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코세대의 미래를 위한 기독교 교육적 상담의 필요성 연구

        이정관 한국실천신학회 2016 신학과 실천 Vol.0 No.49

        본 연구의 목적은 입시위주의 교육풍토와 불확실한 취업환경 등 에코세대들을 둘러싼 여러 측면의 사회적 환경이 이들의 건강한 성장발달에 긍정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다가오는 미래사회 환경을 전망해 봄으로써, 오늘의 에코세대들이 올바른 그리스도인으로 행복한 삶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미래는 오늘을 사는 젊은이들의 몫이라고 할 때 틀린 말이 아닐 것이다. 젊은이의 중요성에 대한 의미는 재론할 여지가 없다. 대부분 사람들은 에코세대가 미래이며 장차 이 나라를 이끌 주역으로 여긴다. 그러나 사실 에코세대는 미래를 위해서만 중요한 것이 아니라, 현재에도 중요하다. 에코세대는 개별 가정에서는 물론 교회와 사회적으로도 희망과 기쁨 그리고 활력의 근원으로서 다른 구성원들에게 미래의 꿈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에코세대의 미래를 위한 기독교 교육적 상담은 오늘을 살고 있는 젊은이들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여 구원을 얻게 하고, 나아가 확실한 영적성장을 할 수 있도록 그리스도의 주권 아래 자신들의 왕성한 젊음의 자원을 보전하여 개발하게 하는 것은 미래를 준비하는 에코세대들에게 가장 중요한 도전이다. 따라서 기독교교육과 상담은 공히 교육과 상담을 통하여 기독교적인 올바른 가치관을 확립하고, 그리스도의 인격을 닮아가는 올바른 관계를 회복하여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삶을 살아가도록 인도하는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에코세대의 미래를 위한 기독교 교육적 상담은 하나님이 가르쳐주신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 것이다. 즉, 현실에 당면해 있는 문제들과 미래를 준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서 먼저 오늘을 살고 있는 젊은이들의 삶의 현실과 기독교 교육적 상담의 목적, 필요성 그리고 기독교교육과 상담의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그 다음에 에코세대들이 지혜로운 결정을 하도록 도와주기 위하여 누가, 왜, 어떻게, 무엇을 상담을 해야 하는지를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에코세대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올바른 영적인 성장을 하게 되고, 미래를 준비하고, 미래를 살아가는 삶의 의미와 목적을 찾는 기독교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ays to assist the Eco Generation create happy lives as proper Christians. This is necessary for young people today who, surrounded by a society where the education climate is college entrance driven, career prospects are uncertain and are faced with an environment that proscribe positiv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are in preparations for the quickly approaching future where the outlooks do not look favorable. The most important challenge for the youth of today in the Eco Generation in preparing for the future is to conserve and develop resources of unblemished youth while under Christ’s sovereignty as they are guided to Christ through Christian education counselling, receive salvation and achieve genuine spiritual growth. Accordingly, counselling in Christian education in regards to the future for the Eco Generation is in helping to find solutions to problems through the teachings of God. In other words, it involves the problems that are currently being faced as well as for preparation for the future Therefore,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realities of the lives of young people living today need to be examined, as well as the aim and necessity of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ling.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 education and counselling will be examined. Thereafter, to help the Eco Generation make wise choices, the issues of the what, how, why and who of how counselling should be undertaken will be considered. This study wil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on the proper spiritual growth in Christ of young people of the Eco Generation and in their preparation and search to find meaning and goals for their lives while establishing a Christian identity.

      • KCI등재후보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의식 변화

        한상근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19 노동연구 Vol.39 No.-

        I analyzed the change of job consciousness in Korean society from the generational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eco generation and baby boom generation. The analytical data of this study is the result of a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Vocation every four years since 1998. For generation comparison, the analysis was performed in two dimensions. First, the cross-sec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work consciousness of eco-generation and baby boomers in 2006,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work consciousness between eco-generation and baby boomers in 2018. Second, through the longitudinal analysis, changes in th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f the baby boom generation and the current baby boom generation 12 years ago were analyzed, an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the eco generation in 2006 and the eco generation in 2018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aby boomers consistently value work more than eco generations, and recent eco generations value work more than ever. The eco generation valued leisure, schooling and ability development more than the baby boomers in their lives, and the baby boomers valued the importance of leisure life more than 12 years ago. Baby Boomer’s self-assessment of job professionalism was lower than that of the eco-generation, and changed more negatively over tim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aby boomers consistently value work over the echo generation, and the recent echo generation valued the importance of work higher than in the past. Eco-generation values leisure life, study and ability development over baby boomers, while baby boomers value the importance of leisure life more than 12 years ago. Baby boomers’ self-assessment of professionalism was lower than that of the Echo generation, and more negatively changed over time.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의 직업의식 변화 실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는 1998년 이후 4년 마다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 연구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이다. 세대별 비교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차원에서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첫째, 횡단분석을 통해 2006년 시점의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 직업의식을 비교하고, 2018년 시점의 에코 세대와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의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둘째, 종단분석을 통해 12년 전 베이비붐 세대와 현재의 베이비붐 세대의 직업의식 변화를 파악하고, 2006년 에코 세대와 2018년 에코 세대의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베이비붐 세대는 에코 세대보다 일관되게 일의 가치를 중시하고 있으며, 최근의 에코 세대는 과거에 비해 일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에코 세대는 베이비붐 세대보다 여가생활, 학업 및 능력개발을 삶에서 중요시하였으며, 베이비붐 세대는 12년 전보다 여가생활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직업의 전문성에 대한 베이비부머의 자기 평가는 에코 세대의 자기 평가보다 낮고, 시간 경과에 따라 보다 부정적으로 변화하였다.

      • KCI등재

        경기도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 이분형 로짓분석을 적용하여

        여관현,이소윤,홍세영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23 사회적질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경기도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세대별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경기도 세 대별 주거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2020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이분형 로짓분석을 적용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베이비붐세대(고령 세대)가 에코세대(청년세대)보다 주거만족도가 높았으며, 베이비붐세대의 경우 경기북부지역보다 경기남부 지역에서 주거만족도(공간적 분포)가 높았다. 청년세대인 에코세대는 전·월세에 거주하는 경우 주거만족도 가 베이비붐세대보다 높았고, 고령세대인 베이비붐세대는 1인가구일수록 주거만족도가 높았다. 이런 결과 를 봤을 때,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세대별 주거만족도 향상을 위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이비붐세대의 경우 1인가구(소형주택) 중심의 주택공급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베이비붐세대의 주거안정 을 위해서는 주택공급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셋째, 에코세대의 주거안정을 위해서는 임대주택 중심의 주택 공급이 필요하다. 넷째, 에코세대를 타깃으로 한 주거비지원과 금융지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에코세대 의 주거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별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세대별 주택정책 수립을 통해 경기도민의 주거복지를 향상시키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세대의 사회특성에 대응한 서울시 지역정책 연구

        여관현,박민진 대한지방자치학회 2014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서울시의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사회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서울시가세대별 사회특성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세대별 사회특성은 주거특성, 직업특성, 문화·여가활동, 인구특성, 가치의식(가치관), 사회자본(신뢰), 삶의 질 등으로 구분하였다.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세대의 사회특성에 대응한 서울시의 지역정책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는 에코세대의 주거점유형태를 반영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못한 에코세대들이 자가 주택을 구입할 수있는 저렴한 소규모 주택을 공급하여야 한다. 둘째, 현실적으로 경제적인 여유가 부족한에코세대의 자가 구매 또는 임대 수요자에 대한 적극적인 주택자금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서울시는 베이비붐세대에 대한 은퇴 이후의 생활을 보장할 수 있는 새로운 일자리 확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서울시는 마을공동체사업이나 협동조합 등을 통해 베이비붐세대가 활동할 수 있는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서울시는 베이비붐세대의 다양한 문화 및 여가활동 등을 지원해주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여섯째, 서울시는 베이비붐세대가 은퇴 이후에도 적극적인 커뮤니티(공동체) 활동을유지하도록 봉사활동 등의 사회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해야 한다. 이상의 본 연구 결과는향후 서울시의 다양한 지역정책 수립 시에 두 세대 간의 사회특성을 반영한 지역정책을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세대별 은퇴 후 주거입지 선호 특성에 관한 연구

        유종균(Jong Kiun Yoo),김찬호(Chan Ho Kim),이창수(Chang Soo Lee) 대한부동산학회 2024 大韓不動産學會誌 Vol.42 No.1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 X세대, 에코세대간 은퇴 후 주거입지 선호도의 공통점 및 차이 점을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수도권 거주자 211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세대에 관계없이 은퇴 후 주거입지로 가장 선호하는 지역은 경기도 중소도시로 분석되었다. 경기도 중소도시 다음으로 베이비붐세대, X세대는 경기도 대도시를 선호했고 에코세대는 서울특별시를 선호했다. 서울거주자의 경우 세대에 관계없이 서울시를 가장 선호 하였고 그 다음으로 X세대의 경우 경기도 대도시를, 에코세대의 경우 경기도 중소도시를 선호하였다. 경기도, 인천 거주자의 경우 세대에 관계없이 경기도 중소도시를 가장 선호했고 그다음으로 경기도 대도시를 선호했다. 은퇴 후 수도권 거주 희망자 중 수도권을 동부, 서부, 남부, 북부 4개권역으로 구분하여 선호 권역을 분석한 결과 전세대 모두 경기동부를 가장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이 경기 남부였다. 은퇴 후 이사 선호 지역 유형은 베이비붐세 대의 경우 도시지역을 가장 선호했고 X세대의 경우 도시와 농촌이 복합된 지역을 선호했다. 반면 에코세대의 경우 도시와 농촌복합지역과 도시지역 선호도가 유사했다. 한편, 은퇴 후 주거 선택 기준은 베이비붐세대와 X세대의 경우 교통접근성을 1순위로 꼽았다. 에코세대의 경우 생활편의성을 1순위로 들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술적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retirement location preferences among Baby Boomers, Generation X, and the Echo Generation.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211 residen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or this purpose. The finding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generation, the most preferred area for retirement housing were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in Gyeonggi-do. Additionally, Baby Boomers and Generation X preferred large cities in Gyeonggi-do, whereas the Echo Generation favored Seoul. Residents of Seoul, irrespective of their generation, showed a strong preference for Seoul, followed by large cities in Gyeonggi-do for Generation X and small to medium-sized cities in Gyeonggi-do for the Echo Generation. Those living in Gyeonggi-do, regardless of their generation, also preferred smaller cities within the region, followed by the larger cities. Among individuals wishing to reside in the metropolitan area post-retirement, the eastern and southern regions of Gyeonggi were the most favored areas across all generations. Regarding the type of area they preferred to move to after retirement, Baby Boomers had a preference for purely urban areas, while Generation X showed a preference for a combination of urban and rural areas. The Echo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exhibited similar preferences for mixed urban and rural areas and purely urban area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cho generation, preferences for mixed urban and rural areas and urban areas were similar. In terms of selecting a post-retirement residence, transportation access was the top priority for Baby Boomers and Generation X, whereas living convenience was paramount for the Echo Generation. The study concluded wi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주택 소유와 부채 보유의 연령 및 세대효과

        이희선(Hee Sun Lee),하준경(Joonkyung Ha) 한국주택학회 2021 주택연구 Vol.29 No.3

        본 연구는 주택 소유와 부채 보유에 연령효과 이외에 각 세대에 특정적인 효과, 즉 세대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한국노동패널조사 11차(2008년)∼21차(2018년) 자료를 사용하여 베이비붐 이전세대, 베이비붐세대, X세대, 에코세대를 비교ㆍ분석한 결과, 연령, 소득, 가구원 수, 학력 등을 통제했을 때 주택 소유 여부와 관련해서는 세대효과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나, 주택 소유자만을 대상으로 다주택자 여부, 거주주택 외 부동산 소유 확률 등을 분석한 결과, 베이비붐세대 및 이전세대에서 유의한 양의 세대효과가 발견되고 에코세대에서는 음의 세대효과가 발견되었다. 아울러, 부채 보유 여부의 경우에는 세대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부채 보유자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에코세대가 유의하게 부채를 많이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코세대는 여러 변수들을 통제한 분석에서 주택을 적게 소유하면서도 부채는 더 많이 보유한다는 특징을 보였다. This paper analyzes age effects and generation-specific cohort effects regarding house ownership and debt attitudes in Korea. Using the KLIPS panel data for 2008-2018, we compared the pre-baby boomers, baby boomers, generation-X, and echo boomer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no generation-specific cohort effects for house ownership itself. However, as for the probability of having multiple houses, echo boomers show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even after controlling for age, income, and the family size, etc. In case of debt attitudes, the probability of having any debt shows no difference across generations, but the amount of debt has a significant generation-specific effect: echo boomers tend to have more debt while they tend to have less houses.

      • KCI등재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 간 문화예술 향유격차에 관한 연구 - Oaxaca-Ransom 분해 방식 중심으로

        백처라,허식 한국문화경제학회 2020 문화경제연구 Vol.23 No.2

        This paper is interested in attendance differentials across generation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However, little have been performed on this related research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ltural attendance differentials between baby boomers and eco boomers through the decomposition technique suggested by Oaxaca and Ransom. Since a dependent variable is zero-inflated count data with many zero counts of participation, we employ the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ZINB) model. According to main results of our study, first, the eco boom generation showed a higher frequency of cultural and artistic attendance compared to the overall average, while the baby boom generation showed a lower frequency of cultural and artistic attendance. Second, the generation -to-generation attendance gap through the decomposition technique showed that 65% of the difference is “explained parts” by the control variables, and 17% of the overall difference is caused by cultural capital. On the other hand, the ZINB analysis found that cultural capital acquired through regular education course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requency of cultural attendance, and cultural capital acquired in the past through additional non-regular education courses and the last year through additional non-regular education activity has a positive impact o cultural attendanc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ultural attendance gap between generations arises from differences in cultural capital and, thus, we need academic and policy approaches for solving unequal accumulation of cultural capital. 최근 중요한 소비계층으로 각광받고 있는 베이비붐세대와 함께 이들의 자녀세대에 해당하는 에코세대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문화예술 분야에서도 이러한 흐름에 맞춰 세대에 따른 연구가 지속되고 있으나 이 두 세대를 비교하는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axaca and Ransom이 제시한 분해기법을 통해 베이비붐세대와 에코세대의 문화예술 향유격차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18년까지의 ‘문화향수실태조사’의 통합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종속변수의 특징을 고려하여 영과잉음이항회귀모형을 적용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체 평균에 비해 에코세대는 높은 문화예술 향유 빈도를 보인 반면, 베이비붐세대는 문화예술 향유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냈다. 분해기법을 통해 세대 간 향유격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향유격차 발생 요인 중 65%가 통제변수에 의해 ‘설명 가능한 부분’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향유격차의 17%가 문화자본에 의한 차이로 나타났다. 영과잉음이항회귀분석 결과 세대에 따라 문화예술 향유 결정요인의 차이가 다소 존재하였으나, 이 중 정규교육과정을 통해 습득한 문화자본은 문화예술관람 확률에, 비정규교육을 통해 과거에 축적한 문화자본과 최근 1년간 획득한 문화자본은 문화예술관람 횟수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세대 간 문화예술 향유격차가 상당부분 문화자본의 차이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시사하며 문화자본의 불균등한 축적을 해소시킬 세대별 문화예술 지원방안을 위한 학문적·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이 제고된다.

      • KCI등재

        에코세대와 Z세대 대학생의 취업환경 및 직업에 대한 인식 비교

        김동심,주경희,김주현 인문사회 21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In recent,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has been dealt with as a very serious national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mployment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perception of eco-generation and Z-generation student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youth unemployment polic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s' Youth Panel Data selected total 1, 577 university students (670 Echo generation in 2007, 907 Z generation in 2016).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Eco-generation cited the lack of individual ability and high expectation as the main cause of the youth employment problem, while the Z-generation showed a referring to the lack of job creation in the enterprise. In addition, two generations the most commonly demand job-related experience as a youth support policy. Second, Z-generation students had a higher percentage of without the desired job than Eco-generation. As generation changed, the ratio of hopes for large enterprises decreased, while that of public institutions increased. The value of choosing a job was changing with generation. Echo generation was important about job stability, achievement, and economic compensation, while Z-generation mentioned the importance of job selection in the order of achievement, economic compensation, and job s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differentiated youth employment policy like Government-University cooperation and individual life cultur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the employment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perception of the eco-generation and Z-generation. 최근 청년실업 문제는 국가차원의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실업정책방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에코세대와 Z세대 대학생의 취업환경과 직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데이터의 총 1,577명을 대상(2007년 에코세대 대학생 670명, 2016년 Z세대 대학생 907명)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청년취업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에코세대는 개인의 능력부족과 눈높이를 언급하였으나, Z세대는 기업의 일자리 창출 부족을 언급하였다. 또한 두 세대는 공통적으로 청년지원정책으로 실제적인 직무관련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정책을 요구하였다. 둘째, Z세대가 에코세대에 비해 희망직업이 없는 학생비율이 높았다. 세대가 변화함에 따라서, 대기업 희망비율은 감소하고, 공공기관 희망비율은 증가하였다. 직업선택의 중요가치도 변화하였다. 에코세대는 직업안정, 성취, 경제적 보상 순이었다면, Z세대는 성취, 경제적 보상, 직업안정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에코세대와 Z세대의 취업환경 및 직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맞게 정부-대학간 협력, 개인 삶 존중문화 등과 같은 차별적 청년취업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베이비붐 세대 부모의 부양기대와 에코붐 세대 자녀의 부양의식

        김종남(Kim, Jong-Nam),한정란(Han , Jun gran) 한국노년교육학회 2017 노년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 세대 부모의 부양기대와 그들의 에코붐 세대 자녀의 부양 의식을 비교하고, 그들의 부양기대 및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충남 지역에 거주하는 베이비붐 세대 부모와 에코붐 세대 자녀 228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나타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베이비붐 세대의 부양기대는 모두 중간 수준이었고, 정서적 부양기대, 신체적 부양기대, 경제적 부양기대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코붐 세대의 부양의식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신체적 부양의식, 경제적 부양의식, 정서적 부양의식의 순이었다. 셋째, 경제적 부양, 정서적 부양, 신체적 부양 모두에서 에코붐 세대의 부양의식이 그들의 베이비붐 세대 부모의 부양기대보다 높았다. 넷째, 부양기대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경제적·정서적·신체적 부양기대에 공통적으로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변인은 자녀와의 친밀감이었다. 다섯째, 부양의식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 에코붐 세대의 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 역시 부모 와의 친밀감이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베이비붐 세대의 노화에 대비하여 노인부양 정책 마련과 부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에 관련한 제언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support expectation of baby boomer parents with the support consciousness of echo-boomer children, and further, examine the effect of intimacy on both their support expectation and support consciousnes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28 pairs of baby boomer parents and their echo-boomer children living in Seoul, Incheon, and Chungcheong-D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① The baby boomers support expectation was midium level, and was high in the order of emotional, physical, and economic support expectation in detail. ② The echo-boomers’ support consciousness was high level, and was high in the order of physical, economic, and emotional support expectation in detail. ③ The echo-boomers’ support consciousness was higher than their baby boomer parents’support expectation in all of economic, physical, and emotional support. ④ As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economic, physical and emotional support expectation of the baby boomers was the intimacy with their children. ⑤ As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the support consciousness of the echo-boomers was the intimacy with their parents, as well. Some suggest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above.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s between Married Women Baby Boomers and Eco Boomers

        김미령(Kim Meeryou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여성가족패널 1차와 4차 자료를 활용한 연구로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및 결혼관과 부부역할인식 차이를 비교한 연구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파악을 위하여 사회학습이론을 이용한 부모의 자녀양육태도나 부부관계 등 청소년기의 부모관련 변인이 사용되었고 생태체계이론의 미시적 접근으로 현재의 배우자와의 관계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여성가족패널 4차 년도에 1955년에서 1963년도 생까지인 베이비붐 세대와 4차 년도에 베이비붐 세대의 자녀세대인 에코 세대(1979년도부터 1992년도 생) 까지가 모두 포함되었다. 이중 연구대상은 배우자관련 변인으로 인하여 두 세대 중 결혼한 자들 만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 크기는 베이비붐 세대 1,118명이며 에코 세대 328명이다.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결혼관에의 영향 파악을 위해서는 회귀분석이 사용되었으며 결혼관 및 부부역할인식의 차이검증을 위하여는 t-test와 카이자승검증이 사용되었다. 결혼관과 부부역할인식이 세대차이인지 연령차이인지의 검증을 위해서는 연령을 공변량으로 하는 ANCOVA(공분산분석)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베이비붐 세대는 에코 세대보다 부모의 부부관계, 자신들의 부부관계, 결혼만족도가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낮았으나 교육, 직업, 어머니의 교육수준이나 가사분담만족이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높았다. 베이비붐 세대나 에코 세대의 부모의 부부관계가 좋은 것은 결혼은 반드시 해야한다는 전통적 결혼관에 영향을 미쳐 사회학습이론을 통한 결혼관에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부부관계가 좋을수록 베이비붐 세대나 에코 세대 모두 전통적 결혼관은 낮았는데 그만큼 양성평등적인 결혼관을 갖게 됨을 알 수 있으며 가족관련 가치관에서 생태체계론적 접근의 미시체계의 영향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s and differences in th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ouple role between women baby boomers and eco boomers using the first and the fourth wave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ies (KLoWF) panel data of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As a theoretical model, social learning theory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parenting attitudes affected the perception of marriage. Additionally, ecological system theory was used to check whether spouse relation variables affected the perception of marriage. The target populations of this study were baby 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55 and 1963 and eco 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79 and 1992 in the fourth wave of the KLoWF panel data of the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Since this study uses spouse variables, the target population was limited to only married persons. The sample size of this study is 1,118 for baby boomers and 328 for eco boomers. For data analysis t-test, χ2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Also, ANCOVA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differences were due to generation or 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marit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household chores were higher for eco boomers than baby boomers. On the other hand, spouse relations and activities were higher for baby boomers. Both generations’ parent relations affected traditional marriage values, which supports the social learning theory. Also, when a woman has positive relations with their spouse, it reduces the traditional marriage value; this supports the micro-system of ecological system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