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적 예술인식의 논리화 방식과 그 의미

        이선이(Lee, Sun-Yi) 우리문학회 2015 우리文學硏究 Vol.0 No.47

        이 연구는 우리의 근대적 예술인식이 어떤 논리화 방식을 통해 제출되었는가를 살피고, 이들 예술담론 속에 투영된 예술인식의 내용과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근대문학 초창기에 우리 문학이 도달해야 할 하나의 이상으로 상정했던 예술의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하는 작업과 결부된다. 우리의 근대문학에 대한 인식은 근대적 예술인식과 긴밀한 연관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대적 예술인식을 활발하게 담론화한 문학담론, 미술담론, 종교담론을 중심으로 개별 담론에서 예술에 대한 인식을 수용하고 배치하는 방식에 주목함으로써 근대적 예술인식의 논리화 방식을 살펴보았다. 세부적으로는 이광수 · 김동인의 논의를 중심으로 문학담론을, 최남선 · 김환 · 김찬영의 논의를 중심으로 미술담론을, 신태악 · 오상순의 논의를 중심으로 종교담론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의 근대적 예술인식이 다양한 세부담론과 결합되면서 다양하고 복수적인 인식으로 제출되었다는 점, 예술의 타율성에서 벗어나 자율성의 획득이라는 단선적 발전 경로를 밟지 않았다는 점, 우리의 인문적 전통과 대화적 관계를 견지하며 심미적 인문성의 토대 위에서 예술을 재인식해 나갔다는 점을 새롭게 포착하였다. This essay is to explore what organizational process Korea’s modern awareness on arts has gone through and how it is formed, and to find contents and meaning of arts awareness that is reflected on such a discourse. This is also colligated with a task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arts that was designated as a ideology of which Korean literature should arrive, at the beginning of modern literature. It is because that the awareness on Korea’s modern literatur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awareness of modern art Thus, the paper focused on the way which individual discourse including discourses on literature, arts and religion that are most actively discussed, are combined with the arts discourses as well as analyzing logical organization method of modern awareness on arts of those discourses. For example, the paper focused on arguments of Lee Kwang-su and Kim Dong-in for literature discourse, those of Choi Nam-seon, Kim Hwan, Kim Chan-yeong for art discourse, and those of Shin Tae-ak and Oh Sang-soon for religion discourse. Based on this analysis, the study has found detailed aspects of complex and multiple awareness of Korea’s awareness on arts in modern times. Also, it has newly found that Korea’s modern awareness on arts did not follow the linear footstep of just getting autonomy only escaping from heteronomy and, also that it tried to recognize the arts on foundation of aesthetic humanities while adhering to conversational relationship with Korea’s humanistic tradition during the process of accepting western arts aware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