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학 개념의 재정립 : 탐구의 학으로서의 실학

        심경호(Sim Kyoung-h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08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

        1980년대 한국학의 아이템은 실학이었다. 역사적 개념으로서의 실학은 조선후기에 현실 대응 논리를 모색하여 현실을 변혁할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던 학풍을 가리킨다. 하지만 최근 일부 젊은 학자들은 실학을 근대적 지향의 학풍으로 규정한 것에 대해 회의 또는 부정하고 있다. 현대의 시점에서 ‘실학’을 역사적 개념으로 설정하는 일이 무의미한가? 결코 아니라고 본다. 기존의 실학 연구는 우리 지성사와 관련하여 매우 소중한 사실들을 밝혀냈다. 더구나 실학이 근대의 새 징표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을 듯하다. 흔히 실학의 학문방법은 ‘실사구시’라고 규정된다. 하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선언적 규정이요 요청일 뿐이고, 실사구시의 학문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은 아니다 실학의 학문방법론으로는 상대주의적 시각, 문헌학적 실증주의의 방법 수립, 고증적 사물인식방법의 도입을 들 수 있다. 실학은 인식론적 관심을 확산시켰다. 실학시대에 이르면 아동에 대한 관점이 더욱 변화한다. 또 실학에 기초한 탐구의 학은 정신적 여유를 가져왔고 그것은 판타지의 감상으로 이어졌다. 생활의 이해관계에 대해 관심이 없는 ‘사심 없음[disinterested]’의 인식도 불러왔다. 실학의 민족주의적 성향은 사학과 철학에서도 드러나지만 문학에서 가장 뚜렷하다. 역사적 개념으로서의 실학은 이념적으로는 경세치용, 이용후생, 실사구시의 세 부류로 구분되지만, 실제로는 지향이 다른 여러 계보가 혼재한다. 그 가운데서도 강화학파 지식인들은 진실무위(眞實無僞)를 중시하는 심학적 실학을 추구하였다. 앞으로 실학의 현재적 가치를 재확인하고 그 사유 및 학문의 방법을 발전시키는 일은 우리 모두의 과제로 남아 있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 of Koreanology was Silhak(實學, practical science) in 1980's. Silhak of historical concept mean the academic traditions that provide practical logic and device against social irregularities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朝鮮) dynasty. Recently, some persons of the young school are skeptical about Silhak as modem academic traditions. But I think that Silhak of historical concept is not meaningless in the present age. Established studies Study on Silhak have demonstrated very important facts of our history of intelligence. In addition, we can't deny that Silhak have a new sign of the modem age. We have usually defined methodology of Silhak as Positivistic method(實事求是, One of new scientistic methods that it should keep only the facts). But this definition is only proclamatory definition or request, and this concept doesn't mean that elucidate methodology of Silhak as positivistic method in a concrete way. I think that we can mention recognition of relativism, philological positivism and historical research for understanding of thing as methodology of Silhak. Epistemology based on Silhak was diffused throughout intelligentsia. A new angle on the children appeared in the age of Silhak. And Silhak was extended to appreciation of fantasy, because Silhak as questing method had mental adaptability. This occasioned an intellectual to disinterest themselves from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life. Nationalistic inclination of Silhak had a strong influence on literature. Silhak of historical concept are ideologically divided into three branches : Political statecraft(經世致用), Economic enrichment(利用厚生, to make good use of things and make people live in abundance) and Positivistic method. But actually, various genealogy existed. For example, the school of Ganghwa(江華學派, the Wang Yangming school in Joseon) attached importance to truth, and pursued Silhak as moral culture. From now on, We have to reconfirm contemporary value and advance speculation and methodology of Silhak.

      • KCI등재

        명청(明清) 실학(實學) 계몽사조(啓蒙思潮)와 유형원(柳馨遠) 사상(思想)의 새로운 이론의 관계(關係)

        祁志祥 한국실학학회 2020 한국실학연구 Vol.0 No.40

        중국 학계에서는 관습적으로 “실학”이라는 단어로 청나라 시대 학술의 특징을 개괄한다. 넓은 의미의 “실학”은 당연히 實事求是의 사유방법을 가리킨다. 이것으로 중국 고대 사상계를 비추어보면, 이 방법은 청나라 시기 이전에도 뚜렷하게 존재하여, 중국사상의 발전과 변화의 시작과 끝을 관통하였다. “실학”의 넓은 의미를 이해함에 기반하여, 청나라 시대뿐만이 아니라 명나라 시대까지 모두 “실학”이라는 단어를 써서 포괄할 수 있다. “明·淸 시대 실학계몽 사조”는 “실학”의 중요한 지점이고, 또한 중국 고대 사상사의 중요한 지점이다. 청나라 시대 사상가의 실학 계몽사상은 아래와 같이 몇 가지 주제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첫째, 정욕을 존중하면서, 감정에 통달하고 욕망을 이룰 것을 주장했다. 둘째, 인정과 사사로움을 인정하였다. 셋째, 독재 군주에 대한 비판을 제기했다. “實學啓蒙”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이 용어는 본체와 작용을 합일하는 표현이므로 明·淸 시대 사상계 전체의 시대적 특징을 개괄하여, 더욱 적확하고, 실제와도 더욱 부합할 것이다. 17세기는 明·淸 교체기로, 중국 사상계의 실학계몽 사조가 주변의 동아시아 국가에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영향을 일으켰으며, 동아시아 지식인의 사상 변화를 발생하게 하였다. 柳馨遠은 한국 실학사조에서 대표적인 인물이며 그의 『磻溪隨錄』은 이 방면에서의 대표작이다. 中国学界习惯用“实学”概括清代学术的特征. 所以广义的“实学”当指实事求是的思维方法. 以此观照中国古代思想界, 这种方法在清代以前就鲜明地存在着, 它贯穿在中国古代思想史发展演变的始终. 基于对“实学”的广义的理解, 不仅清代, 而且明代, 都可以用“实学”去概括. “明清实学启蒙思潮”是“实学”的重点, 也是中国古代思想史的重点. 清代思想家继续明代的实学启蒙方向, 运用“征实求真”的方法, 倡导“经世致用”之学, 进一步掀起了对唐宋唯理主义思想启蒙的高潮. 清代思想家的实学启蒙思想, 集中体现在以下几个问题上:“一是尊重情欲, 主张达情遂欲二是肯定人情怀私三是对独裁君主的批判. 用“实学(用)启蒙(体)”这个体用合一的提法概括明清思想界的整体时代特征, 更为准确․更为符合实际. 17世纪是明清交替之际, 中国思想界的实学启蒙思潮对周边的东亚国家直接或间接地产生了影响, 使得东亚知识分子的思想发生了变化. 其中一个例证就是韩国的“实学”思潮. 而柳馨远就是韩国实学思潮中的一个代表性人物. 他的《磻溪随录》就是这方面的代表作.

      • KCI등재

        특집 1 : 심학(心學)과 실학(實學)의 재검토 ; 조선양명학의 실심실학(實心實學)과 조선 후기 실학(實學)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의 양명학관(陽明學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한정길 ( Jeong Gil Han ) 한국실학학회 2014 한국실학연구 Vol.0 No.28

        이 글은 조선양명학의 특성을 ‘實心實學’에서 찾는 것이 어떤 의의와 문제점이 있는지를 규명하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근래의 많은 양명학 연구가들이 조선양명학을 실심심학으로 규정하는데, 그것은 위당 정인보의 양명학 연구로부터 영향을 받은 바 크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위당의 양명학관을 중심으로 조선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하는 것이 지니는 의의와 문제점을 검토하고, 그것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위당은 조선후기 실학과 구분되는 조선양명학의 특성을 실심실학에서 찾는다. 위당이 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이해한 데에는 크게 세 가지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첫째는 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함으로써 實心과 무관하게 학문을 해온 조선의 주자학자들을 비판할 수 있는 논리적 기반을 제공했다는 점이다. 둘째는 양명학의 근본정신을 누구라도 쉽게 자기 안에서 확인할 수 있는 ‘一眞無假’한 實心에서 찾음으로써 민중들을 보다 쉽게 각성시킬 수 있는 길을 마련했다는 점이다. 셋째는 일체의 판단 준거를 자기 내면의 實心에 둠으로써 사태의 시비선악과 학술의 옮고 그름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판단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었다는 점이다. 그런데 위당의 이러한 양명학관은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것은 ‘실심실학’이라는 용어가 양명학만의 전유물은 아니라는 점이다. ‘실심실학’은 주자학자들이나, 양명학에 대해서 비판적인 조선 후기 실학자들도 자주 사용하는 말이다. 따라서 누군가가 실심에 근거한 실학을 주장한다고 해서 그를 곧바로 양명학자로 평가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위당은 ‘조선양명학파’를 서술하면서 실심에 근거한 실학을 한다는 이유로 양명학을 이단으로 비판하는 사람들까지 양명학자로 평가하고 있다. 이것은 결국 양명학자가 아님에도 ‘조선양명학파’로 분류하는 결과를 가지고 오게 했다. 양명학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한 것은 그 근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하곡의 제자들이 자기 선생의 학문을 실심실학으로 규정한 데에 가 닿는다. 하곡에게서 실심은 ‘心卽理’의 心이요, 良知이다. 따라서 하곡의 실심실학은 양명학적 실심실학으로서 양지실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하곡의 제자들이 하곡학을 ‘실심실학’이라고 규정하면서 그 이유를 설명한 것에 따르면 그들이 말하는 實心은 良知가 아니다. 이것은 실심을 양지로 보는 하곡의 견해에서 크게 벗어난 것이다. 하곡의 실심실학은 양명학적 실심실학이지만, 그의 제자들이 말하는 실심실학은 이미 양명학의 범주를 벗어나고 있다. 이 점은 소위 ‘강화학파’, 혹은 ‘하곡학파’로 불리는 이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들의 학문 특성을 실심실학으로 묶을 수는 있을지라도 그들 모두를 양명학적 실심실학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양명학적 실심실학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실심을 ‘심즉리’의 심이나 양지로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앞으로 우리는 이런 기준에 입각하여 실심실학을 주장하는 이들 가운데서 양명학적 실심실학자들을 분류하는 작업을 더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and problem in finding the characteristics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Currently many researchers of the Yang-ming studies has stated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and that has been influenced mostly from the studies of Yang-ming of Widang Jeong in-bo. Therefore, in this thesis, it will review the meaning and problem of stating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based on the Yang-ming study approach of Widang and to look into the plans to supplement it. Widang finds the characteristics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that differentiates from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n terms of Widang understanding the Yang-ming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ere are three meanings. First, by stating Yang-ming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t has provided the logical grounding that can criticize the scholars of Chu-tzu that has studied regardless of the sincere mind. Second, by finding the basic spirit of the Yang-ming studies from the sincere mind that can be confirmed easily from oneself, it has provided the way to enlighten the masses. Third, by putting the whole judgement standard in one`s own sincere mind, it has open a way to understand and judge and act on the right/wrong/ /good/evil of the state of affairs and the right/wrong of studies in a subjective way. However, such Yang-ming study approach of Widang has problem. That is, the term of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s not the exclusive property of Yang-ming studie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has been used frequently by Chu-tzu scholars or scholars of the Practical Learn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at were critical to Yang-ming studies. Therefore, even if someone claim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you cannot evaluate him as a scholar of Yang-ming studies. Regardless, by stating the ``the school of Yang-ming Studies in the Joseon Dynasty``, Widang has evaluated the people who criticized the Yang-ming studies as cult just because they pursued practical learning based on sincere mind as scholars of Yang-ming studies. This eventually resulted in categorizing them who are not Yang-ming study scholars as ‘Yang-ming study school of Joseon``. In terms of stating Yang-ming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e origin goes way back to the pupils of Hagok(霞谷) Jeong, je-du(鄭齊斗) as they stated the study of their teacher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For Hagok, the sincere mind is mind of ‘the mind is principle’ and is Innate knowledge. Therefor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Hagok i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Innate knowledge as a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Yang-ming studies. However, as the pupils of Hagok has stated the Ha-gok Studies a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when you look into the reason, the sincere mind is not innate knowledge. This goes beyond the approach of Hagok that sees sincere mind as innate knowledge. Although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Hagok i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of Yang-ming approach,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at are stated by his pupils has already gone beyond the scope of Yang-ming studies. This goes the same to the so-called ‘Kanghwa school’, or ‘Hagok school’. Although we can group their scholar characteristics into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we cannot take all of them as Yang-ming study of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In order to be evaluated as a Yang-ming study of the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the sincere mind should be understood as mind or innate knowledge of ‘the mind is principle’. From now on, based on this standard, we could work more on categorizing the Yang-ming study approach of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among the ones who claims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 KCI등재후보

        실학개념논쟁과 이을호의 실학관

        안재순 한국공자학회 2010 공자학 Vol.19 No.-

        한국실학 연구는 1930년대 『여유당전서』의 출판을 계기로 역사학계에서 활발하게 진행되었는데, 대체로 두 가지 입장으로 정리된다. 하나는 ‘實’이란 字義에 의해 실학을 정의하는 통시대적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실학을 특정 시대의 역사적 소산물로 보는 입장이다. 후자가 대체로 역사학계의 통설이며, 이 경우 실학은 “근대지향의식과 민족의식을 지닌 새로운 학문사조로서, 경세치용․이용후생․실사구시의 3대학파로 대별된다”고 정의된다. 철학계에서도 1960년대 실학에 대한 연구가 간헐적으로 있었으나, 1970년대 윤사순․이을호 등에 의해 실학의 철학적 해석이 본격적으로 시도되었다. 이들은 역사학계의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실학의 철학적 의미를 드러내는데 주력하였다. 이는 이을호교수의 정년기념 논총의 출판을 계기로 활성화 되었다. 역사학계에서 다산의 『여유당전서』의 출판을 계기로 실학논의가 시작된 것처럼, 다산 경학을 연구해 온 이을호 교수의 정년기념논총 출판을 계기로 실학에 대한 철학적 해석 작업이 활성화된 것은 의미가 크다. 다산과 이을호와 실학, 이 셋은 운명의 연결고리처럼 보인다. 다산의 경우를 중심으로 실학의 철학적 본질을 밝혀내는 데 기여한 이을호의 공로는 아무리 평가해도 지나치지 않다. 어쨌든 이을호의 실학은 ‘수기치인의 본령에 충실한 개신유학’이라고 요약 정리할 수 있으며, 그 핵심은 곧 탈송학(脫宋學)․탈한학적(脫漢學的)이다.

      • KCI등재

        근대 전환기 實心實學의 다층적 함의

        김윤경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3

        This paper is a comparison analysis of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under the doctrines of Yang-ming studies and those under neo-Confucianism. The ‘Sincere Mind and Practical Learning’ has been mentioned as a characteristic of Hagok’s School representing the Yangming’s School of Chosun. But the philosophy was not appropriated by the Hagok’s School only. Particularly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modern age, Confucian intelligentia pursued academic re-interpretation and practicing with the focus on this Sincere Mind and sciences as a response to the then crisis situation with Western civilization inflow and sovereignty pillage under imperialism. Neo-Confucianists such as Jongsuk Gwak and Wu Jun called for the completion of neo-Confucianism based on veracity once again to preserve and follow the essence of traditional study and moral practice rule. Their philosophy of Sincere Mind and Practical Learning was to ‘pursue practical learning with Sincere mind set.’ This Sincere Mind is to explain the attitude of pursuing practical learning, thus, different from that of the Hagok’s School, which bases on practical mind. Hagok’s School including Gunchang Lee, Gunseung Lee, Gunbang Lee, and Inbo Jung, more stressed independence on the foundation of veracity in their doctrine of Sincere Mind and practical Learning. This Sincere Mind and sciences of them referred to practical sciences implementing practical mind. Therefore, Practical Learning are subject to change according to where the truthful mind of Sincere Mind aims at. Here, it is important to have the kind of Sincere Mind that is constantly true without hypocrisy. Then, the Sincere Mind would always be there to present reasonable argument. Such discrepancy in interpreting ‘practical Learning based on the Sincere Mind’ led to the gap in practice theories and practice patterns, presenting deep implications even to the modern society. 본 논고는 근대전환기 양명학적 실심실학(實心實學)과 주자학적 실심실학을 비교분석한 글이다. 조선 양명학파를 대표하는 하곡학파(霞谷學派)의 특징으로 거론되어온 ‘실심실학’은 하곡학파의 전유물이 아니었다. 특히 근대전환기에는 서구문물과 제국주의의 국권침탈 등 위기 상황에 대한 유교 지식인의 대응으로서 실심실학을 중심으로 한 학문의 재해석과 실천이 활발하였다. 이건창, 이건승, 이건방, 정인보 등 하곡학파는 진실성의 기초 위에 주체성을 더 강조한 실심실학을 주장하였다. 이들의 실심실학은 곧 ‘실심을 실행하는 실학’을 의미했다. 따라서 실학은 진실된 마음인 실심이 지향하는 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는 실심의 한결같이 참되고 거짓이 없는 [일진무가(一眞無假)] 상태가 중요하다. 그러면 실심은 언제나 그 자리에서 정론을 제시하기 때문이다. 곽종석, 전우와 같은 주자학자는 전통학문의 본질과 보편적 진리를 지키기 위해 다시금 진실성에 기초한 성리학의 완성을 주장하였다. 이들의 ‘실심실학’은 ‘실심(實心)으로 실학(實學)하라’는 것이다. 여기서 실심은 실학하는 태도를 설정한 것이므로 실심을 기준으로 삼는 하곡학파의 견해와 다르다. 근대전환기 양명학적 실심실학은 주체의 확립을 지향한 반면 주자학적 실심실학은 보편의 확립을 지향했다. ‘실심실학’에 대한 다른 함의는 실천론과 실천 양상의 차이로 이어졌으며, 이는 현대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조선후기 호남실학에서 하백원(河百源)사상의 특징

        안동교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0 호남학 Vol.0 No.47

        이 글은 조선조 후기에 호남을 지역적 기반으로 삼아 학문활동을 전개한 실학자들의 저술과 사상을 간략히 정리하고, 그러한 실학사상의 흐름 속에서 河百源(1781~1845) 사상이 갖는 특징을 밝히려 한다. 역사적으로 볼 때, 하백원은 조선조 후기에 호남을 대표하는 실학자이며 국가를 경영할 풍부한 식견과 博學性을 지닌 유학자라는 평가를 받아왔으나, 아직까지 그의 실학이 호남의 실학자, 예컨대 柳馨遠(1622~73), 申景濬(1712~81), 魏伯珪(1727~98), 黃胤錫(1729~91)과 어떤 연관성이 있으며, 또한 어떤 특징을 지니는지를 객관적으로 검토한 사례는 없었다. 따라서 이 글은 하백원의 실학을 특정한 지역과 학술 범위 속에서 객관적으로 검증해보는 하나의 試論이다. 서술한 내용을 토대로 호남실학에서 하백원 실학사상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하백원은 실학과 관련된 체계적이고 방대한 저술을 남기지 못했다. 『자승도해』는 수차의 내용과 제도를 알려주는 소중한 저술이지만, 지도ㆍ천문도ㆍ자명종 제작과 관련된 상세한 논의는 보이지 않는다. 둘째, 하백원의 실학에는 주자학이 철학적 배경으로 깔려있다. 그는 당시 주자학풍을 반성하여 현실과 이념의 조화를 추구하면서 관념적 의리론자의 위선적 기만성을 부정하고, 실용적 효과에 근거하여 학문의 진실성과 정당성을 입증하려고 했다. 셋째, 하백원의 실학은 이용후생적 색채가 농후하다. 수차의 설계, 지도와 자명종의 제작, 천문도의 작성 등이 이를 증명한다. 넷째, 선진 과학문물을 받아들여 생활에 유용한 과학적 기계를 고안하거나 제작함으로써 실용적 학문에 대한 의지를 확고히 표현하고,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인 생활도구를 직접 만듦으로서 학문의 생활화ㆍ도구화를 적극 실천했던 점에서 하백원의 실학적 특징은 뚜렷이 드러난다. 이 점이 바로 하백원을 호남실학의 흐름에서 “실천적 이용후생학자”로 위치 지울 수 있는 근거를 부여한다. 這一篇文章是簡單地整理了關于朝鮮朝後期湖南地域爲中心展開的術活動的實學者之著述和思想, 而且在實學思想當中表明了河百源(1781~1845) 思想的特徵. 從歷史的角度來看, 河百源不僅是朝鮮朝後期湖南實學的代表學者, 而且是一位有豊富的識見和博學的儒學者. 但是到今日爲止, 我們還沒有客觀地檢討了他的實學思想和湖南實學者如柳馨遠(1622~73)ㆍ申景濬(1712~81)ㆍ魏伯珪(1727~98)ㆍ黃胤錫(1729~91)之間有什마樣的聯關性, 又他的實學思想中存在着什마樣的思想特色. 因此, 這一篇文章就是把河百源的實學放在特定的地域和學術範圍, 而試圖了客觀地檢討思想特徵. 在湖南實學當中, 整理河百源實學思想的特徵就是: 第一, 河百源沒有留下和實學有關的體系的而且放大的著述. 他的著作『自升圖解』雖然是關于水庫的內容和制度的寶貴的著作, 但是沒有關于地圖ㆍ天文圖ㆍ自鳴鐘的詳細的論議. 第二, 河百源的實學思想是以朱子學的哲學爲背景的. 他一邊對當時朱子學的學風反省, 而一邊不僅追求現實與觀念之和諧, 否定了義理學者的僞善的欺瞞性. 而且基于實用的效果, 論證了學問的眞實性和正當性. 第三, 河百源的實學思想里濃厚了利用厚生的色彩, 因爲設計水車, 制作地圖與科學機械, 制作天文圖等都是證明了這一觀念. 第四, 接受先進科學, 而制作可以利用生活當中的科學器物, 是對實用的學問的意圖, 不僅如此, 直接制作對日常生活有用的器物, 實踐學問的生活化ㆍ科學化, 而表現了河百源的學問之實學的特徵. 河百源的實學思想中的這一特徵, 在湖南實學當中, 給他“實踐的利用厚生學者”的位置.

      • KCI등재

        實學 연구의 맥락과 鄭寅普의 “依獨求實”

        김진균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0 No.-

        우리 국학 고전 연구 분야에서 실학 연구는 “민족-근대”라는 이념적 정체성을 발휘하며 구심력을 강화해온 반면 그 이념적 정체성에 대한 도전도 적지 않았다. 한편으로 실학 연구 이념의 핵심을 덮어둔 각론들이 무한히 확장되면서 실학 연구의 원심력을 조장하여 실학의 개념을 애매하게 만들 우려마저 있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이에 1930년대를 전후한 실학 연구의 초기 정신을 재검토하여 다시 실학의 상상력을 회복할 필요가 있다. 근대적 실학 연구의 초석을 놓은 鄭寅普는 근대한문학의 대가로서 중세와 근대의 시차를 넘어서는 입장에서 星湖 李瀷과 茶山 丁若鏞의 정신을 계승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후 1970년대에 이르러 經世致用・利用厚生・實事求是의 실학 학파 계보가 완성되면서 “민족-근대”의 실학 연구 이념도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민족-근대”의 이념을 반성적으로 검토하며 새로운 단계의 실학 연구로 나아가기 위해, 본 논문은 이념의 축을 중심으로 지금까지 전개되어 온 실학 연구의 맥락을 재검토해보고, 실학이라는 고전을 통해 주체적 공동체를 추구하는 지식인의 상을 구상한 정인보의 초기 실학 정신을 다시 확인해 본 것이다. Studying on Shilhak in our Korean traditional studies has strengthened its abilities, emphasized the identity “nation-modern”. But there are many challenges to the ideological identity. On the other hands, it has some concerns that make the concept of Shilhak obscure that many specialized studies that don’t handle the core of the Shilhak’s ideological study expand boundless. For restoring the imagination of Shilhak, We have to review the former spirit of Shilhak studies. Jung In-bo who made a basis of shilhak studies and was the master of Modern Sino-Korean literature claimed that we have to succeed the soul of Lee-ik and Jung yak yong. Since 1970’s studies of Gyoungsechiyong―school of thought that reach practical suggestions to straighten out the world―, Yiyonghuseng―school of thought that pursuit of the welfare as a practical benefit― and Shilsagushi―school of thought that search for profound truth as proven attitude― had been completed. And we could understand that “nation-modern” was also completed in that time. On behalf of going forward,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coherence of Shilhak studies as ideology and re-confirm the Jung In-bo’s former spirit of Shilhak who tried to make as hape of an intellectual pursuit an independent community through Shilhak.

      • KCI등재

        조선조 실학자들의 토지 인식

        신복룡(Bok-Ryong Shin)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2010 부동산 도시연구 Vol.3 No.1

        이 글에서는 조선조의 실학자들의 사상 중에서 그들이 토지를 어떻게 인식했는가를 다루어 보고자 한다. 실학자들의 토지 인식에 주목하는 것은, 그들의 전체 사상을 토지만으로써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토지는 그들의 핵심적 가치 중의 하나였으며, 이 문제에 대한 이해를 통하지 않고서는 실학의 전체상을 이해할 수 없다는 논지에 이 논문은 기초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과 같은 농경사회에서 토지는 사회경제사뿐만 아니라 정치사의 중요한 추동 요인으로 작용해 왔다. 왕조 변혁에 대한 수많은 명분과 논리에도 불구하고 그 이면에는 늘 누가 토지를 소유하느냐의 문제가 깔려 있었고, 훈구와 개혁파의 논쟁의 이면에도 토지는 중요한 가치였다. 이 글의 문제의식은 다음과 같다. [1] 실학은 조선조의 시대정신을 읽는 하나의 도구였다. 실학자들은 멀리 이이(李珥)의 양민책(養民策)에 머리를 향하고, 전쟁의 참화와 이로 인한 민생의 아픔에 연민을 느끼면서 경기 일원에서 살던 남인(南人) 유파의 몰락한 지식인들(marginal men)이 북학에 영향을 받아 전후 복구와 후생을 유념하면서 구상한 사상 체계였다. 이런 점에서 실학은 한국사에서 근대성(modernity)의 시발이었다. [2] 토지라는 시좌(視座)에 국한하여 본다면, 실학들은 경자유전(耕者有田)의 원칙으로부터 추호도 물러서려 하지 않았다. 농경사회에서 토지는 영혼과 같은 것임을 그들은 잘 알고 있었다. 그들은 조선조의 토지제도인 과전법(科田法)에 따른 사대부의 토지제도의 불합리함을 입증하는 데 노력을 경주했다. 그들의 토지 인식은 기본적으로 사유제를 거부하는 공유제였다. [3] 실학자들이 토지 문제를 둘러싸고 가장 우려한 부분은 토지 겸병에 따른 사대부의 지주화현상이었다. 토지겸병은 경작자의 빈곤을 초래하는 중요한 이유로서 그 자체로도 공의롭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국가의 균형 있는 분배를 저애하였다. 그들은 토지 겸병을 막는 방법으로서 토지상한제를 구상했다. [4] 전기 실학자들이 주로 토지제도의 모순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의 개혁에 몰두했던 데 비하여 후기 실학자들은 토지 생산성의 증대를 고민했는데, 이는 북학(北學)을 통한 자연과학의 도입과 무관하지 않았다. 그들은 농지의 개발과 농기구의 발명, 그리고 낮은 세율에 유념하였으며, 종래의 미곡납(米穀納)에 대신하여 화폐납(貨幣納)을 주장함으로써 상업자본의 도래를 촉진했다. [5] 실학파들은 역사, 지리, 강역학(彊域學), 토지제도, 과거제도, 천문, 역학(曆學), 의술 등을 광범하게 천착하던 조선조의 백과전서파들이었다. 그러한 그들의 광범위한 학문 영역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진실로 강조하고자 했던 본질은 농업생산성을 통한 백성들의 삶의 질의 향상이었다. 그런 점에서 그들은 조선조의 중농주의자들이었다. [1] Pragmatism (shilhak) is a tool through which the Zeitgeist of the Chosun Dynasty can be reviewed in the modern age. The Korean Pragmatists, heading toward a policy of the cultivation of the people by Lee Yoolgok, were marginalized men of the Southern Party (Namin) who were sympathetic to the misery of the people after the War with Japan (1592-1598) and the War with the Manchurian Ching Dynasty (1627, 1636-1637). These individuals agonized about how to recover from these disasters and were influenced by Yenching science (bookhak or, science from the North). In this respect, the age of shilhak was a period of modernity in Korean history. [2] From the point of view of land, the Korean pragmatists held to the theory that “farmers should have land.” In an agricultural society, they knew, land is a spiritual thing. They tried to prove that the land system in the Chosun Dynasty, which permitted high-level bureaucrats to be granted wide areas land by the royal house, was unreasonable. Their basic tenet was the denial of a private land-ownership system; they believed instead that land should be public property. [3] The pragmatists were seriously concerned that the high-level bureaucrats would become landlords through a latifundium system. A latifundium system could not be justified as it was a cause of mass poverty and kept the country from achieving a balanced distribution of wealth. The Pragmatists searched for a way to limit the ceiling of land ownership. [4] The pragmatists of the former age in the 17th century devoted themselves to the eradication and reformation of the conflicts in the land system. In comparison, the pragmatists of the latter age in the 18th century were interested in the promotion of land productivity that was brought about as a result of the introduction of natural science from the Yenching science. They remained conscious of the need to invent agricultural tools, develop farm land and ease the tax system. They also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of commercial capital by promoting taxation in hard currency instead of a crop tax system. [5] Korean pragmatists were a kind of Encyclopaedists, who studied history, geography, territorial problems, the land system, the examination of civil service, astronomy, the calendar and medicine. In spite of their broad interests in the sciences, what they really wanted was to better the life of the people through the growth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In this point, they were essentially the physiocrats of Korean history.

      • KCI등재

        근기실학(近畿實學)과 반계류형원(磻溪柳馨遠)

        정성희 ( Jeong Seonghee ) 온지학회 2017 溫知論叢 Vol.0 No.50

        본 논문은 반계 유형원과 성호 이익의 영향을 관계를 바탕으로 근기실학이 성립되는 문제를 살펴보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반계 유형원은 서울에서 태어나 생애의 대부분을 비록 호남 부안에서 살았지만, 성호 이익를 비롯한 근기학파와 매우 인연이 깊은 인물이었다. 정치적으로 남인계였으며, 묘소 또한 부안이 아닌 경기도의 용인에 있고, 후손도 부안을 비롯하여 선영이 있는 경기도의 과천에 거주했다. 일찍이 위당 정인보가 조선후기 실학의 계보를 “반계가 일조(一祖)요, 성호가 二祖요, 다산이 三祖이다”라고 정리하면서 반계-성호-다산은 조선후기 실학 계보의 주축으로 인정되어왔다. 반계 유형원은 실학의 개창한 인물이고, 성호 이익은 실학을 체계화했으며, 다산 정약용은 실학을 집대성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이들 세 사람은 정치적으로 모두 남인 출신이었으며, 근기 지역과도 연고가 있는 인물이다. 때문에 조선후기 실학을 근기 남인 학인들을 중심으로 성립된 것으로 이해되어, 근기 남인 학인을 중심으로 성립한 근기실학이 조선후기 실학을 대표하기도 하였다. 근기실학은 근기 지역을 중심으로 성호학파가 주축을 이뤄 성립된 새로운 학문경향이다. 성호학파를 개창한 성호 이익은 퇴계학을 계승한 성리학자이지만, 미수(眉?) 허목(許穆)과 반계 유형원으로부터도 영향을 받아새로운 학문체계를 이루었다. 허목이 퇴계 이황과 한강(寒岡) 정구(鄭逑)의 학문을 이어 근기지역 학술의 발판을 개척했다면, 허목의 영향을 받아 실학이라는 학문의 토대를 마련했던 학자는 반계 유형원이었다. 다시 말해 허목과 연결되어 있던 반계 유형원의 실학사상이 성호 이익을 통해 이어졌고, 그것이 다시 성호 제자들을 통해 경기도 일대에 퍼져 근기학파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근기실학과 반계 유형원은 조선후기 실학의 성립사를 살펴보는데 배우 중요한 키워드라고 본다. Bangye Yoo Hyeong-Won was born in Seoul and lived in Buan, which was located in the Honam area. However, he was closely related to the practical school in the near-capital area including Seongho(星湖) Lee Ik(李瀷). He shared his political background with Nam-in, and he was not buried in Buan but Yongin, Gyeonggi-do. His descendants also lived in Gwacheon, Gyeonggi-do, where the family burial ground was located as well as Buan. The tradition of the practical school of Joseon, which was established by Bangye and succeeded by Seongho and then Dasa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by Jeong In-Bo, was the tradition of the practical school of the near-capital area. It was not a direct teacher-pupil relation, but the scholastic mainstream of the practical study was formed through transmission of academic knowledge. Seongho Lee Ik who established the Songho school called himself a successor of the Toegye school in his lifetime, but his theory of governance was most affected by Bangye Yoo Hyeong-Won. His family, whose family name was Yeoju Lee, shared the political background of Buk-in, and emerged as the key force of Nam-in during the generation of his father, Lee Ha-Jin, He shared the scholastic idea of Nam-in instead of Buk-in since his family emerged as the mainstream of Nam-in, but he also supported the practical ideas under the influence of the Hwadam school with the ideas of Buk-in, influenced by his father. He was interested in the real-world issues and developed the theory of governance, while succeeding the philosophy of Toegye, affected by his family tradition. He established the philosophy of Seongho, which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practical study of the near-capital area, by adding the ideas of the practical study of Yoo Hyeong-Won, who was academically and personally very close to him. Bangyesurok(磻溪隧錄) which summarized the theory of governance of Yoo Hyeong-Won was widely distributed by the practical scholars who were Nam-in in the near-capital area in the 18th century, and gained high recognition. Lee Ik recognized Bangye and Yulgok(栗谷) as the best administrators of Joseon, and wrote publications about Bangye, including Bangyesurokseo(磻溪隧錄序), Bangyeyooseonsaengyoojip(磻溪柳先生遺集) and Bangyeseonsaengjeon(磻溪先生 傳). His representative publication about the theory of governance, Gwagurok(藿 憂錄), succeeded the spirit of Bangyesurok. The theory of governance and utilitarianism of Bangye Yoo Hyeong-Won was inherited by Seongho Lee Ik and then the pupils of Seongho, including Ahn Jeong-Bok(安鼎福) and Jeong Yak-Yong(丁若鏞). Accordingly, the practical school of the near-capital area is considered to have fully succeeded the philosophy of Bangye.

      • KCI등재

        [특집2: `실학`을 다시 생각한다] 실학(實學)은 하나인가, 여럿인가, 아니면 애초에 없었던 것인가 -`미래 실학`을 위한 방향 모색

        김상준 ( Kim Sang-jun ) 한국실학학회 2016 한국실학연구 Vol.0 No.32

        `실학`이란 `근대` 그리고 `근대성`과 뗄 수 없이 결부되어 있는 개념이다. 따라서 `근대` 그리고 `근대성`이라는 언어가 안정적 통념을 이루고 있다면 `실학` 개념 역시 큰 문제되지 않고 유지돼 간다. 반대로 `근대`에 관한 기왕의 인식, 개념, 이해가 크게 흔들리고 의문에 부쳐지고 있다면, `실학` 개념 역시 같은 상황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 현실이 그렇다. 지금껏 자명하게 전제했던 서구주도근대관이 크게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근대성 논의에서 제기되었던 `근대성은 하나인가, 여럿인가, 아니면 없는가`라는 의문이 실학 논의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즉 `실학은 하나인가, 여럿인가, 아니면 애초에 없는가?` 이 글이 `실학 디플레`라고 부르는 이 해체적 현상은 실학 담론, 개념 자체의 유효성을 의문시하는데까지 이를 수 있다. 이 글은 근대 세계사를 새롭게 해석하는 `중층근대론`의 시각에서, 실학 논의의 유의미성과 유효성을 새롭게 제기한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유교사 전반을,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새롭게 이해하는 시각을 얻을 수 있다. 동아시아 유학사, 유교 레짐사에서 실학 또는 실학적 흐름이란 초기근대 동아시아 유교 레짐(regime)의 역동성을 선도해 왔던 선진적 경향을 말한다. 이 흐름을 일이관지 관통하는 핵심 에스프리는 창건 시부터 유교에 내재했던 윤리성과 비판성이다. 유교 윤리성이란 타자(특히 民)의 고통과 불의한 현실에 대한 민감성을, 유교 비판성이란 주권행사의 남용과 폭력성에 대한 경계를 상징한다. 동아시아 초기근대에 나타난 실학의 다양성은 이 핵심 에스프리가 시대와 국면에 따라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Silhak`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concepts of `modernity` and `the modern era.` Therefore if the concepts of modernity and the modern era are stable, the concept of `Silhak` is also accepted without questions. However, if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odernity and the modern era is under question, the concept of `Silhak` is also questioned. That is what is happening these days. As the standard Eurocentric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modernity and the modern era has been seriously questioned and denied, the questions about the validity of the concept of `Silhak` has also been widely raised. As a result, phenomena which I call the `deflation of Silhak studies` are observed. This essay suggests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odernity and the modern era―the theory of overlapping modernities―by which the rational core of the concept of the `Silhak` could be preserv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overlapping modernities, the `Silhak` was the Confucian tendencies which led the dynamics of the early modern East Asian Confucian regimes. The core esprit which these tendencies commonly share is the ethical and critical attitude which tried to renovate Confucian regimes for the benefit of the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