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식시기에 따른 고랭지 양배추의 수확 및 저장중 품질변화

        엄향란(Hyang Lan Eum),이영훈(Young Hoon Lee),홍세진(Sae Jin Hong),신일섭(Il Sheob Shin),용영록(Young Rok Yeou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2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1 No.2

        본 연구는 해발 750m 이상의 고랭지에서 재배된 양배추의 정식시기 및 수확 시 기상환경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수확 후 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수확 된 양배추의 품종 별 구중은 정식시기 및 수확시기가 늦으면 구중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며 상품성이 낮았다. 반면 8월 23일(3차)에 수확된 양배추 품종은 정식시기 및 수확시기가 8월 3일(1차)과 8월 13일(2차)에 비해 늦었음에도 불구하고 수확기의 기상환경이 좋아 경도 및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의 함량은 수확 전후의 기상환경에 영향을 받아 수확 전 3일 이상 강우가 없을때 수확하는 것이 높게 유지하였고, 경도는 늦은 정식 시기가 경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배추의 색도는 수확기에 따른 변화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품종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공시품종 중 수확 시 품질은 ‘Speed king’과 ‘Minix 40’ 품종이 가장 우수하였다. 양배추 저장은 8월 3일(1차), 8월 23일(3차), 그리고 9월 10일(4차)에 수확된 양배추를 상온(25℃, 60% RH)과 저온(3℃, 85% RH)에 각각 저장하여, 수확시기와 수확기의 기상환경이 상온 및 저온저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양배추의 생리장해는 수침, 시들음, 냉해가 저장기간 4일경부터 발생하여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양배추 6개 품종의 저장기간은 수확 시 기상환경에 따라 상온저장의 경우 3~5일, 저온저장의 경우 9~10일 정도 가능하였다. 특히 8월 3일(1차)에 수확한 양배추는 수확일 전후의 열악한 기상환경으로 실온 및 저온 저장기간이 가장 짧아 실온 2일 그리고 저온은 4일의 저장기간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mate conditions during cultivation and harvesting on the quality and storability of fresh bulb cabbage (Brassica oleracea L. var. capitata). Plug seedlings of six cabbage cultivars were transplanted to Gangneung-Wonju University high elevation research station in Gangwon province (780 m above sea level, lat. 37.5°N.) and harvested with four different harvest times like August 3 (1<SUP>st</SUP>), August 13 (2<SUP>nd</SUP>), August 23 (3<SUP>rd</SUP>), and September 10 (4<SUP>th</SUP>), respectively from 50 days after transplanting. Weight loss, Hunter color factors, firmness, and soluble solids content (SSC) of the cabbage bulbs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at 3℃ (85% RH) and 25℃ (60% RH). Decreased bulb weight and poor quality cabbages were apparent at the late transplanting (July 14) and harvest (September 10) respectively. Quality index such as firmness and SSC at August 23 (3<SUP>rd</SUP>) harvested cabbage was better than August 3 (1<SUP>st</SUP>) and August 13 (2<SUP>nd</SUP>) cabbages due to the good weather condition just before harvesting. The cv. ‘Speed king’ and ‘Minix 40’ showed good qualities among the cultivars, especially when the bulbs were harvested during sunny day conditions from one week before harvesting. Also SSC was influenced by weather condition before harvesting rather than transplanting date, while firmness was influenced by transplanting and harvest date. However, the differences among the cultivars were not significant. The potential of storage as maintaining the quality was different, depending on weather conditions at harvest time. Generally the storage periods of six cultivars were around 3~5 days and 9~10 days at room and low temperature, respectively. However, the August 3 (1<SUP>st</SUP>) harvested cabbage lost their marketable quality very fast because of rainy and cloudy weather condition before harvesting and also storability of bulbs was 2 days and 4 days at room temperature and 3℃, respectively. Quality index was also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ultivars.

      • KCI등재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의 수확시기와 유충 체장이 병원성과 발육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

        한건영,이동운,추영무,추호렬,Han, Gun-Yeong,Lee, Dong-Woon,Choo, Young-Moo,Choo, Ho-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1

        곤충병원성선충, $Steinernema$ $arenarium$ 유충의 체장은 724 to 1408 ${\mu}m$로 변이가 크다. 따라서 $S.$ $arenarium$의 수확시기와 침입태 유충의 체장이 병원성과 발육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노숙유충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S.$ $arenarium$ 침입태 유충의 수확시기는 병원성에 영향을 미쳐 10일째에 수확한 것이 3일째 수확한 것에 비하여 병원성이 높았다. 10일째에 수확한 선충은 선충의 체장에 관계없이 처리 48시간 후에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100% 치사시켰으나 3일째 수확한 체장이 작은 집단 접종 시에는 40%의 치사율을 보였으며 체장이 큰 집단은 18%의 치사율을 보였다. 기주 체내에 정착한 선충의 수도 침입태 유충의 체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일째 수확한 선충들 중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 혼합 집단 접종 시 기주에 정착한 선충 수는 각각 1.8, 3.3, 3.2마리였으며 10일째 수확한 선충들은 각각 5.3, 7.4, 7.6마리가 정착하였다. 3일째 수확한 유충의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을 구분하여 처리하였을 때 기주 체내의 암컷 체장은 각각 7,070.5 ${\mu}m$와 7,893.9 ${\mu}m$였고, 수컷 체장은 각각 1,460.5 ${\mu}m$와 1,688.2 ${\mu}m$였다. 10일째 수확한 체장이 작은 집단과 큰 집단 접종 시에는 기주 체내에서 성숙한 암컷의 체장은 각각 7,573.6 ${\mu}m$와 8,305.4 ${\mu}m$였고, 수컷의 체장은 1,733.4 ${\mu}m$와 1,794.4 ${\mu}m$였다. 수확시기와 접종 선충의 체장은 침입태 유충의 체장과 증식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The size of infective $Steinernema$ $arenarium$ juveniles is variable and ranges from 724 to 1408 ${\mu}m$. Effects of harvest time and infective juvenile size on pathogenicity,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were examined in the last instar of the great wax moth, $Galleria$ $mellonella$. Harvest time of infective juveniles (IJs) of $S.$ $arenarium$ affected pathogenicity. IJs harvested at the 10th day from trapping were more pathogenic than those harvested the 3rd day from trapping. Mortality of $G$. mellonella also depending on harvest time, $i.e$, 100% died within 48h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10th day, without relation to size. However, mortality was 40% in the small size group (SSG) compared with 18% in the large size group (LSG) within 48h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3rd day. Establishment of $S.$ $arenarium$ within the host was different depending on IJ size. The number of established IJs was 1.8 in the SSG, 3.3 in the LSG, and 3.2 in the mixed size group (MSG)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3rd day, and 5.3 in the SSG, 7.4 in the LSG, and 7.6 in the MSG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10th day. The length of the female adult was 7,070.5 ${\mu}m$ in the SSG and 7,893.9 ${\mu}m$ in the LSG and that of the male was 1,460.5 ${\mu}m$ in the SSG and 1,688.2 ${\mu}m$ in the LSG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3rd day. The length of the female adult was 7,573.6 ${\mu}m$ in the SSG and 8,305.4 ${\mu}m$ in the LSG and that of the male adult was 1,733.4 ${\mu}m$ in the SSG and 1,794.4 ${\mu}m$ in the LSG when IJs were harvested at the 10th day. Harvest time and size of IJs did not influence numbers of progeny or size of IJS.

      • KCI등재

        수확시기가 신선편이 결구상추의 품질 및 미생물수에 미치는 영향

        인병천(Byung-Chun In),김지강(Ji-Gang kim),Hataitip Nimikeatkai,이정수(Jung-Soo Lee)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1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수확시기와 같은 수확 전 요인이 수확 후 신선편이 결구상추의 품질과 미생물 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신선편이 가공업체에서 사용하는 결구상추를 5, 6, 7, 10, 12월에 수확하여 관행적인 방법으로 가공한 뒤 필름에 포장하고 5℃에서 9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조사를 하였다. 미생물 측정을 위한 샘플은 각 단계별(수확, 수송, 가공전, 절단, 1차-세척, 2차-세척, 저장 후 3, 6, 9일)로 수집되었다. 실험 결과 하우스에서 재배되어 5, 10월에 수확된 결구상추는 신선편이 가공 후 포장백 내부의 O₂ 농도가 낮고 CO₂는 매우 높았으며 제품의 전해질 누출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노지에서 재배된 6, 7월 수확 및 겨울철 하우스재배인 12월에 수확한 원료는 비교적 낮은 CO₂, 전해질 누출 및 갈변을 나타내었다. 원료상태의 미생물수는 7월(6.76 log)에 가장 높았고, 신선편이 가공 후 저장중의 미생물 증식은 5월 시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신선편이 결구상추를 고온, 저습조건의 노지에서 재배되어 6월 상순에 수확한 원료를 사용한 경우 품질과 미생물적 안전성이 모두 우수하였다. 반면, 하우스에서 재배 되어 10월에 수확한 결구상추를 원료로 사용한 경우 기공 전과 후의 미생물적 안전성은 모두 우수하였으나, 이취가 빨리 발생하여 품질특성이 나쁘게 나타났다. 따라서 연중 고품질의 신선편이 결구상추 생산을 위해서는 품질과 안전성을 동시에 제어하고 원료의 환경에 따른 품질유지 기간을 달리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vest seasons on quality and microbial population at different steps of production chain of fresh-cut iceberg lettuce. Iceberg lettuces harvested in May, June, July, October, and December were processed following industrial practices, and stored at 5℃ for 9 days. For microbial measurement, samples were taken from each of the following steps: harvest, transport, pretreatment, cutting, 1 st-washing, 2nd-washing, and day 3, 6, and 9 of storage. Iceberg lettuce cultivated in protect house and harvested in May and October showed higher CO₂ levels in the packages and electrolyte leakages than lettuce harvested in June, July and December. Microbial population of raw materials harvested in July was highest (6.76 log), and microbial growth rate during storage was highest in samples harvested in May. Lettuce harvested in June had better quality and microbial safety compared to other lettuces. Although lettuce harvested in October and December had less microbial population in either raw materials or processed products, those samples had inferior quality due to off-odor development and severe browning.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aintain quality and ensure microbial safety to distribute fresh-cut lettuce with high quality and safety throughout the year.

      • 수확시기와 줄기절단여부에 따른 의성 마늘 특성

        오혜민,정혜정,정혜린,김충실,권오훈,이문중,하유신 한국농업기계학회 2023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마늘은 우리나라의 주요 조미채소이나 농촌 고령화와 인력난으로 인하여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감소하여 재배방식의 기계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수확시기 조절과 줄기 줄단 여부에 따라 수량감소가 일어나지 않는 적정 수확시기를 설정하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시험재료로 의성마늘을 사용, 6월 1일부터 29일까지 7일 간격으로 수확하였다. 수확시기별 잎마름정도는 6월 15일부터 50% 이상 건조되기 시작했고, 6월 29일에는 95%이상 건조된 상태였다. 줄기절단여부에 따른 감모율의 차이는 6월 1일부터 7일 간격으로 18%, 13%, 3%, 1%, 4%로 6월 15일 이후로 줄기절단여부에 따른 감모율의 차이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의성마늘을 기계 수확할 경우 줄기가 절반정도 말랐을 때에 수확하면 줄기를 절단하여도 수량의 감소가 적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토대로 의성마늘 재배농가에 대하여 기계화 촉진 및 줄기 절단 여부에 대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비파괴 당도센서와 색상센서를 사용한 빅 데이터 분석 적용 과일 수확시기 예측 시스템 아키텍처 개발

        오정원,김행곤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9

        농부들의 수익 증대는 농업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과일 수확 시기 예측 시스템 아키텍처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농부들의 수익 증대이다. 최근 현대사회의 고도의 산업화로 인해 축소되는 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농업에 ICT 기술을 접목하는 스마트 농업 분야(Smart U-Agriculture) 즉, 스파트 팜(Smart Farm) 분야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스파트 팜(Smart Farm) 분야에서는 농작물 환경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농작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생육환경을 제공하고 관련 시스템을 제어하여 농작물의 생산량 증대와 노동력 감소를 핵심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단순한 농작물의 생산량 증대와 노동력 감소는 해당 상품의 과잉 생산으로 농산물 가격의 하락을 유도하며 농산물 가격의 하락은 농부들의 수입이 오히려 감소는 역효과를 유도하고 농촌 인력의 탈 농촌화를 가중시킬 수 있다. 농부들의 수입을 증대시키려면 농작물의 생산성 증대뿐이 아니라 우수한 품질의 농작물을 생산하여 산출된 농작물이 좋은 가격을 받아야 한다. 좋은 가격의 높은 품질을 가진 과일을 수확하려면 수확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표본 과일은 사과이며 수확 시기 예측의 기준은 당도와 색상을 적용했다. 또한 센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수확 상관인자(색상, 당도) 관련 시계열 차트를 제공할 수 있는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아키텍처는 유사 스마트 팜(Smart Farm) 관련 시스템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유사 농작물 수확시기 예측 시스템을 개발하는 표준 프레임워크로 사용될 수 있다. The farmer’s revenue increas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agriculture development.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Fruit Harvest Season Prediction System Architecture suggested in this paper is the farmer’s revenue increases. To revitalization of the agriculture reduced for today’s high industrialized society, the Smart U-Agriculture that integrates ICT technology with agriculture, or Smart Farm field is actively studied. A central parts of this study are providing the best growing environment with real-time Analysis for the agriculture environments and controlling the related system to increase the crop yields and reduce the labor. But simply increasing the crop yields and reduce the labor may cause declining the agricultural price that leads another problems like decreasing the farmer’s revenue and population in rural areas. To increase farmer’s revenue, not only increase the crop yields, but also produce the high-quality crops to make a good deal. The most important thing to reap the high-quality fruits is predicting the perfect harvest season. The standard fruit in this paper is an apple and the standard of harvest season prediction applied sugar and color. Also, we designed an architecture for a time series chart related to harvest factors(sugar and color) by collecting data from sensor in real time. It can be applied in similar Smart Farm System and used standard framework to develop the similar Fruit Harvest Season Prediction System.

      • KCI등재

        프리지아 “이본느”와 “샤이니골드” 품종의 2단구 억제를 위한 구근 수확시기별 저장온도 및 기간

        이진재,최창학,정동춘,송영주,오남기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2 화훼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프리지아 구근수확 시기를 달리하였을 때 2단구가 형성되지 않으면서 구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온도 및 기간 등 저장방법을 찾고자 실시하였다. 프리지아 구근 수확시기는 절화 직후와 절화 후 45일 2처리로 실시하였다. 구근 저장온도는 5, 10, 15, 20, 30οC, 저장기간은 20, 40, 60, 80, 100일 등 각각 5 처리를 두었다. 2단구는 구근의 생장점 부위에 싹이 맹아하지 않고 작은 자구가 발생하는 형태적인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저장 중 온도가 맞지 않을 경우 나타 난다. 시험결과를 보면 절화 후 바로 구근을 수확 할 경우 이본느 품종은 30οC로 80일 이상, 샤이니골드는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는 60일 이상 정식 전에 저장하면 정식 이후 2단구가 회피되었다. 절화 45일 후에 구근을 수확 할 경우에는 이본느와 샤이니골드 두 품종 모두 정식 전에 20οC에서 100일 이상, 30οC 는 40일 이상 보관하면 정식 이후 2단구 발생이 억제 되었다. 절화 직후 구근을 수확한 처리에서 구근을 30οC로 100일 저장 후 정식한 결과 샤이니골드와 이 본느 품종의 맹아소요일수는 각각 34일과 31일로 나 타나 한달 이상소요 되었지만,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은 같은 처리에서 두 품종 모두 맹아소요일수가 7 일로 나타나 절화 45일 후에 수확한 구근의 휴면이 빨리 타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Freesia corms were harvested immediately after cut-flower and 45 days after cut-flower. And harvested freesia corms were stored for 20, 40, 60, 80 and 100 days at 5, 10, 15, 20 and 30οC, respectively. Pupation, a morphological process of formation of small corms on the old one not sprouting after planting, occurred when the corms stored at wrong temperature. In the corms were harvested immediately after cutflower it is possible to avoid pupation, ‘Yvonne’ is stored for over 80 days at 30οC and ‘Shiny Gold’ is stored over 100 days at 20οC or more than 60 days at 30οC. The corms were harvested at 45 days after cutflower stored for more than 100 days at 20οC or for more than 40 days at 30οC showed no pupa formation in both species. In the corms harvested at immediately after cut-flower, the number of days to sprouting after planting of ‘Shiny Gold’ and ‘Yvonne’ was 34 and 31 days respectively, when used. On the other hand, the corms harvested 45 days after cut-flower were took only 7 days to spouting. In conclusion, we observed that the dormancy of the corms harvested at 45 days after cut flower was readily broken down through this experiment.

      • 수확시기별 크기별 밀양반시의 탄산가스 탈삽의 실용화를 위한 연구

        성종환 密陽産業大學校 農業技術開發硏究所 1999 農業技術開發硏究所報 Vol.3 No.2

        경남 밀양지방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 떫은감인 밀양반시를 대상으로 수확시기 및 과실의 크기가 탄산가스 탈삽에 미치는 영향과 실용화를 위한 연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용성 탄닌함량은 성숙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최종 수확시기에는 1회 수확시기에 비해 약 반으로 감소하였고, 탈삽 소요시간도 점차 단축되었다. 과실의 크기에 따른 수용성 탄닌함량은 큰 과실에 비하여 적은 과실이 장시간 소요되었다. 과실의 크기별 경도의 변화는 큰 과실의 경도가 작은과실에 비해 신속히 낮아졌는데 이러한 경향은 탈삽과정 중이나 후에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과실의 크기별 당함량의 변화는 적은 과실에 비하여 큰 과실의 함량이 많았으나 탈삽과정 중 감소현상이 크게 나타났다. This experiment was tested with persimmon fruit of Miryang Bansi curtivar and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effects of harvest time of fruit and fruit sizes on the removal of astringency and the practical utilization was conducted. Soluble tannin content was decreased as fruit was ripening and soluble tannin content at last harvest time was reduced about one half, as contrasted it's content at first harvest time and it showed that the time required of the removal of astringency was gradually shortened. In soluble tannin content was small fruit siz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arge fruit size. The times for the removal of astringency were required longer small fruit size than large fruit size. The hardness of large fruit size was decreased rapider than that of small fruit size. This tendency became similar during and after the removal of astringnecy. According to fruit sizes, sugar content of large fruit size were more amount than that of small fruit size during and after the removal of astringency, reduction of sugar content showed more rapidly large fruit size than small fruit size.

      • KCI등재

        서산 지역 절화 백합 농가의 재배 현황 및 수확 후 관리 실태 분석

        오상임,이자희,이애경 한국화훼학회 2017 화훼연구 Vol.25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ultivation and postharvest management strategies of lily farms in Seosan,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in 2016.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lily farms decreased from approximately 19 in 2011 to approximately 11 in 2016, which may have been due to aging of farmers, uncertain economic conditions, and crop conversion. The survey results were followed up, and in 2016, we further investigated s even o ut o f the 1 1 farms t hat responded to our survey on their lily cultivation strategies. These investigations s howed that 5 7.1 % of t he farms h ad a cultivation area of 3,300 – 6,600 m2, and farmers with two farms accounted for 42.8% of these. All farms, from which a response to the survey was received, used PE vinyl mulching to aid cultivation, and at six farms, excluding one farm at which plants were grown using box culture in greenhouses, crops were grown using soil culture. At most cut lily farms, various oriental and interspecific hybrids were cultivated. Among them, ‘Medusa,’ an oriental hybrid, and ‘Yelloween,’ an interspecific hybrid, were the most cultivated breeds. Because of the Obon and Higan holidays, as well as the end-of-year celebrations, which increase the demand for lilies in Japan, the harvest season with the highest crop yield (53.8% of the annual yield) was from November to December. Additionally, 71.4% of the surveyed farmers harvested all day, in both the morning and the afternoon. All farmers individually sorted and pretreated their crops with Chrysal SVB or Chrysal AVB immediately after harvesting. After pretreatment, the storage method differed among farms. One method, after packaging the sleeves, involved storing them in pretreatment solution at 5°C – 7°C. Another method was to store the flowers in the pretreatment solution without sleeves. After this step, the lilies were stored under dry conditions at 5°C – 7°C after box packaging. The percentage of domestic deliveries of lilies shipped from farms was slightly higher (54.3%) than that of those being exported. Domestic sellers accounted for 63.6% of the wholesale. It is suggested that the cut lilies from farms in Seosan are pretreated and stored to maintain postharvest quality, although the cultivation environments differ among the farm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atus of cultivation and postharvest management strategies in other areas. 본 연구는 충청남도 서산 지역 중심으로 2016년 절화 백합재배 농가의 현황 및 수확 후 관리 실태에 대하여 조사하고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2011년 백합 재배 19농가에서 2016년 절화 백합 재배 농가 수는 11농가로 고령화 및 불안한 경제적 요건, 작물 전환 등의 이유로 절화 백합 농가 수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16년을 기준으로 절화 백합을 재배하고 있는 농가 11농가 중 설문조사에 응한 7농가에대하여 재배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재배 규모가 3,300 ~ 6,600m2 가 농가의 비율은 57.1%로 다소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농가 직원 수는 2명인 농가가 42.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7농가 모두 PE 비닐하우스 시설 재배를 하고 있으며시설 내 상자재배를 하고 있는 1농가를 제외한 6농가는 시설내 토경재배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주로 오리엔탈 계통과 종간잡종 계통의 품종을 재배하고 있으며 오리엔탈 계통중 ‘Medusa’ 품종, 종간잡종 계통 중 ‘Yelloween’ 품종이 다른 품종에 비해 다소 많이 재배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확 시기는 일본의 오봉, 히간, 연말 수요에 따라 11~12월이53.8%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오전, 오후 구분 없이 하루 종일 수확을 하는 농가는 71.4%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확 후 에는 모든 농가가 개인선별을 하며, 절화 백합을 수확 후 바로 Chrysal SVB 또는 Chrysal AVB를 이용하여 전처리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처리 후 농가에 따라 저장 단계가 다르나 저장 시 슬리브 포장 작업을 한 후 출하 전 까지 5~7°C 저온저장고에서전처리 용액에 저장을 하거나 슬리브 작업을 하지 않고 전처리 용액에 저장을 하며, 출하 전날 박스 포장 후 건식저장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농가에서 출하 된 절화 백합은 수출보다 내수 비율이 54.3%로 다소 높으며, 내수 판매처는 도매가63.6%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

        신품종 다래‘오텀센스’의 수확적기와 일반저장조건 구명

        김철우,박영기,오성일,김만조,김진국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5

        본 연구는 신품종 다래‘오텀센스’의 수확적기를 구명하고자 생육시기별 과실품질과 후숙 특성을 조 사하였다. 과실의 후숙은 과실의 비대가 최대가 되고 과실 내 종자가 성숙한 이후에 가능하였으나, 종 자가 성숙 상태만으로는 후숙 가능성을 판단할 수 없었다. 산함량은 1.05%이상이 되어야 정상적인 후 숙이 진행되었으며 후숙이 가능한 시점의 경도는 평균 27.1N이었다. 성숙기에 접근한 과실의 가용성 고 형물 함량은 만개후 71일부터 90일까지 시기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지만 후숙 후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에는 유의적 차이가 있어 가용성 고형물 함량으로 수확적기를 구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다래 의 저장 중 중량감소율은 2℃에 상대습도 90%저장구가 낮았고, 부패율은 20℃, 상대습도 45% 저장구 에서는 저장 8일 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고, 2℃에 상대습도 45%와 상대습도 90% 모두 저장 후 20 일까지 10% 이하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과실의 크기, 경도 및 후숙 전·후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 등을 종합하여 고려해 볼 때 신품종 다래‘오텀센스’의 수확적기의 만개 후 생육일수는 85일(9월 2일)이었 고, 2℃에 상대습도 90%인 저온고습환경이 적합하였다.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data that could be used to evaluate the harvest time and storage condition of new hardy kiwifruit cultivar ‘Autumn sense’, the characteristics of fruit were examined during development and storage. Fruit sizes were increased from full bloom(FB) to 85days after FB.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ruit weight and seed number per fruit was found(r=0.98, p<0.01). Titratable acid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FB to harvest maturity and it was 1.05% at harvest. These change of soluble solids content(SSC) of fruit was not significant between picking times until ripening. But it was able to distinguish the harvest time because SSC of the fruit after ripen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harvest time. The weight loss rate of fruit was lower at 2℃ and 90% RH, than other storage conditions. The fruit decay rapidly increased from 8 days after storage at 20℃. The percentage of decayed fruit was only 10% at 2℃ regardless of RH even after 20days. Considering the fruit size, titratable acidity, firmness and SSC, optimal harvest time of ‘Autumn sense’ seemed to be 85 days after FB and the storage potential of fruit was higher at 2℃ and 90% RH.

      • KCI등재

        IoT Sensing을 이용한 농작물 수확 시기 예측 시스템 아키텍처 개발

        오정원,김행곤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6

        Recently, the field of agriculture has been gaining a new leap with the integration of ICT technology in agriculture. In particular, smart farms, which incorporate the Internet of Things (IoT) technology in agriculture, are in the spotlight. Smart farm technology collects and analyzes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environment where crops are cultivated in real time using sensors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devices necessary for harvesting crops in the control device, Environment. Although smart farm technology is paying attention as if it can solve everything, most of the research focuses only on increasing crop yields.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system architecture that can harvest high quality crops at the optimum stage rather than increase crop yields. In this paper, we have developed an architecture using apple trees as a sample and used the color information and weight information to predict the harvest time of apple trees. The simple board that collects color information and weight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server side uses Arduino and adopts model-driven development (MDD) as development methodology. We have developed an architecture to provide services to PC users in the form of Web and to provide Smart Phone users with services in the form of hybrid apps. We also developed an architecture that uses beacon technology to provide orchestration information to users in real time. 최근 농업 분야는 농업 분야에 ICT 기술이 접목 되면서 새로운 도약의 계기가 마련되고 있다. 특히 농업에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팜 [smart farm] 영역이 각광받고 있다. 스마트 팜 [smart farm] 기술은 농작물이 재배 되는 환경의 온도, 습도 등의 정보를 센서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여 제어장치에서 농작물 수확에 필요한 장치들을 자동으로 구동하여 농작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스마트 팜 [smart farm] 기술이 마치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을 것처럼 주목을 받고 있지만, 대부분의 연구가 농작물의 생산량 증대에만 치중되어 있다. 본 논문 에서는 농작물의 생산량 증대 보다는 우수한 품질의 농작물을 최적기에 수확할 수 있는 시스템의 아키텍처 개발에 중점을 두어 이루어졌다. 본 논문에서는 사과나무를 표본으로 아키텍처를 개발 하였으며 사과나무의 수확시기를 예측하는 데이터로는 색상정보와 중량정보를 사용하였다. 색상정보와 중량정보를 수집하여 서버 단으로 전송하는 간이형 보드는 아두이노를 사용하였으며. 개발 방법론으로는 모델 주도 개발(model-driven development :MDD)를 적용하였다. PC 사용자들에게는 웹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Smart Phone 사용자들에게는 하이브리드앱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아키텍처를 개발했다. 또한 비콘 기술을 사용해서 과수원 정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도록 아키텍처를 개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