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

        조아인,홍상황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2 교육혁신연구 Vol.3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ess vulnerability and response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ir relationship. 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IESS) was given to 560 elementary school teacher to collect data. Method: We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responses and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nd ag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correlation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variables that explain stress response.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ress vulnerability variables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response. Second, stress vulnerability and response were higher in female teachers than in male teache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ess response according to the level of vulnerability; the higher level of vulnerability represents higher stress response. Fourth, cluster analysis showed the four profiles named high risk type, stable type, sensitive type, and normal type. The difference in stress respons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high-risk type and, conversely, the lowest in the stable type.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empirically proved investigated the stress vulnerability and response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llowing study is needed to examin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and response. 연구목적: 이 연구는 초등교사들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 및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560명을 대상으로 통합스트레스검사(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 IESS)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방법: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 간의 상관과 성별과 나이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고, 스트레스 취약성 변인들이 어떻게 상호 관련되어 스트레스 반응을 설명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트레스 취약성은 스트레스 반응과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은 스트레스 지각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남자 교사보다 여자 교사가 높았으나 나이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둘째, 취약성 수준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취약성 수준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반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의 대표적인 스트레스 취약성 유형과 그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 고위험형, 안정형, 민감형, 평범형이라는 4가지 군집 프로파일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프로파일 간에 스트레스 반응 차이는 고위험 유형에서 가장 높고 반대로 안정 유형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을 종합적으로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이후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 간의 인과관계를 가정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에어 스트레스(Air Stress) 반응의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최욱희,정현주 동북아관광학회 2017 동북아관광연구 Vol.13 No.3

        항공여행의 증가와 동시에 항공여행에서의 후유증, 불안전한 돌발 상황 등에 의한 심각성이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고 있으나 항공기 내에서의 스트레스나 증상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기를 이용한 여행 중 항공기 내에서 특징적으로 발생하는 스트레스 반응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기내 스트레스 반응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측정도구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에어 스트레스 반응의 측정도구의 개발을 위해 두 단계의 연구로 진행하였다. 1단계로 심층면접, 표적집단면접, 그리고 전문가면접을 실시하여 에어 스트레스 반응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구체적인 증상 및 행동을 추출하여 측정항목을 개발하고 다차원적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2단계로 에어스트레스 반응으로 개발된 측정항목을 정제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토하여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각 요인들은 2차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각 요인들을 신체적 반응, 정서적 반응, 행동적 반응, 환경적 반응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판별타당성 검증을 통해 에어스트레스 증상의 각 구성요인들이 분리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에어스트레스 반응 측정도구는 에어 스트레스 반응의 개념을 측정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환대산업에서 고객이 겪는 스트레스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hile traveling via flight is increasing, at the same time, an aftermath of air travel and seriousness which is from imperfect and unexpected situations are becoming a social problem, studies of stress levels and symptoms in the aircraft are fe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of stress characteristics that happen in the aircraft and establish proper tools to measures the stress response. This study was progressed using two steps to develop the measuring tools of air stress response. The first step was in-depth interview, focus group interview, and expert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conception of air stress response was collected and then the concrete symptoms and behaviors were abstracted. In addition, the measuring items were developed and classified into multidimensional factors. The second step was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to refine the measuring items developed and 5 factors were derived after review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factors were named physical response, emotional response, behavioral response and environmental response after the second expert interview. Lastly after verifying the valid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of the air stress symptom were classifie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air stress response measuring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is proper to measure the conception of air stress response and is expected to be a useful data when the study related to customer's stress in the hospitality is conducted in the future.

      • 노인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스트레스반응

        성명옥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9 임상사회사업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노인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스트레스반응을 분석한 실증적 연구로서, 서울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개별면접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스트레스 대처행동의 수준을 각 인자별로 보면, 문제중심대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긍정적 정서중심대처, 사회지원형 대처, 회피적 정서중심대처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처법 선택의 유연성을 보면, 선택의 유연성이 선택의 불변성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반응을 보면, 상황인지 스트레스반응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심리적 스트레스반응, 신체적 스트레스반응의 순이었다.둘째, 노인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스트레스반응간의 상관관계를 전체적으로 볼 때 회피적 정서중심대처와 긍정적 정서중심대처가 모든 스트레스 반응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의 유연성은 상황인지 스트레스반응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셋째, 스트레스의 전체 반응(신체적, 심리적, 상황인지 스트레스를 포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보면, 건강, 연령, 학력, 회피적 정서중심대처, 자녀수, 대처법 선택의 유연성의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스트레스 대처행동 중 회피적 정서중심대처와 대처법 선택의 유연성이 스트레스반응을 촉진시키는 요인임을 나타낸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는 건강할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자녀가 많을수록 스트레스반응이 낮게 나타나고, 연령이 높을수록 스트레스반응이 높게 나타나게 됨을 고찰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ping Style and Stress Response of the Elderl. For this study, surveyed 300 old peoples living in Seoul, using self diagnostic checklist on the stress and stress re-sponse checklist of the elder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1. For coping style, problem-forced coping were very high and positive emotion-forced coping, seeking social support coping, evasive emotion-forced coping were to be followed. And flexibility on choosing coping style was little higher than inflexibility. For stress response, situation recognition responses was the highest, and psychological responses, somatic responses were to be followed.2.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ping style and stress response, evasive emotion-forced coping and pos-itive emotion-forced coping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all stress response. And flexibility on choosing coping style showed correlation with situation recognition responses3. In the multipul regression analysis, evasive emotion-forced coping and flexibility on choosing coping style had significantly an effect on the stress response.

      • KCI등재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에서 스트레스지각과 대응전략간의 관계

        김장우,고경봉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138명의 관상동맥질환자들을 대상으로 환자들의 스트레스인자 및 스트레스반응 지각과 대응전략 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이들 환자에서 효과적 혹은 비효과적인 대응전략을 발견함으로써 이를 나중에 이런 환자들의 정신사회적 치료에 응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스트레스인자 및 스트레스반응에 대한 지각은 각각 스트레스인자 지각 척도(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및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를, 대응전략은 대응척도(Coping Scale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일 및 직장, 대인관계, 대인관계의 변화, 질병 및 상해, 경제적인 문제, 비일상적인 사건, 일상생활 변화의 유무, 전반적인 스트레스인자 지각 점수는 도피-회피와, 질병 및 상해, 경제적인 문제, 전반적인스트레스지각 점수는 책임수용과, 경제적인 문제와 관련된 스트레스 지각점수는 계획적 문제해결 및 긍정적 재평가와 양성 상관성을 보였다. 도피-회피는 부정적 감정반응, 인지기능저하 및 일반적 부정적 사고, 자기비하적 사고, 충동공격적 사고, 일반적 신체증산, 특정신체증상, 수동반응적 및 부주의 행동,충동공격적 행동과 같은 모든 스트레스반응 항목들과 유의한 양성 상관성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 거리감 유지는 부정적 감정반응, 인지기능저하 및 일반적 부정적 사고, 일반적 신체증산, 수동반응적 및 부주의 행동과 양성 상관성을 보였다. 남자가 여자보다 직면, 자기통제, 사회적 지지추구, 책임수용, 계획적 문제해결, 긍정적 재평가를 유의하게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수준은 직면, 자기통제, 사회적 지지추구, 책임수용, 계획적 문제해결, 긍정적 재평가와 같은 대응전략과 양성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이 사용하는 대응전략이 스트레스인자의 종류, 성별, 교육수준에 따라 달라지고 있고 대응전략 중 도피-회피 및 거리감유지가 가장 비교화적일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in 138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s. Methods: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and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PSRI) were used to measure perception for stressors and stress responses. Coping scale was used to measure coping strategies. Results: Scores of perceived stress related to work, job, interpersonal area, changes in relationship, sickness or injury, financial area, and overall global area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scape-avoidance. Also scores of perceived stress related to sickness or injury, financial problems, overall global area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ccepting responsibility. Scores related to financial area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lanful problem solving and positive reappraisal. Escape-avoidanc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response, lowered cognitive function and general negative thinking, self-depreciative thinking, impulsive - aggressive thinking, general somatic symptoms, specific somatic symptoms, passive-responsive careless behavior and impulsive-aggressive behavior. Distancing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emotional response, lowered cognitive function and general negative thinking, general somatic symptoms and passive-responsive careless behavior. Confrontive coping, self-control, seeking social support, accpting responsibility, planful problem solving, and positive reappraisal were more frequently used in men than in women. Educa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onfrontive coping, self-control, seeking social support, accepting responsibility, planful problem solving, and positive reappraisal. Conclusions: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coping strategies of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ay be affected by types of perceived stressors, sex, and level of education, and that escape-avoidance and distancing may be the most ineffective coping strategies used in these patients.

      • KCI등재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반응양상과 신체상 및 배우자지지와의 관계

        성미혜,김국화,정민희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7 No.1

        Background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response, body image and spouse support and analyze the influential variables on stress response in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Methods : The subjects were eighty-nine patients who were receiving chemotherapy after mastectomies at three hospitals in Seoul from November 8, 2004 to December 31, 2004.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test,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Results : The score of patient's stress response in relation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screpancy by monthly income(p〈.05) and mammoplasty(p〈.01). The score of spouse support in relation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screpancy by education(p〈.05). The correlation between patient's stress response and body imag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p〈.01). The monthly income accounted for 19.0% of influential variable on patient's stress response and 38.0% including body image, mammoplasty and spouse support.Conclusions : Breast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had a very high psychological stress response. Nursing intervention should be developed for enhancing body image of subjects because body image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tress response. 연구배경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반응양상과 신체상 및 배우자지지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스트레스 반응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여 유방암 환자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반응을 완화,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간호중재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방 법 : 서울시에 소재한 3개의 종합병원에서 유방절제술 후 항암화학요법을 받기 위해 내원한 환자 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스트레스 반응양상은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신체 및 정신적 반응으로, 이를 측정하기 위해 1977년 미국 워싱톤대학교 간호대학의 스트레스 반응연구소에서 개발한 Symptoms of Stress(SOS)척도를 사용하였다. 신체상은 개인이 자신의 신체외모, 신체기능, 신체상태에 대해 가지는 지각이나 태도로서, 정금희가 신체 측정을 위해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배우자 지지는 사회적 지지의 한 유형으로서, 남가실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결 과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반응양상은 월수입(p〈.05), 유방재건술 희망(p〈.01)에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배우자 지지는 학력(F=4.00, p〈.05)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스트레스반응양상의 평균점수는 91.01점이었고, 신체상 정도는 평균 49.61점, 배우자지지 정도는 평균 49.30점이었다. 대상자의 스트레스반응양상은 신체상과 역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p〈.01), 신체상은 배우자지지와 순상관관계(p〈.01)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스트레스반응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월수입이 전체 변량의 18%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신체상, 유방재건술 희망여부, 배우자지지 순이었으며, 이를 모두 포함시켰을 때 설명력이 34.9%였다.결 론 : 이상의 결과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는 관리가 필요한 정도의 스트레스반응양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반응양상은 신체상과 유의한 역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방암 환자의 스트레스반응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은 월수입으로 나타나,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치료과정에서 이들의 경제적인 상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상부 위장관 장애 환자에서의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의 반응특성

        서용우,조인희,신광철,정용균,Suh, Yong-Woo,Cho, In-Hee,Shin, Kwang-Chel,Chung, Yong-Kyoon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0 정신신체의학 Vol.8 No.2

        연구목적 : 상부 위장관의 소화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스트레스를 지각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 및 소화장애 증상의 여러 변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특정 정신신체질환군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특성과 해당 질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소화장애 증상으로 인천기독병원 소화기내과를 방문하여 위내시경 소견 상 병변이 확인된 84명의 환자와 94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를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인지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환자군에서 현재 호소하는 소화장애 증상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 심리적 고통의 존재 여부에 따라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평가하였다. 결과 :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는 8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대상자 178명에서 8개 하위척도와 척도전체의 내적 일치도는 .65~.95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척도의 전체총점과 일반적 신체증상척도, 특정신체증상척도의 접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소화장애 증상과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와의 관련성은 소화장애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는 특정신체증상을, 심리적 고통의 존재는 인지기능의 저하와 일반적 부정적 사고를 잘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실제 상부위장관에 병변을 가진 소화장애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서 강한 스트레스 반응 지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인지하였을 때 감정, 인지, 행동 영역의 반응보다는 자율신경계 및 특정신체부위와 연관된 신체증상을 주로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소화장애의 기간이 길고, 과거력이 있을수록, 그리고 증상이 심할수록 스트레스에 대해 소화기 증상을 주로 한 특정신체증상으로 반응하며 심리적 고통을 주는 스트레스의 존재는 인지기능을 저하시키고 부정적인 사고반응을 일으킴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stress response and relationship between some variables of gastrointestinal symptoms(esp., dyspepsia) and subscales of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PSRI) in patients with upper gastointestinal disorder when they perceived stress. Methods : 84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gastritis, gastric ulcer, duodenal ulcer etc.) and 94 normal controls completed the PSRI developed by Korean psychiatrists. The patient group performed the questionnaire including some variables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Results : Internal consist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subscales of PSRI. The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otal score of PSRI, general somatic symptom subscale score, specific somatic symptom score than control group. As the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for relationship between some variables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ans subscales of PSRI, specific somatic symptom subsclae closely related with illness duration, past illness history and severity of symptom, and the lowered cognitive function & general negative thinking subscale related with the existence of emotional distress. Conclusion :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 showed stronger perceived stress response than control group and they experiences somatic symptoms related to autonomic nervous system and/or gastrointestinal symtoms rather than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symtoms when they perceived stress. They also responded to stress as they expeirenced specific somatic symtom when they had long illness duration, past illness history, and high severity of symptom and the existence of emotional distress could develop lowered congnitive function and general negative thinking.

      • KCI등재후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인의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 대처양식, 알코올 및 도박문제

        차진경,오희,강현임 한국중독범죄학회 2017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7 No.3

        본 연구는 성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스트레스 반응, 스트레스 대처방식, 음주문제 그리고 도박문제에 대한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인터넷 URL로 배포된 불특정 다수 1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7년 08월 10일∼08월 20일까지이고, 조사 도구는 AUDIT-K, Stress Response Inventory, The Way of coping checklist,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CPGI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 통계, t-test,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에서 미혼의 경우 신체화 증상(p<.05)과 좌절증상(p<.05)이 높게 나타났다. 첫 음주는 18세경에 시작을 하였고, 음주상황에서 사회에 모임이있을 때가 117명(68.0%)으로 가장 많았으며, AUDIT 측정 결과 성별(p<.05)과 직업(p<.05)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박 양상에서 도박을 알게 된 시기는 초등학교가로 나타났고, 재미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도박의 종류로는 로또 복권을 가장 선호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박양상에는 차이가없었다(p>.05). 각 변수 간 상관관계에서는 스트레스 반응의 하위변수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고, 스트레스 반응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변수 중 능동적 대처 간에는 음의 상관관계를나타내고 있다. AUDIT 결과 스트레스 반응의 공격성, 피로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능동적인 변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GPGI 결과의 경우 스트레스 반응의 분노와 스트레스대처방식에서의 수동적 신비적변수와 음의 상관관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미혼과직업이 없을 때가 스트레스 반응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음주의 경우 여성의 음주의 증가가 두드러지게 관찰되었다는 점을 통해 여성음주문제에 대한 개입과 도박문제에 있어서는 조기접근에 따른 적극적인 개입과 스트레스 상황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에서는 능동적인 방식 즉, 문제해결의 적극적인 방식의 전략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pects of stress response, stress coping style, drinking problem and gambling problem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ul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91 unspecified persons distributed through the internet URLs. The survey period was between August 10 and August 20, 2017, and the survey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Stress Response Inventory, the Way of Coping Checklist, 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AUDIT‐K, and CPGI. This study performed data analysis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analysi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stress respons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somatization symptom (p<.05) and frustration symptom (p<.05)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unmarried group. The first drinking of the respondents began around the age of 18 were the most likely to drink when they were meeting in the community in a drinking situation, and it was found that in the AUDIT-K measurement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sex (p<.05) and occupation (p<.05). And in the period of recognizing gambling, were found to recognize gambling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were found to be more likely to play gambling for fun. In terms of the gambling type, Lotto lottery was the most preferred type of gambling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information in the GPGI test result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05). In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ubvariables of the stress response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ress response and the active coping style of stres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ctive variables in the AUDIT-K results and aggression of the stress response, and the fatigu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the GPGI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ger of stress response, and stress passive, mysterious coping strategie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ases of unmarried and unemployed affected stress response. And, according to the interpretation guidelines of the AUDIT-K, women's estimates of alcohol use disorders were very high, suggesting that intervention is needed for women's drinking problems in the future. In addition, early access to gambling problems is urgent in the gambling problem. In the case of a program that manages stress situations, searching for active copings, that is to say, positive strategies for solving the stress problems is needed.

      • KCI등재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고경봉,박중규,김찬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4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4가지 스트레스반응 즉 감정적, 신체적, 인지적, 행동적 반응들이 포함된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는데 있다. 방법: 일차로 성인 정상인 10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반응척도 예비설문을 시행하여 75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2차로 이 문항들이 포함된 설문을 정상인 2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이 자료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7개의 하위요인 즉 긴장, 공격성, 신체화, 분노, 우울, 피로, 좌절이 추출되었다. 상기 척도의 신뢰도는 정상인 62명에게 2주 간격으로 검사-재검사를 시행, 분석한 결과 7개 하위척도 점수와 척도 전체 점수 간의 상관관계수가 .69∼.96으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한편 내적 일치도는 7개 하위척도의 Cronbach's α가 .76∼.91, 척도 전체의 Cronbach's α가 .97이었다. 공존타당도는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symptom checklist-90-R(SCL-90-R)의 전체지표 각각의 총점과 본 척도의 7개 하위척도의 점수 및 척도 전체점수 간의 상관성을 각각 비교한 결과 모두 유의하게 높은 것을 나타났다. 변별타당도는 환자군 242명(불안장애 71명, 우울장애 73명, 신체형장애 47명, 정신신체장애 51명)과 정상군 215명간에 척도의 총점과 7개의 하위척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공격성을 제외한 6개 하위척도 점수와 총점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군에서 우울장애군이 척도전체 점수가 가장 높고, 불안장애, 정신신체장애, 정상군보다 각각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 우울장애군이 이들 환자군 중에서 스트레스반응이 가장 현저하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대상자들 중 여자가 남자보다, 소득수준이 낮을수록 척도 전체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결론: 이상의 결과들은 스트레스반응 척도가 신뢰도 및 타당도가 모두 유의한 수준으로 스트레스에 관련된 분야의 연구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도구임을 시사해 준다. 또한 우울장애군이 상기 다른 정신장애군에 비해 스트레스에 대한 감수성이 높다는 것을 반영해 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SRI)which includes emotional, somatic, cognitive, and behavioral stress responses, and then to use the scale in clinical pracitice. Methods: First,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or 109 healthy adults to obtain 70 response items. Second,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15 healthy subjects. Third, a comparison was made regarding stress responses among 242 patients(71 with anxiety disorder, 73 with depressive disorder, 47 with somatoform disorder, and 51 with psycho-somatic disorder) and 215 healthy subjects. Results: Factor analysis yielded 7 subscales : tension, aggression, somatization, anger, depre-ssion, fatigue and frustration. Reliability was computed by administering the SRI to 62 healthy subjects during a 2-week interval. Test-retest relivbility for 7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hign, ranging between 0.69- .96. Internal consistency was computed, and Cronbach's α for 7 subscales ranged between .76-.91 and .97 for the total score. Concurre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rrelating the 7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total score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GARS) scale, th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and the symptom checklist-90revised(SCL-90-R). The correlations were all at significant levels. Discriminant validity was computed by comparing the total score and the 7 subscale scores of the patient and control group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6 subscales and the total score, with the exception being the aggression subscale. The depressive disorder group was highest in total scores of SRi among 4 patient groups, and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s in total scores of SRI than each of anxiety disorder and psychosomatic disorder groups. In total scores of SRI, female subjec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 ones, and subjects with lower incom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ith higher income.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RI is highly reliable and valid, and that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measure of stress for research in stress-related fields. It is suggested that depressive disorder group is more susceptible to stress than any other patient groups.

      • KCI등재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 취약성과 보호요인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

        김건태,이수정,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4 초등상담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보호요인에 따른 프로파일 유형을 도출하 고 그에 따른 스트레스 반응의 차이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스트레스검사 아동청소년용(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Adolescents, IESS-A)을 전국 초중고 등학생 2,923명에게 실시한 자료를 분석하여,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보호요인 및 스트레 스 반응 간의 상관을 도출하고,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보호요인이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스트레스 반응을 설명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스트레스 취약성과 스트레스 반응 간에는 .21~.64 범위의 정적 상관 (중앙치 .33), 스트레스 보호요인과 스트레스 반응 간에는 -.36~-.16 범위의 부적 상관(중앙치 -.25)이 있었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석 결과 5개의 잠재프로파일(미분화, 평범, 저 보호적, 고 취약적, 고 보호적)이 도출되었고, 도출된 잠재프로파일 간에 스트레스 취약성 수준과 스트레스 보호요인 수준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5개의 잠재프로파일 간에 스트레스 반응 수준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스트레스 반응 수준은 미분화>고 보호적>평범>저 보호적>고 취약적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스트레스 반응의 하위척도(신체화, 우울, 불안, 분노, 공격행동) 수 준도 동일한 순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의미와 제한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profile types according to the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tress responses according to them. To this end, we analyzed the data obtained by conducting the 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Adolescents(IESS-A) for 2,92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 derived correlations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and stress responses, and performed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o see how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interact to explain stress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vulnerability and stress response in the range of .21~.64 (median value .33),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ress protective factors and stress response in the range of -.36~-.16 (median value -.25). Second, we performed latent profile analysis. As a result, 5 latent profiles (undifferentiated, ordinary, low-protective, high-vulnerable, high-protective) were derived,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tress vulnerability and protective factors among the derived latent profiles. Third, to see if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tress response among the 5 latent profiles, we performed one-way ANOVA and Scheffé post-hoc verification.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tress response among each latent profile. The level of stress response was highest in undifferentiated>high-protective>ordinary>low-protective>high-vulnerable order, and the level of sub-scales of stress response also showed the same order. As a final poi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escribed.

      • KCI등재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불안 및 K-HTP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최수아 한국예술치료학회 201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전북 J 시에 위치한 119안전센터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소방 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불안 및 K-HTP 반응특성을 연구하고자 한 것이다. 연구 의 대상은 J시에 위치한 119 안전센터 3곳을 정하여 현장출동과 구급·구조 분야에서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을 59명을 표집대상으로 정하여 설문지를 배포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소방공무원의 재직기간이 높을수록 외상후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상태· 특성 불안 및 K-HTP 반응특성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방공무원의 K-HTP 반응에서 외상후 스트레스와 상태·특성 불안을 의미하는 K-HTP 반응특성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K-HTP 반응특성의 형식적 요소와 내용적 요소에서 불안과 스 트레스를 의미하는 그림반응의 특성이 보여졌으며 K-HTP를 통해 외상후 스트레스와 불안 성향을 밝힐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소방공무원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정서 상태에 대한 정보 와 K-HTP 반응특성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추후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연구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기적인 심리치료와 상담을 통해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 완화를 목표로 하여 심리적·정서적 안정을 위한 심리치 료관련 상담 및 치료프로그램 개발에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