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수학교과서의 스토리텔링 디자인 분석

        김정희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4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5 No.40

        교육과학기술부는 2012년1월 수학교육선진화방안을 발표하고 사고력과 창의력중심의 수학교육으로 개혁하였다. 이는 함축된 설명과 공식으로 외우기만하면 수학문제 해결이 되는 암기 수학교육에서 벗어나 선진국에서 사용 중인 스토리텔링 방식을 도입하여 이해도와 흥미도를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본 연구목적은 디자인이 수학 교육이라는 기본 전제를 잃지 않고 스토리텔링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는지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스토리텔링 콘텐츠 디자인분석과 국외 교과서 비교 분석, FGI을 실시하며 디자인 세부 요소 분석은 군터크레스의 시각디자인 문법의 조형요소 (Kress's grammar of visual design) (김정희, 2012, p81)에 의한 분석요소를 중심으로 한다. 분석 범위는 스토리텔링을 처음 도입해 개정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중 스토리텔링이 가미된 챕터를 중심으로 디자인 분석을 한다. 타겟은 언어의 미숙함으로 스토리텔링법에 영향을 받지 않는 4학년을 중심으로 하며 교육특구로 지정된 노원구의 4학년 공립 초등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교과서 만족도 FGI를 실시한다. 분석 결과 국외 교과서는 1차 목적인 수학 교육의 전달과 현실과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었으나 국내 교과서는 디자인의 다양성과 재미요소에 집중하여 스토리텔링의 효과적인 전달역할에 충실하지 않고 있다. 아이들의 흥미가 개정의 목적인 창의력과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는 이어지지 못하였으며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또한 낮았다. 본 논문은 스토리텔링디자인으로 최초로 개정된 4학년 수학교과서디자인의 현황 파악과 선진국 사례 비교로 이후 교과서 디자인 기초 자료로 활용 되고자 한다. Math Education Enhancement Plan announced in January, 2012 by Korea government for education of thinking and creativity. Moving away from memory method to a storytelling method was adopted which had been using in the UK, USE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This method will help to learn independent learning and real life via a math meaning, context and real life examples. Analysis a fourth-grade textbook that is not affected by language skill. Using research, FGI as analysis method. research target is fourth-grade students and parents of public elementary school at Nowongu which place is the special education zone by government. Also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reign math textbooks of developed countries desig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eign textbooks are focused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livery of education and reality. Typography, icon, colors, decoration are minimized but information. However analysis target textbooks use more then 4 typography, a variety characters in every chapter and icons, lay out design without empty space up and down area. Focused on fun module not a educational communication design. Content is boring, students and parents ' satisfaction was low. And doesn't help to thinking and creativity at study. This paper hope to using as basic research document for math textbook design plan.

      • KCI등재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초등 수학교과서에 내재된 문제점

        김진호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4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8 No.3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초등수학교과서가 수학 수업에 활용되고 있지만, 몇 가지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문제점들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전문가가 부족한 상태였다. 두 번째, 스토리텔링 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업 자료들을 활용해야 한다. 세 번째, 다양한 수학적 지식이 담긴 스토리텔링을 구성해야 한다. 네 번째, 수학적 개념 중심의 스토리텔링 구성이 필요하다. 다섯 번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할 수 있는 수업지도안을 제공해야 한다. 여섯 번째, 내재적 동기유발을 독려하는 스토리텔링을 구성해야 한다. 일곱 번째, 다양한 출처로부터 스토리텔링을 구성해야 한다. 이런 점들이 반영된 스토리텔링 수학교과서가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Some problem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applying storytelling continue to be suggested since implementing it in mathematics instruction. The paper looks into concrete problems. First problem is the lack of mathematics education experts studying storytelling in the field. Second problem is that a variety of materials including storytelling need to be us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instruction materials. Third problem is that storytelling needs to include integration of various mathematical knowledge. Fourth problem is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making storytelling focused on mathematical concepts. Fifth problem is that there is no appropriate lessen plan necessary for instruction applying storytelling. Sixth problem is that storytelling inducts intrinsic motivation as well as extrinsic motivation. Final problem is the sources of story need to be diverse. It is expected that storytelling reflecting those aspects is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문화 유산 콘텐츠 향상 기제로서 스토리텔링의 도입과 적용 -국내 스토리텔링 공모전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강희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스토리텔링은 보다 ‘효율적인 글쓰기, 말하기’ 행위라 규정할 수 있다. 글쓰기, 말하기에서 기획과 전략이 스토리 디자인이라면 스토리텔링은 구체적인 실행 프로그램에 해당한다. 스토리보드가 문학적 글쓰기에 해당한다면, 스토리텔링은 마케팅적 효율성이 가미된 개념이다. 따라서 ‘스토리텔링 기법에 의거한 스토리보드’가 구현된다면 콘텐츠의 본질적 정신을 살리면서 마케팅적 측면에서도 최적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문화 유산 콘텐츠에 대한 신뢰할 만한 스토리보드가 구비되면 다양한 층위의 문화관광 매력물(혹은 매력지)과 관광객 간의 간격이 좁혀질 수 있다. 그런데 스토리보드가 해설가나 관광객의 다양한 성향과 관심의 차이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려면 몇 가지 원칙이 있어야 한다. 2006년 한국관광공사가 처음으로 문화 콘텐츠 스토리텔링 공모전을 도입하면서 촉발된 지자체 단위의 스토리텔링 활용 추세는 시대정서에 부합하는 현상이다. 초기 단계의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해와 인식의 미흡한 행태가 보다 구체화, 세련화, 정교화하고 있는 현실은 다행스런 일이다. 이는 전국 단위의 공모전이, 광역 지자체 단위로, 다시 기초 자치체로 전파되면서 경험과 지혜가 축적된 결과다. 스토리텔링 내러티브(narrative: 서사)에 관한 무지와 오해를 불식하고 전문가 등의 진단을 심도 있게 차용한다면 콘텐츠의 내용이 새롭게 주목받을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전국 및 각종 지자체 단위 공모전 이후 문화유산 스토리텔링의 취지를 살려 기능과 역할을 모색하기 위한 방편에서 일정한 양식[모형 설계]을 제안해 보았다. 즉 효율적인 스토리보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작성 지침, 필수 기재항목, 핵심 기술항목, 형식 요소 고려사항 등이 필요하다. 기본 양식이 구비된다면 스토리텔링의 효율성을 배가할 수 있다. 스토리보드는 1차적으로 ‘무엇을 말할 것인가’가 치밀하게 조사⋅정리돼야 한다. 하지만 2차적 요소인 ‘어떻게 말할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 이른 바, 고객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과 계몽, 오락과 재미가 적절하게 조화를 이뤄야 완결된 스토리텔링이라 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 구현 과정에 관한 모형도 설계할 필요가 있다. ①이야기 발굴, ②목표 설정, ③이야기 주제(스토리 테마)선정, ④매체 홍보 전략, ⑤스토리텔링 실행, ⑥실행 프로그램의 분석과 평가 등이다. ①의 경우엔 사실에 근거한 기본 텍스트와 오락과 계몽이 가미된 변형 텍스트(주제, 내용, 어구)가 함께 기술돼야 한다. 스토리텔링의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는 ①, ③, ⑤항목은 실행 프로그램의 경우에서도 중요하지만 평가 프로그램 시 가중점을 부여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은 문화유산 콘텐츠를 안내, 해설하는 최적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 방문객의 재방문과 체류 유인을 독려하는 구심체가 될 수 있다. The tourism storytelling contest hosted by the Korea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became a good opportunity that allowed the value and significance in tourism to be ruminated. In other words, aiming at the emotional story that is possessed by tourism attraction, it offered a belief with saying of being able to be helpful for inducing tourists. It is judged to have found a breakthrough enough to accompany synergy by publicizing most efficiently to tourists as for the tourism contents field, which is still left as blue ocean sphere in frontier. Given arranging a few problems that were revealed through contest, those are as follows. Those are tasks that will be supplemented in the future. First of all, it is a point that needs to implement the standard model of further segmenting six items such as ① execution in storytelling, ②establishment in a target, ③ selection in a story theme, ④ strategy for media publicity, ⑤ execution in storytelling, ⑥ analysis and evaluation in the execution program. In case of ①, there is necessity of being formed with the transformational text(theme, contents, phrase), which was added the fact-based fundamental text, entertainment, and enlightenment. This is directly linked to what adds the interest to the tourism attraction while preventing modification in a fact. Items in ①, ③, ⑤, which can be said to be core elements in storytelling, are important even in a case of the execution program. However, given the evaluation program, the weight needs to be added. That is because the storyteller, which is not information available for extracting through the internet search, is the planning and strategic aspect that needs to process by mixing a fact with fiction, namely, is the excavating element. On the other hand, the final examination needs to be verified through presentation, if possible. That is because there is necessity of considering aptitude and ability as a storyteller. The primary data in storyboard is, if possible, better to be closely surveyed and arranged. Only when storyboard needs to be filled enough quantitatively, it can be organized in line with customers situation for 10 min, for 30 min, for 1 hour, and for 2 hours. Of course, how will be spoken, which is the secondary element, is more important. A reason that presentation will need to be accompanied at the contest is here. In other words, only when entertainment⋅edutainment elements, which satisfy customers needs, are expressed with orality, it becomes the successful storyboard. What dresses a proper design by freely choosing materials, which overflow tremendously in the era of internet & knowledge information, is both alpha and omega in a storyteller as the tourism commentator.

      • KCI등재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무용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김운미,안지형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2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8 No.1

        지식기반을 토대로 창의성이 중심이 되는 문화의 시대에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져 가고 있다. 문화예술교육의 목표는 이해와 체험을 통한 창발적인 인간을 양성하고 사회적 소통능력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에 문화예술교육으로의 다양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무용 역시 시대가 요구하는 환경에 따라 변화하며 창발적인 문화예술교육콘텐츠로 개발되어야 한다. 각종 미디어가 발달하고 있고,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습득에 대한 교육방법들이 다양화 되고 있기 때문에 무용교육콘텐츠의 개발과 이를 통한 현장교육과의 상호작용은 무용교육에 활기를 불어 넣어 줄 것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으로써 무용이 일반인들에게 좀 더 흥미롭고 즐겁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미를 두고,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 기법을 활용한 무용교육콘텐츠를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에 목적을 두었으며, 그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천자료 수집을 통한 무용원형 분류 및 무용유형의 체계화이다. 이것은 무용교육콘텐츠의 정체성을 심어주고 새로운 생명과 가치를 부여하여 무용교육 콘텐츠가 일반인 및 무용전공자들에게 좀 더 주체성 있게 다가갈 수 있는 기초가 될 것이다. 또한 이것은 원천소재를 스토리로 개발하는데 중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둘째, 무용교육콘텐츠 자료의 디지털라이즈화이다. 무용교육콘텐츠 자료의 디지털 베이스를 구축하고 저장하는 것은 피교육자들이 능동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고 정보를 습득하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이에 자료화 되어진 디지털 베이스는 무용전문가, 스토리텔링전문가, CT/3D 전문가들의 상상력과 창의력을 통해 재구성되어 일반인들이 무용콘텐츠에 좀 더 쉽고 재밌게 접근하고 몰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이다. 셋째, 다양한 스토리텔링 구성을 통한 무용교육콘텐츠 개발이다. 에듀테인먼트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다양한 스토리텔링 구성을 통한 무용교육콘텐츠 개발안은 무용 공간 스토리텔링 구성, 무용인물 캐릭터 및 소도구 아이템 스토리텔링구성, 무용 사건-시대 및 배경 스토리텔링 구성, 무용주제 및 유형스토리텔링 구성, 무용동작 스토리텔링구성, 피교육자의 연령-계층을 고려한 스토리텔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양한 스토리텔링을 통한 무용교육현장과의 상호작용은 일회적인 흥밋거리가 아닌 피교육자들과의 지속적인 관심과 흥미를 이어나 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본다. 빠르게 흘러가는 시대적 변화에 따라 무용교육이 하나의 교육콘텐츠로써 지속적으로 개발된다는 것은 무용이 가진 교육, 사회적 가치를 재평가 받을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앞으로 열린 사고와 무용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창조적인 가능성을 개발하는 것이 무용교육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화두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가 무용교육콘텐츠 개발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진행을 위한 기초 연구에의 효율적인 방안으로 제시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importance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has gradually been increasing in the age of culture where creativity plays a pivotal role with knowledge based learning. The study of Arts and Culture Education is intended to nurture emergent humans and develop social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Thus, dance including various capabilities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demanded by the age of the participants and be developed as an emergent content for Arts and Culture Educ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Contents and an interaction with teaching field from this would revitalize dance education considering that many types of media have been developing and teaching methods have been diversifying in voluntary and active learning. This study focused on basic research for developing Dance Education Contents with an edutainment storytelling approach, giving interesting and pleasant meanings to dance that is more approachable to the general public. The plan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systematize the type of dance and classify the original form of dance by collecting the raw data. It would be a foundation for Dance Education Contents to be able to access dance majors and the general public, instilling the identification of Dance Education Contents and assigning value and new life. Moreover, it would become an important foundation to transform raw data into stories. Second, digitize the data of Dance Education Contents. Building digital databases of Dance Education Contents and saving them would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 student to interact actively and acquire information. The processed digital base would be reorganized by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dance experts, storytelling professionals, and CT/3D experts and provide a chance for the ordinary people to be able to approach dance contents with increased ease and delight. Third, develop Dance Education Contents by using edutainment storytelling. The plan of Dance Education Contents with edutainment storytelling is comprised of dance space, character of the dancer, storytelling props and other visual aids, creating dance education scenarios and dance education program. The interaction of dance education fields with diversified storytelling would be powerful enough to lead education not with a passing interest but with sustainable interests and concerns.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as an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rapid changes in modern society, would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evaluate the educational and social value of dance education. Furthermore, developing creative possibility with an open mind and professional knowledge would be a rising concern in dance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be an effective plan in basic research for various following studies about the development of Dance Education Contents.

      • KCI등재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 활용에 관한 연구 - 제품 디자인을 중심으로

        김기정 ( Kijeong Kim ) 한국산업디자이너협회(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9 산업디자인학연구 Vol.13 No.1

        디자인 영역에서 스토리텔링은 제품과 정보의 홍수 속에서 디자인의 차별성을 드러내고 디자인의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매우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이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여타의 매체와는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또한 문학, 문화콘텐츠, 광고, 마케팅 분야에서 수행된 스토리텔링에 대한 연구 결과를 무분별하게 적용함으로써 디자인의 스토리텔링을 이해하는데 혼란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스토리텔링의 의미영역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디자인과 스토리텔링의 상관성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엄밀하게 구분하기는 어렵겠지만 제품 디자인을 염두에 두고 다음의 두 가지 문제를 논의하였다. 첫째,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이 중요하게 떠오른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둘째, 디자인과 스토리텔링의 결합 양상과 의미생성 방식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디자인에서 스토리텔링이 부상하게 된 배경을 1) 생산자와 기능 중심에서 사용자와 감성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2)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매체와 콘텐츠의 폭증, 3) 스토리텔링의 자본화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또한 디자인과 스토리텔링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디자인이 타 매체와 결합하지 않는 스토리텔링 유형과 디자인이 타 매체와 결합한 스토리텔링 유형 2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자의 경우 그 개념을 다듬기 위해 헤스켓과 노먼의 이론을 연계하여 해명을 시도하였다. In the field of design, storytelling is recognized as an indispensable element and is actively being used to reveal the difference and to convey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design in an enormous number of products and information. However, deep analysis of how storytelling appears in design and how it differs from other media is very limited. In addition, confusion arises in understanding design storytelling by indiscreetly applying research results on storytelling conducted in literature, cultural contents, advertising, and marketing. In this study, I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design storytelling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storytelling. Although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esign field accurately, the following two problems were discussed mainly in the product design. First, This paper looked at the background of storytelling in design. Second the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way of combination of design and storytelling, and the way of meaning generation. As a result, storytelling in design emerged as a result of : 1) a paradigm shift from producers and functions to users and emotions, 2) the explosion of media and content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3) capitalization of storytelling. Also,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storytelling, the paper divided into two types : storytelling type in which design is not combined with other media, and storytelling type in which design is combined with other media.

      • KCI등재

        지역문화 교육콘텐츠 개발에 있어서의 스토리텔링 과정 분석 : 대구 新택리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심민지;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7 No.2

        최근 문화산업을 핵심으로 하는 사회 • 경제구조의 변화와 함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변화에 따라 스토리텔링은 교육내용을 조직하고 공유하는 방식으로서 교육의 이론과 실천영역에서도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룰 ‘대구 新택리지 프로젝트’는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대구문화지도』(2001), 『골목은 살아있다』(2002), 『대구 新택리지』(2007) 및 지역 답사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지역문화를 단순한 관광콘텐츠가 아닌 교육콘텐츠화한 10여년에 걸친 성공적인 사례이다. 본 연구는 '대구 新택리지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지역문화교육콘텐츠 개발 과정을 스토리텔링의 관점에서 분석•체계화하 고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적용 가능성을 확대해보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사례연구방법의 관점에서 내러티브 인터뷰, 직접관찰, 문서 및 영상 자료 수집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문화교육콘텐츠 개발은 [장소성 발견 - 스토리텔링 기획- 문화적 기억 탐색 - 지역문화교육콘텐츠 도출 - 스토리 공유•확대]의 총 5단계의 스토리텔링의 과정을 거치며 이 일련의 과정이 계속적으로 순환하는 시스템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이러한 스토리텔링 과정 속에서 교육콘텐츠가 더욱 정교화되고 다양하게 파생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과정 자체가 지역사회의 학습을 촉진하는 기반이자 새로운 지역문화의 생산과 향유를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였다. 이러한 사례에서 볼 때, 스토리텔링은 교육콘텐츠 개발 도구이자 학습도구로서 앞으로도 교육학적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 Recently, cultural contents utilizing storytelling is focused with the change of social • economic structure whose core is cultural industry. According to the periodical changes, storytelling should be focused in the area of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as a method to organize and share education contents. 'Daegu shintaekriji project' which will be treated in this study is a successful example developing 『Daegu Cultural Map』 (2001), 『Alley is alive』 (2002), 『Daegu shintaekriji』 (2007), regional exploration program, etc. through the storytelling and making regional culture to education contents, not just sightseeing contents.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examples of 'Daegu Shintaekriji project', analayze systematiz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local cultural education contents from a storytelling point of view and expand the possibility to apply storytelling educationally. To achieve them, materials collected by narrative interview, direct observation, document/video collection, etc. were analyzed from the standpoint of qualitative case study.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development of local cultural education contents was achieved by total 5 stage process of storytelling [discovery of placeness - planning of storytelling- exploration of cultural memory - deduction of local cultural education contents - expansion of story sharing] and the series of process was continuously circulated. Especially, education contents were more elaborate and variously derived in the process of storytelling as well as the process was a base promoting the studying of local society and medium letting the production and sharing of new local culture possible. If considering the example, storytelling is a developmental tool and studying tool of education contents and its pedagogical studies should be expanded in the future.

      • KCI등재

        스토리의 주체에 따른 브랜드 스토리텔링 광고효과

        홍숙영(Sook-Yeong Hong),조승호(Seung-Ho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는 스토리의 주체에 따른 스토리텔링 광고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스토리 없이 정보만 제공하는 비스토리텔링, 스토리의 주체가 기업(주)인 기업스토리텔링, 고객인 고객스토리텔링인 세 종류의 라디오광고를 제작하였다. 이를 고등학교들에게 노출시킨 다음 광고 제품기억, 광고태도, 광고에 대한 감정, 제품구매의도, 광고 구전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제품명에 관한 기억은 기업스토리텔링 광고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이는 스토리가 포함되지 않은 메시지에 노출된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객스토리텔링과 비스토리텔링 간의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광고에 대한 긍정적 감정에 있어 고객스토리텔링과 비스토리텔링, 고객스토리텔링과 기업스토리텔링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기업스토리텔링과 비스토리텔링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비스토리텔링이 광고메시지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감정이 높았으며 고객스토리텔링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스토리텔링과 비스토리텔링 간에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구전의도에 있어 고객스토리텔링이 비스토리텔링, 기업스토리텔링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torytelling ads. To find out the effect, three different ads were created; one is no storytelling in ads, another is corporate storytelling ads, and the other is client storytelling ads. Each ads was exposed to high school students, and we analyzed their response to the ads such as ads recall, attitude toward ads, emotional response to ads, purchase intention, and the intention of word-of-mouth. The results showed that corporate storytelling ads among three ads was the most effective to recall the ads,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porate storytelling ads and no storytelling ads. In terms of attitude toward ad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ient storytelling and no storytelling ad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emotion between client storytelling ads and no storytelling ads and between client storytelling ads and corporate storytelling ads, but no significant between corporate storytelling ads and no storytelling ads. Regarding emotion, students who were exposed to no storytelling ads showed the highest negative emotion, but the lowest negative emotion in client storytelling ad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between client storytelling and no storytelling ads and in the intention of word-of-mouth between corporate storytelling ads and no storytelling ads.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교과 수업 적용 방안 탐색

        신재한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4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가장 잘 적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통합교과와 접목함으로써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교과 수업 방안을 탐색하고 구체적인 스토리텔링 전략을 모색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의 개념을 단순히 스토리(Story)를 이야기하는(telling) 차원에서 벗어나, 하나의 스토리를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Story Writing, Story Telling, Story Showing, Story Doing, Story Playing, Story Singing, Story Drawing, Story Planning 등 여러 가지 표현 방식으로 의미를 구성 또는 창조(making)하는 차원으로 확장하였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교과 수업 방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주제 중심의 통합교과 수업은 하나의 단원을 중심으로 주제 만나기, 주제 학습하기, 주제 학습 마무리하기의 단계에 따라 스토리텔링 활동을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교과 수업 전략은 표현활동, 탐구활동, 실천활동 등으로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다. 셋째, 통합교과 중 ‘가족’ 주제에서 탐구 활동 모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부모님께 사랑의 마음 전하기’ 차시의 스토리텔링 전략을 활용한 수업 전략은 가족에 관한 영상을 보고 동기 유발하기(Story Telling), 부모님에 관한 영상과 이미지를 보고 부모님의 소중함 알기(Story Showing), 부모님께 고맙다고 미안한 마음 전하기(Story Writing), 부모님을 생각하며 노래부르기(Story singing), 영상편지로 부모님께 사랑의 마음 전하기(Story Making) 등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bine storytelling with primary school curriculum, thereby investigate strategies for integrated curriculum teaching and seek a concrete teaching strategies. It is worth special mention to expandability. We expand upon the possiblity of using more various way of expression in the practical use the a story with another medias ; Story Writing, Story Telling, Story Showing, Story Doing, Story Playing, Story Singing, Story Drawing, Story Planning. It is in the next step of the erstwhile studies that conceptualize a story telling as a story-telling itself.Through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we can utilize an integrated curriculum which uses a story telling as a tactics of teaching in very various ways in the following. At first, the integrated curriculum plan which focused on the theme-based class in 2009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would be processed of these units : Hearing theme, Learning theme, Finishing theme-based learning. At second, the integrated curriculum which uses a story telling would be separately used to expressive activities, inquiry activities, practice activities, and so on. At third, the integrated curriculum plan in the unit “Give love message to parents”, which can be used as inquiry learning methods in subject “Family”, would use various plan; causing motive by seeing a video about family(Story telling), knowing importance of the parents by seeing a video and an image about family(story showing), singing for parents(story singing), expressing the love to the parents using a video message(story making).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스토리텔링 활용의 연구동향 - 스토리텔링 수업에서 텔러와 리스너 설계에 관한 연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

        이란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In the light of the researchers’ recognition towards the designs of tellers and listeners in storytelling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research trend in Korean Education in which storytelling had been utilized and to suggest a proper direction in the related education and research. The most essential thing in the conceptualization towards storytelling was thought to be ‘intercommunication.’ Also, it is considered as the most basic conceptual factor who we would regard as ‘tellers’ and ‘listeners’ in order to plan and construct Korean language classe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is study searched and analyzed total 28 research results, which had been published from 2008 to 2021(May), through an academic searching site, Riss with the keyword “Korean Education Storytelling.” The analysis exhibited that the formation of Korean classes utilizing storytelling originated from three kinds of researchers’ previous conceptualization towards storytelling.: Writers’ storytelling, teachers’ storytelling, and learners’ storytelling. Among them, the most large portion was devoted to ‘leaners’ storytelling’; its subcategories were learners’ retelling, interpretative storytelling, learners’ negotiated storytelling and learners’ creative storytelling. This study,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n conceptualization of storytelling above, categorized the results and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category and their educational implications resp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 수업에서 텔러와 리스터 설계에 대한 연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스토리텔링 활용 한국어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추후 관련 교육과 연구에서 정합적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스토리텔링의 개념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상호 소통성으로서, 누구를 텔러로 누구를 리스너로 보느냐 하는 것은 한국어교육 수업을 구안하는 데에 있어 가장 기반이 되는 개념적 요소일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본고는 2008년부터 2021년 5월까지의 연구물 중에서 학술검색 사이트인 Riss에서 “한국어교육 스토리텔링”으로 검색된 28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토리텔링 활용 한국어수업은 크게 세 유형의 개념화를 바탕으로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저자의 스토리텔링, 교사의 스토리텔링, 그리고 학습자의 스토리텔링의 세 유형이었다. 이 중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한 것은 학습자의 스토리텔링으로 학습자의 리텔링과 해석적 스토리텔링, 학습자의 교섭적 스토리텔링, 학습자의 창작적 스토리텔링이 그 하위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범주화에 따라 각 연구들을 분류하고 각 범주 유형의 특징들과 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