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치매환자에서의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외반 보조기의 효용성

        윤의성 ( Ui Seoung Yoon ),민학진 ( Hak Jin Min ),서재성 ( Jae Sung Seo ),김윤종 ( Yoon Jong Kim ),원종화 ( Jong Hwa Won ),선승민 ( Seung Min Sun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4

        목적: 치매환자의 대퇴골 경부 골절로 시행한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탈구방지를 위한 예방적 보조기의 착용과 이의 효용성에 대하여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 전 치매를 동반하고 있는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시 환자의 나이는 평균 80.4세(68~92)였고, 여자가 20예, 남자가 10예였다. 술 전 치매 환자의 MMSE-K는 평균 14.2(8~20)였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시의 원인 질환은 전 예에서 대퇴 경부 골절이 었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보조기를 착용한 환자에서 술 후 합병증인 탈구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경과 관찰까지의 기간은 평균 2년 2개월이었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보조기를 착용한 전례에서 술 후 고관절 탈구가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30예의 치매환자에서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보조기를 착용한 경우 술 후 탈구는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술 후 재활훈련의 습득이 어려운 치매환자에서 예방적 보조기의 착용이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발생하는 탈구의 발생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reventive abduction brace in dementia patients after bipolar hemiarthroplasty of the hip. Materials and Method: A review of 30 patients who had dementia prior to bipolar hemiarthroplasty of the hip. 20 females and 10 males were evaluated and their mean age was 80.4 years old (range, 68 to -92 years old). The average MMSE-K in dementia patients was 14.2 (range, 8 to 20). The reasons for the bipolar hemiarthroplasties were femoral neck fractures in all the cases. We analyzed the dislocation rates of those who had preventive abduction braces applied prospectively.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after hemiarthroplasty was 2.2 years. All 30 patients had preventive abduction braces and no dislocations occurred after the bipolar hemiarthroplasties. Conclusion: Hip dislocations were not detected in those patients who preventive abduction braces applied.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having a preventive abduction brace will definitely reduce the dislocation rate in dementia patients who have difficulties with rehabilitation after their operations.

      • KCI등재후보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 환자에 대한 양극성 인공고관절 반치환술

        신헌규 ( Hun Kyu Shin ),정화재 ( Hwa Jae Jung ),최재열 ( Jae Yeol Chooi ),김홍균 ( Hong Kyun Kim ),김영훈 ( Young Hun Kim ),이종근 ( Jong Keun Lee ) 대한고관절학회 2004 Hip and Pelvis Vol.16 No.4

        목적: AML 무시멘트 대퇴 스템을 이용한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 환자들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4년부터 1998년 까지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 환자에서 AML 무시멘트 대퇴스템을 이용한 양극성 인공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5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환자 20명 22예를 대상으로 수술 후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를 분석하였다.결과: 총 20명중 남자 13명, 여자 7명 이었고, 평균 추시시간은 6년 2개월로 수술 당시 평균연령은 49세였고 Harris Hip score를 사용한 임상적 결과로는 술 전 53,5점에서 87.9점으로 향상된 결과를 얻었으며, 서혜부 및 대퇴 동통은 총 3예 (17%)에서 발생되었다. 방사선적 결과롤 비구의 근위부이동이 1 예에서 보였으며 대퇴 삽입물은 안정적인 고정을 보여주었다. 결론: 대퇴 골두 무혈성 괴사 환자의 치료로 시행한 AML 무시멘트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은 비교적 낮은 합병증과 임상적, 방사선학적 안정성을 고려해 볼 때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wished to analyz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bipolar hip arthroplasty using AML cementless stems in patients with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1994 and 1998, 20 patients who underwent bipolar prosthetic replacement using AML cementless stems for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We retrospectively reviewed and analyz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22 hips of 20 patients, and the minimum follow-up period was 5 years. Results: The twenty patients included 13 men and 7 women. The mean duration of follow-up was 6 years and 2 months. The mean patient age was 49 years. The mean Harris hip score was improved from preoperative 53.5 points to 87.9 points at the latest follow up. Three patients (17%) had complaints about groin or thigh pain. One hip (5%) developed acetabulum migration. All the femoral stems remained stable. Conclusion: AML cementless bipolar hip arthroplasty for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 produced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n this follow-up study, and there was a relatively low rate of complications.

      • KCI등재

        대퇴골 경부 골절에 대한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에서의 실혈량: 위험 인자 분석

        박재형 ( Jai Hyung Park ),김형수 ( Hyoung Soo Kim ),유정현 ( Jeong Hyun Yoo ),김주학 ( Joo Hak Kim ),성기혁 ( Ki Hyuk Sung ),김준엽 ( Joon Yub Kim ),박상준 ( Sang Jun Park ),이인혁 ( In Hyeok Lee ) 대한고관절학회 2013 Hip and Pelvis Vol.25 No.2

        목적: 고관절 대퇴 경부 골절로 인한 양극성 반 인공 관절 치환술 후 보이지 않는 실혈을 포함한 실질적인 총 실혈량을 계산하여 측정된 실혈량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위험 인자가 술 후 실혈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부터 2010년까지 본원에서 시행한 대퇴 경부 골절 후 양극성 반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356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실혈량의 계산은 Mercuriali와 Brecher에 의한 공식을 사용하였으며 실혈량에 미치는 위험 인자로 성별, body mass index (BMI), 마취 방법, 심혈관 질환이나 뇌혈관 질환 유무, 술전 빈혈 여부,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점수, 시멘트 사용 여부, 항혈전제 사용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계산된 총 실혈량은 1,408±72 ml이고 측정된 실혈량은 980±102 m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실혈량과 관련된 위험 인자 중 심혈관 질환이 있을 경우 1,526±369 ml, 전신 마취 시행 시 1,588±279 ml, 비만이 있는 경우 1,645±920 ml, 항혈전제 사용 시 1,605±439 ml로 증가된 결과를 보였다. 결론: 고관절 대퇴 경부 골절 후 양극성 반 인공 관절 치환술시 발생된 총실혈량은 측정된 실혈량에 비해 많은 많은 양이 측정되었으며 수술대상 환자 중 심혈관 질환 및 항혈전제 복용자, 비만 환자, 전신 마취 시에는 수술 시 출혈량을 줄이기 위한 세심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We compared visible blood loss and calculated blood loss after bipolar hemiarthroplasty in femoral neck fracture, and evaluated correlation between blood loss and its risk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356 patients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sty in femoral neck fracture between 2004 and 2010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total blood loss was calculated using the formula reported by Mercuiali and Brecher. We analyzed several factors, including gender, age, body mass index (BMI), anesthesia method,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preoperative anemia, Americ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ASA) score, use of cement, and use of antithrombotic agents. Results: Total calculated blood loss(1,408±72 ml) differed significantly from visible blood loss(980±102 ml). In addition, calculated blood loss differed between risk factors(1,526±369 ml in cardiovascular disease, 1,588±279 ml in general anesthesia, 1,645±920 ml in obesity, and 1,605±439 ml in use of antithrombotic agents). Conclusion: Total calculated blood loss was much greater than visible blood loss. Patients with risk factor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obesity, use of antithrombotic agents, and general anesthesia should be treated with care in order to reduce blood loss.

      • KCI등재

        Collarless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를 이용한 인공고관절 치환술 -최소 2년 이상 추시 결과-

        성열보 ( Yerl Bo Sung ),최정윤 ( Jung Yun Choi ),오수찬 ( Su Chan Oh ) 대한고관절학회 2012 Hip and Pelvis Vol.24 No.1

        목적: CPT 대퇴 주대를 이용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및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의 최소 2년 이상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0월부터 2009년 4월까지 CPT 대퇴 주대를 이용하여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 관찰한 3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33명의 환자 중 남자는 6명, 여자는 27명이었으며 수술 시 평균 연령은 74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33개월(24-48개월)이었고 임상적 결과는 HHS을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방사선학적 평가에 있어서는 시멘트 등급과 대퇴 주대 수직 침강 및 근위 대퇴골 골 흡수를 평가하였다. 결과: 임상적인 평가에서 HHS는 수술 전 평균 55점에서 수술 후 평균 91점으로 향상 되었으며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시멘트 등급은 A등급은 14예, B등급은 14예, C1등급은 5예였다. 근위 대퇴골 골 흡수 평가에서 1등급은 22예, 2등급은 1예였다. 수직 침강 소견은 평균 0.51 mm로 전예에서 의미 있는 수직 침강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이소성 골화 현상은 총 13예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CPT 대퇴 주대는 2년 이상 추시에서 임상적인 결과 및 방사선학적 평가에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좀 더 정확한 결과를 위해 장기간의 추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the clinical and radiologic results of total hip arthroplasty and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collarless polished tapered femoral stem.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results of 33 patients who underwent THA and BHA using cemented CPT femoral stem from November 2006 to April 2009.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3 months. The clinical results were evaluated with a Harris Hip Score (HSS), and radiographic results were assessed with cement grade, osteolysis, loosening, stress shielding and subsidence methods, Results: Mean HSS improved with 91 points, Postoperative cement grade was A in 14 cases, B in 14 cases, C1 in 5 cases and D in none. Aseptic loosening was not found, while focal radiolucency in zone 8 was found. 70% of stems showed grade 1 and 2 stress shielding according to Engh`s criteria. Subsidence of the femoral stem was less than 1 mm in 32 cases, and was 1.47 mm in another case. Ectopic ossification was observed in 13 cases, class I in 11 cases, and class II in 2 cases, using Brooker`s classifica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good clinical and radiographic results of THA and BHA with a cemented CPT femoral stem at the mid-term follow-up. However, a long-term follow-up study will be needed to evaluate the more precise clinical and radiographic outco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