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순임 교수 정년퇴임기념 강연 : 요산요수(樂山樂水)의 산수화미학(山水畵美學)

        지순임 한국미학예술학회 2011 美學·藝術學硏究 Vol.34 No.-

        山水畵란 山水自然 그 자체의 표현인 동시에 인간 스스로가 자연에 대하여 보고 느낀 감상을 예술적으로 표현한 것이기에, 화가에게는 산수에 대한 관조정신과 더불어 표현을 통해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게 하고, 감상자에게는 산수자연의 그림형상을 통해 정신적인 위안과 활력을 돋우는 작용을 하여 우리 인간에게는 좋은 정서를 함양하게 하는 회화장르이다. 이러한 산수화가 산수자연의 어떠한 미적 관조정신이 작용하여 우리만의 독자적 특수성이 드러난 한국산수화를 그리게 되었는지 미학적 시각에서 밝힌 내용이다. 산수는 누구나 좋아하는 美的觀照의 대상이다. 특히 君子의 소양을 지닌 德行을 갖춘 사람일수록 산수자연을 좋아하고 즐긴다. 왜냐하면 산수자연에 내재한 이치가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가는 이치와 일맥상통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군자적 소양을 지닌 사람들이 자연의 道를 따르기 위해 관조한 내용이 養性之資(善), 窮理盡性(眞), 幽情美趣(美)의 정신이다. 養性之資(善)는 자기의 天性을 길러 잘 자라게 돕는다는 뜻으로 산수자연에 내재된 이치를 통해 자신의 인격을 수양하는 자연관조적 태도를 말한다. 산수자연을 표현하는 산수화가 동양회화의 핵심적 장르가 된 것도 사실은 정신세계의 수양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고상한 예술품을 제작하는 화가는 정신 수양이 선행되어 정중한 표현, 물질의 타당한 운용이 성취될 때에 비로소 좋은 작품을 제작할 수 있다. 이 때 화가의 내적 정신수양은 산수자연의 관조를 통해 그 섭리를 깨달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외적 표현의 수양은 많은 필묵연습을 통하여 기법을 이해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수양이 善한 인간의 자연관조적 실천이고 또한 자신의 天性을 길러 잘 자라게 돕는 養性之資인 것이다. 窮理盡性(眞)은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고 타고난 본성을 다해 天理에 이른다는 뜻이다. 조선 후기의 眞景山水畵는 朝鮮性理學的 자연관이 작용하여 단순한 산수자연의 形似的 묘사뿐만 아니라 산수자연에 내재된 본질적 이치를 중요시하는 窮理盡性의 미적 내용이 傳神 가치를 지키면서 사실성을 구현한 산수화이다. 그리하여 진경산수화는 우리나라 산수자연을 직접 체험하고 느낀 산천 형상을 사실성에 근거하면서 산수자연의 이치를 궁구하고 자연의 본질적 眞面目을 신운神韻이 느껴지게 그려낸 窮理盡性의 眞理가 표현된 회화이다. 幽情美趣(美)는 그윽한 정서를 느끼는 조용한 기분과 뛰어난 맛이다. 幽情은 깊은 생각, 조용한 마음의 적막한 감정을 의미하며, 美趣는 좋은 뜻과 아름다운 형세를 의미한다. 이 산수화는 實景을 대상으로 그리기는 하였지만, 새로운 문인화풍의 부드러운 정서로 詩的인 정취와 맑고 깨끗한 분위기를 특색으로 하는 남종산수화풍의 그림이 되었다. 이 남종산수화풍은 대부분 주관적인 寫意를 드러내었기 때문에, 자기 양식의 형성보다 작가의 내적 인품이나 탈속적 경지를 주로 강조했다. 바로 「幽情美趣」의 정서가 느껴지는 작품이다. 산수화의 미학적 의미는 자연을 예술 창조하는 데에 없어서는 안 될 기초와 원천으로 하여 화가의 주관적 창조성과 필묵의 정묘함을 통해 새로운 자연의 세계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는데 있다. 그런데 이 화가가 보여주는 세계는 곧 자신의 인격수양을 통한 인문적 교양세계로 養性之資(善) 窮理盡性(眞) 幽情美趣(美)의 관조정신을 드러낸 한국적 산수화이기에 그 의미가 크다. 결국 산수화는 화가가 산수자연의 정신을 도덕적이고 자율적으로 펼칠 때, 인격 수양된 잠재력까지 동원하여 暢神하는 자유의지로 표출한 작품이기에, 인간에게 그 형상을 통해 정신을 유쾌하게 해주는 작용을 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자신을 다스리는 데 있어 자연이치와 美德을 반영한 산수화작품이 자신의 철학과 예술 사이에서 사유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것이 바로 미학적 작용이다. 현대는 자연도 많이 개발되어 변화되었고 인간의 가치관도 많이 달라졌지만 그래도 오늘날의 자연을 樂山樂水하는 마음으로 보아 현실적 자연에 내재 되어있는 이치를 현대적 시각으로 파악하고 善이 바탕이 되는 미덕을 실천하면서 국제적으로 보편적이고 한국적 독자성이 잘 드러나는 이 시대가 요구하는 작품을 창조해야만 진정한 한국적 예술문화를 구축하리라 생각한다. 這本是在北宋繪畵,關於文人畵論的作用和其意味硏究考察了.從而意在多經過反省所過去文人畵論硏究的認識不足,試圖把樣方面的接.所謂山水畵旣是山水自然本身的表現,同時也是人面對自然時的感覺之藝術性表現。因此,山水畵使畵家涵養對山水的觀照精神,幷通過其表現修養人格,而山水畵讓鑒賞者通過自然山水的繪畵形象感受精神的慰藉與活力。由此可知,山水畵是一種可以涵養良好情緖的繪畵題材。本文旨在從美學角度闡明是山水自然的何種美的觀照精神作用到上述的山水畵中致使我們創作出了獨具特色的韓國山水畵的。山水是人皆愛之的美的觀照對象.。尤其具備君子素養德行兼備的人更對山水自然喜愛有加。因爲山水自然的內在之理與爲人之道是相通的。有君子素養的人爲了遵循自然之道所觀照的正是養性之資(善)、窮理盡性(眞)、幽情美趣(美)的精神。養性之資(善)是指養人之天性而助其長之意,?通過山水自然的內在之理來修養自身人格的自然觀照的態度。表現山水自然的山水畵之所以成爲東洋繪畵的核心體裁,也是因爲强調精神世界的修養所致。而創作高雅的藝術品的畵家只有在成就了精神修養的前提下,再完成表現的鄭重其事及物質的妥當運用,才可以製作出好的作品。此時,畵家的內在精神素養可通過山水自然的觀照悟得其理而實現;外在表現的修養則可通過筆墨練習的錘煉,理解其技法而實現。這樣的修養就是善人的自然關照之實現,也是養己天性而助其長的養性之資。窮理盡性(眞)是指徹底推究事物的道理,盡人之天性而至天理。朝鮮後期的眞景山水畵受到了朝鮮性理學自然觀的影響,是旣强調山水自然的形似的描寫、也注重山水自然內在的本質之理的窮理盡性的美的內容的,旣守了傳神的價値,也體現了寫實性的山水畵。因此,眞景山水畵是將親身體會到的我國山水自然的形象遵循寫實性原則幷探究山水自然之理,同時將自然的本質性眞面目畵得可以感覺出神韻,表現出窮理盡性之眞理的繪畵。幽情美趣(美)是指感受幽靜情趣的寧靜感與超然之味。幽情意指深遠的情思,靜謐心境的寂靜感,美趣指美好之意與秀麗之形勢。此山水畵雖以實景爲對象作畵,但新文人風格的委婉使之成爲了以詩般情趣及淸淨之분圍爲特色的南宗山水畵。因此類南宗山水畵風大多體現主觀的寫意性,所以比起個人樣式的形成,則更注重强調作者的內在品性或脫俗的境界。就是讓人感到"幽情美趣"的作品。山水畵的美學意義在於將自然視爲藝術創作不可或缺的基礎與源泉,通過畵家的主管創造性與筆墨的精妙把新的自然世界可視性地展現出來。而其意義之大在於此時畵家展現的世界是通過自身的人格修養的敎養世界來體現養性之資(善)、窮理盡性(眞)、幽情美趣(美)的觀照精神的韓國式山水畵。歸根結底因山水畵是在畵家道德地,自覺地展現山水自然的精神之時,將自己人格修養成就的潛力發揮得淋리盡致而表露出暢神的自由意志的作品,所以山水畵通過其形象給人以精神愉悅的感受。因此,反映了自然之道及美德的山水畵在人調節自我的方面,起到了使人思索自身的哲學與藝術的作用。這就是美學作用。筆者認爲:而今,自然被開發變了흔多,人的價値觀也改變了不少,但今天的自然也需要我們以樂山樂水的心態去觀察,讓我們用現代的視角去掌握現實的自然中包含的道理,幷實踐以善爲基礎的美德的同時,創造出符合時代要求的、國際上普遍且韓國獨有特點突出的作品才能構建眞正富有韓國特色的藝術文化。

      • KCI등재
      • KCI등재

        『經國大典』의 편찬과 梁誠之

        趙志晩(Cho, Ji-Man) 한국법사학회 2009 法史學硏究 Vol.39 No.-

        이 글은 조선 최대의 입법성과라고 할 수 있는 『경국대전』의 편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눌재 양성지의 법사상과 그가 『경국대전』의 편찬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양성지의 법사상은 당대의 법사상의 흐름 속에 있었지만, 그가 가진 새로운 제도를 만들자는 사상, 본속을 중시하는 사상은 『경국대전』의 편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그가 제도 창설 내지 변경의 상소를 한 것은 현존하는 『경국대전』에 반영되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 관료들이 법개정에 관하여 자신의 의견을 법전 전반에 걸쳐 피력한 것은 존재하지 않는데, 그의『경국대전』 개정 45개조는 그 예외로서 당시 『경국대전』의 개정의견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이 자료를 통하여 『경국대전』의 개정과 관련된 논의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to examine YangSeongJi"s legalthoughts and influence on the codification of GyeongKukDaeJeon. YangSeongJi" is known as an officer who played adecisive role in compiling GyeongKukDaeJeon. His legalthoughts did not go against contemporary ones. Yet his idea to establish new systems and emphasize customs peculiar to the Josun dynasty had direct influence on codifying GyeongKukDaeJeon. He presented the king memorials to establish and modify new systems and they were reflected in GyeongKukDaeJeon. While most contemporary officers did not state their views on codification across the board, hestated his own view concretely through 45 articles on revision of GyeongKukDaeJeon. They reflect the stream of opinion about revision of GyeongKukDaeJeon at that time.

      • KCI등재후보

        눌재 양성지의 관방론(關防論) 연구 - 15세기 중엽 주변정세를 기초로 -

        김석규 육군군사연구소 2012 군사연구 Vol.- No.134

        세종의 치세로 인해 국내적으로는 안정된 국가운영을 이룰 수 있었지만, 사실 당시 국제정세는 불안정한 북방 정세로 인해 크게 요동치고 있었다. 15세기 중반은 북 몽골세력의 흥기로 인해 명이 동요되었으며, 이로 인해 조선과 여진, 일본 역시 크게 동요하던 시기였다. 특히 세종말년에 발생한‘토목의 변’은 조선의 위정자들에게 큰 충격으로 다가왔으며, 이는 당시 신진관료였던 양성지(梁誠之)에게도 큰 위협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토목의 변’이라는 충격적인 사건은 조선에게 새로운 국가방위 시책을 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서에서는 이처럼 불안정했던 15세기 중반의 북방정세에 대해 양성지는 어떻게 인식하였는가, 그리고 이러한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어떠한 방책을 구상하였으며, 그가 제시한 관방론의 구체적인 내용은 무엇이며, 이를 통해 양성지가 궁극적으로 나타내고자 했던 국토방위사상의 핵심은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양성지의 관방사상은 단순히 학문적 식견을 통해서 나온 방비책이 아닌 당대의 국제정세와 그의 지리ㆍ역사적 식견이 종합되어 나온 산물이라 할 수 있다. 그가 제시한 요읍관방론은 단순한 방어이론이라기 보다는 국가 방어 전략의 수준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아울러 오늘날 우리에게 있어 전통적 안보개념상 직면하고 있는 북한의 위협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다변화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냉철한 통찰력과 원시안적인 시각을 바탕으로 한 국가전략 수립의 필요성에 대한 시대적 함의를 전달한다. Domestically, Due to the reign of King Sejong operating, stable operation of the country was able to achieve. However, at that time it is a fact that was beating due to the unstable northern state of affairs. The mid-15th century, the Ming dynasty was shaken due to the strengthening of the forces of the Northern Mongolia. As a result,the Chosun dynasty and Yeojin(女眞), Japan was a time when too greatly disturbed. ‘The event of Tomok(土木)’ occurred in the last years of King Sejong’s life, especially Chosun’s administrator was a big shock. This will be the biggest threat to Yang Seong-Ji who was budding bureaucracy. By the traumatic event of Tomok(土木), Chosun dynasty required a new national defense measures. In this study, we explained how did Yang Seong-Ji recognize about the situation in the northern mid-15th century, and any measures to prepare for these threats envisioned, and what specific information he presented Gwanbang-theory(關防論) and ultimately through Yang Seong-Ji who was represented by defense and homeland of the core ideas about what it looked. Yang Seong-Ji's Gwanbang(關防) ideas of contemporary international affairs is not simply academic insights through the defensive, and his geographical, historical insights this comprehensive product is shown that the results can be. He suggested Yoeup Gwanbang-theory(要邑關防論) mere defense theory, rather than to understand the level of the national defense strategy. In addition to focusing on traditional security concept phase for us today who are facing the threat of North Korea, but to diversify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the delivers based largely sober insight and view 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ational strategy for the contemporary implications.

      • KCI등재

        『東國輿地勝覽』에 반영된 自主意識

        徐仁源(Seo, In-Won)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29

        『동국여지승람』은 세종 조에 편찬된 지리지 이후, 변경된 사항을 바로잡기 위하여세조 조부터 시작하여 1477년에 양성지 등이 완성한?『팔도지리지』에 우리나라 문사들의 시문을 첨가하여 1481년(성종 12)에 50권으로 완성되었다. 이 책은 1485년(성종 16) 김종직 등에 의해, 1499년(연산군 5) 임사홍·성현(成俔) 등에 의해 2차에 걸쳐 교정과 보충이 이루어졌으며, 중종 조에는 새로운 보충 작업이 시도되어 『신증동국여지승람』으로 전해지고 있다. 『동국여지승람』의 편찬을 주도했던 인물은 조선 초기 세종·문종·단종·세조·예종·成宗의 6대 왕조를 거치면서 군주의 신임을 두터이 받은 양성지였다. 그는 조선 초기 훈구파들 중에서도 변계량과 함께 가장 강력한 자주주의자였다. 따라서 그는 민족주의적 역사인식과 지리인식을 바탕으로 天祭에 대한 거행을 주장하는 등 자주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양성지는 단군을 신화 상의 인물로 파악하지 않고, 실제 인물로 파악하면서 중국과 대등한 역사의 시작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우리도 중국처럼 제천 행사를 단독적으로 치루자고 함으로써 중국에 예속되지 않은 자주 독립 국가임을 강조하였다. 지리에서는 요동에 이루는 광활한 영토가 우리의 땅임을 강조하면서 언젠가는 수복할 지역으로 강조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양성지의 역사·지리·문화의 자주적 의식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동국여지승람』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차례에 걸친 수찬과 한 차례에 걸친 신증으로 인하여 양성지의 자주의식을 부분적으로 밖에는 파악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Adding poetry and prose of our country"s literary men to Paldojiriji commencing from King Sejo to correct changed matters since Jiriji compiled at the reign of Sejong and completed by Yang Seong Ji in 1477, Donggukyeojiseungram(『東國輿地勝覽』) was completed as 50 volumes in 1481(the 12th year of Seongjong"s rule). This book was proofed and complemented over two times by Kim Jong Jik in 1485 (the 16th year of Seong"s rule) and by Yim Sa Hong, Seong Hyeon in 1499(the 5th year of Yeonsangun"s rule), and supplemented anew at the reign of Joongjong, and handed down as ShinjeungDongguk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The figure taking lead of compiling Donggukyeojiseungram was Yang Seong Ji trusted by the kings through Sejong, Moonjong, Danjong, Sejo, Yejong, and Seongjong early Joseon Dynasty. He was the foremost independence proponent along with Byeon Gye Ryang among meritorious retainers early Joseon Dynasty. Thus he shows awareness of independence by arguing performance for the ritual for the heaven based on nationalistic perception of history and geography. Not understanding Dangun as a mystical character, but as an actual character, Yang Seong Ji stresses the start of history corresponding to China. Also he insisted we should independently perform a ritual event for the heaven like China, by which he emphasized that we are an independent nation not subordinated to China. Geographically, pointing out that the spacious territory reaching Liad?ng is our earth, he underscored that it should be restored whenever. Likewise, it is the very Donggukyeojiseungram that reflects Yang Seong Ji"s awareness of independence about history, geography, and culture. However, due to editing twice and addition once, it has limitations of being understood only partially.

      • KCI등재후보

        訥齋 梁誠之의 禮樂思想 ―그의 詩文에 나타난 ‘조선예악’과 ‘檀君’―

        신두환 한국유교학회 200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2 No.-

        Nuljae訥齋 Yang, Sung-ji梁誠之(1415-1482) is a comparatively well-known scholar, bureaucrat, and also a man of letters in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This thesis is the study on Nuljae Yang, Sung-ji's Ye-ak禮樂 logics and his Dan-kun檀君. The trend of his logics is national, independent, rational and scientific, excellent political activities. His Ye-ak thoughts include Chosun's independent pride and advanced outlook on the world. The foundation of his Ye-ak thoughts is directed toward the kingdom of not the king but the Emperor. His memorials become the independent national policies and were passed down to the later generations as great achievements. His philosophical revolution cried for the reform of Confucianism and became the spiritual basis of the founding of the Chosun Dynasty. His national spirit of independence became the root of our national history and have been passed down to these days. His eulogies enhance the national consciousness by showing the dignity of the nation and the attachment to a country. This is an outstanding the race literary works. His Ye-ak禮樂 logics and Dan-kun檀君 are based on historical facts. 東方禮義之國. 君子의 나라. 조선은 예의의 나라이다. 조선 건국이라는 새로운 공간에 역동적인 유교 정신의 탄생은 개혁과 창조의 충동을 모든 면에서 제공해 주었다. 이러한 상승의 분위기는 예악의 변화를 요구하고 방향을 정해 주었으며, 하나의 새로운 사조를 탄생하게 했다. 여기에 祀典(사전)개혁론이 대두된다. 이 거대한 유교정신의 실체 속에서 진행된 사전에 대한 개혁은 민족적인 성사였으며 조선건국의 정신적인 지주로서 확산되어 갔다. 눌재 양성지의 사전에 대한 개혁은 단군을 중심에 두고 있었다. 한 국가에 있어서 신이나 인물을 제사로써 받드는 일, 즉 祀典은 그 민족의 정통성과 직결되어 있다. 그의 예악논리의 핵심은 중국과 차별되는 민족 주체성에 있었다. 이를 위해 옛 고조선 시대의 영토와 광대한 고구려의 영토의 바탕에서 만들어진 '만리지국'을 우리의 역사무대에서 창출해 내어 중국을 차별하였다. 단군을 국조로 떠받들어 요임금과 같은 시대에 하늘로부터 유래되는 조선의 창세신화를 바탕으로 우리 민족의 자주적이고 주체적인 면을 드러내었으며, 중국과는 원래부터 다른 민족으로 출발했다는 것을 강조하여 우리 민족사의 자주적인 기틀을 만들었다.訥齋는 단군 조선이 천년을 누렸고 그 뒤를 이어 기자조선이 또 천년을 누렸다고 했으며 신라도 천년을 누렸다고 했다. 이것으로써 본다면 訥齋는 단군 조선을 대대로 천년을 누려온 실재국가의 왕조라는 역사적인 인물로 보고 있으며, 기자조선은 그 뒤를 잇는 것으로 단군이 조선의 시조라는 설이다. 訥齋는 국가의 정통성을 단군조선에 이어 기자조선, 신라, 고구려, 백제를 거쳐 고려 조선에 이르는 단군조선설의 기본 틀을 정하였다.눌재는 조선건국의 자부심으로 민족적인 긍지를 가지고 민족예악을 실천궁행한 선구자였다. 눌재의 단군에 대한 애착은 민족 자긍심의 발로였으며, 우리 역사에서 가장 민족적이고 가장 자부심에 찬 역사의 전개는 눌재의 단군을 중심으로 전개한 예악논리에 있었다. 이 이후에 조선에 오는 중국사신은 단군 사당에 참배하였다.

      • KCI등재

        조선초기 국제정세와 국방정책

        김경록 육군군사연구소 2018 군사연구 Vol.- No.146

        The rapid change of the Yuan-Ming Renovati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national governance and foreign recognition of the founding monarch of Emperor Hong-wu. Hong-wu Emperor was to form the internationally order-oriented international order and to establish a unified ruling system centered on the emperor internally. In order to stabilize the regime, Emperor Hong-wu thoroughly defended the Mongol forces in order to refrain from unreasonable military activities, and concentrated the military right to the emperor by separating the military and military entities from each other internally. Hong-wu Emperor strengthened the rule of the shaking when he established the early legislative system of the founding of the Ming Dynasty, stabilized the system and established the governing system. The Ming conflicted with the Joseon, which was bordered by this process. Joseon marked friendly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Ming since its founding, and actively sought to stabilize Joseon in the name-centered international order. As a result of many diplomatic problems at the beginning of the founding of king Taejong(太宗) period, Jung DoJeon(鄭道傳) adopted the pro-Ming policy and tried to transfer the soldiers internally to incorporate them. Taejong, who was crowned king of the prince, reorganized the military regime to establish a strong kingship and expanded the military power by utilizing the confused international situation. The emperor Yeong-rak period, which was revived by the revolution, implemented the defense policy of external expansion to secure the emperor authority. Due to its influence, Joseon conflicted with the Ming over the influence of the Ruzin(女眞族). The Ming, which carried out a passive foreign relations since the emperor Yeong-rak, was threatened by the military due to the expansion of the Mongol forces, and eventually the emperor of Ming met the crisis of Mongolian captivity. In response to the rapi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Joseon implements strong northward policies and defense policies during the king Sejong(世宗) period, internally improving the military system, punishing the rheinists and punishing the Tsushima(對馬島). At the time when the Mongol forces were forced to respond to the South the Ruzin, the king Sejo(世祖) adopted a strong bureaucratic policy. Shin SookJu(申叔舟) and Yang SungJi(양성지), who supported this actively, played many roles as defense policy makers and policy makers. 원명교체의 급격한 정세변화는 신흥 명나라의 건국군주 홍무제의 국가통치 및 대외인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홍무제는 대외적으로 명 중심 국제질서를 형성하고, 대내적으로 황제 중심의 일원적인 통치체제를 마련하고자 했다. 홍무제는 체제안정을 위해 무리한 군사활동을 자제하고자 북원세력을 철저히 방비하면서 내부적으로 군령권과 군정권을 분리시켜 황제에게 군사권을 집중시켰다. 홍무제는 명나라 건국초기 법제를 마련하고, 제도를 안정시켜 통치체제를 확립하자 요동에 대한 통치를 강화했다. 명은 이 과정에 국경을 접하게 된 조선과 갈등하였다. 조선은 건국이후 명에 대해 친화적인 외교관계를 표시하고, 적극적으로 명 중심 국제질서에서 조선의 안정을 마련하고자 했다. 태조대 많은 외교문제가 발생하자 정도전은 친명정책을 채택하고, 내부적으로 사병을 혁파하여 관군으로 편입시켰다. 태종은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기 위해 군사편제를 개편하고, 혼란한 국제정세를 활용하여 군사력을 확대하였다. 영락제는 황제권을 확보하기 위해 대외팽창의 국방정책을 시행했다. 그 영향으로 조선은 여진족에 대한 영향력을 두고 명과 갈등하였다. 영락제이후 소극적인 대외관계를 시행한 명은 몽골세력의 확대로 인해 군사적 위협을 받았으며, 조선은 세종대 강력한 북방정책과 국방정책을 시행하여 내부적으로 군사제도를 개선하고, 여진정벌과 대마도정벌을 실시했다. 세조는 강력한 부국강병정책을 채택했다. 이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한 신숙주와 양성지는 국방정책입안자 및 정책시행자로서 많은 역할을 하였다. 신숙주는 군사제도 개혁과 여진족정벌을 통해 국방환경을 안정화시켰으며, 양성지는 개혁안을 제시하고 군사지휘관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訥齋 梁誠之의 社會思想 -그의 현실주의적 왕도정치론-

        김낙진 한국유교학회 200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22 No.-

        양성지는 조선 전기의 유학자이자, 정치가, 행정가였다. 조선왕조의 내 외부에서 오는 위기들을 극복하고 통치 질서를 공고히 하기 위하여 그는 여러 가지 의미 있는 정치적 능력들과 성패 득실에 관한 역사 연구를 높이 평가하였다. 도덕중심주의를 지향하는 후대 사림파 학자들의 경우와는 다른 그의 입장은 현실을 이상적 관념에 의하여 재단하기보다는, 삶과 정치의 환경을 고려하면서 그 가운데에서 인간 행위의 역사적 가능성을 찾아가고자 한다는 점에서 현실주의적이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역시 조선왕조의 통치이념이었던 주자학의 가치를 경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그는 주자학의 이상을 현실과의 관계에서 변형하거나, 이상과 현실을 병립시키고자 한 역동적 사유의 소유자였다. 이 점에서 그의 정치사상은 현실주의적 왕도정치론이라고 규정할 수 있을 듯하며, 이 성격은 후에 이상적 관념이 현실을 소외시켜 성리학의 통치 능력에 의구심이 발생하고, 후기 실학이 발흥하였을 때, 그의 사상을 재조명, 재평가하도록 하였다. Yang Seong-ji was a Confucian scholar, politician and administrator in the first part of Joseon. In order to overcome crisis of Joseon Dynasty from internal and external causes and solidify the governance order, he valued highly on several meaningful political capabilities and the study on history regarding the success and failure as well as pros and cons. His position was different from the case of Sarim士林 Party scholars in the later generation that strives the ethics-oriented ideologies in that, rather than measuring the reality with the ideal concept, he considered the environment under the life and politics and sought the historic possibility of human behaviors. However, he was a person who had the dynamic personality to contain both ideals and realities in the relationship of ideology under the neo-Confucianism with the reality while not neglecting the value of neo-Confucianism that was the mainstream ideology of governance under Joseon Dynasty. In this point of view, his political ideology can be defined as the realistic Royal Government theory王道政治論, and his ideologies are re-illuminated and re-assessed when there was a doubt on governance capability of neo-Confucianism and rising up of Shilhak in the later time by excluding the reality in his ideological perception.

      • KCI등재후보

        눌재(訥齋) 양성지(梁誠之)의 정치활동에 관한 연구

        김장경 ( Kim Jang-kyuong ) 청계사학회 2006 청계사학 Vol.20 No.-

        This paper aimed at researching Yang Seong-Ji(梁誠之)'s political actions and his political position in his period. It was said that he was a famous scholar and politician in the early Joseon, My topic lies not in his character as a thinker, but in his character as a politician. Because most of researchers have studied too much about his thoughts. The characteristics of his thought, above all, is to be practical. For example, he advised his king to be strong and wise(剛明). His historical thought put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real wise kings than ideal kings in the three ideal periods in the early China, so called Ha(夏)ㆍYin(殷)ㆍ Ju(周).Thanks to his way of thought, he got to be tightly connected with Se-Jo(世祖). But when Seong-Jong(成宗)got to a crown, he changed his political directions. Because the king was too young to capture the almighty political power. Then he claimed for a prime minister(院 相)’s power. As Seong-Jong got the almighty power, he changed his political opinion like a chameleon, too. As a result, he reacted to the change of political environments. Eventually the change of his thoughts shows us the political atmosphere of the steps of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