을 보여준다. 1990년대 여성작가들이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해 문학적 형상화를 시도했다는 것은 이전 시기 성해방담론과는 다른 의미가 있다. 여성작가의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재현은 그 의미가 덜 저항적이더라도 훨씬 현실에 가까운 방식으로 여성의 욕망과 현실을 반영한다. 남성에게 만족을 연기한다는 것, 관계와 섹스에 집중하지 않고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는 것이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자신이 상처받지 않고 살아남기 위한 은희경의 생존전략이었다면, 전경린은 정념의 분출을 통한 가부장제에 대한 위반과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무정형의 희망을 보여줌으로써 온전한 자기가 되려 했다. 이는 각각 남성의 성적 대상으로서 규범화된 여성성을 요구하던 시기, 이를 거부하고 금기를 깨고 위반을 도모하는 불안한 상상력의 재현 방식이었고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문학적 형상화를 모색하는 과정의 출발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장애여성의 섹슈얼리티 : 여성주의적 고찰 A Feminist Approach

        이은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소 2005 아시아여성연구 Vol.44 No.1

        지난 1980 - 1990년대 다양하게 진행되어왔던 여성주의 · 섹슈얼리티 담론들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섹슈얼리티가 여성을 억압하는 기제로 작용하고 있음을 지적해 왔다. 그러나 같은 여성이지만 '장애'라는 '다름'을 가진 장애여성들의 섹슈얼리티는 여성주의의 관심대상이 아니었고, 따라서 연구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에서는 장애여성에게 있어 섹슈얼리티는 어떤 의미이고, 어떤 방식으로 억압아니 통제의 기제가 되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주류 여성주의 내의 섹슈얼리티 논의들이 장애여성들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한지, 그 한계는 무엇인지 탐색해보았다. 장애여성들도 여성으로서의 섹슈얼리티 이슈를 가지고 있고 섹슈얼리티의 다양한 측면인 몸이나, 성, 모성 등을 통해 억압받고 있었다. 장애여성은 비장애여성과 비슷하게 몸의 아름다움이나 정상성을 이상화하는 지배적 사회이데올로기에 의해 영향 받고 있으며 따라서 신체나 외모의 손상이 부정적 자기이미지를 가져오고 자존감의 손상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았다. 성 욕구, 성 행동, 성 인식에 있어서도 장애여성들을 무성으로 간주하는 사회나 개인들에 의해 생물학적이 성(sex)과 사회적 성(gender)에서 모두 거부당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장애여성들이 성관계를 가질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차단되어 있으며, 이를 일탈적 행동으로 간주하는 사회적 편견이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모성에 있어서도 장애여성들은 장애를 가졌다는 이유로 출산권과 양육권을 제한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장애여성에게 있어 모성은 비장애여성과 다르게 여성으로서의 정체감과 자신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여성주의의 섹슈얼리티 담론들은 그동안 비장애여성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고, 이 과정에서 장애라는 특수성을 가진 여성으로서의 장애여성들은 소외되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여성주의 섹슈얼리티 담론들은 장애여성들과 같은 특수한 상황과 욕구를 가진 여성들에게 적용하기에는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여성주의에서는 장애여성들의 특수성을 고려한 새로운 여성주의적 접근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The sexuality discourse in feminism has pointed out that sexuality in patriarchal society has been a source of oppression against women. However disabled women have been out of the feminism's attention so that few studies are available regarding disabled women in the field of feminism.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has tried to analyse the fact that disabled women also have sexuality issues and they are experiencing the oppression at the level of body, sex, and motherhood. Disabled women like non-disabled women show that they are under the influlence of the main ideology of patriarchy which put a high value on beauty and normality of people. This consequently leads to negative self-image and low self-esteem of disabled women. Regarding sexual desire, sexual activities, and sexual consciousness, disabled women tend to be denied the biological sex and gender by the deep-rooted prejudice that disabled people are asexual. Therefore disabled women hardly get opportunities to have a sexual relationship or if they have it, they are considered as a delinquent behavior. In regard to motherhood, as they have a disability, disabled women are condiderable restricted to their reproductive right and fostering right. But it is revealed that disabled women take the chance of giving birth as a special experience which strengthen the sex identity as a women as well as confirm the value of thenselves. The feminist sexuality discourse has focused on non-disabled women and from this process disabled women have always been marginalized. In this context, the feminist discourse has only a partial relevance to the sexuality issues of disabled women. Therefore feminism should take a new approach regarding the disabled women's needs in relation to sexuality issues.

      • 1980년대 중국여성소설에 나타난 섹슈얼리티 : 장지에(??), 왕안이(王安?), 티에닝(?凝)의 작품을 중심으로

        최은정(Eun-Jeong Choi)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09 젠더와 문화 Vol.2 No.2

        본고는 섹슈얼리티의 관점에서 1980년대 중국여성소설을 읽어보았다. 그 중심 대상은 장지에, 왕안이, 티에닝의 작품이다. 이들의 작품에서 여성 섹슈얼리티는 도덕/반도덕이 부딪히는 장이다. 이 과정에서 여성 섹슈얼리티는 반도덕적이자 반사회적인 것으로 전락함으로써 여성 섹슈얼리티에 대한 전통적인 인식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한편, 인성의 회복이라는 1980년대 중국의 문학적 지향점에 비추어 볼 때, 섹슈얼리티는 상실한 인간성을 귀환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다. 이로 볼 때, 이들이 체현하는 여성 섹슈얼리티는 본능적인 욕망과 도덕적인 규범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인간의 근원적인 고민을 짚어내는 상징이다. 이는 곧 이들이 여성 섹슈얼리티를 통해 인간성 탐색을 구현함으로써 여성담론을 시대적인 담론과 융합하였음을 의미한다. 여성문제에 천착했던 1920년대 여성작가들이나 시대문제에 주목했던 ‘17년 시기(1949-1966)’의 여성작가들과 비교해 보면, 이들은 여성서사의 지평을 확대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sexuality in Chinese female novels from the 1980s. It targets on the works of Zhang-Jie, Wang-AnYi, and Tie-Ning. Women's sexuality is a place of ethnic and anti-ethnic encounters in their works. In this process, as the sexuality of women was regarded as anti-ethnic and antisocial, it was hard to recognize women's sexuality. On the other hand, reflecting China's cultural aim of recovering humanity in the 1980s, sexuality is away of restoring that lost humanity. In this regard, women's sexuality is a symbol drawing out humanity's essential distress that constantly conflicts between extinctive desires and ethnic standards. It is the union of women's discourse and historical discourse by humanity seeking women's sexuality. Compared to those by female writers who dealt with women issues in 1920s or who wrote about the problems from 1949 to 1966, these three authors extend the horizon of the female epic.

      • KCI우수등재

        이혼한 한부모여성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질적 연구

        이혜정,송다영 한국여성학회 2020 한국여성학 Vol.36 No.2

        This study sought to confirm the sexuality reality surrounding the existence of divorced single-mothers, dynamic and harmony in their role as head-parent-single. Eight divorced single-mothers were interviewed in-depth and were analyzed by Colaizzi's phenomenological data analysis metho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ivorced single-mothers were experiencing sexuality through overcoming trauma in the divorce process, stabilizing economic problems, and communicating with her children. Divorced single-mothers were found to be exercising self-reliance, bargaining power in their relationships with men by separating the marriage-family from sexuality, and forming a more active attitude than their previous marriag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and modern norms surrounding the sexuality of divorced single-mothers can serve as an element of conflict. We would like to discuss the socio-cultural context, limitations and change of family-marriage-sexuality surrounding divorced single-mothers in our society. 본 연구는 내부자 시선으로 이혼한 한부모여성의 섹슈얼리티 경험과 구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혼 한부모여성의 존재성, 가장-부모-싱글로서의 역할 갈등과 조화를 둘러싼 역동적 현실, 이혼한 한부모여성의 섹슈얼리티 구성에서 이혼이라는 생애경험이 가져온 변화-남녀의 관계, 성적 욕망의 구현, 그리고 결혼과 가족, 이혼한 한부모여성의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사회적 시선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혼한한부모여성 참여자 8명을 심층 면접하고 Colaizzi의 현상학적 자료분석 방법으로 공통적인 경험의 속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혼한 한부모여성들은 싱글이라는 정체성 속에서 이혼과정의 트라우마를 극복하고, 경제적 안정화, 자녀와의 소통을 기반으로 섹슈얼리티를 구성・경험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이혼에 대한 성찰적 태도를 구축하고 있었다. 이혼 한부모여성은 제도적 결혼・가족 구성과 섹슈얼리티 구성을 분리함으로써 남성과의 관계에서의 주체성, 협상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이혼 전보다 주도적인 섹슈얼리티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혼한 한부모의 섹슈얼리티를 둘러싼 전통적이고 근대적인 규범은 이혼한 한부모의 내면과 사회적 관계에서 갈등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사회의 이혼한 한부모여성을 둘러싼 가족-결혼-섹슈얼리티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한계, 그에 대한 새로운 주체적 도전의 양상을 논의하였다.

      • 판소리 섹슈얼리티 재현 양상 연구

        서유석(Seo You Seok)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2009 통일인문학 Vol.48 No.-

        본 연구는 판소리에 나타나는 조선 후기 하층 여성의 다양한 섹슈얼리티 재현 양상을 살펴보고자한다. 섹슈얼리티는 개인적인 것이지만, 본고에서는 결혼을 기준으로 조선 후기 여성의 사회적 섹슈얼리티를 나누어 보았다. 이러한 기준에 의하면 조선후기 여성의 사회적 섹슈얼리티는 크게‘열녀’, ‘음녀’, ‘기녀’, ‘한처’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춘향은 당대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하였던 덕목들, 즉 지배 담론들을 능동적으로 주체화하여 기녀의 섹슈얼리티에서 열녀의 섹슈얼리티를 획득하고 있다. 즉 춘향이 보여주는 섹슈얼리티의 변화는 당대 사회의 남성들이 요구한 판타지와 같은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 할지라도, 춘향이 자신의 애정과 선택을 지켜 스스로 얻어낸 결과이다. 하지만 춘향과 같이 하층민이지만, 유랑민에 가까운 다른 여성 인물들에게 이러한 섹슈얼리티의 전형적인 모형은 적용될 수 없었다. 왜냐하면, 하층 여성들에게 결혼이란 그리고 성이란 자신의 삶의 수단일 뿐이었기 때문이다. 〈변강쇠가〉에 등장하는 옹녀는 어찌 보면 지난한‘남편찾기’과정에서 색녀라는 오명을 뒤집어 쓴 것인지 모르기 때문이다. 삶의 방편으로 혼인과 남자를 찾았던 하층 여성에게 당대 사회가 요구한 사회적 섹슈얼리티는 적용될 수 없다. 따라서 옹녀와 뺑덕어미에게 요구된 사회 지배 이념은 허황된 것이 되고 그들은 당대 사회의 지배 담론이나 섹슈얼리티에서 완전히 일탈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sexuality reproduction aspects of female characters appeared in pansori and to find them eaning of suchaspects. Social sexuality of women in the late Joseon era on the basis of marriage can be classified into ‘a woman of virtue’, ‘a loose woman’, ‘gisaeng’, and ‘a plain woman (a woman who is not loved by her husband).’ Chunhyang actively subjected the dominating discourse which was the virtues that the society at that time demanded, and obtained the sexuality of a woman of virtue from the sexuality of gisaeng. In other words, even though the changes in sexuality that Chunhyang showed had characteristics of a fantasy demanded by men in the society at that time, they are the results that Chunhyang obtained by herself by maitaining her love and choice. However, the typical model of such sexuality was not able to be applied to the female characters that were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es like Chunhyang but were more like nomadic people. It was because marriage and sexuality were just a means of their living for women of the lower classes.. Ongnyeo who appear in “Byeongangsoiga” may have been falsely charged with the stigma of a loose woman in the course of performing an extremely difficult job of “finding husband.”The social sexuality that the society at that time demanded cannot be applied to the women of the lower classes struggling to find marriage and men as means of living. Accordingly, the dominating ideology of the society that was demanded from Ongnyeo and Baengdeokeomi was nonsensical, and it can be viewed that they were completely excluded from the dominating discourse of the society or sexuality at that time.

      • 신르네상스 시기 한국영화에서의 성별/성에 대한 재현

        김선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01 여성문학연구 Vol.5 No.-

        1990년대 후반 한국영화는 ‘신르네상스’ 시기라 불릴 정도로 영화 산업적인 면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이 시기에 한국영화는 40%의 극장 점유율과 제작 편수의 증가를 기록했다. 다양한 영화들이 이 시기에 제작된 가운데 이전과는 다른 방식의 서사와 새로운 장르가 등장했다. 이 글은 신르네상스 시기라 불리우는 90년대 후반 한국영화를 성별/성을 중심으로 지도를 그려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 영화는 함축적인 사건, 즉 징후적 텍스트로 위치해 있다. 그리하여 이 글은 90년대 후반에서 2000년 당대에 남성 중심의 이성애 구조를 해체하는 새로운 욕망의 경제와 주체성의 관계를 영화가 어떻게 징후적으로 제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본다. 신르네상스 시기 한국영화는 성별/성의 재현에 있어서 크게 두 가지 방향에서 변화를 일으켰다. 하나는 기존에 이성애 중심의 여성 섹슈얼리티가 아닌 레즈비언 섹슈얼리티가 등장한 것이며 다른 하나는 외상으로서의 한국역사가 본격적으로 등장, 이 역사와 여/남 주체성의 관계에 대한 탐구가 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의 영화에서 레즈비언 섹슈얼리티가 등장한 영화는 <노랑머리>, <텔 미 썸딩> 그리고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이다. 이 중에서 <노랑머리>와 <텔 미 썸딩>은 싸이코 킬러로서 레즈비언이 등장한다. 이 두 편의 영화들은 레즈비언이 등장하기 위한 재현의 조건을 제시한다. 그것은 범죄자로서의 레즈비언, 공범 관계의 두 여성, 여성의 욕망과 범죄의 비례 관계, 실패한 이성애 여성의 선택으로서의 레즈비언 섹슈얼리티, 어머니의 부재가 낳은 비정상적인 섹슈얼리티로서의 레즈비언 섹슈얼리티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여고괴담 두 번째 이야기>는 규범적인 정상성보다 우월한 일탈적인 비정상성을 상징한다. 그리하여 영화는 법과 언어의 질서에 균열을 내는 감각과 비언어의 소유자이자 저항적 주체로서 10대 레즈비언을 등장시킨다. 식민지 시기와 한국전쟁 그리고 80년대 광주의거를 거친 한국역사의 남성 주체성이 맺는 관계가 본격적으로 고찰된 시기 또한 신르네상스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아름다운 시절>과 <박하사탕>이 그 예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편의 영화는 다른 방식으로 역사와 남성 주체성을 접합시키는 데 <아름다운 시절>은 아버지에 순응하는 아들을 통해서 민족의 역사를 긍정하는 애국주의적 방식으로, <박하사탕>은 자살을 통해서 민족의 역사라는 자아-이상을 거부하는 자학적인 아들을 통해서 역사를 알레고리화한다. 한편 신르네상스 시가의 대표적인 영화인 <쉬리>는 분단 문제와 여성의 관계를 멜로와 액션의 혼합인 블록 버스터 장르 속에서 빚어낸 영황이다. 이 영화는 분단에 처한 한국의 상황을 강등적이고 복합적인 여성 정체성으로 알레고리화해서 역사와 여성의 보다 복합적인 관계를 펼쳐보인다. 이 영화는 분단의 희생자로서의 민족 알레고리고서의 여성과 액션 영화의 총을 든 여성이라는 도상을 결합, 능동적이면서 변화하는 여성 이미지와 정태적이면서도 고착된 분단 상황이 모순적으로 결합된 토착적이면서도 절충적인 블록 버스터 영화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90년대 말 ‘신르네상스’ 시기 한국영화는 정형화된 성적 재현들을 탈피하면서 레즈비언 섹슈얼리티의 재현 가능성을 질문, 새로운 욕망의 경제를 펼쳐보였고 역사 및 민족 이데올로기와 여/남의 주체성의 관...

      • KCI등재

        미혼여성의 섹슈얼리티 성향에 따른 뷰티관심도와 신체만족도에 관한 연구

        홍수남 ( Soo Nam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5

        최근 대중매체나 산업전반에 섹슈얼리티를 활용한 광고와 이미지가 눈에 띄게 부각되고 있다. 이는 대중스타의 외적 이미지에서 주로 나타나고 있으며, 기존 여성상의 변화와 사회 정서의 변화 등이 대중문화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미혼여성의 섹슈얼리티 성향에 따른 뷰티관심도와 신체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섹슈얼리티 유형에 따라 군집분석을 한 결과 결혼선택형, 여성우월형, 자기주도형의 3의 요인점수를 기준으로 2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고 군집1은 섹슈얼리티 고성향, 군집2는 섹슈얼리티 저성향으로 명명하였다. 군집유형에 따라 뷰티관심도와 신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섹슈얼리티 성향이 높은 경우 뷰티관심도가 높았고, 섹슈얼리티 성향이 낮은 경우는 신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섹슈얼리티 성향이 뷰티관심도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자기주도형과 여성우월형이 섹슈얼리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자기주도형이 높아지면 뷰티관심도는 상승되고, 여성우월형이 높아지면 뷰티관심도가 상승되었다. 섹슈얼리티 성향이 신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하위요인 모두 자기주도형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기주도형이 높아지면 외모만족도와 체형만족도가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섹슈얼리티 성향이 높은 현대의 여성상일수록 자기애와 자존감이 강한 사람일수록 뷰티관심도가 높아 외모개선의지와 외모관리행동을 하게 되며, 섹슈얼리티 성향이 낮은 과거의 여성상일수록 자기 신체에 대해 적당히 만족하고 개선의지 또한 낮은 것으로 보여진다.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sexuality tendency depended beauty interest and physical satisfaction of single women. The result is as the following. Sexuality tendency was categorized into marriage selection type, women superior type, and self-directed type. Beauty interest had one factor which is named as beauty interest. Physical satisfaction was categorized into appearance satisfaction and body figure satisfaction. Group analysis on sexuality used categorization of 2 groups according to criteria points of marriage selection type, women superior type, and self-directed type. Group 1 was named as high sexuality type and group 2 was named as low sexuality type. Regarding sexuality tendency depended beauty interest, beauty interest was high when sexuality tendency was high and physical satisfaction was high when sexuality tendency was low. On the other hand, overall physical satisfaction and body figure satisfaction was low to a certain degree when sexuality tendency was high. When the influence of sexuality tendency on beauty interest and physical satisfaction was looked into, self-directed type and women superior type was found to influence sexuality tendency. When the influence of sexuality tendency on physical satisfaction was looked into, self-directed type was found out to influence all low rank factors, which are appearance satisfaction and body figure satisfaction.

      • 유혹하는 여성: 일제강점기 대중가요에서 재현된 여성의 욕망과 섹슈얼리티

        이은진(Lee, Eunjin) 한국대중음악학회 2017 대중음악 Vol.- No.20

        이 글은 대중문화, 특히 대중음악 전반에 걸쳐 여성에 대한 재현 방식과 여성성의 수행 방식이 정형화되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문화적 텍스트에서 여성을 재현하는 방식이 일정한 경향성을 띠고 있다는 것은 여성을 특정한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정형화한다는 의미이며, 여성을 유형화된 전형으로 인식하는 것은 차별과 혐오의 기제를 기반으로 한다. 특히 음악은 여성을 정형화하여 재현하는 언어적 서사를 음향적 전형성으로 제시하고, 여성 연행자가 정형화된 텍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여성의 발화 방식을 특정한 형태로 규정한다는 특수성을 가진다. 대중가요는 이러한 이중적 정형화가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분야이자 그 대중성을 통해 가장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매체이다. 따라서 대중가요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정형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문화적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여성혐오의 발현 양식에 대한 이해를 좀 더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에 서는 대중가요에서 드러나는 여성의 재현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나라 대중가요의 원형이 만들어진 일제강점기에 초점을 맞추어 이 시기의 대중가 요에서 여성과 여성성의 수행을 재현하는 방식이 일정한 경향성을 띠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특히 ‘연애’를 소재로 한 노래들에서 이러한 경향성이 두드 러지게 나타나는데, 여성의 욕망을 ‘연애’로 한정 짓고 여성이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는 방식을 유아화된 형태로 제시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경향성이 가장 표면적인 층위에서 드러나는 것은 가사에서이지만, 이를 좀 더 직접적이고 감각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음악적 장치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연애를 욕망하는 여성을 소재로 다룬 노래에서 드러나는 음악적 경향성을 살펴봄으 로써, 연애라는 사적 관계에서 사회가 여성에게 요구했던 일정한 규범이 대중 가요를 통해 재생산되고 있었음을 논의하였다. 이 시기 대중가요에서 자신의 욕망을 표현하는 여성 화자는 자신이 순진하고 어린 처녀임을 강조하는 동시에 여성적 섹슈얼리티를 강조해야 했다. 이를 위해 대중가요에서는 여성의 목소리를 부각하는 음악적 장치를 사용하는 한편 아양과 애교를 드러내는 창법을 강조했다. 이러한 재현 방식을 통해 당대의 대중가요는 여성의 욕망을 일정한 방향으로 규정하고 그 욕망을 표현하는 규범적 방식을 재생산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특정한 방식으로 정형화되었고, 이러한 전형성이 대중에게 유통됨으로써 여성적 섹슈얼리티의 규범적 수행 양식이 학습되는 효과를 낳았음을 논의하였다. Women and femininity, in many cultural texts, are represented and performed in a certain standardized way. This standardized pattern, widely dispersed in popular culture, is an evidence that there is a certain tendency in regards to representing women in cultural texts. This, in turn, indicates that women are being standardized and categorized into specific types, and the tendency to perceive women as stereotypes is strongly based on the mechanism of discrimination and hatred(Misogyny). Although the practice of representing women as stereotypes can be found in most cultural texts, music deserves special attention for it is a field in which a female performer herself has to perform the stereotyped text, conveying a verbal narrative depicting a standardized image of women, by means of a sound model which is perceived and defined as a typical female way of singing and speaking. Popular music, a medium of most powerful and vast influence, is where the double standardization of women appears most clearly. Therefore, in order to gain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 pattern of manifestation of Misogyny in cultural texts, it is crucial to understand how women in popular music are and have been represented as stereotypes. To discuss the representation of women in popular music, the author of this article analyzes the Korean popular music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during which the archetype of Korea’s modern popular music was formed, to find that the popular music of Korea had a tendency to represent and perform women and femininity in a certain standardized way from the beginning. Although this tendency is most clearly revealed in verbal text, i.e. the lyrics, it is music that delivers this tendency directly and sensuously to the listeners. Thus, this article analyzes, focusing on the interaction between musical elements and verbal text, the musical tendencies of popular vocal music representing the image of women longing for love. produc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songs which deals with romantic relationships show that how certain norms that the society imposed on women, regarding personal relationships, were being reproduced through popular music of the era. In the narratives where a female subject expresses her desire for love, she has to stress the fact that she is a young virgin and use musical devices suggesting flattery and coquetry. This specific way of representation defines female desires in a certain way and reproduces a specific manner of expressing those desires. This particular manner was accepted by the Korean socie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as a norm, and female sexuality became standardized in a certain way to be accepted by both women and men as typical. In sum, this article analyzes the Korean popular music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find that these popular song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reproducing the norm of femininity, in which the masculine desire is projected, and disciplining both women and men to accept the standardized feminie sexuality.

      • KCI등재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의 전략 -신현림․김선우의 시를 중심으로-

        김순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29 No.-

        This abstract is about the strategy of sexuality and subversion mainly written from the texts of Shin Hyeonlim and Kim Seonwoo. In order to research how the sexuality in women's poems in 1990s is reenacted and what it means, ultimately I read the two poets' poems on the basis of French feminist Luce Irigaray's argument, which emphasizes the gender gap and the embodiment of a woman's body. According to him, the role of a woman's body in androcentric society is perceived as men's sexual object or a tool for giving birth. However, woman is not an object or a possession of a man. To make good her position, she secures woman's sexual identity by using two strategies. One is to show the man's ideology engraved in the patriarchy and the other is to compose the feminine order which provides women their positive gender identity. Shin Hyeonlim and Kim Seonwoo are the poets of the 1990s who emphasized the liberty and the individuality of others and raised their voices using a similar strategy to Luce Irigaray's. By showing the truth of woman which the patriarchy system eliminates and neglects, their poems present new image of sexually independent woman. In Shin Hyeonlim's poems, woman is reenacted as man's sexual toy and a tool for giving birth. As a result, woman's sexuality appears in a negative way. It seems to accept the order of a patriarchy, but its ultimate goal is to betray the man's fantasy for woman's body. In Kim Seonwoo's poems woman no longer exists as a fictional one for man's lust. In her poems, all the things interact and love one another It seems to show a utopia as a substitute for the negative reality of life. Their poems are very meaningful in seeking a new world where everybody lives harmoniously, transferring away from the unequal relationship of oppressing and being oppressed. 이 논문은 여성시에 나타난 ‘섹슈얼리티와 전복의 전략’을 신현림․김선우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살폈다. 여성시에서 섹슈얼리티는 어떤 방식으로 재현되는지, 그것이 궁극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하여 여성의 몸으로 성차와 체현을 강조하는 프랑스페미니스트 이리가레이의 논의를 참조하여 두 시인의 시를 읽었다. 이리가레이에 따르면 남성중심적 사회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남성의 성적 쾌락의 대상이거나 생산을 위한 도구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여성은 남성의 대상이나 소유물이 아니다. 그러므로 여성이 자신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성적 존재로서 주체성을 확보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하나는 가부장적 질서 내에 각인되어 있는 남성 이데올로기를 드러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여성에게 긍정적인 성 정체성을 제공할 수 있는 여성적 의미질서를 구성하는 것이다. 신현림․김선우는 타자의 자유와 주체성을 강조했던 90년대 시인들로, 이리가레이와 유사한 전략으로 타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의 시는 가부장적 질서가 배제하고 소외시킨 (여)성의 진실을 보여주면서, 성적주체로서의 여성이라는 새로운 이미지를 제시한다. 신현림의 시에서 여성은 주로 남성의 성적 쾌락과 생산을 위한 도구로 재현된다. 따라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부정적인 방식으로 나타난다. 이는 가부장적 질서를 수용하는듯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여성 육체에 대한 남성의 시선과 환상을 위반하기 위한 전략이다. 김선우의 시에서 여성은 더 이상 남성의 욕망의 대상으로만 존재하는 허구적 (여)성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그의 시에는 모든 만물이 서로 교류하고 사랑을 나눈다. 이는 부정적인 현실에 대한 대안으로서 유토피아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시는 억압과 피억압이라는 불평등한 관계를 넘어 모두가 조화로운 새로운 세계를 모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

      • KCI등재

        현대소설에 나타난 이주여성의 재현 양상

        엄미옥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29 No.-

        이 논문은 현대소설에 나타난 이주여성의 재현양상을 살피고, 여성이 이주의 경험을 통해 정체성이 형성되는 측면을 밝히고자 한다. 나아가 이주여성의 재현양상을 통해 서사적 상상력이 다문화 사회에 제기하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지를 성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주의 여성화 속에서 이주여성의 정체성과 젠더가 몸, 섹슈얼리티, 노동의 범주뿐만 아니라 계급, 국적, 인종, 문화의 위계화 등 다양한 맥락 속에서 어떻게 구성되는가를 살폈다. 먼저 결혼이주여성은 맞선 과정에서부터 남성에 의한 시각적인 응시의 대상이 되며 결혼생활에서 가부장적 가족규범에 부합하는 아내와 며느리로서 유순한 몸을 요구받는 등 몸과 섹슈얼리티를 통해 대상화 된다. 노동 이주여성의 경우 주로 감정노동이나 돌봄노동에 종사하거나 섹슈얼리티를 매개로 한 직업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브로커에게 속아 임금을 착취당하고 신체를 유린당하는 등 기본적인 인권마저 보호받지 못한다. 이는 여성의 결혼 및 노동이주의 양상이 몸과 섹슈얼리티를 매개로 하는 성별화된 이주의 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한편 이주여성은 떠나온 공간과 새로 거주하는 공간 ‘사이에 낀’ 존재로서 이질적인 문화의 다양성과 차이를 통해 문화적 혼종성을 경험하는데, 가부장적 문화와 언어 그리고 음식을 둘러싼 갈등 속에서 이주여성의 문화는 이주한 공간의 문화와 상호교섭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일방적으로 동화되도록 요구받는다. 이주여성은 경제적, 문화적, 언어적 위계관계 속에서 자신의 견해를 스스로 말할 수 없는 하위주체이다. 이주여성을 그린 작품에서는 이러한 하위주체를 재현하기 위해 서술자나 작가의 개입이 최소화된 3인칭 전지적 작가시점과 1인칭 관찰자 시점에 의한 증언의 서술방식이 지배적이다. 「잘가라 서커스」, 「파프리카」, 「가리봉 연가」, 「그곳에 밤 여기의 노래」와 같이 인물의 내면이 번갈아 초점화되는 3인칭 전지적 시점의 서술방식은 독자가 인물의 욕망을 직접적 으로 이해하도록 만든다. 「그 여자가 사는 곳」, 「타인과의 시간」, 「꽃가마배」와 같은 1인칭 관찰자 시점의 서술방식은 이주여성의 삶을 지켜 본 목격자로서 분열되는 이주여성의 정체성을 증언한다. 이러한 서술과정에서 드러나는 타자의 고통에 대한 공감과 이해는 독자에게 시민의식과 다문화감수성을 불러일으키면서, 문학의 “서사적 상상력이 시민적 상상력을 계발하는 데에 이바지한다”는 것을 입증한다. 요컨대 이주여성은 배타적인 시민권과 국민국가의 경계에 의문을 던지는 존재로서 독자가 이주여성의 재현을 통해 깨닫게 되는 공감의 공적이익은 올바른 시민권에 대해 성찰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how the migrant women are created in the modern novels, how their identity is form via the migration experience and furthermore, what issues the narrative imaginations raise to the multi-cultural societies. To do this, it was examined from the feminization of migration how the identity and gender of the migrant women are formed with regard to body, sexuality and labor as well as in the extensive contexts of class, nationality,ethnicity and cultural hierarchy. The women who migrate to get married are visually stared at by men from the start of the match-making process and are asked as the wife and daughter-in-law to abide by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and asked to provide the body obediently. They are objectified for body and sexuality. As those ‘lodged between’ the home they had left and the new home, migrant women experience cultural hybridity arising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verse cultures. In the conflict with the patriarchal system of culture, language and cuisine, the cultures of the women fail to co-exist with the culture of their new home, where the women are forced to assimilate to the new culture. Migrant women are subaltern who cannot voice their opinions as they are locked away in the financial, cultural and language hierarchies. In the novels that describe such migrant women, the third-person omniscient point of view and the first-person observer point of view – which minimizes the intervention of the narrator or writer – are dominant in the narration to reconstruct the state of sub-entities better. The third-person omniscient point of view in “Goodbye Circus”, “Paprika”, “Love Song of Garibong” and “The Night There, the Song of Here”, where the inner mind of the characters are focused, makes the readers directly understand the desire of the characters. The first-person observer point of view in “The Place Where She Lives”, “Time with the Other” and “Flower Palanquin Boat” attests to the identity of the migrant women who are torn up by what they observe in the life of other migrant women. The empathy and understanding of the pain revealed in the narratives of such invoke the sentimental understanding of diverse cultures and awareness as citizens from the readers, thereby demonstrating that the literary “narrative imagination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imagination of citizens”. In short, migrant women are those that raise questions about the exclusivity of citizenship and boundaries of a nation state, whereby the public interest that the readers come to understand will provide the opportunity to form the more upright notion of citize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