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새로운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방안

        김권식 한국재무학회 2011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05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이후 조기경보모형에 대한 관심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데 조 기경보모형 개발은 2000년 중반이후 거의 답보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의 위기 사 례를 사전적으로 예보하면서 과거와 다른 형태의 새로운 위기도 예견할 수 있는 대안적 EWS모 형, 즉 잔여시간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잔여시간접근법은 위기 사례가 없는 국가의 경우도 조기경보모형을 구축할 수 있게 하고 위기예측능력이 있는데 시계열자료가 짧은 변수도 모형내 에 포함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잔여시간접근법이 97년 외환위기와 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사전적으로 예견할 수 있었는지 를 살펴보기 위해서 위기 예측성과를 분석하고 이를 신호접근법의 예측성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97년 외환위기의 예측성과는 신호접근법이나 잔여시간접근법에서는 차이 없이 모두 좋은 성과를 내놓았다. 그러나 08년 외화유동성 위기의 경우는 다른 결과를 보여 주었다. 즉 신 호접근법은 1개월 후행하여 위기신호를 보낸 반면 잔여시간접근법은 4개월 선행하여 위기신호 를 보냈다. 이에 잔여시간접근법이 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견하는데 있어 신호접근법보다 낫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2008년 위기 예측 가능했나?: 신호접근법 분석

        박원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1 East Asian Economic Review Vol.15 No.3

        본 연구는 신호접근법을 사용하여 조기경보모형을 구축하고 2008년 우리나라의 위기가 예측 가능했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1997년 외환위기를 예측하기 위해 구축된 모형의 골격을 바꾸지 않고 2008년 위기를 예측함으로써 우리나라의 1997년 위기와 2008년 위기가 대내외 여건의 비슷한 변화로 인해 발생하였음을 보였다. 또한 2008년 전체를 전반적으로 위기기간으로 간주하는 경우와 실제로 위기가 발생한 2008년 9월 이후로 위기기간을 한정하는 경우에 위기예측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보였다. 분석 결과, 신호접근법 조기경보모형의 예측력은 매우 양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위기를 앞두고 신호발생 건수가 급증하고, 위기발생 확률도 급격하게 높아지면서 위기를 조기에 경보할 수 있었다. 가장 중요한 지표는 외채/외환보유액 비율과 예금취급기관 해외부채/총부채 비율이었다. 모형의 표본외 예측력도 양호하였다. 우리나라가 위기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구축한 조기경보시스템이 잘 작동하기 위해서는 조기경보모형의 신뢰도를 높이고 ‘이번은 다르다 신드롬’에 빠지지 않아야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 2008 crisis in Korea was predictable by applying the signal approach. It shows that the early warning model constructed to predict the 1997 crisis in Korea works very well to predict the 2008 crisis, implying the similarity of the two crises. In predicting the 2008 crisis, crisis period is defined two ways. One is to define the whole year of 2008 as the crisis period. The other confines the crisis period to the post September, 2008. The early warning was not sensitive to the crisis period. Both models provide early warning successfully. Well before the crisis period, signals increased rapidly and the conditional probabilities of crisis rose sharply. The most important indicators were the foreign debt/foreign reserves ratio and the foreign debt/total debt ratio of depository corporations. The models performed well in the out-of-sample period. It seems that Korea did not utilize the early warning systems to be ready for the 2008 crisis, although she had built them after the 1997 crisis to be ready for the another crisis. We must overcome the this-time-is-different syndrome and trust the early warning models to rely on early warning.

      • KCI등재

        한국 外換危機의 예측 모형

        朴元巖 한국금융연구원 2001 韓國經濟의 分析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신호접근모형과 프로빗 모형에 의해 한국 외환위기의 예측모형을 구축하고 표본내 및 표본외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신호접근법은 비모수적 방법이므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감안할 수 없는 반면, 프로빗 접근법은 모수적 방법으로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직접적으로 고려하므로 유의한 설명변수의 수가 크게 줄어든다. 양 모형의 표본내 예측력은 뚜렷하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표본외 예측력은 프로빗 모형이 신호접근모형에 비하여 크게 떨어졌다. 또한 프로빗모형에서 설명변수를 분절선형화하여 예측력을 높이려하였으나 분절선형화된 설명변수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두 모형은 방법상의 차이로 서로 통합하기가 어려운 만큼 두 모형을 모두 조기경보모형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신호접근법의 예측력이 안정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므로 신호접근모형의 유지 발전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위기 예측과 지역모형의 사용 -신호접근법 분석-

        박원암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금융지식연구소 2017 금융지식연구 Vol.15 No.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iciency of the regional model to predict Korea's financial crisis, using the signal approach. We adopted the widely recognized model of Goldstein, Kaminsky, and Reinhart(2000) that includes 15 leading indicators in 24 countries around the world during 1990.Jan-2009.Dec. and found the implications as follows. It was not helpful to include other regions than the East Asia to predict Korea's crisis. Within the East Asia, the optimal cluster for Korea was Korea and Indonesia according to within and out of sample forecasts. However, the crisis predictability of the Korea and Indonesia clust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individual Korea model. 국가위기 사례는 많지 않으므로 개별 국가별로 위기를 예측하기 보다는 다른 나라의 사례를 포함한 패널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견해가 있다. 본 고에서는 우리나라의 위기 예측을 위하여 동아시아 국가 및 여타지역의 국가들을 포함한 지역모형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신호접근법 모형을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대표적 신호접근법 모형인 Goldstein, Kaminsky, and Reinhart(2000)를 원용하여 4개 지역 24개국의 1990-2009년 중 15개 선행지표에 대한 월별 자료를 이용하여 표본내 및 표본외 예측을 하였다. 그 결과 동아시아 국가이외에 다른 지역의 국가들을 포함하는 것이 한국의 금융위기 예측에 도움이 되지 않았다. 또한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한국과 인도네시아 두 국가로 구성한 클러스터의 예측력이 전반적으로 우수하였다. 그러나 이 클러스터의 표본내 및 표본외 예측력도 한국 자료만을 사용한 한국모형의 예측력과 유의하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 KCI등재

        신호접근법에 의한 외환위기 예측

        朴元巖,崔公弼 韓國計量經濟學會 1998 계량경제학보 Vol.9 No.-

        본 연구에서는 신호접근법을 사용하여 외환위기의 예측가능성을 검토하고 위기선행지수를 작성하여 보았다. 외환위기에 대한 실증연구가 회귀분석이나 질적 종속변수모형을 이용하였던 데 반해, 본고에서는 실물·금융부문의 광범위한 지표를 이용하여 종합선행지수를 작성하고 외환위기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우리 나라의 외환·금융위기는 비록 처음 발생하였으나, 위기발생의 이론적 요인을 종합하여 선행지수를 작성하면 작년 말 외환시장압력의 급등을 설명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 나라의 외환위기가 기본적으로 예측불가낭한 사건으로서 과거 기초경제여건과 무관하다는 견해는 타당하지 않다고 하겠다.

      • KCI등재

        신호접근법에 의한 유조선 해운시장 위기 예측 연구

        최봉근,류동근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7 No.3

        한국 경제에 근간이 되는 산업은 제조업이고, 그중 석유화학산업은 전량 원유를 수입하여 우리나라의 기술력으로 가공하여 재수출하는 전략적 성장 산업이다. 수많은 제조업의 원료가 되는 원유를 전량 해상운송을 통해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변동성이 심한 유조선 운임 시장에 대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 유조선 운임 시장의 위기는 관련 해운회사의 위기에서 끝나지 않고 원유를 사용하는 산업에서부터 국민의 생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신호접근법을 활용한 조기경보모형을 제시했다. BDTI 운임지수를 활용하여 유조선 해운시장 위기를 정의하고, 38개의 거시경제, 금융, 원자재 지표 그리고 해운시장 데이터를 활용해 시차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유조선 해운시장 위기에 선행적으로 반응하는 종합선행지수를 도출했다. 연구 결과, 종합선행지수는 두 달 전 가장 높은 0.499의 시차상관계수 값을 가졌으며, 5개월 전부터 유의미한 상관계수 값을 나타냈다. QPS 값은 0.13으로 위기 예측에 대해 높은 정확성을 지니는 것으로 검증됐다. 더불어 기존의 다른 시계열 예측모형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경제 위기와 유조선 해운시장의 위기 간의 시차를 계량적으로 접근하여, 관련 해운산업 종사자들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략의 기틀을 제공함에 의의가 있다.

      • 신호접근법에 의한 유조선 해운시장 위기 예측 연구

        최봉근,류동근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3 No.1

        한국 경제에 근간이 되는 산업은 제조업이고, 그중 석유화학산업은 전량 원유를 수입하여 우리나라의 기술력으로 가공하여 재수출하는 전략적 성장 산업이다. 수많은 제조업의 원료가 되는 원유를 전량 해상운송을 통해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변동성이 심한 유조선 운임 시장에 대해 기민하게 대응해야 한다. 유조선 운임 시장의 위기는 관련 해운회사의 위기에서 끝나지 않고 원유를 사용하는 산업에서부터 국민의 생활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신호접근법을 활용한 조기경보모형을 제시했다. BDTI 운임지수를 활용하여 유조선 해운시장 위기를 정의하고, 38개의 거시경제, 금융, 원자재 지표 그리고 해운시장 데이터를 활용해 시차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유조선 해운시장 위기에 선행적으로 반응하는 종합선행지수를 도출했다. 연구 결과, 종합선행지수는 두 달 전 가장 높은 0.499의 시차상관계수 값을 가졌으며, 5 개월 전부터 유의미한 상관계수 값을 나타냈다. 더불어 QPS 값은 0.13으로 위기 예측에 대해 높은 정확성을 지니는 것으로 검증됐다.

      • KCI등재

        신호접근법에 의한 중국 주택시장 조기경보시스템 연구

        이기영 한중사회과학학회 2013 한중사회과학연구 Vol.11 No.1

        本文基于信号分析法构建了适合于中国住房市场的预警系统。构建过程中发现、为了建立适合于中国国情的住房市场预警系统、与传统的信号分析法的方法相比、需要调整传统信号分析法的一些内容。首先、在传统的方法上、根据理论方法来确定风险期间、但是本文的反复试验结果发现只根据理论方法确定风险期间没有有效地反映中国住房市场的趋势、因此积极反映专家意见而补充了理论方法的限制。第二、传统信号分析法根据先行指标和市场压力指数的单纯的相关关系分析结果调整先行指标的正负符号、但在本文考虑到经济学的供求关系和中国特殊的汇率变化趋势、对于一些有关供给方面的指标和汇率给予了负的符号。第三、在构建风险综合指数方面、替代传统的方法而采用以总信号中正确信号的比率来加了权重、通过这种方法构建了风险综合指数。基于这种调整的方法构建的中国住房预警系统、在样本内预测的有效预测能力为93%、与基于传统的信号分析法构建的预警系统的样本内预测的有效预测能力69.7%比较、大幅提高了预测能力。在样本外预测的有效预测能力为90%、与传统方法的70%比较、也可以大幅提高了有效的预测能力

      • KCI등재

        신호접근법을 이용한 건화물시장 해운조기경보모형에 관한 연구

        윤정노(Jeong-No Yun),김가현(Ga-Hyun KIm),류동근(Dong-Keun Ryoo)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2 No.1

        해운산업은 파생적 수요의 특성으로 대외적 요인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하지만, 공급 측면은 이러한 수요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특성 때문에 해운산업은 호황과 불황을 거듭하게 된다. 그러므로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조기경보모형을 구축해 시장을 모니터링하고 다가올 위험을 예측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호접근법을 사용해 조기경보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위기지수는 BDI를 사용해 정의하였으며 금융, 경제, 선박 등 다양한 선행지수를 활용해 종합선행지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종합선행지수가 해운분야의 실제 위기지수와 비교해 4개월의 시차를 두고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고, QPS(Quadratic Probability Score)가 0.37로 정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Maritime industry is affected by outside factors significantly due to its derivative demand characteristics. However, the supply side can not react to these changes immediately and due to this uniqueness, maritime industry repeats the boom-bust cycle. Therefore the government itself needs to operate early warning system in order to monitor the market and notice the upcoming risks by setting up a system to prepare for the situations. In this research, signal approach is used to establish early warning system. Overall leading index is composed of crisis index that is based on BDI(Baltic Dry Index) and various leading indexes such as finance, economy, shipping and the others. As a result of computing overall leading index which is early warning system in maritime through signal approach, the index showed a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actual maritime risk index by difference of 4 months. Also, the result was highly accurate with overall leading index’s QPS(Quadratic Probability Score) at 0.37.

      • KCI등재

        신호접근법을 이용한 국제곡물가격 조기경보시스템

        김태훈,승준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농촌경제 Vol.32 No.3

        World grain prices have sharply increased from the middle of 2006 due to declining world grain stocks. Since the grain self-sufficiency rate of Korea is about 27%, the domestic supply and demand of grains is affected by rising prices of world grai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uild an early warning system to monitor world grain prices and supply and demand. In this study, an early warning model provides a complex leading index, which is an early warning indicator of world grain prices using the signal approach. The result shows that the complex leading index is highly relevant to the actual crisis index of grain prices with a time lag of 1~6 mon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